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치원교사의 다문화경험과 인식 및 수용성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고경미 ( Koh Kyungmee ),최혜윤 ( Choi Hyeyo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4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awareness and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in putting into practice and mak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ake root in kindergarten. To this end, 212 teachers working for private kindergarten in G- Metropolitan City were surveyed. Independent sample t - test, F -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collected data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 having a lot of experience in multiculturalism-related training and having a multicultural friend perceived the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cceptance to be higher than early childhood teacher without those. Second, it was shown that multicultural awarenes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skill, knowledge and attitud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being followed by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Therefore, variou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making it possible to enhan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 KCI등재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부부간 의사소통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경미(Koh kyung mee),이선경(Lee seo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3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부부간 의사소통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 221쌍을 대상으로 아버지 양육참여도, 부부간 의사소통, 어머니 양육행동에 대한 평정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어머니 양육행동은 과보호/허용을 제외한 전체요인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간 의사소통과 어머니 양육행동은 한계설정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3개 요인과 유의미 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온정/격려에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중 자녀돌보기 및 지도가, 한계설정에는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중 자녀와 함께 하는 활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과보호/허용과 거부/방임은 부부간 의사소통 중 부정적 의사소통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 수준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아버지의 양육참여 증진과 부부간 긍정적 의사소통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father’s parenting engagement and marital communication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We assessed 221 couples with children atten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in J city, Jeollabukdo for their father’s parenting engagement, marital communications,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ther’s parenting engage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exhibited a meaningful correlation in all aspects except overprotection/permissiveness. Marital communications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were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in three factors other than boundary setting. Second, care/guidance among father’s parenting engagement factors most influenced mother’s generosity/encouragement while father’s activity with children most affected mother’s boundary setting. In the meanwhile, negative communication among married couples showed meaningful influence on mother’s overprotection/permissiveness and denial/overindulgence. These results which might serve as basic data to enhance 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put efforts on increasing father’s parenting engagement and marital communication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고경미 ( Kyung Mee Koh ),최은실 ( Eun Sil Choe ),이선경 ( Seon Kyung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이 어떤지 살펴보고, 그 관계는 어떠하며,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한 평정척도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은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 간에는 유의미하게 높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낙관적 태도, 자신감, 물질적 지지의 순서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보육환경 조성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neral tren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elucidate how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ffect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 rating scale was utilized to evaluate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210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nurseries located in Gwangju Cit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elf-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all above the normal level. Second, child care teachers’ self-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howed a meaningfully high positive correlation. Third, optimistic attitude, self-confidence, and material support contribute to enhanc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at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establishing child care environments which increase teachers’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가족-교사 간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고경미(Koh, Kyung Mee),이선경(Lee, Seo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For this purpose, we first conducted a pilot survey of 20 non-study subject childcare teachers from March 28 to April 1, 2016 and then conducted a survey of 237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the nurseries located in Gwangju City for 6 weeks from April 18 to May 28, 2016.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has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Second, the job itself,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colleague relation, relationship with the director, teachers’ compensation, and their promotion influenced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at order. The job itself has the strongest influence also on the family-teacher communication and the colleague relation also has meaningful influence. These results can serve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family-teacher communi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motion of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chil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가족-교사 간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3월 28일부터 4월 1일 까지 연구대상이 아닌 보육교사 20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2016년 4월 18일부터 5월 28일까지 6주간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 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과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직무만족도의 하위요 인인 직무자체가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미쳤고 동료관계, 원장과의 관계, 보수와 승진이 순서대로 영향을 미쳤다. 보육교사의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에 직무만족도의 하위 요인인 직무자체가 가장 강력한 영향을 미쳤고 동료관계도 의미있는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가족-교사 간 의사소통의 질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증진이 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보육교사의 직장 내, 직장 외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모형분석

