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許秀卿 詩의 서울 表象 硏究 –『슬픔만한 거름이 어디 있으랴』(1988), 『혼자 가는 먼 집』(1992)를 중심으로–

        공현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4

        This paper examined and clarified the representation of Seoul in Huh Sukyung’s poems. This paper understands the space represented in literature as a socially produced space and pays attention to Seoul as a poetic subject. Hence, it looks at Seoul through the eyes of a female poet and subject. In Huh’s first collection of poems, Seoul is called a “space of giant discourse,” as recognized by the subject located outside Seoul. Seoul is represented as a symbolic space that engraves the dominant ideology into individual lives, representing critical consciousness and the possibility of subversion in Huh’s poems. Huh’s representation of Seoul in her second collection showed the response of the poetic subject who entered Seoul and the place where the subject constituted and produced Seoul. During this period, Seoul is represented as a space of “hunger,” which plays a role in producing Seoul as a space of both absolute and relative poverty. Furthermore, the beginning of rejecting the space of Seoul and moving to produce a new space can be found in Huh’s representation of Seoul.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eoul in Huh Sukyung’s poetry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world of poets who went to other countries and lived diasporic life. 공현진, 2022, 허수경 시의 서울 표상 연구, 어문연구, 196 : 319~350 이 논문은 허수경의 시에 나타나는 서울 표상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문학에 표상된 공간을 사회적으로 생산된 공간으로 이해하며, 시적 주체가 경험하며 생산한 서울의 모습에 주목한다. 여성 시인이자 여성 주체로서 마주한 서울의 모습을 살피고자 한다. 허수경의 첫 시집의 ‘서울’은 서울 바깥에 위치한 주체가 인식하는 서울로서 ‘거대 담론의 공간’으로 호명된다. ‘서울’은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개인의 삶에 새겨넣게 하는 상징적 공간으로 표상되는데 이에 대한 비판적 의식과 전복 가능성을 허수경의 시에서 발견할 수 있다. 허수경의 두 번째 시집에서의 서울 표상은 서울에 진입한 시적 주체의 대응과 서울에 대해 주체가 구성하며 생산하는 장소성을 보여준다. 이 시기 서울은 ‘허기’의 공간으로 표상되는데 이는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의 공간으로 서울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나아가 서울이라는 공간을 거부하고 다른 공간으로 나아가며 새로운 공간을 생산하고자 하는 단초를 허수경 시의 서울 표상에서 발견할 수 있다. 허수경 시에 나타난 서울의 의미를 파악하는 일은 이후 타국으로 향하여 디아스포라적 삶을 살아간 시인의 세계를 일면 이해하게 하기에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항생제 처방 시스템 순응도 및 사용자 평가

        공현진,허은정,김형숙,정영미,이정화,Eunkyung Euni Lee,이주연,정종탁,송경호,김의석,김홍빈 한국병원약사회 2022 병원약사회지 Vol.39 No.4

        Background : An antibiotic prescription system is introduc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to encourage appropriate antibiotic use. The system suggests a list of recommended antibiotics according to the tailored purpose of a prescription, such as empirical therapy, specific pathogen target, and surgical prophylaxi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escriber compliance and awareness regarding the system at a tertiary care hospital in Korea. Methods : We compared the purpose of a prescription chosen in the antibiotic prescription system with the actual infectious diseases confirmed via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s) to determine the prescriber’s compliance with the system.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usability, and improvements of the antibiotic prescription system, we also conducted a survey of its users. Results : Regarding compliance, 52 out of 120 cases (43.3%) reviewed showed that the purpose of a prescription chosen in the system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EHRs. Our survey of user awareness of the system garnered a 19.7% response rate (59 out of 300). About 45.8% of the respondents agreed with the necessity for such a system, while 28.8% disagreed and 88.2% noted that the system was inconvenient. 69.4% answered under 60% of purpose match rate and 77.9% answered under 60% of prescription rate within recommended lists. The most response to improvements was error or lack of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ystem.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a low match rate between the purpose of a prescription chosen in the antibiotic prescription system and those confirmed through EHRs. Periodic feedback on the use of the system and training on its use and purpose are hence necessary to increase user compliance with the system and encourage appropriate antibiotic usage.

