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댈러웨이 부인 」에 나타난 전쟁 트라우마

        강진호,Jin-Ho Kang 한국영미어문학회 2015 영미어문학 Vol.- No.117

        This paper tries to elicit and explicate war trauma in Mrs. D alloway in relation to Freud’s theory on traumatic neurosis. S eptimus, one of main characters in the novel, suffers from war trauma after he returns home, having witnessed the bomb-shelled death of his officer and close comrade, Evans, on the frontline during World War I . The typical symptoms of his illness such as hallucinations, nightmares, terror, dissociation, depression, rage, and denial reveal the existence of unassimilated, unintegrated and hurtful experience of the past. Freud argues that traumatic experience attempts to come to the surface through the compulsion to repeat and to be recognized; however it is destined to fail. I n the novel, S eptimus is victimized by war trauma and commits suicide because nobody gives him understanding and sympathy. D espite being a stranger, only Clarissa shows a moment of communication and sympathizes with his suffering and death at the end of the novel. Through the emotional connection of both characters Woolf suggests that trauma can be accessed and treated by sympathetic engagement among people; and the narrative construction of a work of literature can contribute to the reality of historical truth.

      • KCI등재

        편광 민감 광결맞음 단층 촬영 장치를 이용한 자궁경부의 조기 진단(A Preliminary Study)

        강진호,이상원,유지영,강문식,김법민,윤보성,김영태,조남훈,Kang, Jin-Ho,Lee, Sang-Won,Yoo, Ji-Yeong,Kang, Moon-Sik,Kim, Beop-Min,Yoon, Bo-Sung,Kim, Young-Tae,Cho, Nam-Hoon 한국광학회 2007 한국광학회지 Vol.18 No.5

        자궁경부 상피이형성증(cervical dysplasia)은 세포핵/세포질(nuclear/cytoplasmic, N/C) 면적비의 변화를 포함하는 자궁경부 상피에서의 형태학적 변화를 일으킨다. 세포핵은 중요한 산란 원인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N/C 면적비의 변화는 깊이에 따른 원형 편광장도를 반영한다. 따라서 우리는 편광 민감 광결맞음 단층촬영장치(polarization-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PS-OCT)를 이용하여 산란에 의해 발생하는 편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궁 경부 조직 샘플은 고등급 상피내종양(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H-SIL)을 가진 한 명의 환자와 정상인 네 명의 환자에게서 얻어졌다. 우리는 자궁경부의 깊이에 따른 원형 편광의 유지 정도(degree of circular polarization, DOCP) 평균을 구하였고, 상피층의 깊이에서 최소 제곱 1차 선형 함수(least-square linear fit)를 사용하여 기울기를 획득하였다. 획득된 기울기를 가지고 DOCP의 변화율을 정량화 하였다. 그 결과 H-SIL에서의 DOCP의 감쇄가 정상 조직에서 보다 빠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PS-OCT를 이용하여 산란 변화에 따른 DOCP의 변화율을 측정하는 것이 자궁경부상피 이형성증의 진단을 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진단법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Cervical dysplasia induces morphologic changes in the cervical epithelium which involve changes in the nuclear/cytoplasmic (N/C) ratio. Since the nucleus is one of the significant scattering sources, the N/C ratio change reflects the degree of circular polarization (DOCP) with the depth of signals. Therefore, we used the polarization-sensitive OCT (PS-OCT) technique to measure the polarization changes caused by scattering. Cervical tissues were obtained from a 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H-SIL) of one woman and from low normal women. We obtained the mean of the DOCP as a function of depth in the cervix and quantified the change ratio of the DOCP using slopes that were determined by linear fits in the epithelium layer. We found that DOCP of H-SIL decayed faster than that of normal tissue because of the higher scattering in H-SIL as expected.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PS-OCT system might be useful in measurements of change ratio of DOCP with depth for screening of cervical dysplasia.

