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간호실습이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곽은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0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provide simulation-based integrated nursing practice for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them. The simulation was designed to experience integrated nursing practice that solves the health problems of individuals with various concerns Nursing students’ changes i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elf-efficacy regarding nursing competence, patient centered nursing care, and attitudes towards patient safety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102 third-year nursing students, consisting of 52 nursing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simulation-based integrated nursing practice training and 50 nursing students in a control group who received traditional nursing skills train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simulation-based integrated clinical practice demonstrated higher clinical performance ability(t=3.10, p=.003, F=20.47, p=.000), self-efficacy regarding nursing competence(t=3.35, p=.001, F=6.93, p=.010), patient centered nursing care(t=2.68, p=.009, F=4.08, p=.046), and attitudes towards patient safety(t=2.48, p=.014, F=6.96, p=.010). This study confirmed that simulation-based integrated nursing practice wa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nursing skill training in improving competence, patient-centered nursing, and attitudes towards patient safety of nursing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통합간호를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시뮬레이션은 성인, 아동, 모성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통합간호실습을 경험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간호역량 자기효능감, 환자중심 간호 및 환자안전태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간호학과 3학년 학생 총 102명으로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실험군 52명, 전통적 술기교육을 받은 대조군 50명이었다. 연구 결과 시뮬레이션 통합간호실습을 경험한 실험군은 전통적 술기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임상수행능력(t=3.10, p=.003, F=20.47, p=.000), 간호역량 자기효능감(t=3.35, p=.001, F=6.93, p=.010), 환자중심간호(t=2.68, p=.009, F=4.08, p=.046), 환자안전태도(t=2.48, p=.014, F=6.96, p=.010)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시뮬레이션 기반 통합간호실습이 전통적 술기교육보다 간호대학생의 역량향상 및 환자중심간호, 환자안전태도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간호교육에 적용한 동료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곽은미,우진주 대한산업경영학회 2022 산업융합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간호교육에 적용한 동료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이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G대학교 간호학과 재학생 중 총 2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규수업 종료 후 실험군(N=117)에게는 10주 동안 매주 1회 이상의 동료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대조군(N=112명)에게는 10주 동안 개별 자율학습을 진행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X2-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t=6.50, p<.001), 학업적 자기효능감(t=2.01, p=.046), 학업성취도(t=4.98, p<.001)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동료학습이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확인되었으므로 간호교육의 교과 외 활동 설계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er-Assisted Learning(PAL) applied to nursing education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was a pre-post-post design with an inequality control group, and a total of 229 students from G Universit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included. After the completion of regular classes, the experimental group(N=117) was given a PAL program at least once a week for 10 weeks, and the control group(N=112) was given individual self-learning for 10 week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independent t-test using SPSS/WIN 21.0. As a resul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t=6.50, p<.001), academic self-efficacy(t=2.01, p=.046), and academic achievement(t=4.98, p<.001)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s the positive effect of peer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was confirm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as useful basic data when design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r nursing education.

      • KCI등재

        지적장애영유아의 수학개념 발달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에 대한 이론적 고찰

        곽은미,Kwak, Eunmi Emily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0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music therapy interven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athematical concepts among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researcher provides a basis of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musical activities as an effective tool for young children to understand and promote their mathematical concepts, and the necessity of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is suggested. Music, as a multi-sensory modality, has an ability to hold and maintain one's attention, and can be used as a memory aid and a powerful and effective motivator and reinforcer for young children. Therefore, musical activities can be used to facilitate mathematical concepts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Possible musical activities for promoting mathematical development are suggested, and the necessity for developing various musical activities is discussed. 본 연구는 지적장애영유아의 수학개념 발달을 위한 음악활동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음악은 청각, 시각, 촉각을 자극할 수 있는 다감각적 매체로써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인지능력을 향상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고, 영유아의 집중을 유도할 수 있는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학습에 필요한 기본적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돕는 보조적 역할 및 동기부여의 도구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지적장애영유아 치료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음악의 각 요소들과 특성들을 파악하는 것은 수학개념 발달에 사용될 수 있는 음악활동의 종류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며, 적절한 음악활동을 구성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한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영유아 수학교육의 현장에서 음악활동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시하며, 수학개념 발달을 위한 다양한 음악활동 개발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음주 관계 연구

        곽은미,이주영,윤희장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gree of job stress and drinking level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completed by 106 nurses working in emergency room of hospitals from 3 different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job stress score was 45.93±6.81 points, while 18.9% of the subjects were in the disordered alcohol use group. Differences in drinking level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work experience of the nurses ( 2=8.249, p=.041), 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in job stress scores were found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2.72, p=.008) and desire to continue working (t=-2.272, p=.025).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rinking level (r=-.147, p= .000). Measures to lower job stres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are need based on the findings in the study and it is expected that decreasing the drinking level of nurse would contribute to this. 이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음주 수준을 조사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3개 도시에 위치한 병원 응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06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평균은 45.93±6.81점이었으며, 음주사용장애군은 18.9%로 나타났다. 음주수준은 간호사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2=8.249, p=.041), 직무스트레스는 결혼 유무(t=-2.72, p=.008)와 지속적인 근무 희망 여부(t=-2.272, p=.02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스트레스와 음주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r=-.147, p= .000)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라 응급실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이는 음주수준을 낮추는 것에도 기여하리라 예상된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와 음주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해 응급실간호사 배치인력관리 정책이나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KCI등재