      • KCI등재

        반대급부 확정 측면에서 본 휴대폰 단말기 보조금의 매출에누리 여부 ― KT 사건과 SKT 사건의 비교 ―

        공현진,박훈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조세와 법 Vol.10 No.1

        For a tax assessment, the tax law stipulates that ‘sales allowance’ shall be deducted from ‘inclusion, gross income and supply value’, but that ‘sales incentive’ shall be included in them. This study proposes the interpretation criteria of sales allowance and sales incentives in terms of confirmation and reduction of countervailing benefits, and based on this, the case of KT and SKT related to mobile device subsidy are compared. Inclusion, gross income and supply value are defined as valuable consideration, except for problems relevant to the market price such as the rejection of unfair act and calculation. In other words, inclusion, gross income and supply value fall under the countervailing benefit that must be redeemed with the benefit, i.e., provision of goods or service. The benefit and the countervailing benefit should be handled in terms of ‘correlation’ in a bilateral contract. The sales allowance is the reduction of the countervailing benefit. The sales incentive is the money that is not related to the reduction of the countervailing benefit such as in-kind payment to the counterparty or cash payment to the third party other than the transaction chain. Even if you pay cash to the counterparty due to a contract with a third party, not with the counterparty, the counterparty will be rewarded if it returns the counterparty's benefit (KT case). Since the third party's agreement contents a promise to provide a third party a certain benefit, it can be a reduction of the countervailing benefit. In the case of SKT, SKT made a contract with the customer through a subsidy agreement with the third party to receive the subsidy and cash and sell the mobile device through the subsidy agreement. In order to implement the agreement, SKT paid subsidies to the dealers and handed over payment Respectively. SKT paid cash to a third party agent outside of the trading chain, and subsidy is a subsidy for sales, irrespective of the decrease in compensation for mobile telecom service. Since SKT established a separate corporation for business needs and handled mobile device transactions, it can not be said that it treats SKT differently from KT, which is not a violation of tax neutrality. 세법은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등에서 공통적으로 과세표준의 범위를 정할 때 과세표준 산정의 기초인 ‘익금, 총수입금액, 공급가액’에서, 매출에누리를 차감하고, 판매장려금을 포함한다. 본 논문은 특히 부가가치세의 매출에누리 및 판매장려금과 관련하여 반대급부의 확정 및 감액 측면에서 그 해석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이러한 해석기준을 토대로 휴대폰 단말기 보조금과 관련된 KT 사건과 SKT 사건에 대해 전자는 매출에누리로, 후자는 판매장려금으로 달리 판단하는 것이 서로 모순되지 않음을 결론으로서 제시한다. 과세표준의 기초가 되는 ‘익금, 총수입금액, 공급가액’은 원칙적으로 ‘그 재화의 판매나 용역의 제공으로부터 받았거나 받을 대가(對價)’이다. ‘익금, 총수입금액, 공급가액’은, 재화의 판매나 용역의 제공이라는 ‘급부(給付)’와 상환하여 이행되는 ‘반대급부(反對給付)’이고, 반대급부의 감액이 매출에누리이며, 그 외 금원이 판매장려금이다. 결국, 매출에누리ㆍ판매장려금 구분은 ‘급부에 대한 반대급부의 확정’ 문제이다. 급부에 대한 반대급부는, 주된 급부의무 상호간 양 당사자의 채무가 독자적으로 다루어져서는 안 되고, 주관적으로 상호 의존되며, 상환하여 이행된다는 민법상 쌍무계약의 ‘견련성(牽聯性)’을 확인하는 것이다. 제3자를 위한 계약, 삼각관계의 단축된 급부 등을 통해 제3자가 한 이행이 거래상대방으로부터 받은 반대급부에 포함될 수 있다(제3자 대가). 거래당사자 사이의 거래가 하나 이상이고, 거래상대방 외 제3자가 관련되어 있으면, 각 법률관계상 급부 및 반대급부를 확정하고, 어느 반대급부의 감액인지 살펴 매출에누리가 결정된다. 거래상대방이 아니라 제3자에게 한 현금 지급은 ‘자신이 한 급부에 대한 반대급부의 감액’과 같아야 매출에누리이다. 거래상대방과 약정이 아니라 제3자와 약정을 원인으로 거래상대방에게 현금을 지급하더라도, 거래상대방에게 반대급부를 돌려준 것이면 매출에누리가 된다(KT 사건). 제3자와 약정 내용이, ‘제3자의 급부의 약속(제3자로 하여금 일정한 급부를 제공하도록 하는 약속)’이기 때문에, 제3자와 약정이 원인이 되더라도, 거래상대방과 사이에서 별도 약정이 필요하고, 반대급부의 감액이 될 수 있다. SKT 사건에서, SKT는 단말기 보조금 약정을 통해, 제3자인 대리점이 보조금과 현금을 지급받고 단말기를 판매하도록 고객과 약정하였고, 그 이행을 위해 대리점과 사이에서 보조금 지급 및 고객에 대한 단말기 대금 지급 채권 양도 등을 약정하였다. SKT는 거래사슬 외 제3자인 대리점에게 현금을 지급하였고, 보조금이 자신의 급부인 이동통신용역에 대한 반대급부의 감액과 상관이 없기 때문에 보조금은 이동통신용역의 판매장려금이다(SKT 사건). SKT는 사업상 필요에서 별도 법인을 설립하여 단말기 판매 거래를 하였기 때문에 SKT를 KT와 다르게 취급한다고 하여 조세중립성 위반이라고 할 수 없다.