      • KCI등재후보

        퇴고와 개작

        강진호(Kang, Jinho) 돈암어문학회 2018 돈암어문학 Vol.33 No.-

        이 글은 퇴고와 개작이라는 측면에서 〈판문점〉과〈판문점 2〉를 비교·고찰하였다. 「판문점」이 발표된 것은 1961년인데, 작가는 그로부터 50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동일 제목의 〈판문점 2〉를 내놓았다. 원작을 이어받아서 같은 제목을 붙였고, 등장인물도 50년이라는 세월의 경과로 나이를 먹었다뿐이지 동일인을 재등장시켰으며, 교류를 통해서 남과 북이 통일되어야 한다는 염원 역시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게다가 작가 자신이 작품 속에 직접 등장해서 두 작품이 동일 선상에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데, 곧 〈판문점〉을 창작할 당시를 회고하고 거기서 미처 못 다한 이야기를 언급하는 등 메타픽션적 서술방식을 구사한다. 〈판문점 2〉는 〈판문점〉의 속편이고, 작중의 화자와 작가 자신은 동일인이며, 작품 속의 주요 사건들은 자신의 실제 체험이라는 것. 이호철은 말년으로 가면서 점차 실제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허물고 서사를 진행하는 반(反)소설적 경향을 보였는데, 〈판문점 2〉가 바로 그런 경우이다. 이런 작품을 통해서 이호철은 월남민의 고통과 그리움을 그려냈을 뿐만 아니라 분단 시대를 사는 삶의 보편적 가치를 제시하였다. 그것은 간절하지만 결코 서두르지 않는 염원, 곧 소망의 미학이다. 작가 스스로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점차 소멸해가는 처지임에도 불구하고 결코 서두르거나 불안해하지 않는다. 〈판문점 2〉에서 무엇보다 중시되는 것은 ‘간절한 마음’이다. 북한 사람들의 생활이 경제적으로 향상되고 나아가 남과 북이 ‘한 살림’을 회복할 때 진정한 의미의 통일이 가능해지리라는 것. 그런 믿음의 근거를 작가는 허구가 아니라 실제 현실에서 찾았고, 그것을 작가 자신의 체험을 통해서 표현하였다. 그런 점에서 〈판문점 2〉는 소설이 아니라 수필이다. 수필은 작가 자신과 동체(同體)라고 할 정도로 개성적이며 고백적인 양식이다.〈판문점 2〉에 이르면 작가는 세상살이가 바로 소설 쓰기가 되는, 삶과 작품이 일체화된 상태가 된다. 이호철에게 있어서 개작은 단순한 고쳐쓰기가 아니라 또 다른 창작 혹은 다시쓰기로 정리할 수 있다. 상황과 시대 현실을 반영한 다시쓰기 혹은 또다른 창작이 바로 이호철의 개작이다. 최근 남북 관계의 급격한 변화는 한 편의 소설보다도 더 극적이다. 전광석화처럼 전개되는 남북 관계를 지켜보면서 어쩌면 작가의 ‘간절한 마음’이 저러한 변화를 만든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 This article has examined 〈Panmoonjeom〉and 〈Panmoonjeom2〉 in terms of revision and adaptation. 〈Panmunjeom〉 was published in 1961, and 50 years after that, the author presented the same title 〈Panmoonjeom2〉. The same title was attached to the original work, and the same characters were re-introduced, just aged for 50 years, and the desire that the North and the South should be unified through exchanges remained the same. In addition, the author himself appeared directly in his work, explaining that the two works are on the same line. He soon recalls the time when he created 〈Panmoonjeom〉and made a metapictive narrative method by mentioning the unfamiliar story there. 〈Panmoonjeom2〉is the sequel to Panmunjom, and the narrator in the novel and the author himself are the same person, and the main events in the work are his actual experiences. In the last years, Lee Ho-chul gradually tilted the boundaries between actual reality and fiction, and showed anti-fictional tendency to proceed with narrative. <Panmunjeom2〉 is that way. Through these works, Lee Ho Chul not only depicted the suffering and nostalgia of North Korean people, but also presented the universal value of life in the divisional era. It is the aesthetic of desire, a desire but never a hurry. The author himself is never in a hurry or anxious, despite the fact that he is gradually disappearing with the passage of time. In 〈Panmoonjeom2〉, the "heart of earnes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When the lives of North Koreans are improved economically and the South and the North are recovering their "living", they will be able to unify in the true sense. The author looked for the basis of such belief not in a fiction but actual reality, and expressed it through his own experience. In this regard, 〈Panmoonjeom2〉 is not an essay but a novel. The essay is so individual and confessional that it is the same as the author himself. When he reaches 〈Panmunjeom2〉, the author becomes a state that life and work are integrated, in which the world is a novel. For Lee Ho-chul, adaptation is not simply rewriting, but another creation or rewriting. For example, rewriting or another creative work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situation and the times is an adaptation of Lee Ho Chul. The recent rapid change in inter-Korean relations is more novel than one novel. As I watched the inter-Korean relations developed like the lightning stones, I think that maybe the author"s "heart of earnest" made such a change.

