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별 응급의료접근성이 노인의 허혈성 심장질환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고은정,조근자,Ko, Eunjung,Cho, Keun-Ja 한국응급구조학회 2021 한국응급구조학회지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ergency medical service accessibility in different regions and the sudden death rate in elderly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using data analysis techniques and suggest improvements in regional emergency medical services. Methods: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the NEDIS database and Statistics Korea. Data on a total of 75,867 patients aged ≥65 years were reviewed among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who visited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s in 2018.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PC Window 25.0. Results: With an emergency medical resource per 100km<sup>2</sup>, there was a concomitant reduction in the risk of death. There was a decrease in the death rate by 0.967, 0.970, 0.997, and 0.391 times with the increase in the presence of a fire department, an ambulance, a paramedic, and a regional medical center, respectively. Furthermore, a decrement in the death rate was witnessed 0.844, 0.825, and 0.975 times with the initiation of a local emergency medical center, a local emergency medical institution, and an angiography device, respectively(p <.001). Conclusion: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the population and geometric area of the region should be considered essential factors when deploying emergency medical resources.

      • KCI등재

        재가방문 요양보호사의 건강정보 이해력, 자기효능감이 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은정,김현경,Ko, Eunjung,Kim, Hyun Kyoung 한국가정간호학회 2021 가정간호학회지 Vol.28 No.3

        Purpose: This descriptive research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health literacy and self-efficacy on the quality of care service of home visitor care work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4 home visitor care worker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six months at one of the five home-based welfare centers located in D metropolitan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quality of care service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 (F=-1.03, p<.001), career (F=5.09, p=.002), and education status (F=9.57, p<.001).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the quality of care service and self-efficacy (r=.63, p<.001). A total of 55.3% of the variance of quality of care service was explained by age and self-efficac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epare programs that can increase the self-efficacy of home visitor care workers through a nursing approach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 KCI등재

        완전성과 간결성을 고려한 텍스트 요약 품질의 자동 평가 기법

        고은정(Eunjung Ko),김남규(Namgyu Kim)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18 지능정보연구 Vol.24 No.2

        Recently, as the demand for big data analysis increases, cases of analyzing unstructured data and using the results are also increasing. Among the various types of unstructured data, text is used as a means of communicating information in almost all fields. In addition, many analysts are interested in the amount of data is very large and relatively easy to collect compared to other unstructured and structured data. Among the various text analysis applications, document classification which classifies documents into predetermined categories, topic modeling which extracts major topics from a large number of documents, sentimental analysis or opinion mining that identifies emotions or opinions contained in texts, and Text Summarization which summarize the main contents from one document or several documents have been actively studied. Especially, the text summarization technique is actively applied in the business through the news summary service, the privacy policy summary service, ect. In addition, much research has been done in academia in accordance with the extraction approach which provides the main elements of the document selectively and the abstraction approach which extracts the elements of the document and composes new sentences by combining them. However, the technique of evaluating the quality of automatically summarized documents has not made much progress compared to the technique of automatic text summarization. Most of existing studies dealing with the quality evaluation of summarization were carried out manual summarization of document, using them as reference documents, and measur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automatic summary and reference document. Specifically, automatic summarization is performed through various techniques from full text, and comparison with reference document, which is an ideal summary document, is performed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automatic summarization. Reference documents are provided in two major ways, the most common way is manual summarization, in which a person creates an ideal summary by hand. Since this method requires human intervention in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summary,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write the summary,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evaluation resul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he summarizer.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ttempts have been made to measure the quality of summary documents without human intervention. On the other hand, as a representative attempt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 method has been recently devised to reduce the size of the full text and to measure the similarity of the reduced full text and the automatic summary. In this method, the more frequent term in the full text appears in the summary, the better the quality of the summary. However, since summarization essentially means minimizing a lot of content while minimizing content omissions, it is unreasonable to say that a good summary based on only frequency always means a good summary in its essential meaning.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previous study of summarization evaluation, this study proposes an automatic quality evaluation for text summarization method based on the essential meaning of summarization. Specifically, the concept of succinctness is defined as an element indicating how few duplicated contents among the sentences of the summary, and completeness is defined as an element that indicating how few of the contents are not included in the summary.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automatic quality evaluation of text summarization based on the concepts of succinctness and completeness. In order to evaluat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ology, 29,671 sentences were extracted from TripAdvisor s hotel reviews, summarized the reviews by each hotel and presente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conducted o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summaries in accorda

