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u-Farm을 위한 모바일 기반의 농작물 재배 현장 중심형 스마트 병해충 정보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강주희,정세훈,노선식,소원호,심춘보,Kang, Ju-Hee,Jung, Se-Hoon,Nor, Sun-Sik,So, Won-Ho,Sim, Chun-Bo 한국전자통신학회 2015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0 No.10

        현재 농작물의 품질과 직결되는 병해충에 관하여 농작물 재배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전용의 응용 시스템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병해충 예찰 및 기본 정보에 관해서는 충실하나 즉각적인 진단 기능이 매우 부족하고 아울러 농작물 재배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의 병해충 전용 시스템의 부재를 개선하기 위해서, u-Farm을 위한 모바일 기반의 농작물 재배 현장 중심형 스마트 병해충 정보검색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이미지의 전문 분석에 유용한 검색 라이브러리인 루씬(Lucene) 및 JSON 데이터 구조를 기반으로 농작물 재배 현장에서 병해충의 정보를 웹뿐만 아니라, 본인이 소유한 스마트 폰을 통해 실시간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스템의 확장 및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객체지향 모델링을 기반으로 설계하였으며, 농작물의 메타 정보뿐만 아니라, 메타 정보 기반의 텍스트 및 색상 등과 같은 이미지 특징 정보를 기반으로 검색이 가능하다. 본 시스템을 통해 u-Farm 실현뿐만 아니라 농업인이나 재배 현장 관리자들이 농작물 작황, 병해충 현황 파악 및 관리를 실시간으로 진행할 수 있다. There is a shortage of mobile application systems readily applicable to the field of crop cultivation in relation to diseases and insect pests directly connected to the quality of crops. Most of system have been devoted to diseases and insect pests that would offer full predictions and basic information about diseases and insect pests currently. But for lack of the instant diagnostic functions seriously and the field of crop cultivation, we design and implement a crop cultivation field-oriented smart diseases and insect pests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based on mobile for u-Farm. The proposed system had such advantages as providing information about diseases and insect pests in the field of crop cultivation and allowing the users to check the information with their smart-phones real-time based on the Lucene, a search library useful for the specialized analysis of images, and JSON data structure. And it was designed based on object-oriented modeling to increase its expandability and reusability. It was capable of search based on such image characteristic information as colors as well as the meta-information of crops and meta-information-based texts. The system was full of great merits including the implementation of u-Farm, the real-time check, and management of crop yields and diseases and insect pests by both the farmers and cultivation field managers.

      • KCI등재

        포스트모던 시대의 미술 창작 방법론 탐구

        강주희(Kang Joo Hee),이지연(Lee Ji Yeo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8 美術敎育論叢 Vol.32 No.4

        본 연구는 동시대 미술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적 특성을 활용한 미술 창작지도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적 이해, 포스트모던미술의 특징, 포스트모던 미술에 나타난 표현 전략을 정의하고, 이의 현장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해 K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 초등교사 60명을 대상으로 수업을실시하였다. 수업은 동시대 미술의 감상 및 포스트모던 표현 전략의 이해, 작품제작, 발표 및 비평 활동 순으로 진행되었다. 수업 후 학생들의 작품 및 결과 보고서를분석한 결과, 일상의 예술화, 의미 중심의 표현, 자기 성찰 및 교훈적 메시지 전달, 창의적 표현에 대한 가능성 인식 등 긍정적인 반응이 도출되었다. 반면 표현 전략에대한 표면적 이해와 적용의 문제, 사회ㆍ맥락적 탐구가 결여된 직관적이고 주관적인의미부여의 과정 등이 그 한계로 지적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포스트모던표현 전략에 대한 충실한 탐구 활동이 전제되어야 하며, 의미 형성 과정에 대한보다 깊이 있는 성찰과 반성을 통해서 표현 방식을 정교화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of teaching art making using postmodern strategies. For this purpose, we define postmodern art making strategies based on conceptual understanding of postmodernism and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art and 60 prelimin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ttending K university were taught to explore the educational availability. Class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1)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 and understanding of postmodern art making strategies, 2)art making, 3)presentation and reflec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s’ works and the results report, they led positive responses such as artistic expression of everyday life, meaning making process, self-reflection and communication of doctrine, possibility of creative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postmodern art making strategies on a superficial level and the intuitive and subjective process of individual meaning making without social and contextual inquiry are pointed out as the limit.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faithfully explore the postmodern art making strategies, and it is necessary to elaborate the expression system through reflection on the process of meaning making.

