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고정관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고경미 ( Kyungmee Koh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고정관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G시와 J도의 예비유아교사 2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ANOVA, Scheffe 추후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정체감에 따라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양성성 유형에서 자아존중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성역할 고정관념은 자아존중감 전체에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역할 정체감은 자아존중감과 하위변인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반면, 성역할 고정관념은 자아존중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고정관념의 편향·고착화 방지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증진 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ender-role identity and stereotypes on their self-esteem. A total of 226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G city and J province were surveyed. The attain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3.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Scheffe post-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result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re exists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service teachers’ self-esteem depending on gender-role identity. Teachers with bisexual identity showed a high level of self-esteem. Second, the gender-role stereotyp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exhibit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self-esteem. Third, the gender-role identity positively influences the overall self-esteem including sub-variables while the gender-role stereotyping has negative influence. These findings might serve as basic data for preventing the gender-role stereotyping and promoting pre-pract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steem.

      • KCI등재

        유치원교사의 다문화경험과 인식 및 수용성이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고경미 ( Koh Kyungmee ),최혜윤 ( Choi Hyeyoo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다문화에 대한 경험과 인식 및 수용성이 유치원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직 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 관련 연수 경험이 많고 다문화 친구가 있는 유치원교사가 그렇지 않은 유치원교사보다 다문화인식과 수용성 및 다문화교육역량 수준을 높게 지각하였다. 둘째, 다문화인식, 다문화경험, 다문화수용성 순으로 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의 기술, 지식,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가정과 유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유아기 다문화교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유치원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은 매우 필수적인 조건이다. 따라서 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역량 향상을 위해 고려할 사항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awareness and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in putting into practice and mak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ake root in kindergarten. To this end, 212 teachers working for private kindergarten in G- Metropolitan City were surveyed. Independent sample t - test, F -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collected data was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 having a lot of experience in multiculturalism-related training and having a multicultural friend perceived the level of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cceptance to be higher than early childhood teacher without those. Second, it was shown that multicultural awarenes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skill, knowledge and attitude in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being followed by multicultural experienc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Therefore, variou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making it possible to enhan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 대학생의 초고층아파트 선호 경향

        양세화,고경미,김묘정 울산대학교 1999 생활과학논문집 Vol.1 No.1

        본 연구는 초고층아파트가 미래 수요자들에게 어떠한 주거환경으로 인식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고층아파트의 선호거주층수 및 선택시 고려사항을 연령, 현 주거유형, 거주기간, 주거가치를 포함하는 인구학적 특성 및 주거특성의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20대 대학생들로 구성되어진 조사대상자들은 11층 이상의 초고층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아 기성세대에 비해 초고층아파트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적게 가지고 있었으며, 주로 외부경관과 안전성을 중점 고려하여 초고층아파트를 선택하겠다고 하였다. 이는 대량공급으로 인한 초고층아파트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초고층아파트가 우리나라 주택문제 해결의 한 대안으로 무리없이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초고층아파트를 공급하는 건설업체들은 초고층아파트의 단점을 최대한 보완하면서, 장점은 극대화시킬수 있는 계획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eferences for the super-high-rise apartment. The smaple consisted of 79 college students in Ulsan who are the prospective residents of super-high-rise apartments in the near future. It was found that almost half of the respondents prefer over 11 stories of the building. Age of the respondents, current structure type, and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current structure type and length of residence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eferences for the super-high-rise apartments. Safety and scenic view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choosing the levels of the buildings. Housing values of safe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super-high-rise apar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