      • 대학생의 온라인 협업 경험 향상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고은정(Eunjung Ko),김유래(Yurae Kim),이재용(Chaeyoung Yi),전수진(Soojin Jun)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업무 환경 및 형태의 변화로 온라인 협업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대학생들은 온라인 협업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경험 조사를 통해 대학생들의 협업 특징 및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안하여 온라인 협업 경험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방식을 선호하는 사용자보다 오프라인 방식을 선호하는 사용자들이 온라인 협업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이들은 협업에 있어서 참여, 몰입, 팀스피릿을 중요한 가치로 생각하고 있으나 기존의 온라인 협업에서는 이를 경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라인 협업에서도 오프라인 협업에서와 같은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참여와 몰입 상태 확인, 피드백 요청 및 응답, 감성 인터랙션 등의 기능을 구체화 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User Interface Design)을 제안하였다.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 결과 사용자들은 사용 감정 및 기능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이를 통해 온라인 협업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여성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완화하는 어플리케이션 연구

        고은정(EunJung Ko),강연아(Younah Kang),전수진(Soojin Jun)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본 연구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완화하는 디자인 연구의 선행 단계로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사용자경험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기반하여 기존의 범죄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하였다. 여성에게 있어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성폭력에 대한 두려움이며, 이는 일상적으로 겪는 ‘길거리 괴롭힘(성적 괴롭힘)’에 근거한다. 조사 결과 여성들은 길거리 괴롭힘에 있어 주로 회피행동을 취하고 있었으며, 소극적으로 대응했다는 후회나 자책과 같은 부정적 감정 및 적극적 대응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기존의 범죄 관련 어플리케이션은 이러한 여성들이 처한 상황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예방", "조치"라는 적극적인 행동에만 집중하고 있었다. 따라서 두려움 및 부정적 감정의 완화라는 측면에서 여성들이 자신의 경험과 대응방식을 공유함으로써 주체성을 향상시켜 ‘범죄에 대한 두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노년기 장소안도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은정(EunJung Ko),신수경(SooKyung Shin),김병년(ByoungNyun Kim),김현민(HyunMin Kim),서종건(JongGun Seo),이뿐새(BbeunSae Lee) 한국노년교육학회 2022 노년교육연구 Vol.8 No.2

        집을 포함한 삶을 영위하는 ‘장소’가 노년기의 삶 전반에서 중요하다는 관점은빠르게 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 사회에서 고령친화도시, 지역사회 통합돌봄 등 정책추진의 바탕이 되어왔다. 그러나 노년기의 장소 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실증적 논의는 다소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노인이 일상을 보내는 ‘집’과 ‘제3의장소’를 물리적, 개인적, 사회적으로 안심하고자신의 존재를 긍정하는 장소로 경험하는지 보여주는 ‘장소안도감’을 측정하고, 각각의 장소에서 획득한 장소안도감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을 통해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 장소안도감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치는 주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먼저, 집에서 경험하는 물리적․사회적 장소안도감은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예측되었으며, 특히 부정정서를 낮추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제3의장소에서 획득한 물리적 장소안도감이 높을수록 전반적인 생활만족도와 긍정정서가 높아지며, 개인적 장소안도감을 획득할수록 부정정서는낮아지고, 자기가치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집과 제3의장소의 물리적인 환경 개선만이아니라, 그들이 머무는 장소에서 안심하고 자신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장소안도감을 획득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방안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s the effect of the elderly's place experience on the satisfaction of life in old age. We measured the ‘Sense of IBASHO’ by the elderly at home and in the ‘third place’ with a Korean version of the sense of IBASHO scale(K-SIS). Sense of IBASHO includes complex elements and it means ‘a place where you can feel like yourself'. The subjects were elderly people over the age of 65 yea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Results Showed that the Sense of IBASH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ife-satisfaction of the elderly. First, physical and social factors in the Sense of IBASHO experienced at home are factors that increase life-satisfaction and lower negative emotions. Second, the higher the physical aspect of Sense of IBASHO in the third place, the higher the life-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 In addition, the higher the personal aspect of Sense of IBASHO, the lower the negative emotion and the higher the self-worth perception.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life-satisfaction of the elderly,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difference between home and the third place to obtain the Sense of IBASHO.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policies and practical approaches of social welfare.

