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전·후에 따른 임상수행능력과 간호 전문직관의 차이 비교

        강향숙,강영실,홍현화,Kang, Hyang-Suk,Kang, Young-Sil,Hong, Hyun-Hwa 한국임상보건과학회 2015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Vol.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scriptive research to evaluate the clinical competency and nursing professionalism values before and after nursing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data collected from 100 nursing students by the study period was from December 10, 2013 ~ November 12, 2014 to measure the performance and clinical care professional intui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OVA, correlation. Results. Clinical practice before performance was $3.48({\pm}.38)$, after practice $3.79({\pm}.40)$ was a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before intuition $3.90({\pm}.41)$, after the practice was $3.74({\pm}.40)$, clinical performance and the nursing profession is positive found to be correlated.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research programs to improve care professional intuition in nursing college is necessary as results.

      • KCI등재

        알코올 중독으로부터 회복 중인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생애 경험: 상처 입은 영웅의 모험과 귀환

        강향숙 ( Hyang Sook Ka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5 한국가족복지학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who are recovering alcoholic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The research question is that: what are the life experience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who is recovering alcoholics. Data were collected on eight recovering alcoholics whose father or mother or both parents were alcoholics via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phenomenology method which is one of the qualitative study. The issues which are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 The Kid Who was Exhausted, Haunted and Lonely >, < The Way toward Addiction >, < The Adventure in the Underworld of Addiction >, < Return to Normal World Through Sobriety >. From this present study, the social work implications for children of alcoholics are deducted.

      • KCI등재
      • KCI등재

        독성각의 나반존자와 빈두로존자의 관계 재고

        강향숙(Kang, Hyang-Sook) 한국인도학회 2014 印度硏究 Vol.19 No.2

        본고는 독성각의 나반존자가 빈두로존자라는 기존의 설에 문제를 제기하고, 나반존자는 16나한의 특징을 집약한 나한이라는 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독성각의 성립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이 전각이 한국의 나한신앙과 관련하여 성립되었다는 점을 설명한다. 나한신앙의 주체가 국가로부터 개인의 신앙형태로 변화되면서 나반존자가 독성각에 따로 봉안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나반존자는 나한독성을 지칭하며, 독성이란 용어는 ‘홀로 수행하여 깨달음을 얻은 성자’가 아니라 ‘홀로 있는 성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나반존자는 아라한이며, ‘홀로 선정에 들어 있는 성자’를 가리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의례집인 『작법귀감』에 나타난 나반존자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여기서 나반존자는 응공과 신통, 중생의 복전이라는 주된 특징을 갖고 있으며, 그러한 특징이 인도의 빈두로존자와 나반존자 사이에서 어느 정도 일치할 수 있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나반존자는 빈두로존자와 유사한 면을 갖고 있으나, 빈두로존자의 전형적인 특징과는 차이를 보인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나한대례”와 “독성청”의 내용을 분석하여, 나반존자와 빈두로존자의 유사성은 양자 사이의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기보다는 오히려 16나한의 통섭적인 특징과거의 동일하다는 점을 이끌어냈다. 이런 점에서, 나반존자는 빈두로존자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16나한의 특성을 집약한 존자로써, 선정의 경계에서는 그 모습을 감추고 있으나 중생의 바램에 응하여 복전이 되어주고 보살행을 실천하는 성자로 신앙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나반은 선정과 중생계의 경계에 있는 성자를 의미하며, 홀로 선정에 들어 자씨 미륵불이 출현하기를 기다리며, 중생계에서는 중생에게 복을 가져다주거나 재앙을 멸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나반존자는 자신의 해탈에만 만족하는 나한의 이미지가 아닌 대승의 보살도를 행하는 나한임을 알 수 있다. 나반존자는 정성을 다하여 공양을 올리는 자에게는 언제라도 자비신통으로 그에 응하는 응공나한인 것이다.

