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with Lung Cancer Treated by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ombined with Western Treatment: Report of Two Cases

        강지영,김준영,손창규,조정효,Kang, Ji-young,Kim, Jun-young,Son, Chang-gue,Cho, Jung-hyo The Society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15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6 No.1

        목 적: 소세포 폐암 및 전이성 폐암은 폐암 중에서도 가장 예후가 불량하고 생존율도 상대적으로 낮은 암으로 알려져 있다. 난치성 폐암 환자에 대해 한방치료가 생존 기간 연장 및 삶의 질 관리면에 있어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연구방법 및 대상: 본원에서 입원 및 통원치료를 병행한 소세포폐암 환자 1명과 원발성 간암에서 폐로 전이된 전이성 폐암 환자 1명에 대하여 한방치료의 효과 및 임상경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치료기간은 각각 2000년 1월-2009년 12월과 2004년 9월-2014년 2월이었으며 한약치료는 평균 1개월 간격으로 행해졌으며 입원기간 동안에는 한약치료를 포함한 침구치료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치료효과 및 경과 판정을 위해 흉부 방사선 검사 및 혈액검사를 평균 1개월 간격으로 시행하였으며 내원시마다 환자의 증상 및 상태를 확인하였다. 결 과: 2명의 폐암 환자 모두 꾸준한 한방치료를 받으며 진단시점부터 9년 이상의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비교적 좋은 삶의 질을 유지하면서 종양으로 인한 임상경과 또한 완만하게 진행이 되었다. 결 론: 본 증례는 한방치료가 불응성 폐암 환자에 대해 삶의 질을 양호하게 유지하고 증상 조절 및 종양의 진행양상을 완화시켜 주며 나아가 생존기간 연장에도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Objectives : To evaluate the long-term survival effect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on refractory metastatic lung cancer and small cell lung cancer (SCLC), which have historically poor survival rates.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medical records of two patients in Daejeon University hospital. The first patient, with SCLC, was treate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9 and the other, with metastatic pulmonary cancer from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was treated from September 2004 to February 2014.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herbal medicines at one-month intervals. During hospitalization, acupuncture and indirect moxibustion were performed concurrent with the administration of Western therapy. Treatment efficacy was assessed monthly using chest radiography, chest computed tomography, and laboratory examination data, and by measuring patient performance status. Results : Both patients exhibited a stable disease course for more than 9 years after the initial diagnosis of intractable lung cancer, suggesting that their disease status was controlled by TKM.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a combination of TKM with conventional Western therapy for refractory lung cancer patients is effective in controlling various symptoms related to lung cancer and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may potentially prolong overall survival.

      • KCI등재

        ‘은/는, 이/가’ 교수 자료 제안 -영어권 고급 단계 학습자 대상-

        강지영 ( Kang Jiyoung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5 No.-

        This paper aims to give the authentic material for teaching postpositional, ‘eun/neun’ and ‘i/ga’ to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is English. Even though ‘eun/neun’ and ‘i/ga’ are presented at the first step of learning Korean, high level learners show errors in many ways. It’s hard to find suitable materials for high level learners. To supply teachers in trouble with teaching ‘eun/neun’ and ‘i/ga’ for high level learners, this study suggests extracts from the actual novels with ‘eun/neun’ or ‘i/ga’. Inputs from published materials are different from a real communicative world, which leads to learners’ fossilized errors. This study subdivides high level learners into above average, average and under average then gives extracts from novels written in English or Korean with translations. Grammatical subcategorization of ‘eon/neon’ and ‘i/ga’ is from the standard under th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and precedent studies. Based on the popularity and literary achievement, this study made extracts from Harry Potter and the Sorcerer’s Stone for under average learners, from Life of Pie, The Road and To Kill a Mockingbird for average learners and from Vegetarian and Human Acts for above average. Under average and average learners have time to translate the texts written in English into Korean whereas above average learners will have Korean author Han Kang’s text translated by English native speaker. Through this course, learners can practice ‘eon/neon’ and ‘i/ga’ in contextualized context. It can lead Korean learners to acquire the ability of using ‘eon/neon’ and ‘i/ga’ fluently and correctl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화용도(華容道)」와 「적벽가(赤壁歌)」의 화행(話行) 분석(分析) 시론(試論) -군사(軍士) 점고(點考) 대목과 군사(軍士) 설움 타령을 중심(中心)으로-

