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3차원 뇌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강박증의 뇌형태학적 연구
공석원,송인창,한문희,장기현,류인균,권준수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6
연구 목적 : 강박증의 생물학적 원인으로 전두엽-선조체 회로의 이상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형태학적 뇌영상을 이용한 기존의 연구는 전두엽과 미상핵의 용적 변화에 대한 일관된 결과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형변환을 통한 반자동화된 방법을 이용하여 뇌의 각부위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를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 : DSM-IV의 기준에 의해 진단한 13명의 강박증 환자와 9명의 정상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3차원 뇌자기공명영상을 Spoiled gradient-recalled(SPGR)법으로 얻었다. 3차원으로 재구성된 뇌자기공명영상을 Talairach와 Tournoux의 표준화 좌표에 공간적 정위시킨 후 회질과 백직을 반자동화된 방법으로 분리하였다. 죄표에 의거한 뇌엽의 각 부위에 대한 용적 측정을 하고, 미상핵은 수기로 구획한 후 용적측정을 하였다. 전두엽은 Brodman 의 영역에 의거하여 좌표계에 따른 분할을 하여 배외측전두엽, 안와전두엽, 내측전두엽으로 분할 구획하여 용적을 측정하였다. 결 과 : 강박증군에서 전두엽 회질의 용적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른 부위의 회질과 백질 그리고 미상핵의 용적은 차이가 없었다. 편측성에 의한 차이도 없었으며, 임상적 심각도와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강박증군에서 전두엽의 용적 증가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기존 연구 중 일부에서 전두엽과 미상핵의 용적 감소를 보고했던 것과 차이가 있다. 강박증이 만성화되고 일정기간 이상이지나 구조적 변화가 오기 전까지 오히려 대사와 혈류 증가에 따른 회질 용적 증가가 관찰되는 것이라 생각된다. Objectives: Neurobiological models fo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have consistently Implicated prefrontal-striatal circuits in the pathophysiology of this disorder. But, prior studies have inconsistently found alteration in caudate and frontal lobe volumes in patients with OCD.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the hope that semi-automated linear transformation methods would elucidate the morphometric differences of various parts of brain between OCD and normal control group. Methods : Thirteen parients meeting the DSM-IV criteria fro OCD, and 9 psychiatrically normal comparison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3-D brain MRIs using Spoiled gradient-recalled(SPGR) sequence were acquired for each subjects. After spatially normalized according to Talairach and Tournoux's coordinates, the gray and white matters were segmented by semi-automated methods using fuzzy algorithm. Each lobal volumes was measured according to Talairach and Tournoux's coordinates, and the region of interests of caudate nuclei was manually traced. The frontal lobe was divided into 3 subregions ;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orbital frontal cortex, mesial frontal cortex accoring to the coordinates and Broadman's cytoarchitectonics. Results : Only the volume of left and right frontal gray matter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CD and normal subjects. In OCD, the frontal gray matter volume was increased in tendency. There's no difference in laterality and no coorelation with clinical severities. Conclusion : Findings of increased frontal gray matter volumes in patients implicate a structural abnormality of these brain regions in the pathophysiology of OCD. The increased frontl gray matter volumes reflect a epiphenomena due to increased cerebral blood flows and metabolic rates before the structural changes may occur.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에서 전두엽과 미상핵의 뇌자기공명영상상 연구
공석원,이정섭,류인균,홍강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7 신경정신의학 Vol.36 No.6
목 적 : 미상핵은 전두엽의 각 부분으로부터 입력신호를 받고 있어서 주의력겹핍/과잉운동장애의 원인을 연구하는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에서 전두엽과 미상핵의 정상적 비대칭성이 어떻게 관찰되는지를 뇌자기공명영상을 통하여 알아보려고 하였다. 방법 : DSM-III-R의 진단 기준에 맞는 14명의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남아(평균11.1, 표준편차 3.0)와 16명의 두통 대조군(평균연령 10.6, 표준편차 2.5)에서 뇌자기공명영상상을 후향적으로 모집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미상핵이 가장 잘보이는 축영상중 한 단면을 선택하였다. 뇌자기공명영상은 평판형 스캐너로 읽어들여서 Brainimage Pascal 2.3.3.1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분석하였다. 화소수 및 면적을 측정하였으며, 검사자간 신뢰도는 0.89 이상이었다. 결과 :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에게 우측 전두엽과 우측 미상핵의 면적이 컸다. 