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플랜지가 있는 제품에서 부분패드의 영향에 관한 연구

        고관영,허주환,문정효,장재석,김동윤,정민섭,김주찬,박기용,이강연,조명우,이권진,조영호,이효걸,김주호,이경희 울산과학대학 2000 연구논문집 Vol.27 No.1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Motion-JPEG 기반 감시시스템에서 낮은 동영상 압축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동영상 압축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현재 프레임의 JPEG 데이터 중 변화된 압축 데이터만이 실시간으로 추출하고 저장된다. 제안된 방법에 의해 저장된 데이터는 기존의 JPEG과는 다른 고유의 포맷을 가지기 때문에, 동영상 데이터는 더욱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동영상 압축기법의 압축률이 기존의 Motion-JPEG 기반 감시시스템에 비해 3배정도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드로잉 금형에 있어서 비드의 영향

        고관영,최원정,조재희,명노훈,이창수,최병용,허주환,최창권,장종훈,장윤철,박기용 울산과학대학 2001 연구논문집 Vol.28 No.1

        본 연구는 자체 제작한 다이 측 비드가 설치 된 드로잉 금형을 이용하여 SUS 304, 6:4 황동 판재를 드로잉 가공하여 생산된 제품의 치수변형 특성을, 비드를 설치하지 않은 자유 드로잉 하여 얻은 제품과 비교하였다. SUS 304 판재의 경우, 비드를 설치하여 드로잉 한 경우는 늘어난 길이의 변화가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비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는 마지막 부분에서 다시 회복상태를 보였다. 그 원인은 드로잉 비드로 인하여 적정량의 유입으로 일정 비율로 늘어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6:4 황동 판재의 경우는 비드를 설치한 경우의 치수 변형값이 비드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보다 안정함을 보여주었다. In this research, properties of SUS 304 and 6:4 brass products produced by die bead-drawing mol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products drawed without bead. In the case of bead-SUS-plate, variation of incremental length progressively increases, while, in the case of no bead-SUS-plate, recovery appeared at the final-part. The reason of this difference is considered as proper insert of metal-plate on the basis of bead. Bead-6:4 brass-plate showed more stable data than no-bead die case although it did not show recovery in final-part.

      • 자유드로잉 제품과 패드를 설치한 드로잉 제품의 특성

        고관영,명노훈,하종성,이창수,최창권,최병용,허기영,김광수,김동수,장종훈,장윤철,김세환,오정민,하민정,박향자 울산과학대학 2000 연구논문집 Vol.27 No.1

        본 연구는 자체 제작한 전체 패드가 부착된 드로잉 금형을 이용하여 SUS, 연강, AI, 6:4황동 판재를 드로잉 가공하여 생산된 제품의 특성을 자유드로잉 하여 얻은 제품의 특성과 비교 분석하였다. SUS 판재의 경우 제품에 발생하는 현상은 벽 주름, 구변주름, 수직 파단, 드로잉상처, 이어링이 발생하였으며 길이변화는 펀치어깨부분에서 가장 많이 늘어남을 볼 수 있었고 벽 주름 부분에 있어서 접혀진 부분은 상대적으로 적게 늘어남을 볼 수 있었다. 연강 판재는 SUS 판재에서 보여준 현상을 나타내었으나 SUS 판재에 비해 수직 파단은 적게 일어난 반면 이어링이 더 크게 일어났다. AI 판재의 경우 수직 파단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플랜지 주름과 밑면터짐이 발생하였다. 6:4황동의 경우는 전체패드의 AI 판재 드로잉에서와 같이 밑면터짐과 플랜지 주름의 발생이 일어났다.

      • 부분패드-밴딩금형에서 생산한 Al, Cu-Zn, 연강제품의 치수변화

        고관영,박한이,전부길,신승엽 울산과학대학 2000 연구논문집 Vol.26 No.2

        본 연구는 자체 제작한 부분 패드(pad)가 부착된 밴딩금형을 이용하여 연강, Al, Cu-Zn판재를 밴딩(bending)가공하여 생산된 제품의 특성을 자유밴딩 및 전체패드를 하여 얻은 제품의 특성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강의 경우 Blank(치수 : 217×60×1.60mm)를 밴딩가공 하였을 경우, 제품의 치수 변화는 스프링 백은 각도 0.1°, 두께는 밴딩이 가장 많이 일어난 부분이 1.52mm, 제품의 전체길이는 220.14mm등으로 변하였다. Al의 경우 Blank(치수 : 217×60×1.50mm)를 밴딩 하였을 경우, 제품의 치수 변화는 스프링 백은 각도 0.1°, 두께는 밴딩이 가장 많이 일어난 부분이 1.418mm, 제품의 전체길이는 219.58mm등으로 변하였다. Cu-Zn의 경우 Blank(치수 : 217×60×1.5mm)를 밴딩 하였을 경우, 제품의 치수 변화는 스프링 백이 각도 0.5°, 두께는 밴딩이 가장 많이 일어난 부분이 1.52mm, 제품의 전체길이는 219.22mm등으로 변하였다. 본 연구에서 부분패드를 설치한 금형을 이용하여 생산한 제품은 자유밴딩 및 전체패드를 이용한 제품과 비교하였을 경우 두께 및 길이변화가 많은 반면, 스프링 백 변화는 다소 적은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었다.