        강지영(姜持英) ( Kang Ji-yo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2

        이 연구에서는 완판본 83장본 「화용도」, 박순호 소장 42장본 「화용도」, 박봉술 창본 「적벽가」를 대상으로 ‘군사 점고’ 대목과 ‘군사 설움’대목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서사적 변이나 독특한 인물 등장 등을 중심으로 하는 이본 연구가 아니라, 언어학적 관점 특히 화행을 중심으로 이본에 접근해 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진다. 화행 분석을 통해 ‘군사 점고’ 대목에서 청자로서의 독자 자리 확보 정도는 완판본, 필사본, 창본 순으로 많다는 것을 확인했다. 서술자의 발화분석으로 필사본에는 다양한 발화수반행위가 혼재되어 나타나며 이러한 혼재성으로 인해 발화행위의 형태 및 음운이 필사본을 창본과 완판본에 대별 되어 보이게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군사 설움’ 대목에서는 필사본의 독자가 가장 많이 작품 내에서의 청자 위치를 확보하고 있었다. 완판본과 창본의 독자가 외부에 놓인 시선의 상태로 청자의 자리를 차지한다면 필사본의 독자는 작품 내에서 작중 인물들과 함께 호흡하며 청자의 자리를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분석을 통해 본고에서 대상으로 삼은 세 필사본, 완판본, 창본의 화행상 문자적 친연성은 대목마다 상이할 수 있으며, 이는 ‘토로’, ‘점고’ 같은 텍스트의 맥락적 지향성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는 잠정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Novels and scripts from pansori are unique as they contain the characteristics of not only written texts but also oral contexts. As a play, pansori is worthy of studying but not easy to analyze because of its presentational, temporal, transient traits. It implies that novels and scrips on pansori are important for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pansori. Under the point of a view that pansori novels and scrips show o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a pansori script Jeogbyeog-ga and pansori novels(a manuscript and a printed novel) Hwayong-do based on the speech-act theory. Some parts from the novels and scrips, Soldiers’ Roll Call and Soldiers’ Moaning are analyzed. The conclusions are as below. Firs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speech-act could be from the illocutionary acts, which affected the position of readers as listeners. Second, contrary to the current view about the correlation of each whole version, the linguistic analysis shows that the linguistic affinity of each version is different from parts to parts in the entire story and it depends on locutionary, illocutionary and perlocutionary acts. Third, It would mean that the aims of the texts can affect the closeness among the versions in the point of the speech-act theory. To make the conclusions clearer, more versions of pansori novels and scripts should be analyzed in the aspect of speech-act in the follow-up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콘텐츠 디자인에 대한 연구

        강지영(Kang, Ji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5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5 No.3

        현재 스마트폰 시장의 포화는 빠른 웨어러블 디바이스 마켓의 성장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세계의 대표 기업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이에 적합한 콘텐츠의 개발에 온 힘을 다하고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대중에게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콘텐츠 중 게임과 영상서비스처럼 킬러콘텐츠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킬러콘텐츠로써 사용자 중심의 인포테인먼트 콘텐츠를 제시하고 인포테인먼트 콘텐츠 디자인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웨어러블 기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자 중심의 콘텐츠 플랫폼으로서 이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웨어러블 컴퓨팅 기술과 서비스 종류 그리고 특성을 분석하여 현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현재 인포테인먼트 디자인 속성을 분석하고 현재 웨어러블 콘텐츠의 사례들을 분석하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인포테인먼트 디자인의 속성과 요소,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웨어러블 인포테인먼트 디자인 속성은 정보 입출력까지 확장된 감각적 자극과 상황정보과 관련된 인지적 재미요소 그리고 신체적인, 즉 보다 동적인 실시간 상호작용성과 환경요인과 관련된 경험적 흥미이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신체적, 구조적, 감성적 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사용자 중심 인포테인먼트 디자인 프로세스를 사용자 분석, 콘텐츠 목적의 설정, 스토리와 정보디자인, 비쥬얼과 사운드 그리고 인터랙션 디자인의 순서로 제시하였다. Smartphone market saturation is causing fast growth of wearable device market. Due to this, many world leading companies are focusing on developing the wearable device and suitable content. To vitalizing the wearable device to public, we need a killer content which is suitable for the wearable device"s characteristics like game and video streaming service for smartphone. We suggest that it will be the infotainment content based on user"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and research the design methodology for infotainment content. To survive in this competitive environment, we have to understand the wearable technique. Moreover, we also have to understand it as the user-centered content platform. So this research analyze the wearable computing technique, service category and characteristic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 of wearable device. We also analyze the existing infotainment design and present wearable contents, and suggest the future methodology of wearable infotainment design"s characteristics, elements and process for wearable devises. We suggest expanded multisensory simulation as input method, environmental context and accumulated data information as fun factor and more dynamic and physical realtime interactions and experiential interests in environments. We also suggest physical, structural and emotional elements to fulfill the attribute of wearable infotainment design. The user centered infotainmet content design process starts with user analysis, selection of content"s aim, story and information design and visual, sound and interaction design.