      • KCI등재

        글로컬리즘과 환대의 자리에 대한 시학적 모색 - 신동엽의 시를 중심으로 -

        공현진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0 No.-

        Poetic literature research needs to preempt and build the poetry of ‘glocalism’ that is not included in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capitalism. This paper reviewed the concept of ‘glocalism’ and interpreted Shin Dongyeop’s poem as a practical example applying the methodology. Shin Dongyeop is suitable for a glocal perspective because he is a poet who sought to escape from central power-centeredism and showed thoughts for areas and places that do not result in a ‘state’ or ‘ethnicity’.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emphasized that the poetry of ‘hospitality’ should be appli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poetic method of glocalism, and that can also be found in Shin Dongyeop’s poem. Shin Dongyeop’s poem emphasizes the active power and beauty of the region itself, and this paper noted that the power of locality that appears in Shin Dongyeop’s poem is not simply due to the comparison with ‘Seoul’ or the sense of opposition. Shin Dongyeop’s poem ultimately aims to restore the spatiality of each region as the ‘place of life’. The glocal space should be a space of difference that is not included in the uniformity of central power, but also a space of hospitality that does not establish boundaries between the periphery and the periphery. Shin Dongyeop’s poem is trying to resist the hierarchy between Seoul and the region, while also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between regions and regions. While emphasizing locality, Shin Dongyeop’s poem finds a place of friendship, solidarity, and hospitality in it. In addition to dismantling the boundary between the center and the surrounding area, the value of the glocal space can be highly appreciated in Shin Dongyeop’s breaking down the boundary between the surrounding and the surrounding area. 시 문학 연구는 자본주의의 세계화 전략에 포섭되지 않는 ‘글로컬리즘’의 시학을 선취하고 구축해나갈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글로컬리즘’이라는 개념을 검토하고, 그 방법론을 적용한 하나의 실천적 사례로 신동엽의 시를 해석하였다. 신동엽은 중앙권력 중심주의를 벗어나기 위한 모색을 해나간 시인이자 ‘국가’나 ‘민족’ 으로 귀결되지 않는 지역과 장소에 대한 사유를 보여준 시인이기에 글로컬리즘적 관점으로 접근하기에 적합하다. 한편 이 논문은 글로컬리즘의 시학적 방법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환대’의 시학이 함께 적용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는데 그러한 모습 역시 신동엽의 시에서발견할 수 있다. 신동엽의 시는 지역 자체의 능동적 힘과 아름다움을 강조하는데 이때 신동엽 시에 나타나는 지역성의 힘이 단순히 ‘서울’과의 비교나 대항 의식에서 기인하지 않는다는 점에이 논문은 주목하였다. 신동엽의 시는 각각의 지역이 모두 ‘삶의 터전’으로서 그 공간성을회복해야 함을 궁극적으로 지향한다. 글로컬적 공간은 중앙권력의 획일성에 포섭되지 않는 차이의 공간이면서도 또한 주변과 주변의 경계를 구축하지 않는 환대의 공간이어야 한다. 신동엽의 시는 서울과 지역 간의 위계에 저항하는 동시에 또한 지역과 지역의 경계도 허물며 연결하고자 한다. 신동엽의시는 지역성을 강조하면서도 그 안에서 우정과 연대, 환대의 자리를 발견한다. 중심과 주변의 경계를 해체할 뿐만 아니라 주변과 주변의 경계도 무너뜨리는 것에서 신동엽 시 글로컬적 공간의 가치를 높이 평가할 수 있다.