      • 제한된 피드백 Massive MIMO Rician 페이딩 채널 환경에서 사용자 거리에 따른 양자화 오차 성능 분석

        강진호(Jinho Kang),최완(Wan Choi)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최근 6G 이동통신 시스템의 핵심 기술로서 Massive MIMO 시스템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Massive MIMO 시스템과 밀리미터파 대역의 물리적인 특성인 Line-of-Sight (LoS) 성분이 반영된 공간적 채널 모델로서 Rician 페이딩 채널 환경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LoS 성분과 non-LoS (NLoS) 성분으로 구성된 Rician 페이딩 채널 환경에서 대규모 안테나로부터 발생하는 피드백 오버헤드를 저감 하기 위해서는 LoS 성분 크기에 따른 효율적인 채널 상태 정보 양자화가 필요하며, 이때 채널 방향 정보의 양자화 오차 (Quantization error) 성능은 기지국과 사용자 간의 거리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Massive MIMO 시스템에서 통신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셀 설계 및 셀 커버리지 분석을 위해 Rician 페이딩 채널 양자화를 위한 효율적인 코드북을 활용하여 기지국과 사용자 거리에 따른 양자화 오차 성능을 분석한다.

      • KCI등재

        기억 속의 공간과 체험의 서사

        강진호(Kang, Jin-ho)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8 No.-

        이 논문은 박완서의 평판작 ?그 여자네 집?(1997)에 대한 고찰이다. 이 작품이 널리 알려진 것은 7차 고등학교 『국어』교과서에 수록되면서부터였다. 작품은 1997년 5월 작가가 참석했던 ‘북녘 동포들을 돕기 위한 시 낭송회’라는 실제 행사를 소설화한 것으로, 행사 때 작가가 실제로 낭송했던 김용택의 시가 작품 첫머리에 소개되고, ‘민족문학작가회의’가 언급된다. 이 작품에서 주목할 점은, 작품의 주제가 단순히 개인 간의 순수한 사랑이 아니라 그 개인이 속한 집단과 역사의 문제로 확대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주인공들의 운명을 뒤바꿔놓는 것은 전쟁과 징용, 정신대라는 이름으로 자행된 광기와도 같은 현실의 상황이다. 순애와 만덕이 보여주는 과거에 대한 집착과 향수는 그런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 외에도 이 작품에는 재래의 풍속과 인정이 실감나게 그려지고, 한편에서는 노변의 방초(芳草)를 비롯한 자연 환경에 대한 아름다운 묘사와 더불어 옛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농도 짙게 제시된다. 이 작품이 갖는 매력의 하나는 과거의 풍속을 재현해 놓은 데 있고, 그것을 통해 우리는 지난 시절의 삶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통해서 우리는 작가가 이전의 사회적 강박과 규율에서 벗어나 과거사를 한층 객관적이고 공평하게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려움과 공포의 대상이었던 과거가 이 작품에서는 담담하게 회상되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벗어나 민족사의 견지에서 의미화되어 드러난다. 작가는 과거의 체험에 대해 거리를 두고 전체적인 시각에서 조망하는 완숙의 경지를 보여주었고, 그로 인해 이 작품은 자칫 추상과 도식으로 흐르기 쉬인 분단문제를 쉽고도 평이하게 포착해내는 성과를 획득하였다. This paragraph is written for contemplation of “Her House” written by Park, Wanseo, which reaches its peak of the writer"s writing life. This literary work has known widely when it was contained 7th regular Korean textbook. This book was written with the actual event "Poetry reading for north compatriot". So it this writing announces a poetry written by Kim, Yongtaek which was actually recited by Park, Wanseo at the event and also refers ‘Writers Association of Korea’. We should focus this writing that expand personal emotions to a problem of the whole society and history. It is lunatic history that changes destiny of main characters. In addition, this writing describes Korean tradition and sympathy well and expresses nostalgia. Also, this writing describes Korean traiditional life and nature background of hometown. And we can understand that writer has a object and fair view of history out of social compulsion and past rule. History was a fearful thing but it is recalled calmly and revealed its meaning not just for a personal level but as a whole life of Korean ethnic group. Writer keeps her distance from her past experience and has a objective, general point of view in history and that is a very mature one. So this writing reaches the division problem of Korea with a easy, simple sight which would be a abstraction and iconic type.