      • KCI등재

        급여아웃소싱의 결정요인과 효과성

        양동훈(Yang, Donghoon),고은정(Ko, Eunjung) 한국노동연구원 2021 노동정책연구 Vol.21 No.2

        인사아웃소싱의 한 분야인 급여아웃소싱은 최근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발전해 온 급여아웃소싱은 중국을 포함하여 글로벌 지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급여아웃소싱의 중요성만큼 이에 관한 학문적 연구도 서구 국가를 중심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었으나, 국내 연구는 매우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특히나 실증연구는 거의 부재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급여아웃소싱의 결정요인과 급여 아웃소싱의 도입 후 효과성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국내 인사아웃소싱 전문업체에 급여아웃소싱을 위탁하고 있는 62개 기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 내 인사부서의 역량과 급여아웃소싱의 정도가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급여 외 인사아웃소싱의 정도와 급여아웃소싱의 정도가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급여아웃소싱의 정도와 인지된 급여아웃소싱의 효과성 간에는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결과는 인사부서의 전문적 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조직에서 급여아웃소싱을 더 많이 도입하는 경향이 있으며, 급여아웃소싱이 급여관리 전반으로 확대될 경우 효과성이 더 높아지는 현상을 시사하고 있다. Payroll outsourcing, a field of human resource outsourcing, has shown high growth recently. Payroll outsourcing, which has developed around the U.S. and Europe, is spreading to global regions including China. As important as the importance of payroll outsourcing, academic research on it began in the late 1990s, mainly in western countries, but domestic research remains very early stage. In particular, empirical research is almost abs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payroll outsourcing and the effectiveness of payroll outsourcing. In this study, we collected and analyzed 62 data that were entrusted with payroll outsourcing servi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ence of HR department and the degree of payroll outsourc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human resource outsourcing excluding payroll and the degree of payroll outsourcing.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ayroll outsourcing and the effectiveness of payroll outsourcing.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organizations with relatively low HR expertise tend to introduce more payroll outsourcing, and if payroll outsourcing is expanded to the overall payroll management, the effect of payroll outsourcing becomes higher.

      • KCI등재

        사회복지 가치 척도의 개발

        김용석(Kim, Yong-Seok),고은정(Ko, Eunj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 가치에 관한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한국적 사회복지 실천 상황을 고려한 사회복지 가치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외 관련 문헌 및 기존 척도를 검토하여 핵심가치를 도출하고, 현장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62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문항은 다양한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521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33개 문항으로 구성한 사회복지 가치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이들 문항은 ‘자율성’, ‘평등’, ‘온정적 개입’ 등 세 가지 사회복지 핵심가치를 측정한다. 척도의 신뢰도는 양호하였고, 한국어판 Professional Opinion Scale(POS)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수렴타당도가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first social work values scale in Korea. Its development would be expected to increase empirical studies on social work values. Based upon the literature review of social work values, the examination of codes of ethics as well as existing scales, and the comments from professionals in this field, 62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Preliminary items were evaluated with a total of 521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in various fields of social work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s. A serie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al structure of the scale. After deleting 29 items with low factor loadings or being cross-loaded, the scale is composed of three factors with each factor having 11 ite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obtain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first factor was named autonomy, the second factor was named equality, and third factor was named paternalistic intervention. Each component of the social work values scale is found to be reliable and valid.

      • KCI등재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병년(Kim, Byoungnyun),고은정(Ko, Eunjung),최홍일(Choi, Hongil)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요인을 주로 개인적 관점에서만 다룬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자기통제 및 우울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더불어 부모양육태도, 대인관계지지와 같은 환경적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특히 이러한 개인적, 환경적 예측요인들의 영향력이 스마트폰의 중독 분류군(고위험군 및 잠재적 위험군, 일반사용자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함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4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통제력 및 우울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인적, 환경적 요인의 유의미한 효과는 스마트폰 중독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위험사용자군(고위험군 및 잠재적 위험군)의 경우에는 환경적 요인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사용자군은 개인적 요인이 스마트폰의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개입에 있어서 그 실천적 방안이 모든 대상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되기 보다는 그들이 가진 중독 수준에 따라 차별화되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differences by type of risk groups.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a survey that was conducted by the authors targeting 477 university studen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wer levels of self control and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mong studen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has effect on Ssmartphone addiction. Second, the association differed by type of risk group. Students in the high risk group were associated with environment factors, whereas students in the normal risk group were associated with individual 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Smartphone addiction may be needed and that intervention needs to be tailored to students according to their particular degree of ad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