      • 고추의 체세포 배형성에 있어서 Peroxidase isozyme의 양상 및 형태적 변화 : Capsicum annuum L

        공현진,정현숙 조선대학교 부설 유전생물공학연구소 1992 유전생물공학연구지 Vol.2 No.-

        본 연구는 고추 (Capsicum annuum L.)에서 체세포 배형성 callus와 비배형성 callus를 유도하여 그들의 조직학적인 특성과 재분화에 따른 isozyme 양상을 비교하고 체세포 배형성에 특이적인 isozyme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4-D(1mg/1)가 함유된 배지에서 배형성 callus와 비배형성 callus를 유도하여 동일 환경 조건에서 증식시켰으며, BAP(2mg/1)와 IAA(mg/1)가 첨가된 배지에서 재분화를 유도하여 4주째 완전한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형태적인 특징으로는 비배형성 callus가 팽창된 세포들로 형성된 반면에 배형성 callus는 세포질이 충실한 작고, 둥근 세포들이 조밀하게 밀집된 세포집단(EC)들이 NC형태 세포들과 혼합된 구조로 관찰되었다. 여러 isozyme 양상을 비교한 결과 peroxidase에 있어서 EC와 NC간에 서로 다른 band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NC에 없는 한개의 peroxidase band가 EC의 pI7.3 지역에서 나타났으며, 이들은 EC의 세포에만 국한되어 발현됨이 확인되었다. 각 조직 별로 본 esterase의 starch gel electrophoresis 결과, EC에서 두개, 잎과 NC에서 각각 한개의 anodic band가 관찰되었다. 이들 동위효소와 같은 생화학적 조직특이성 표식은 배형성능이 있는 callus를 확인하거나 배형성 과정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callus could be induced from pepper leaf discs on MS medium containing 2,4-dichlorophenoxyacetic acid(1mg/1) and differentiation occurred in MS medium containing 6-benzylaminopurine (2 mg/1) and indole-3-acetic acid (1 mg/1). The plantlet were obtained after 4 week culture on the differentiation medium. Morphological characteritics were also examined in embryogenic callus (EC) and non-embryogenic callus (NC) induved from pepper leaf discs. The NC was composed of expanded cells and EC contained compact embryogenic cell complexes intermingled with vacuolated and expanded cells. We examined the isozyme paatterns of peroxidase for their utility as biochemical markers of pepper embryogenic callus cultures. Peroxidase activity increased gradually on differentiation stage. Isozyme pattern of peroxidase was showed 3 cathodic and 3 anodic bands by isoelectric focusing. We observed the difference of esterase isozyme pattern between EC and NC.