      • 사용자 맞춤형 여행코스 추천 애플리케이션

        강주희 ( Juhui Kang ),김은경 ( Eungyeong Kim ),김석훈 ( Seokhoo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2

        매년 여행을 즐기는 여행객들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해외여행 뿐 아니라 국내 여행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국내 여행을 즐기는 여행객 수의 증가는 매우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국내 여행객들의 절대 다수는 해외여행과는 달리 패키지 형태 보다는 자유여행 형태의 여행을 선호하고 있다. 이는 해외 여행지 대비 국내 여행지가 여행객들이 취득 및 분석할 수 있는 정보의 접근성이 훨씬 높고 정보의 양 역시 풍부하다는 것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 접근의 용이성 및 정보량의 풍요성은 오히려 자유여행을 즐기고자 하는 여행객들이 여행코스 및 숙소를 정하는데 많은 시간을 투자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애플리케이션은 국내 여행객들이 편리하고 손쉽게 국내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여행코스 및 숙소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안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는 국내 여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각종 포털 사이트와 SNS에서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호 정보와의 매칭을 통해 맞춤형 여행 코스 제안 및 숙소 예약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국내 여행을 즐기는 여행객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고, 국내 여행객 수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예술 기반 학습(arts-based learning)을 활용한 대학 수업 사례 연구

        강주희(Joohee Ka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2

        문화융성시대를 맞이하여 문화와 예술의 가치가 재평가됨에 따라 예술적 사고와 예술적 앎의 과정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예술 활동은 자기 성찰적이며, 정의적 속성을 지니고 있어서 기존의 이성적이고 논리적 사고 중심의 교육 및 연구를 보완해 준다. 이에 예술이 교육적 연구의 방법으로서 활용되기도 하고, 연구의 결과물이 예술 작품을 통해서 발표되기도 한다. 이러한 예술적 사고 과정은 교수-학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 양과 질에 차이는 있으나 이미 학교 및 지역사회 교육에서 이러한 예술 기반 학습이 활용되고 있다. 예술 기반 학습은 예술을 통해 지식을 재구성하는 방법으로서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고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유도하며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을 조화롭게 해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예술 기반 학습 전략으로서 비주얼 저널을 대학 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은 수도권 소재 S 대학 학부생 38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부터 6월까지 한 학기동안 진행되었으며, 수업 결과 분석을 위해서 학생 설문 과 인터뷰, 수업 관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술 기반 학습 전략은 개념에 대한 이해 증진 뿐 아니라 심화된 주제 탐구,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In this age of arts and culture. artistic thinking and learning have been revalued and became the focus of attention. Artistic activities promote self-reflection and creative thinking with an affective characteristic whereby they make up for the education and research that focused on reasonable and logical thinking. In this context. recently arts have been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presented in arts. Artistic thinking process can be applied to teaching and learning.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quality and quantity. arts-based research strategies have been used in school and community education programs. Arts-based learning as a way to reconstruct knowledge by facilitate reflective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s well as harmonizing intellectual with affective approaches. In this study. I used visual journaling as an arts-based learning strategy for the university class. The class was composed of 38 students and taught from March to June. To collect data. survey and open-ended participant interview are done along with class observation. Consequently. arts-based learning strategy promoted not only understanding and exploring of the key concepts but also self-directed learning and high level thinking.