그리고, 이 차이는 대조군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전두엽과 미상핵이 정상적인 비대칭성이 주의력결핍/과잉운동장애 환아군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우측전두엽발달과정의 문제가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의 원인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Because the caudate nucleus receives inputs from the dorsolateral prefrontal and orbitofrontal cortices, it is the area of the interest with ADHD patients in many researches. To identify the lack of normal asymmetry in the frontal lobe and caudate nucleus of the subjects with ADHD, one slice of brain MR images for each subjects were selected, and planimetric method was applied and analyzed. Methods : The brain MR images of 14 ADHD boys who met the DSM-111-R diagnostic criteria and 16 headache control group were collected. Single best view for the head of the caudate nucleus, one axial slice was selected for analysis. MR images were redigitized with flatbed scanner and data were analyzed with Brainimage Pascal 2.3.3.1 software. Pixel counting and area measurements were done. Interrater reliabilities were 0.89 or greater. Results : In both ADHD and control groups, right caudate area was slightly greater than left side, and this difference were more significant in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rmal asymmetry of frontal lobe and the caudate nucleus was not observed far the ADHD group. Conclusion : The normal asymmetry of the frontal lobe and the caudate nucleus was not seen in boys with ADHD.
한국 성인 인지기능 평가를 위한 전산화 검사도구의 개발과 표준화 과정 및 요인분석
하규섭,권준수,류인균,공석원,이동우,윤탁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3
연구목적: 인지기능의 정확한 평가가 정신과 임상에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아직 한국에는 한글로 제작되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인지기능 평가 검사집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검사자극을 일정하게 유지 하고, 검사자에 의한 변인을 통제할 수 있으며, 전문가의 시간과 비용을 절감해 줄 수 있는 전산화 인 지기능평가 도구집을 개발하고, 개발된 인지기능평가 도구집이 인지영역의 어느 부분을 평가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수차례의 예비연구와 신뢰도, 타당도 검증의 과정을 거쳐 전산화 인지기능평가 도구집을 개발하였 다. 각 인지영역별 소검사들과 전체 검사집이 평가하는 인지 영역을 확인하기 위하여 20세부터 50세 까지 고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한국 남녀 성인 150명을 대상으로 수행한 표준화 자료에 대한 요인분 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요인분석결과, 주의력 검사들은 주의력 유지, 주의력 통제, 정보처리속도 등으로 명명할 수 있는 기 능을 평가하며, 기억력검사는 단기기억능력, 작업기억력, 언어학습능력, 시각학습능력을 평가하는 것 으로 해석하였다. 고위인지기능검사는 검사별로 각기 다른 영역을 평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 검사집은 크게 주의력 유지, 정보처리속도, 작업기억력, 학습능력, 추론능력, 사고의 유연성의 요인으 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결 론: 20세부터 50세까지 고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한국 성인 남녀에서 신뢰성 있고 타당성 있게 사용할수 있는 전산화 고위인지기능 평가도구의 개발 과정을 보고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평가에 포함된 인지영역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검사집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인지영역을 평가할 수 있는 검사들의 추가 개발이 요청된다. Objectives:The authors developed computerized cognitive function test system for Korean adults for the reliable and valid assessment of the cognitive fun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areas of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newly developed system and to provide clinical guidelines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results by the test system. Methods:The computerized cognitive function test system was developed through several steps of preliminary application and corrections.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were also tested.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explore the areas of the cognitive functions from the data of 150 Korean adults, age 20 to 50, whose educational levels were higher than high school graduate. Results:The attention tests evaluated auditory and visual sustained attention, attentional control, and information processing speed. The memory tests consisted of immediate memory, working memory, and auditory and visual learning abilities. Higher cortical function tests evaluated different areas by each test. The total system mainly evaluated attention maintenance, information processing speed, working memory, learning abilities, abstract thinking abilities, and mental flexibilities. Conclusions:Clinically applicable computerized cognitive function test battery with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developed. Th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it assessed most of the major cognitive areas, except language and sensorimotor coordination. Future effort is requested to develop tests which can evaluate the cognitive areas omitted in the curres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