      • KCI등재

        김종삼 시에 나타난 기억과 증언의 방식 -‘증언(불)가능성’의 증언을 위해

        공현진 한국근대문학회 202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3 No.1

        The structure of testimony in Kim Jong-sam’s poetry reveals an intention towards the possibility of giving testimony despite the reality of its impossibility. This study examines the poetry of Kim Jong-sam to understand the perspective of witnessing the lack of testimony. Kim Jong-sam’s poetry is meticulously written as a proxy for past events, especially when the event is death. The subject of his poetry is the recognition of the impossibility of testimony, and in the face of such a reality, of providing testimony through preservation of memory. A methodology of testimony here can be understood as taking the place of silence and empty space. War and massacre, which essentially represent the problem of death, are portrayed through memory in Kim Jong-sam’s poetry. The survivor narrator attempts to speak from memory, but testimony on the actual event takes the form of silence. The narration of death events is never communicated in Kim Jong-sam’s poetry. This reflects this poet’s unique perspective on the inability to easily speak about death as a survivor living in a post-war generation. In his poetry, the narration, which does not rely on memory, can be seen in his use of place. The narrator discovers the traces of death and loss where he is in the moment. Memory makes it possible to discover traces of something where there is no trace of it. His poetry manages to capture traces of events that have left no evidence of themselves behind. This is not the process of narrativizing a historical memory, but the memory captures the places that threatened us through traces. Kim Jong-sam exhibits an ethical standard in his poetry by not being quick to narrativize memory, which can be considered a virtue of his poetry. Rather, he uses the traces of memory’s ever-present actuality to actualize history to the current moment. Evidence is constantly erased. Traces of it are etched into inerasable memory, thus proving testimony’s importance. 김종삼의 시는 증언의 구조 자체에 문제가, ‘불가능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불가능성을 감수한 채 말하려고 한다. 이 논문은 증언의 결여된 부분에 주목한다는 관점과 목적에서 김종삼의 시를 살핀다. 김종삼의 시는 철저히 ‘대리인’으로서 과거의 ‘사건’, 특히 죽음의 사건을 대한다. 김종삼 시의 주체는 ‘증언의 불가능성’을 인지하면서도 그럼에도 ‘기억’을 망각하지 않고 증언하고자 한다. 김종삼 시의 ‘침묵과 여백’의 자리는 ‘증언의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김종삼의 시에서 전쟁과 학살, 즉 죽음의 문제는 기억으로서 전달된다. 살아남은 화자는 기억을 말하려 하지만 그의 증언은 정작 일어난 사건에 대해서는 ‘침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김종삼의 시에서 죽음의 사건은 서사로서 전달되지 않는다. 전쟁 이후의 시대에 ‘살아남은 자’로서 ‘죽음’은 쉽게 말해질 수 없는 것이라는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 김종삼 시의 독특한 지점이다. 김종삼의 시가 기억을 서사가 아닌 방식으로 제시하는 모습은 장소에 대한 태도에서도 찾을 수 있다. 화자는 현재의 장소에서 죽음과 부재의 ‘흔적’을 발견한다. 흔적도 없는 곳에서 흔적을 발견하는데 이는 기억으로 인해 가능하다. 그의 시는 더이상 사건에 대한 증거라고 여기지 않는 것들을 ‘흔적’으로 포착한다. 역사적 기억을 서사화하여 전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흔적을 통해 ‘기억’이 우리에게 습격하는 지점을 포착한다. 기억을 성급하게 서사화하지 않는 윤리적 태도는 김종삼 시의 미덕이라 할 수 있고, 기억이 현재의 흔적들을 통해 계속된다는 것은 역사의 현재화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증거는 계속해서 증발한다. 기억하는 것, 흔적에 새겨진 기억을 망각하지 않고 증언하는 것은 그러므로 중요하다.