      • 연강, Al, Cu-Zn판재의 밴딩가공(close bending)에 있어서 패드(pad)의 영향

        고관영,박현기,김재훈,김혁주,김혜민 울산과학대학 2000 연구논문집 Vol.26 No.2

        본 연구는 자체 제작한 전체 패드(pad)가 부착된 밴딩금형을 이용하여 연강, Al, Cu-Zn 판재를 밴딩(bending)가공하여 생산된 제품의 특성을 자유밴딩(open bending)하여 얻은 제품의 특성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강의 경우 Blank(치수 : 217.2×60×1.60mm)를 밴딩가공 하였을 경우, 제품의 치수 변화는 스프링 백은 각도 24′, 두께는 밴딩이 가장 많이 일어난 부분이 1.50mm, 제품의 전체길이는 220.9mm등으로 변하였다. Al의 경우 Blank(치수 27.2×60×1.50mm)를 밴딩 하였을 경우, 제품의 치수 변화는 스프링 백은 각도 32′, 두께는 밴딩이 가장 많이 일어난 부분이 1.42mm, 제품의 전체길이는 219.2mm등으로 변하였다. Cu-Zn 의 경우 Blank(치수 : 216.9×60×1.5mm)를 밴딩 하였을 경우, 제품의 치수 변화는 스프링 백이 각도 83′, 두께는 밴딩이 가장 많이 일어난 부분이 1.43mm, 제품의 전체길이는 219.8mm등으로 변하였다. 본 연구는 패드를 설치한 금형을 이용하여 생산한 제품은 자유 밴딩을 이용한 제품과 비교하였을 경우 스프링 백, 두께 및 길이 변화가 매우 적고, 고 정밀도를 갖는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었다.

      • 자유밴딩(open bending) 금형을 이용한 연강, Al, Cu-Zn판재 제품(product)의 밴딩 특성

        고관영,박용진,이승훈,신정희,김은미 울산과학대학 2000 연구논문집 Vol.26 No.2

        본 연구는 연강, Al, Cu-Zn판대를 자체 제작한 밴딩금형을 이용하여 자유밴딩(open bending)을 하였을 경우 생산된 제품의 특성을 이론적 계산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강의 경우 Blank(치수 : 217.2×60×1.62mm)를 자유밴딩 하였을 경우 제품의 치수 변화는 스프링 백은 각도 4.4°, 두께는 밴딩이 가장 많이 일어난 부분이 1.53mm, 제품의 전체 길이는 220.1mm등으로 변하였다. Al의 경우 Blank(치수 : 217.2×60×1.46mm)를 자유밴딩 하였을 경우 제품의 치수 변화는 스프링 백은 각도 8.5°, 두께는 밴딩이 가장 많이 일어난 부분이 1.36mm, 제품의 전체 길이는 219.9mm등으로 변하였다. Cu-Zn의 경우 Blank(치수 : 216.9×60×1.5mm)를 자유밴딩 하였을 경우 제품의 치수 변화는 스프링 백이 각도 16°, 두께는 밴딩이 가장 많이 일어난 부분이 1.48mm, 제품의 전체길이는 219.8mm등으로 변하였다. 이와 같이 이론값과 생산된 제품의 특성값 차이는 소재의 가공 시 내부 전단응력인 인장·압축응력에 의한 입자(metallurgical grain)의 전단 방향으로 길이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 Nd-QR090 합금강의 상 분석과 자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윤석길,고관영 울산대학교 1998 공학연구논문집 Vol.29 No.2

        Nd-QRO 90 합금의 미세조직과 자기적 성질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노냉시편의 경우 0∼5wt% Nd 의 범위에서는 주상이 α-Fe상이고 미량의 Nd₂Fe17상이 입계 또는 석출상으로 나타났다. 급속응고 박대 시편의 경우에는 α-Fe상만의 단일상으로 이루어졌다. 노냉시편은 연자성을 띄는 반면, 급냉시편은 경자성의 특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상 분석 및 교환결합의 가능성의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Microstructures and magnetic properties of Nd-QRO90 alloys were investigated. The furnace cooled specimens with 0∼5 wt.% Nd were found to be mainly α-Fe phase with a very weak trace of Nd₂Fe17 phase as grain boundary phases and/or precipitation. Rapidly solidified (RS) ribbons of the alloys showed α-Fe phase only. As-cast specimens exhibited soft magnetism, while RS ribbons showed hard magnetic properties. These behaviors were explained in accord with the phase analyses and on the point of view of possible exchange coupling mechanism.

      • HOT-PRESSED AND DIE-UPSET (MM)12.5Fe77.9Til.0B8.6 PERMANENT MAGNET

        Ko,K.Y.,Cho,S.K.,Yoon,S. 울산대학교 1997 공학연구논문집 Vol.28 No.2

        Hot-press로 제조한 (MM)12.5Fe77.9Til.0B8.6 영구자석의 자기특성은 Hc=3.75kOe, Br=4.64kG, (BH)max=2.78MGOe 이었고 die-upset으로 제조한 경우의 자기특성은 Hc=3.29kOe, Br=5.01kG, (BH)max=3.54MGOe이었다. die-upset 자석에서 조직의 이방성은 (006) 회절선의 상대강도의 증가로 확인되었다. die-upset 자석이 더 나은 자기특성을 보이는 것은 압축방향오로 c-축이 배열하는 것과 유관함을 알 수 있었다. Hot-pressed (MM)12.5Fe77.9Til.0B8.6 permanent magnet showed Hc=3.75kOe, Br=4.64kG, (BH)max=2.78MGOe and die-upset magnet Hc=3.29kOe, Br=5.01kG, (BH)max=3.54MGOe. Structural anisotropy in die-upset magnet was envisaged by the increase of relative intensity of (006) peak. The higher magnetic properties of die-upset magnet is attributed to the c-axis alignment along the press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