      • KCI등재

        Beyond Oedipalism : The Flow of Desire in Deleuze and Guattari, and Lawrence

        Kang Jin-Ho(강진호) 신영어영문학회 2003 신영어영문학 Vol.26 No.-

        들뢰즈와 가타리는 정신분열증 환자의 예를 통해 오이디푸스 가설로 왜곡된 정신분석학을 부정하는 앙띠오이디푸스의 모델을 제시한다. 출발부터 그들은 한 개인을 아버지-어머니-나의 가족구조, 즉 오이디푸스적 도식으로 환원시키는 정신분석적 치료를 의문시한다. 그래서 주체를 오이디푸스적 자아라는 제한된 관념의 기초 위에 설정하는 프로이트와는 달리 들뢰즈와 가타리는 주체는 욕망기계가 기관없는 신체 위를 단속의 고리들을 그리며 활기차게 진행해 나갈때나, 끝없는 이어짐의 계속적 소모, 절정화 과정을 맞게 될 때 잉여를 통해 생겨난다고 본다. 로렌스도 정신분석학이 모든 자발적, 창의적인 삶을 기계적 원리로 대체하는 논리적 이상주의에 종속하게 한다고 간주하며, 지적인 활동에 선행해서 인간의 내면에서 저절로 분출되는 진정한 무의식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점에서 들뢰즈, 가타리도 회귀가 아닌 자발성이 무의식의 작동원리이며, 오이디푸스보다는 욕동(drive)이 무의식의 동기라고 주장하며 로렌스를 적극 옹호한다. 그러나 욕망의 자유로운 흐름에 대한 공통된 인식에도 불구하고 로렌스와 들뢰즈, 가타리는 욕망의 흐름방향과 방식, 육체(신체)관, 유기론적 관점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즉 로렌스의 욕망의 흐름은 대극적 원리에 의해서 지향되나, 들뢰즈, 가타리의 경우 다양성의 원리에 의해 움직인다. 또 로렌스의 몸은 피와 살을 지닌 유기체로 욕망이 생성, 분출되는 원천인 반면 들뢰즈, 가타리의 경우 기관없는 신체는 욕망이 매번 새롭게 쓰여지는 매개체인 빈 공간에 해당 한다. 나아가 로렌스가 우주를 그 속의 생명체들이 대극적 관계를 맺어 활력과 생명력으로 가득 찬 상태로 파악하는 반면, 들뢰즈와 가타리의 경우는 영원한 ‘되기(becoming)’의 과정을 주장함으로써 생명력으로 가득 찬 어떤 통합된 전체의 가능성을 부정한다. 작가로서의 로렌스는 생명력을 지닌 대상들이 우주 속에서 절대균형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통해 욕망을 추적하며 유기론적, 근대적 관점을 견지한다. 이에 반해 이론적 철학자인 들뢰즈와 가타리는 어떤 재현의 행복한 순간도 인정치 않고 심지어 가상적 공간으로까지 영원한 욕망의 분리를 추적하는 탈근대적 입장을 나타낸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일제강점기 『국어독본(國語讀本)』과 차별적 위계 교육

        강진호 ( Jin Ho Ka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9 No.-

        이 글에서 주목하는 『普通學校國語讀本』(1912)은 일어가 국어가 된 뒤에 간행된 일제의 첫 번째 국어 교과서이다. 『普通學校國語讀本』은 달라진 현실 여건을 말해주듯이 ‘明治44年3月13日印刷, 朝鮮總督府總務局印刷所’라는 판권이 붙어 있다. 『國語讀本』에 주목한 것은 이 책이 개항 이후 조금씩 체를 드러내기 시작한 일제의 식민담론이 집약된 최초의 ‘국어’(일어) 교과서라는 데 있다. 일제는 국어 교육을 마치 수신 교육처럼 제국의 이념과 가치를 전파하는 중요한 매체로 간주하였다. 일시동인이라는 구호를 앞세워 동화정책을 표방했지만, 표면적인 구호일 뿐 실제로는 차별화된 교육을 시행하였다. 조선을 일본과는 다른 열등 민족으로 간주하고 일본에 대한 선망과 숭배의 정조를 함양코자 하였다. 그것은 우선 비문명화된 조선을 문명화시키겠다는 근대화론으로 나타난다. 일제는 또한 일본의 신화를 근거로 조선을 차별적으로 위계화한다. 과거 신화시대부터 조선과 일본은 긴밀한 관계를 가졌고, 조선은 일본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다는 것. 그리고 천황 관련 단원들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천황에 충성하는 신민을 만들고자 하였다. 그런 점에서 『國語讀本』은 정치적 이념을 구현한 정치적 텍스트이다. 국정이고 또 ‘국어’ 교과서라는 권위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하위 주체를 양산하는 도구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식민사관은 오늘날 거의 사라진 것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아직도 여전히 집단기억의 형태로 한국인들의 심층에 뿌리박고 있다. 우리 고유의 건강성을 회복하고 왜곡된 정조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일제 식민주의에 대한 바른 인식이 요구된다. 『Elementary School Japanese Language Reader(보통학교 국어독본)』(1912), this text is going to focus on, is the first textbook in official Korean language after Japanese language has been officialized in Korea. O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Reading Book』, the copyright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Chosun Print Office’ is printed as it shows the reality has been changed. This text focuses o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Reading Book』 because it is the first educational material in ’official Korean’(Japanese) that specifically integrates Japan’s colonial discourse, which has started to appear after the port opening. As Daehan Empire’s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Reading Book for Students』 had the intention to develop Chosun government’s civilization and modern sovereignty, the Japanese Empire’s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Reading Book』specified its will to colonize Chosun that had been incorporated into them. That is why this textbook shows strong ideological bias. Given that education has the powerful influence to students politically-the Japneses Empire taught their ideology and value of colonization to Koreans at a young age so they would unconsciously agree with it. By doing this, the Japanese Empire exploited education to colonize Chosun.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Reading Book』was the main expedient of Cultural Governance. The Japanese Empire superficially pretended to be under the slogan of equality, but they implemented the education of discrimination in real. As we can see from the phrase, “Be sure to consider about their period tendency and the cultural level”(the 3rd) of the First Educational Ordinance(1911.8), the Japanese Empire regarded Chosun as an inferior ethnic group than Japanese and tried to foster the tendency of idolizing and worshipping Japan. The Japanese Empire cunningly justified their intention through the fake theory of modernization, saying that Japanese people has been superior than people of Chosun since the ancient times, so that they had to conquer and exploit Chosun. From these facts, we can see that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Reading Book』 was the text that materialized the political ideology in reality. Most of the Japanese view of colonialism, which was their ideology to conquer Chosun, seems like disappeared today, but it does exist in the deep side of Koreans’ mind as a form of collective memory. To recover our(Koreans) own integrity and rectify the distorted atmosphere, we need to actually be aware of the Japanese Empire’s colonialism.