      • KCI등재

        여러 번 가정위탁 양육을 진행한 일반 위탁부모의 경험

        강향숙(Kang, Hyangsook),강현아(Kang, Hyunah),정익중(Chung, Ick-Joong),오세현(Oh, Sehyeo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2

        본 연구는 두 번 이상의 가정위탁 양육을 진행 중인 일반 위탁부모의 경험을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서로 다른 아동에 대한 두 번 이상의 위탁양육을 경험한 일반 위탁부모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9년 2월부터 2019년 4월까지 3개월에 걸쳐 진행된 심층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번 이상의 위탁 양육 경험은 〈두 번째를 가능하게 하는 첫 번째〉, 〈백인백색(百人百色)의 아이들〉, 〈가족으로 성장해 가는 화학작용〉의 3개의 주제와 10개의 구성 요소로 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정위탁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과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foster parents who have accepted new foster care placement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foster parents from February 2019 to April 2019. During the interviews, foster parents shared their experiences of accepting new placements and the meaning of caring for diverse foster childre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reveal three themes representing the meanings of foster parents’ experiences (‘The first foster caring that makes the second possible’, ‘Every child is unique’, and ‘Growing into a family’) and 10 subthem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supports for foster care are suggested.

      • KCI등재

        회복중인 알코올중독자의 일 경험

        강향숙(Kang, Hyang Sook) 한국웰니스학회 2021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회복중인 알코올중독자가 일에 대해 갖는 의미와 경험을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현재 알코올중독으로부터 회복 중이고, 정신재활시설에서 거주하고 있으며, 일을 하고자 하는 동기를 갖고 시도하는 10명을 대상으로 2019년 8월에서 9월까지 실시된 심층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회복중인 알코올중독자에게 일의 의미는 〈회복과 일의 선순환을 쌓아감〉, 〈일 앞에 놓인 장애(障礙)와 극복을 위한 노력〉, 〈일을 통해 그려보는 미래라는 시간〉의 3개의 주제와 9개의 하위 주제, 그리고 26개의 구성요소로 범주화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알코올중독자의 회복과 재활 과정에서 직업재활의 중요성이 보다 강조되어야 하며, 이들의 욕구에 맞는 개별화된 직업재활 서비스와 함께, 취업 연계 뿐 아니라 직업 유지에 대한 서비스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음주문화가 만연한 근로환경의 변화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T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recovering alcoholics about job through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0 recovering alcoholics who are in addiction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have motivation for the job from August to September 2019.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Result xhowed that the meaning of job for the recovering alcoholics is 3 themes and 9 sub-themes and 26 components. The 3 themes are followed. 〈Building a Virtuous Cycle of Recovery and job〉, 〈The Obstacles Ahead of Job and Efforts to Overcome〉, and 〈Time of the Future Through Job〉. Through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importance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hould be more emphasized in the recovery process of alcoholics, suggesting the need for services not only for job linkage but also for job maintenance, along with individualized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meet their needs. In addition, the need to change the job environment where drinking culture is prevalent is also being raised.