      • KCI등재

        신동엽 시에 나타난 탈식민적 장소와 다문화적 사유의 가능성

        공현진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6 No.-

        This paper identifies the post-colonial point of view of Shin Dongyeop’s poetry through the place of Shin. In his poetry, the place name refers not only to the speaker’s perception of space but is also a major attribute of his awareness of the world. In Shin Dong’s– yeop poem, the point where the abstract space changes to the place where concrete meaning is acquired appears in a similar pattern. The speaker’s gaze then plays an important role. In his poetry, the abstract space itself transforms into a space with a peaceful identity, or a specific place in relation to the speaker’s experience and memory. Shin’s poem emphasizes the awakened “eyes” of the speaker and tries to face what happened in that place. Furthermore, the speaker calls the places of the third world together. This is because we recognize that the issue of war and colonization is not a problem for our nation alone. The speaker also tries to overcome the problem of colonization with an attitude that extends beyond the national and nationalistic concept. The speaker keenly perceives the penetration of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at which point he encounters the speaker’s resistance to cultural homogenization. This can be read in terms of the cultural diversity emphasized in today’s “multiculturalism.” 이 논문은 신동엽의 시에서 드러나는 탈식민적 관점을 신동엽 시의 장소성 을 통해 규명한다. 그의 시에서 장소성은 화자의 공간인식뿐만 아니라 세계에 대한 의식을 보여주는 주요한 특질이다. 신동엽의 시에는 추상 공간이 구체적 의미를 획득한 장소로 변화하는 지점이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그때 화자 의 ‘시선’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의 시에서 추상공간은 그 자체로 평화로운 정체성을 지닌 공간이나 화자의 경험과 기억과 관계하면서 구체적 장소로 변 모한다. 신동엽의 시는 화자의 깨어있는 ‘눈’을 강조하며 장소에서 벌어진 일을 직시하려 한다. 나아가 화자는 제3세계의 장소들을 함께 호명한다. 식민 이후 와 전쟁의 문제가 비단 우리 민족만의 문제가 아님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화자는 국민국가적이고 민족주의적인 개념을 벗어난 태도로 식민의 문제를 극복하려 한다. 화자는 자본과 문화 자본의 침투를 예리하게 인지하는데, 이 때 문화적 획일화에 대한 화자의 저항을 발견하게 된다. 이는 오늘날 ‘다문화주 의’에서 강조하는 문화적 다양성의 관점으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적 장소에 나타난 문화적 기억과 작품연구 -미아리고개와 주변 공간을 중심으로-