      • KCI등재

        한국 반공주의의 소설ㆍ사회학적 기능

        강진호(Kang Jin ho) 한국언어문학회 2004 한국언어문학 Vol.52 No.-

        This is an article written to analyze the Novel-Sociological function of the Korean Anti-Communism. Anti-Communism means the exclusive logic and distorted emotion against Communism, specially the North Korean Communist and the leftist' action and tendency in the South Korea. The main concept of this article is firstly the sociological function of the Korean Anti-Communism, secondly the relation of novels and Anti-Communism which through Seonwoo-hwee, Nam-Junghyun, Park-wanseo' novels. By this article' analysis, the Anti-Communism' novel-sociological function is an oppressed element of novelist' creative activity. For instance, Seonwoo-hwee can not recognize the truth of the Chinese Communists'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imperialist so far as the Korean' that. Nam-Junghyun can not writes a subject matter such as anti-American and anti-imperialism. In addition to Park-wanseo can not describe realistically about the figure of her's older brother' death killed by the South & North Korean's army. She distorted her older brother' figure in novels because of the anti-communist's oppression anr self-inspection. In this way, Anti-Communism compelled novelist to distort novel' contents, a subject matter and characters.

      • KCI등재

        문학작품 읽기를 통한 주체의 형성

        강진호(Jin-Ho Kang) 한국영미어문학회 2012 영미어문학 Vol.- No.102

        The Freudian classical psychoanalytical literary theory holds that the unconscious fantasy in a scene of psychoanalysis and dream can be regarded as the textual unconscious screened through such linguistic mechanisms as condensation, displacement and representability. The linguistic foundation in literature and psychoanalysis, especially a narrative framework, gives a basic common ground in which literature and psychoanalysis work together and contribute mutually. For another analogue, literature is seen to portray vividly, in the imaginary world, the same mental motifs as fantasy, trauma, sublimation, etc. being treated crucially in a psychoanalytic scene. In this sense, this thesis tries to show that a literary text also explicates the complicated mental mechanism through an imagined literary world and can be a good medium to heal the split subject by constituting the subject ever anew as psychoanalytic therapy. I think Freudian reading of “Uncanny” is a good example to demonstrate that a literary text embodies the world of verisimilitude which looks like more plausible than the real world, transcending the bound between reality and fantasy. Lacan’s reading of “Purloined Letter” also, I argue, can be interpreted as an attempt to delineate the primacy of the signifer over the subject and the process of subject’s construction by the signifier. These cases of psychoanalytic literary criticism, I think,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reading literary texts opens up a meaningful space in which a reader as the subject in a psychoanalytic sense confront himself and his world in a scene of fantasy which is, nevertheless, more real than the reality in a psychical sense, constitutes himself on the path to transformation, healing and grow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