      • KCI등재

        후기밀교 분노존 아촉여래에 대한 고찰

        강향숙(Kang Hyang Sook)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3 No.-

        본고는 대승불교에서 자비존이었던 아촉여래가 『금강정경』의 「항삼세품」을 매개로 하여 후기밀교에서 분노존으로 이행해 가는 과정을 추적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기밀교 이후 후기밀교에서 불ㆍ보살들은 분노존의 모습을 취하고, 특히 아촉여래는 만다라 중앙의 중존의 자리를 차지하면서 분노존의 수장으로 자리 잡는다. 이러한 분노존이 등장하게 된 배경은 힌두교와의 길항관계에 의한 영향이 크다. 그리고 이러한 배경을 잘 반영해 주고 있는 것이 『금강정경』의 「항삼세품」인 것으로 보았다. 이에 본고는 먼저 대승경전에 나타난 자비존 아촉여래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아촉은 한 비구로서 대목여래의 설법을 듣고 무상정등각을 향한 서원을 내고 육바라밀의 보살행을 닦으며, 동방 묘희국에 머무는 타방 불국토의 불로 묘사된다. 이러한 아촉여래는 『금강정경』 의 「금강계품」에서 일체여래의 가지에 의해 대일여래와 동일한 불로 여겨지며, 힘ㆍ항복ㆍ보리를 속성으로 하는 금강부를 담당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아촉은 「항삼세품」에서 주존 항삼세명왕(降三世明王=금강훔가라)으로 변화하여 불교에 적대적인 힌두교의 신 마헤슈와라를 항복시키는 분노존의 성향을 드러낸다. 「항삼세품」의 이러한 내용은 이후 후기밀교 텍스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후기밀교 부딴뜨라에 속하는 󰡔비밀집회 딴뜨라󰡕에는 아촉을 중심으로 한 분노존들이 나타나는데 이들 중 숨바라자와 야만따까는 「항삼세품」의 항삼세명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들은 아촉을 정수리에 화불로 장식하여 자신이 아촉의 계열에 속한다는 것을 드러내고 상대방을 위협하는 자세인 전좌세를 취하고 있으며, 손에는 금강저와 금강령을 지물로 쥐고 있다. 또한 이 분노존은 악한 마음을 지닌 적대자나 힌두교의 신들을 항복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항삼세품」이 항복법을 통해 이교의 신들을 불법으로 이끌어 보리를 성취케 하는 이타를 설하고 있다는 점을 말해준다. 이런 점에서 아촉여래의 분노는 일상적인 범부의 분노와는 차이를 보인다. 즉 불ㆍ보살의 분노는 보리의 성취라는 목표아래 자신의 깨달음뿐만 아니라 불법에 귀의하지 않는 이교도들을 항복시켜 깨달음에 이르게 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o track the process of Akṣobha, who was the Merciful Buddha in Mahāyāna Buddhism, becoming the Wrathful Buddha in Later Esoteric Buddhism based on The Trilokavijayapaṭalaḥ of Sarva Tathāgata Tattvasaṃgraha Mahāyāna-Sūtra. After the middle of Esoteric Buddhism, Buddhas and Bodhisattvas were in the form of Wrathful Buddha in Later Esoteric Buddhism. In particular, Akṣobha become the leader of wrathful Buddha, occupying the central position in maṇḍala. The advent of the wrathful Buddha was deeply affected by the antagonistic relations with Hinduism. And the Trilokavijayapaṭalaḥ of Sarva Tathāgata Tattvasaṃgraha Mahāyāna-Sūtra well represents the background. That is why this study examined the features of Akṣobha, the merciful Buddha represented in the Mahāyāna sūtra. It describes that Akṣobha stayed Akṣobhya's Buddha-field in the East, making profession of Anuttara-samyak-sambodhi and taking a journey of a Bodhisattva after listening to the Buddhist sermon by Mahānetra as a Buddhist priest. Akṣobha was considered to be the same Buddha as Mahāvairocana in Vajradhātupaṭalaḥ of Sarva Tathāgata Tattvasaṃgraha Mahāyāna-Sūtra and was in charge of Vajra class, featuring power, submission, and Bodhicitta. However, Akṣobha revealed the nature of wrathful Buddha in the Trilokavijayapaṭalaḥ who caused Maheśvara, the god of Hinduism who was antagonistic to Buddhism, to surrender after turning into Trailokyavijaya(=Vajrahūṃkara). These contents of the Trilokavijayapaṭalaḥ are thought to impact the texts of Later Esoteric Buddhism. Wrathful Buddhas including Akṣobha appear in Guhyasamājatantra, Sumbharaja and Yamāntaka among whom were closely related to Trailokyavijaya of the Trilokavijayapaṭalaḥ. They revealed that they belong to Akṣobha by marking their crown of the head with nirmāṇa-buddha and took menacing posture while holding vajra and vajra bell on their hands as a mark. And these wrathful Buddhas were to cause antagonists with and evil heart or the gods of Hinduism to surrender. This means that the Trilokavijayapaṭalaḥ tries to explain the altruism, achieving Buddhahood of the gods of pagans through the law of submission. In this regard, the wrath of Akṣobha is contrasted with that of an ordinary person. In other words, his wrath was to make the heathens find the enlightenment who did not convert to Buddhism by submission as well as his own enlightenment in pursuit of the achievement of Buddhahood.

      • KCI등재

        국제결혼 남성 배우자의 결혼적응에 관한 생애사 연구: 소금꽃1)이 피기까지

        강향숙 ( Hyang Sook Kang ),진은영 ( Eun Young Jin ),먀닥마 ( Mya Dag Maa ),배은경 ( Eun Kyung Bae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ife experiences of male spouses in international marriages. Data were collected from 8 Korean men who were husbands in international marriages via in-depth interviews, and issu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Mandelbaum`s (1973) analytic framework. For international marriage, the concepts studied here were < the ``exhausted saltmaker`` >, dimensions of life consisting of ``in the blazing sun and, early life``, ``exhausted saltmaker, and the market of marriage``, ``draw water, and from a distance``. The experience of married life, <coming salt> consisted of ``windy, not easy to adapt``, ``sunlight, a position of hot and warm-hearted head of household``, ``one`s sea, family of each other``, and ``master the seawater``. The adaptation of married life, <salt flowers bloom> consisted of ``more sweet more sour, flexible eyes of life``, ``detailed crystal, relation network``, ``my salt-pond, open and close``, ``sweat, couple`s affection``, and ``cultivating, active position``. Based on the survey findings, we make sugges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s and policies.