        공현진,양태근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the site, “Miarigogae” was excluded as a heterogeneous space in the past from the perspective of Michel Foucault’s heterotopia and to examine today’s meaning of the site and the change aspect of the collective memory on the site. To this end, the works of pure artists inspired by Miarigogae and the surrounding area were analyzed from the cultural memory point of view mentioned by Aleida Assmann. The main area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Miari Cemetery, Miari Astrological Village, and Art Space Meindo formed in the lower area of the Miari Overpass. The cultural memory that is being newly established nowadays through Miarigogae and the surrounding area was aroused based on the works aspired by the abovementioned areas and the works planned and exhibited in Meindo. In this regard, it can be seen that the various projects and works carried out in the surrounding space of Miarigogae as a bridge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in that they provide diverse cultural memories to the public toda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it was confirmed that Miarigogae, a heterotopic site, has been restored as an exuberant space and a variety of experimental ground, rather than as the otherized space. Consequent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importance of recording the memory of the sites being lost indifferently and the remembering work of the symbolic places through new media is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us to consider the places we live in and the value of our memories. 본 연구는 과거 미아리고개라는 장소가 오늘날 어떻게 이질적 공간으로 배척되고 있었는지를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라는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오늘날 그 터의 의미와 집단의 장소 기억이 변화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미아리고개와 주변 공간들에서 영감 받은 순수미술작가들의 작품을알라이다 아스만이 말한 문화적 기억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룬 공간은미아리 공동묘지, 미아리 점성촌, 그리고 미아리 고가 하부공간에 형성된 복합문화예술공간 미인도이다. 위 공간들에서 영감 받은 작품과 실제 미인도에서 진행된 기획전시 작품을 토대로 미아리고개와주변 공간이 오늘날 새롭게 정립하고 있는 문화적 기억을 환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작품분석을 통해서 미아리고개라는 헤테로토피아적 장소가 오늘날 더는 타자화된 공간이 아닌, 생동감 있는 공간이자다양한 실험의 장으로 재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점에서 미아리고개와 주변 공간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프로젝트와 작업은 오늘날 대중에게 다양한 문화적 기억을 심어준다는 점에서 과거와 현재를 잇는 연결 다리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오늘날 무분별하게상실되어가는 장소 기억에 대한 기록과 더불어 상징적인 장소들을 새로운 매체를 통해 기억하는 작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에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우리가 살아가는 장소들과 그 장소가 가진 기억의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해볼 수 있게 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적 장소연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를 중심으로 -

        공현진,양태근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historic change aspect and aesthetics of place that the past Dongdaemun (East Gate) site implies, focused on the Dongdaemun Design Plaza built by Iraqi architect Zaha Hadid through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s spatial theory, Heterotopia. To build such a study discourse, this study examined the Dongdaemun site’s memories from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relevant remains and exhibits, based on which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esthetic methodology of place exploration using three frameworks. The results acquired from th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Dongdaemun Design Plaza site was the heterotopia of opening and closing where functions were changed as a military strategic point in order to physically overcome topographic weakness. Second the water gate named “Igan” and rampart remains can be interpreted as the places where our ancestors continuously desired to cherish and protect the past Dongdaemun site. Lastly, the appearance of Gyeongseong Stadium in the past that was built as a sports complex by the Japanese Imperialism can be inferred as temporarily building utopia coordinat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While this study examined the aesthetics of form from previous studies reporting that the Dongdaemun Design Plaza building designed by Zaha Hadid has today’s de-constructivist’s nomadism characteristics,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proof on how it co-exists with contemporary landscape from the Baroque point of view in terms of art history. In conclusion, the Dongdaemun Design Plaza taking on such aesthetics of form can be regarded as a case of a utopian place built due to the politics of place nowadays. 본 연구는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의 공간이론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통해 이라크 건축가 자하 하디드가 설립한 ‘동대문디자인플라자’를 중심으로, 과거의 동대문 터가 함축하고 있었던 역사에 대한 변화상과 장소의 미학을 탐구한다. 이와 같은 담론을 구축하기 위해 과거 조선 시대부터 형성된 동대문 장소의 기억들을 관련 유적과전시물을 통해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한 장소탐구의 미학적 방법론을 3가지의 틀을 통해 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얻은 결과로 첫째, 동대문디자인플라자 터는 지형적 단점을 물리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군사적 요충지로 기능이 탈바꿈된 열림과 닫힘의 헤테로토피아였으며, 둘째, 이간수문과 성벽 유적은 과거의 터를 아끼고 지키려했던 선조들의 긍정적 욕망이 중첩된 장소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제에 의해 종합운동장으로 건립되었던 과거 경성운동장의 출현은 식민지 시대의 일제에 의해 조정된 한시적 유토피아의 건설이었다는 점을 유추할수 있다. 덧붙여 자하 하디드의 동대문디자인플라자 건축물이 오늘날 해체주의적 노마디즘의 특성을 띠고 있다는 선행연구에서 그 형식미학에 대해 살펴보며, 이것이 오늘날 동시대의 풍경과 어떻게 공존하고 있는지에 대한증거를 미술사에서 바로크적인 시선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형식미가 깃든 동대문디자인플라자는 특정 장소를 정치화하여 이용하려는 현상으로 인해 구축된 유토피아적 장소의 사례로 간주할 수 있음을확인하였다.