        고경미(Koh, Kyung Mee),이선경(Lee, Seon Ky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직장 내, 직장 외의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5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20.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직장 내, 직장 외의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 의 직장 내, 직장 외의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을 경유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직장 내, 직장 외의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여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social support for child care teachers within and outside workplace, their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254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nurseries located in Gwangju city, were analyzed i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utilizing SPSS 18.0 and AMO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upport for child care teachers within and outside their workplace was found to directly affect teachers’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eachers’ ego-resilience has direct impact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the social support for child care teachers indirectly affects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ego-resilience. Based on these findings, we argued that enhancing child care teachers’ ego-resilience and strengthening the social support within and outside workplace promot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후보

        PSWS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과 어머니-유아 간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고경미 ( Kyung Mee Koh ),심성경 ( Seong Kyung Shim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5 열린부모교육연구 Vol.7 No.3

        본 연구는 PSWS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번안, 수정 및 보완해 실시하여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및 어머니-유아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S유치원 만 4, 5세 학급의 어머니 36명과 그 자녀 36명이다. PSWS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신청한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18명을 임의로 표집하여 PSWS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PSWS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을 전반적으로 증진시켰다. 즉, 부모로서의 효능감, 부모로서의 불안감과 좌절감, 부모 역할에 대한 관심과 흥미 등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PSWS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어머니-유아 간 의사소통을 전반적으로 증진시켰다. 즉, 어머니가 인식한 어머니-유아 간긍정적 의사소통을 증진시켰으며, 유아가 인식한 어머니-유아 간 긍정적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고 부정적 의사소통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SWS parent education program on mothers’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young child communi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mothers and their children who currently attend classes for 4 to 5-year-old in kindergartens in G city. The 36 mothers who applied for the PSWS program were grouped randomly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18 mother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WS parent education program promotes mothers’ parental efficacy as a whole. That is, it has a positive impact on all sub-factors such the efficacy as a parent, parent’s anxiety and frustration, and the parental roles. Second, PSWS parent education program promotes mother-young child inter-communication. Mothers perceive that PSWS parent education program promotes positive communication between mothers and young children, while young children recognize that PSWS parent education program impacts positively both positive and negative communication.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스마트폰 중독이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경미(Koh Kyung Mee),이선경(Lee seon 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스마트폰 중독이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17년 10월 4주 동안 G광역시 예비유아교사 399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스마트폰 중독,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대한 평정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스마트폰 중독 및 자기조절 학습수행력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자아 탄력성의 낙관적 태도와 자신감이 정적인 영향력을 미쳤으며, 스마트폰 중독의 강박 증상이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자원관리 수행력에 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조절 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자아탄력성 증진과 스마트폰 중독수준을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and smartphone addiction on their self regulated learning ability. For this purpose, a group of 399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G-city were surveyed in the form of rating scale on their ego-resilience, smartphone addiction, and self regulated learning ability during four weeks in October 2017. We carried ou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exists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go-resilience, smartphone addic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ptimistic attitude and self-confidence indicating high level of ego-resilience have positive influence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while the obsession resulted from smartphone addiction has negative influ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basic data for improv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uggest that efforts to improve ego-resilience and to reduce smartphone addiction are necessary.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고정관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고경미 ( Kyungmee Koh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고정관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G시와 J도의 예비유아교사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ANOVA, Scheffe 추후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성성 유형에서 자아존중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고정관념은 자아존중감 전체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역할 정체감은 자아존중감과 하위변인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반면, 성역할 고정관념은 자아존중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고정관념의 편향·고착화 방지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증진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ender-role identity and stereotypes on their self-esteem. A total of 22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G city and J province were surveyed. The attain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3.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Scheffe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result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re exists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service teachers’ self-esteem depending on gender-role identity. Teachers with bisexual identity showed a high level of self-esteem. Second, the gender-role stereotyp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exhibit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self-esteem. Third, the gender-role identity positively influences the overall self-esteem including sub-variables while the gender-role stereotyping has negative influence. These findings might serve as basic data for preventing the gender-role stereotyping and promoting pre-pract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모의수업 분석경험