      • KCI등재

        유방암 여성의 스트레스, 배우자 지지, 회복력과 대처

        강지영(Kang, Jiyoung),서은영(Suh, Eunyoung) 대한종양간호학회 2015 Asian Oncology Nursing Vol.1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tress, spousal support, and resilience on the types of coping among women with breast cancer. Method: Using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a total of 120 participants,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had a mass removal surgery, and were fluent in Korean, were recruited at a cancer center in Seoul, Kore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of stress, spousal support, resilience, and ways of coping were administered upon the permission from the original developer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Win program. Result: Ways of coping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pousal support, resilience, and stress.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problem-focused coping, spousal support, and resilience.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motion-focused coping with stress and resilienc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revealed that spousal support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emotion-focused coping. Conclusion: Women perceived their diagnosis and surgery as more stressful, they more like to use emotion-focused coping. Women with more spousal support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use problem-focused coping mo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 tailored intervention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for improving their coping is expected in futur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사이시옷 규정 교육을 위한 개인적 문법 지식(IGK) 탐색 - 온라인 가나다 게시물을 중심으로

        강지영(Kang, Ji-young),최형우(Choi, Hyeong-woo),구본관(Koo, Bon-kwan) 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연구 Vol.- No.79

        본 연구는 사이시옷이 학문적 정체성과 규범의 내적 합리성 측면에서 견고하지 않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개인적 문법 지식을 조사하여 사이시옷 규정에 관한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가나다 게시물을 중심으로 사이시옷에 관한 개인적 문법 지식(IGK)을 조사하고 귀납적으로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사이시옷 규정의 구성 요소, 질문자가 규정에 대하여 취하는 관점, 개인적 문법 지식이 가지는 내적 합리성이라는 세 가지 기준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라 분류된 개인적 문법 지식 중 비판적 관점에 터한 중간 정도의 합리성을 지닌 지식들이 교육적으로 주목되었는데, 이들은 CGK가 CGK(학문)과 CGK(규범)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다층성을 인식하지 못하여 규범에 대한 경직적인 태도를 보였다. 따라서 IGK와 CGK(학문), CGK(규범)의 관계를 인식하도록 하여, 여러 지식들이 상호 작용하는 복합체로서 규범을 인지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의사 결정 모형을 활용하여 규범의 본질적 속성에 대한 교육을 사이시옷 규정을 중심으로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그간의 규범 교육이 개인의 문법 지식을 간과한 채 규범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반성하고, 개인들의 주관적인 지식인 IGK를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규범 교육의 방향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ducation regarding the regulation of ‘Sai-siot’ by examining individual grammatical knowledge about it, noting that it is not robust in terms of academic identity and internal rationality of norms. For this purpose, ‘Individual Grammatical Knowledge(IGK)’ about ‘Sai-siot’ was investigated and typified inductively, centering on ‘Online Ganada’ posts. As a result, three criteria were derived: the components of the ‘Sai-siot’ regulation, the questioner’s point of view on the regulation, and the internal rationality of IGK. Among the IGK classified according to this, knowledge with moderate rationality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was noted educationally, and they showed a rigid attitude towards the norms because they did not recognize the multi-layered CGK consisting of CGK(academic) and CGK(norm). Therefore, education that recognizes the relationship between IGK, CGK(academic) and CGK(norm), and recognizes norms as a complex in which various knowledge interacts was necessary. Therefore, by using the decision -making model, education on the essential properties of norms was devised and presented with a focus on the ‘Sai-siot’ regulations. This study reflects on the fact that normative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understanding norms while overlooking individual grammatical knowledg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plored IGK, which is the subjective knowledge of individuals, and based it on the direction of normative education.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대한 미디어 담론 분석

        강지영 ( Kang Jiyoung ),소경희 ( So Kyungh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3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대중매체 담론은 사람들의 일상적인 사고 및 행동 양식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이렇게 형성된 일상적인 담론들은 다시 여론이나 사회적 요구라는 이름으로 차기 교육과정 개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대해 주요 일간지에서 어떤 담론을 형성하고 있는지를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분석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대해 크게 세 가지 담론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부와 교육과정 개발진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형인재 양성 교육과정’ 담론, 과학계 인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이과 말살 교육과정’ 담론, 그리고 시민사회단체와 교원단체를 중심으로 형성된 ‘현장과 유리된 교육과정’ 담론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에 국가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싼 담론 구조가 이해관계를 달리하는 다양한 집단들이 참여하는 ‘다원적 구조’로 변화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주목되는 것은, 외부 전문가와 현장 실천가들의 담론에서 교육부 및 교육과정 개발진들이 ‘공공의 적’으로 표상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향후 교육과정 개발진이 이러한 적대감을 누그러뜨리고 ‘교육과정 중재자’로서의 전문성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각계각층의 요구를 체계적이고 진정성 있게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체제가 마련될 필요가 있음이 논의되었다. Media discourse has had a huge influence on curriculum revision in the name of public opinions and social needs.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discourses major newspaper produced about the general framework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us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edia analysis revealed three discourses: “curriculum for cultivating creative human resources,” which was shaped by administrators and curriculum developers; “curriculum for eradicating science and engineering,” produced by experts of science and engineering; and “curriculum detached from educational practice,” shaped by NGOs and teachers’ union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discursive structure of Korean curriculum revision included more diverse interest groups with differing perspectives.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at administrators and curriculum developers were represented as public enemies in media discourses by outside experts and practitioners who developed counter-discourses against them. Therefore, to mitigate outside antagonism and exert active professionalism as curriculum negotiators, curriculum experts should discuss curriculum revision with various interest groups and explore new curriculum development systems that reflect social needs in more systematic and genuine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