      • KCI등재

        헤테로토피아의 장소성 개념으로 바라본 을지로지역 보존의 의의

        공현진,김영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Since the age of Enlightenment, mankind has achieved modern society with the product of rationalistic knowledge and political power. The “mainstream spaces” that appear in the process are rather awakened to the important values of today’s places by “different spaces from them”. The French philosopher Michel Foucault defined these other spaces as “Heterotopia”. Located in Jung-gu, Seoul, Eulji-ro is the center of the urban manufacturing industry and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the nation’s secondary indust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nique place of Eulji-ro, which has been gradually disappearing due to Eulji-ro redevelopment since 2018, through the concept of “Heterotopia” by Foucault. Based on the experience of researchers who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Poster Rising” movement hosted by the “Cheonggye Stream-Eulji-ro Conservation Solidarity” a civic group formed to Eulji-ro redevelopment from 2019, the research focused on the ways artists today practice to preserve the value of Eulji-ro area. The research method was to refer to Eulji-ro place-related books and various academic materials. In particular, poster-related materials against Eulji-ro redevelopment, which are focused on this study, utilized information on the official website of “Poster Rising”. In addition, data related to various cultural complex spaces in Eulji-ro were based on SNS and field trips in each place. As a result, among the six characteristics of heterotopia science presented by Foucault, Eulji-ro can be seen as the concept of “overlapping heterotopia” the third characteristic. This means that it is a place where various kinds of incompatible characteristics overlap and a site of memory containing various people’s history. In addition, this study will give another meaning to the phenomenon in which experimental places that absorb the original memories of today’s Eulji-ro place are created. 인류는 계몽주의 이후 합리주의적 지식과 정치권력의 산물로 지금의 현대 사회를 이룩하였다.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류 공간들’은 오히려 그것과는 ‘다른 공간’들에 의해서 오늘날 장소가 가진 중요한가치들을 일깨운다. 프랑스 철학자 미셸푸코(Michel Foucault)는 이러한 다른 공간들을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라 정의하였다. 서울시 중구에 위치한 을지로라는 지역은 도심제조업의 중심지로, 우리나라의 2차 산업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해온 역사적 장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8년도부터 진행된 을지로 재개발로 인해 점차 사라지고 있는 을지로라는 장소가 가진 고유의 장소성을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통해 살펴보기 위함이다. 연구내용은 2019년도부터 을지로 재개발을 막기 위해 결성된 시민단체인 ‘청계천-을지로 보존연대’에서 주최한 ‘포스터궐기’라는 움직임에 직접 참여했던 연구자의 경험을 토대로 오늘날 예술인들이 을지로 지역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실천하고 있는 방법들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연구방법은 을지로 장소관련 저서와 각종 학술자료를 참고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지는 을지로 재개발 반대 포스터 관련 자료는 ‘포스터궐기’ 공식 홈페이지 정보를 활용하였다. 또한 을지로 곳곳에 생겨나고 있는 다양한 복합문화공간과 관련된 자료는 각 공간의SNS 계정과 현장답사를 기반으로 하였다. 결과적으로 푸코가 제시한 헤테로토피아 과학의 6가지 특징 중에서 을지로라는 장소는 3번째 특징인 ‘중첩된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으로 바라볼 수 있다. 이는‘서로 양립할 수 없는 여러 가지 부류의 특징이 중첩되는 장소이자, 다양한 사람들의 역사가 깃들어있는 기억의 터’ 라는 의미로 그 장소적 의의를 갖는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서 오늘날 을지로라는장소가 가진 본래의 기억을 흡수한 실험적 장소들이 생성되는 현상들에 대해서 또 다른 의미를 부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