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습 및 진로 경험 분석을 통한 고교학점제의 과제와 전망

        고홍월,김현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4 청소년시설환경 Vol.22 No.2

        This study analyzed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s with academics and careers in order to explore the main directions of career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is scheduled to be fully implemented in 2025. To this end, 5,393 high school seniors from 1,595 schools in the first year (2016)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 (KEEP II)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their perceptions were analyzed in four are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career field was ranked first and the academic field was ranked second among high school students' overall concerns. In the career area, it can be seen that students are considering college and career when choosing a high school program. In the academic area,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intrinsic motivation, which is having interest and enjoyment in the behavior itself, and identified controls that give it personal mea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author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career education and career counseling personnel in order to efficiently operate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inding ways to select subjects that match students' aptitudes and interests, and activating differentiate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that can improve academic motivation.

      • KCI등재

        집단 수퍼비전의 연구 동향 분석

        고홍월,홍지선,전호정,조수연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es on group supervision. Twenty seven articles published during two decades have been categorized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s, participant, methods, level of specification, components and features of group supervi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8 studies among all were placed into research on group counseling process, and researches on the group supervision outcome were 6 studies. Seco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the most widely used in that 13 qualitative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Third, supervisee appeared most frequently in researches as a participants. Fourth, three level researches are the most(63.0%) in the aspect of specification level. Fifth, study on character and capacity of supervisee i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24.3%).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Firstly, researches on group supervision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importance and the application level. Therefore, the number of research must be increased, and research subjects, research objects, participants, methods, and specification level of research must become more varied. Secondly, test for measuring outcome of group supervision must be developed. Thirdly, research on developing program for training counselor based on the appropriate measurement was requir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the role and relative importance of outcome and process factor were not examined concretely. Therefore, in the future study, outcome and process factor of group supervision must be revealed based on more empirical research. 본 연구는 최근 20년간 국문과 영문으로 발표된 집단 수퍼비전 관련 논문들을 중심으로 집단 수퍼비전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총 27편의 학술지 및 학위논문에 대해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 방법, 연구의 구체화 수준, 집단 수퍼비전의 구성요소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집단 수퍼비전 과정연구가 8편으로 가장 많았고, 수퍼비전 성과 연구가 6편으로 그 다음으로 높았다. 연구대상에 따른 집단 수퍼비전 연구의 대부분은 수퍼바이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장 많이 활용한 연구방법은 총 13편으로 질적연구인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화 수준에 따른 연구주제를 분석한 결과, 3수준의 연구가 전체 63%로 가장 높았으며, 집단 수퍼비전 구성 요소 중 수퍼바이지의 특성과 역량에 대한 내용이 24.3%로 가장 많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 수퍼비전 연구가 현장에서의 중요도와 활용도에 비해 매우 미흡하고, 다양한 수준의 구체화 연구가 요구되며, 집단 수퍼비전의 성과를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개발과 이를 바탕으로 한 상담자 교육 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집단 수퍼비전 성과요인의 상대적 역할 및 중요도를 분명하게 제시하지 못한 점이며, 향후 보다 실증적인 연구를 통해 집단 수퍼비전의 과정변인 및 성과변인 등을 구체적으로 밝혀내기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공황장애 인지행동치료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고홍월,손은령,김현주 한국재활심리학회 2017 재활심리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황장애에 관한 국내의 인지행동치료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향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92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에 발표된 총 33편의 인지행동치료 관련 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및 실험설계, 치료적 개입 및 사용한 검사도구를 중심으로 분석이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흐름을 살펴본 결과, 최근 몇 년간 공황장애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치료적 개입을 살펴볼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않고 있었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분석에서는 공황장애의 발병시기가 9세부터 52세까지이며, 평균연령의 범위가 18세부터 72세까지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요한 것은 아동, 청소년에게도 공황장애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주제 분석에서는 공황장애 인지행동치료의 치료성과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환자의 특성에 관한 연구가 그 다음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치료자의 특성이나 훈련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많았으며 치료전후의 변화 양상을 측정하는 전후실험설계방법으로 진행된 논문이 주를 이루었다. 다섯째, 치료적 방법에서는 PCT(Panic Control Treatment)를 활용한 전통적인 인지행동치료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사용된 검사도구를 분석한 결과,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정서적인 측면을 측정하는 검사도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여러 증상을 중복으로 측정하는 척도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조기 진로 목표 결정 대학생의 진로 재탐색-재결정 과정 분석

        고홍월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career re-exploring and re-decision making process of Korean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the career re-exploring and re-decision making process was analyzed with ten college students who decided on their career goal before they became college students.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result of open coding shows 25 categories and following 73 subordinate concepts. A paradigm model consists of the causal conditions, phenomena, context conditions, intervening conditions, action/interaction and consequences;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categories were found through axial coding. Also, the central phenomenon drew a disorientation on career path in the paradigm. As the results, career re-exploring and re-decision making process was the process of the self-determination change. Given the paradigm model, the participants were assumed to experience the five stages in a career determination process: confusion, maintenance or renunciation, re-exploring, re-decision, internalization of the re-decision making. Based on the result, the participants were grouped by three types: the first is career goal maintenance type, the second is career goal modifying type and the last is new career goal setting type. Lastly, through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of CDDQ, this study explores the change in participants’ career decision-making difficulties.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진로 목표를 결정하고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의 진로 재탐색-재결정 과정을 분석하였다.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근거이론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개방코딩 결과 총 25개 상위범주와 73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인과적 조건, 중심 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과 결과의 범주 구조로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였다. 범주 간의 연결을 통해 패러다임 모형과 진로 재탐색-재결정 과정을 도출하고 진로 경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의 혼란과 의심이라는 중심현상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진로 재탐색-재결성 과정은 진로 목표에 대한 자기결정성 정도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의 진로 재탐색-재결정 과정은 혼란-유지 또는 포기-재탐색-재결정-결정 내면화의 과정을 거친 것을 알 수 있다. 개인 간의 변화 흐름은 초기 진로 목표 유지, 초기 진로 목표 범위 내에서의 세부적 수정, 새로운 진로 목표 설정 세 가지 형태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의 사전-사후 CDDQ 검사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심리적 외상 경험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이 인식하는 대인관계 특성 비교

        고홍월,황매향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2 초등상담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심리적 외상(PTSD) 경험을 가진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이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를 어떻게 다르게 인식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97명의 다문화가정 아동과 110명의 일반가정 아동에게 PTSD 검사와 SCT검사를 실시하여, 심리적 외상 경험이 있는 다문화가정 아동 20명과 일반가정 아동 2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PTSD 점수와 SCT 반응에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는 총 42명 아동의 문장완성검사의 반응 내용을 분석하였다. 아동기의 중요한 타인인 아버지, 어머니, 형제자매, 친구, 교사 각각에 대한 아동의 응답내용을 분석하고, 마지막으로 대인관계 속에서의 자아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요한 타인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비율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들이 더 높았고, 중요한 타인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는 비율에서는 일반가정 아동들이 더 높았다. 그리고 자아상에서는 90.9%의 일반가정 아동이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반면 다문화가정 아동은 55%만이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대인관계에 대한 부정적 및 중립적 경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일반가정 아동은 부모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비교적 많이 나타내는 반면 다문화가정 아동은 친구관계에 대한 부정적 정서를 많이 표출하고 있었다. 그 외에도 다문화가정 아동은 부모를 국적으로 표현하는 것과 같이 부모에 대해 정서적 기술보다는 사실적 기술에 치우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