      • KCI등재
      • Fabrication Characteristics and Electrochemical Studies of SOFC Unit Cell using ScSZ-based Electrolyte Powder prepared by Co-precipitation Synthesis

        강주희(Kang, Ju Hee),이호재(Lee, Ho Jae),김호성(Kim, Ho-Sung),정종호(Jeong, Jong Ho)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Scandium-doped zirconium, ScSZ-based electrolyte, provides higher oxygen conductivity than YSZ and nano-based electrolyte materials are ideal for fabricating thin film electrolyte membrane of SOFC unit cell. Moreover, it may be applied to anode and cathode as well as electrolyte as ionic conductor. In this report, nano-based ScSZ-based electrolyte powder was prepared by co-precipitation synthesis. The particle size, surface area and morphology of the powder were observed by SEM and BET. Thin film electrolyte of under 10{mu}m was fabricated by tape casting and co-firing using the synthesized ScSZ-based powders, and ionic conductivity and gas permeability of electrolyte film were evaluated. Finally, the SOFC unit cell was fabricated using the anode-supported electrolyte prepared by a tape casting method and co-sintering. Electrochemical evaluations of the SOFC unit cell, including measurements such as power density and impedance, were performed and analyzed.

      • KCI등재

        표면처리가 어려운 금속재료의 EBSD 분석을 위한 시편 준비

        강주희 ( Joo Hee Kang ),김수현 ( Su Hyeon Kim ) 대한금속재료학회 ( 구 대한금속학회 ) 2010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48 No.8

        Aluminum, magnesium, titanium and high Mn steel are difficult to use in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 (EBSD) sample preparation due to the formation of an oxidation layer under conventional polishing. Alcohol-based polishing with colloidal silica suspension was introduced for these delicate samples. A hard particle-embedded sample was analyzed successfully using mechanical polishing. Ion-milling was effective in removing oxidized, deformed and transformed layers after mechanical polishing and was able to reduce artifacts significantly. The microstructure of a cross-section of a thin copper film was evaluated by attachment of a dummy to the film for mechanical polishing.

      • KCI등재후보

        영재 발굴 과정에서 드러난 사회적 배려대상 미술영재 특성 연구

        강주희(Joo-Hee Kang)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14 미술과 교육 Vol.15 No.1

        사회적 배려대상 영재에 대한 관심과 지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이들에 대한 이해와 인 식은 아직 많이 부족한 편이다. 특히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의 경우 영재성을 발현시키는데 경제적 여건이 교육의 경험이나 환경적 자극 제공 등 결정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더욱 소외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재발굴과정분석을 통해 사회적 배려대상 미술영재 특성을 이해하고, 사회적 배려대상 미 술영재의 선발 과정 및 교육 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 적 배려대상 미술영재 발굴 캠프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13년 7월 27일부터 31일까지 4박 5일간의 예술영재발굴 캠프에 참가한 사회적 배려대상 미술영재 50명(지원자 총 91명 중 서류전형을 통해 1차 선발됨)중 최종 미술영재로 판별된 39명으로 정하였다. 연구방법은 선발서류전형에서 수합된 각 학생별 자기추천서, 교사추천서, 학부모추천서, 캠프 중 실시한 TTCT 창의성 검사 결과와 미술분야 전문가들에 의한 수업관찰 평가 결과를 양적·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배려대상 미술영재 는 현재 평가 가능한 수행능력보다는 앞으로 성취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중심으로 선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좀 더 신중하고 다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특히 가정 및 학교의 생활을 관찰할 수 있 는 교사와 학부모의 관심과 지원이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사회적 배려대상 미술영재에 대한 교사와 학 부모 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학생들이 잠재능력을 발현시킬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기회의 필요 성을 발견했다. Social policy supports for the disadvantaged gifted currently has been expanded and the number of beneficiaries of the gifted education also has been increased. However, in visual arts, the disadvantaged gifted still often are excluded from the gifted education. This is because in art area, cultural and economic supports are confidential to be identified and nurtured as the gif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dvantaged gifted in visual arts I analyzed the case of an intensive art program which was planned to educate and excavate the disadvantaged gifted in visual arts. This program consisted of five days’ art classes including “Creativity”, “Architecture”, “Contemporary Arts”, and “Nature Arts” and also TTCT, a standardized creativity test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participants’ creativity. 50 participants of this program were selected out of 91 applicants based on the references from their teachers, parents, and themselves and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31 stud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finally identified as a potentially gifted and talented in visual arts. To clarify the differentiated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characteristics in visual arts, I analyzed the excavation process from various perspectives of parents, teachers, and art education experts. In result, I conclud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advantaged gifted are pretty much the same with gifted students in general but they needed more time to motivate themselves and train their skills, as well as more aesthetic experiences. Therefore, identification of the disadvantaged gifted in visual arts requires a long term plan with more careful attention.