        김은아(Kim, Eun-Ah),고경미(Koh, Kyung-Mee),이선경(Lee, Seon-Ky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유아미술교육 강좌에서 반성적 모의수업 분석을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전라북도 I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서 2014년 2학기에 연구자가 강의하는 유아미술교육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22명이다. 반성적 모의수업분석은 유아미술교육 이론과 수업계획안 작성에 관한 강의, 연구자와 피드백을 하며 수정 보완한 수업계획안 작성, 두 번의 모의수업과 동영상 촬영, 네 번의 저널쓰기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는 유아미술교육에 대해 ‘표현하는 미술’에서 ‘조화, 통합, 균형의 미술’로 인식의 변화를 경험했다. 둘째, 예비 유아교사는 ‘유아의 작품도 전시하고 감상하자’, ‘수업자료와 재료는 안전하게, 노출되지 않게, 다양하게’, ‘정리정돈도 미술교육의 한 부분’, ‘폭넓은 지식과 연구하는 자세로 준비하자’, ‘긴장감에서 자신감으로’ 등 미술수업 수행능력이 성장하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는 교사와 유아라는 역할에 따라 수업을 평가하는 기회를 가졌으며 이는 서로 다른 관점을 통해 교수자로서 자신의 역할과 학습자로서 유아에 대한 이해를 경험하는 과정이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미술교육을 담당할 예비유아교사에게 반성적 수업분석 경험이 수업전문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ha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through reflective analysis on simulated instruction during the art education course.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2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being the maj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ook the class of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t a university in I c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4. Analysis of the reflective simulated instruction was composed of i) lectures on the theory of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lesson plan writing, ii) completing lesson plan after revision and supplement through the feedback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iii) two simulated instructions and videotaping, and iv) four Journal writ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perceptional change from ‘art of expression’ to ‘art of harmony, integration and balance’. Secon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rew the performance capability in art class, expressing their opinions like ‘Let’s exhibit and appreciate children’s art works’, ‘Prepare various teaching materials and keep them in safety and out of exposure’, ‘Keeping things in a neat and tidy situation is also a part of art education’, ‘Let’s get prepared with extensive knowledge and ever-researching attitude’, ‘From feeling of tension to confidence’, etc. Thir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opportunity to evaluate a class as a teacher and also as a child, and that served as a process in which to understand his or her role as a teacher and children as a learner from each other’s different perspectives. This study shows that reflective analysis experience on simulated instruction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s going to be in charge of art education.

      • KCI등재

        보육교사들의 누리과정 실행경험과 지원요구

        이선경(Lee, Seon Kyung),고경미(Koh, Kyung Mee)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3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3-5세 연령별 누리과정에 대한 실행경험을 탐색하고 지원요구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보육교사들은 누리과정의 시행이 유보통합에 기여했지만, 관련 교사교육은 크게 도움이 되지 않았고,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상업적 교수자료에 의지한 실행이 이루어졌고 그 과정에서도 갈등과 혼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들은 부모들의 특별활동에 대한 요구와 누리과정의 현실적 실행 사이에서 어려움을 겪었고,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을 모두 숙지해야 하는 이중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 보육교사들은 자긍심을 고취하는 심리적 지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적 지원, 정부차원의 홍보를 위한 사회적 지원, 평가인증지표 정립을 위한 도구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ldcare teachers' practice experiences of the Nuri curriculum for 3-5 year old children, and to identify the supports they desire. Although teachers agreed that the Nuri program provided a unified standard curriculum for both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they felt that teacher training was not effective, and found conflicts and confusions during the education practice based on official Nuri and commercial teaching materials. They suffered difficulties from the discrepancies between practical exercise of the Nuri curriculum and parents's demands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a double burden for teachers to master the Nuri curriculum as well as the existing standard curriculum. The supports requested by teachers include psychological support for teachers' self-esteem, educational support enhancing their expertise, social support for advertising the Nuri curriculum, and instrumental support for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the Nuri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