      • 한국 근대 불교문화 사진의 아카이브 구축과 향후과제 - 사진자료의 범위와 가치를 중심으로

        강향숙 ( Kang Hyang Sook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20 전자불전 Vol.22 No.-

        This paper looked back on the temporal range and value of the photographic materials used in the ‘Establishing Archives of Modern Korean Buddhist Culture Photos’, and looked at how the constructed photos can be used in the future. First of all, in the study of Korean modern Buddhist cultural photo archives, the reason why the modern time range was assumed to be the 1980s, which is 100 years after 1880 was explained. By taking an example of the fact that photographs related to Buddhist paintings or sculptures belong to the category of photographs showing Buddhist culture, not just works, I explained what the value of photographs is and how it can be used.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of modern Buddhist culture will be expanded by understanding Korean modern culture easily and incorporating it with new fields by being utilized in various fields not only for educational purposes but also in various fields through the ‘Establishing Archives of Modern Korean Buddhist Culture Photos’.

      • 진언수행의 역사와 전개에 대한 고찰

        강향숙 ( Kang Hyang-sook ) 한국밀교학회 2023 불교학밀교학연구 Vol.4 No.-

        본 논문은 인도의 바라문 제식의례에서 기원한 만뜨라가 불교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채택되어 수행되고 전개되었는지에 대하여 대승불교 경전과 밀교경전을 통하여 고찰한 것이다. 초기불교에서는 병을 다스리고, 독을 제거하기 위한 호신주를 사용했다. 대승경전에서도 특정한 불·보살의 다라니를 수지, 지송함으로써 불·보살의 가피를 통한 보호와 안락을 도모했다. 초기밀교 경전에서는 다라니와 진언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진언수행은 다라니의 염송과 의식을 병행함으로써 점차 의궤화되는 과정이 나타난다. 중기 밀교 경전에서는 만다라·진언·무드라[印法]를 갖춘 삼밀관법이 체계화되면서 진언은 종자음절, 즉 종자진언을 수행하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종자진언’은 이후 후기 밀교경전에서 ‘존격진언’ 으로 전개되는 양상을 보였다. 만다라의 주존인 존격과 수행자를 합일시키는데 있어서 종자진언 수행은 필수불가결한 것이었다. 특히 밀교경전에서 구소, 식재, 조복, 이간, 경애와 같은 특정한 목적의 성취를 위해서 행하는 ‘존격진언’의 수행은 후기밀교 시대의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rough Mahayāna Buddhist scriptures and esoteric Buddhism scriptures how the mantra, which originated from the Brahmin rituals of India, was adopted, performed, and developed in Buddhism. In early Buddhism, Paritta was used to treat illness and remove poison. In the Mahayāna scriptures, protection and comfort were sought through the covering of Buddhas and Bodhisattvas by receiving and chantting the dhāraṇī of specific Buddhas and Bodhisattvas. In early esoteric Buddhism scriptures, dhāraṇī and mantra are used interchangeably, and mantra practice gradually becomes ritualistic by combining dhāraṇī chanting and rituals. In the mid-period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as the Sammilgwanbeop[三密觀法] with maṇḍala, mantra, and mudra was systematized, mantra was developed in the form of practicing seed syllables, that is, bīja mantra. These ‘bīja mantra’ later developed into ‘devatā mantra’ in later esoteric Buddhist scriptures. The practice of ‘bīja mantra’ was indispensable in uniting the practitioner and main buddha of the maṇḍala. In particular, in the Esoteric Buddhism scriptures, the practice of ‘devatā mantra’, which is performed to achieve specific purposes such as ākarṣaṇa[鉤召], śāntika[息災], abhicārika[調伏], vidveṣaṇa[離間], and vaśīkaraṇa[敬愛], can be said to be a prominent feature of the late Esoteric Buddhism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