      • KCI등재

        미래사회 대비 미술교과교육의 쟁점과 과제

        강주희(Joohee K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7

        본 연구는 미래교육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미술교과교육의 쟁점과 과제를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미래사회 대비 교육 변화를 위해 강조되고 있는 역량 기반 교육의 맥락에서 소외된 지식의 의미를 제고하고, 미술교과의 지식에 대한 논의를 발전시키기 위해 미술의 개념과 미래 미술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미래 미술과 교육의 쟁점 으로 미술 교과 지식의 재구조화와 미술교과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그간 미술교육이 외연적 확장과 연결을 강조하며 삶과 연계된 교과로서의 가치와 가능성에 집중해 온데 비해 미술교과 고유의 내용인 지식의 구조와 내재적 속성에 대한 탐구가 미흡했음을 지적하고, 학교 교육의 맥락에서 미술교과 지식의 구조를 재개념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issues and challenges of school art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based on discussions on future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knowledge in the contex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which is emphasized for educational change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and to develop discussions on the knowledge of art subject,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of art and future art educat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restructuring of art subject knowledge and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art subject education were presented as issues of future art subject education, and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this. These discussions point out that while art education has been focusing on the value and possibility of a subject related to life by emphasizing the external expansion and connection, the search for the structure and intrinsic properties of knowledge, which are the unique contents of the art subject, is insufficient. It was suggested that efforts to reconceptualize the structure of art subject knowledge in the context of school education are necessary.

      • KCI등재

        P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보람 그리고 희망

        강주희 ( Ju Hee Kang ),이대균 ( Dae Kyun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D광역시에 위치한 P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의 어려움과 보람 그리고 희망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교사들의 근무환경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P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면담 및 저널 등을 통해 수집한 자료들에 대한 질적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P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일반 유아교육기관의 역할과 동시에 ‘대학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는 데서 오는 과중한 업무로부터 직무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외부에서 기대하는 대학교 부속 유치원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유치원 공개 및 수업참관 준비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이외에도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에 대한 주위의 기대감으로부터 오는 ‘사회적 완벽주의’ 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 수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들은 주위로부터 받는 인정과 지지를 얻고, 교사와 함께 변화하고 성장해 가는 유아들의 모습과 학부모들의 따뜻한 격려와 인정을 통해 교사로서 살아갈 힘을 얻기도 하였다. 이처럼 대학교 부속유치원 교사들은 열악한 근무환경 속에서 보람을 찾아가며 살아가고 있으며, 유아교육의 질적 발전을 위해 대학교 부속 유치원 교사로서의 역할을 묵묵히 감당해오고 있는 만큼 그에 합당한 처우개선이 요구되며, 밖으로 미처 다 표현하지 못하고 있는 그들만의 특별한 필요와 요구에 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여 이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들의 근무환경이 개선되기를 희망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eachers’ difficulties, joys, and hopes in the attached kindergarten to the P university located in D city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hoped to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for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the individual interviews and journals that 8 teachers participated. The teachers felt difficult with a heavy workload caused by the fact that the kindergarten had to play the role of general kindergarten as well as ‘university function’. Because of many chances to show their classes for the open observation, they felt also difficult. With the external expectations to them, they had a psychological burden to be ‘socially perfect’. In spite of the difficulties, the teachers could obtain power to live through the acknowledgement by people around, the children to grow and change, and the parents’ encouragement. The teachers in the attached kindergarten lived finding the joys even in the poor working condition. Because the teachers work without complaints for the quality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better treatment for them should be made and the working condition should be improved in the application of their special needs and request sensi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