        개념지도를 활용한 팀 기반 임상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곽은미,이윤희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eam-based clinical practice education using conceptual maps on the learning attitude, self-directed learning, and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 nursing college students taking clinical practice cours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t-test using SPSS 22.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attitude (p< .000), self-directed learning (p< .000), and critical thinking (p< .000)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before and after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nd apply a systematic team-based clinical practice program using concept maps to nursing students, and this result can be used as a variety of teaching-learning method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본 연구는 개념지도를 활용한 팀 기반 임상실습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학습태도, 자기주도학습,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임상실습 교과목을 수강 중인 간호대학생 80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paired t-test로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습태도(p< .000), 자기주도학습(p< .000), 비판적사고(p< .000) 점수가 교육 전, 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에게 개념지도를 이용한 체계적인 팀 기반 임상실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권장하며, 이 결과는 교과목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교수-학습 방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음악치료 수퍼비전 형태에 따른 수퍼비전 만족도 조사

        곽은미,장빛나,유가을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2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erceived supervisory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supervision. Twenty-six music therapy graduate students who enrolled in a practicum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received four individual and four group supervision sessions over the course of the semester. After each supervision sess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their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on the Supervisory Satisfactory Questionnaire(SSQ).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ean ratings between individual and group supervision conditions, indicating that the type of supervision would not differently affect the perception of overall supervisory satisfaction. However, a detailed analysis of ratings for each questionnaire item and comments from the participants imply that while individual supervision would be perceived to meet supervisees’ individual needs more effectively, satisfaction with group supervision would be less influenced by supervisor styles. This study would provide descriptive information of perceived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type as an initial trial toward suggesting the systematic approach to the music therapy supervision format.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how effective and culturally responsive supervision format would be structured to facilitate supervision process and maximize supervision outcome. 본 연구에서는 음악치료 수퍼비전 형태, 즉 개인 수퍼비전과 소집단 수퍼비전 형태에 따른 수퍼바이지의 수퍼비전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그에 따라 서울 소재 대학교음악치료학과 석사과정 재학생 중 임상 수퍼비전을 받고 있는 학생 2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가 실시되었다. 대상자별로 개인 수퍼비전과 집단 수퍼비전이 각각 4회씩 이루어졌고, 수퍼비전 실시 후 수퍼비전 만족도 질문지(Supervisory Satisfactory Questionnaire)를 사용해 각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 평균 점수가 집단 수퍼비전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두 조건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만족도 세부 항목 중 필요성 충족과 전체적인 수퍼비전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들의 자기보고 내용에 있어 개인수퍼비전의 경우에는 제공되는 시간의 충분함과 수퍼바이저의 개별적이고 긍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서술이 많았던 반면, 집단 수퍼비전의 경우에는 동료들 간의 긍정적인 교류와 시간 부족에 대한 서술이 많았다. 이와 같이 개인 수퍼비전과 집단 수퍼비전에서 충족될 수 있는 다른 필요와장점이 있음을 보여주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음악치료 교육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는수퍼비전 형태에 대한 고려사항이 제안되었고, 추후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 KCI우수등재
      • 비구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언어 통합치료의 가능성과 자해 행동 감소를 위한 중재법의 개발을 위한 제안

        곽은미(Kwak, Eun-Mi) 한국통합치료학회 2009 통합치료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비구어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의 언어발달을 위한 음악치료의 효과적인 개입 방안으로 음악-언어 통합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자폐 아동들의 문제행동의 중재방안으로 음악의 활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언어발달의 선행조건인 공동인지(joint attention)와 청각인지(auditory perception) 발달 촉진 방안으로 음악의 활용은 많은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음정. 음량 가사 등 언어발달의 필수적인 음악경험이 아동의 언어발달과 학습 발달을 유도함을 알 수 있으며 언어의 전문적인 훈련방법을 알고 있는 언어치료사와 음악치료사의 공동 작업은 매우 효율적인 치료형태가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자폐아동들이 치료세션에서 보이는 문제행동들이 치료의 효율성을 감소시킴을 고려할 때 음악치료의 개입은 문제행동 중재를 유도하여 언어치료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비구어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을 위한 음악-언어의 통합치료 관련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between music therapy (MT)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SLP) in language development and behavior management for nonverbal children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ASD) Music as a therapeutic tool includes several elements in association with language development such as pitch, volume, lyrics et al. In previous research, music provides multi-sensory stimulations, and it helps both language and academic development. Therefore, developing cooperation between MT and SLP will maximiz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reatment by successfully managing problematic behaviors presented by children with ASD and more research regarding interdisciplinary between MT and SLP should be continued.

      • KCI우수등재

        한국어판 자기주도 학습능력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곽은미(Kwak, Eun Mi),이주영( Lee, Joo Young),우진주(Woo, Jin Ju) 기본간호학회 2019 기본간호학회지 Vol.26 No.1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verify the self-directed learning instrument (SDLI) developed to measur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425 nursing college students. Their self-directed learning was verified using self-reports and results through questionnaires. SDLI was translated into Korean through translation/reverse translation process and its content validity verified by five experts.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as verified through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was analyzed using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Results: Four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20 items of the original instrument were found to be valid. I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validity of the instrument was verified as the model was valid.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also acceptable and SDLI was found to be an applicable instrument. Conclusion: SDLI has been developed and verified by selecting nursing students as participants for the study. Use if SDLI is expec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ing education and to be used in future nursing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