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사회 대비 미술교과교육의 쟁점과 과제

        강주희(Joohee K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7

        본 연구는 미래교육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미술교과교육의 쟁점과 과제를 탐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미래사회 대비 교육 변화를 위해 강조되고 있는 역량 기반 교육의 맥락에서 소외된 지식의 의미를 제고하고, 미술교과의 지식에 대한 논의를 발전시키기 위해 미술의 개념과 미래 미술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미래 미술과 교육의 쟁점 으로 미술 교과 지식의 재구조화와 미술교과교육의 정체성 확립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그간 미술교육이 외연적 확장과 연결을 강조하며 삶과 연계된 교과로서의 가치와 가능성에 집중해 온데 비해 미술교과 고유의 내용인 지식의 구조와 내재적 속성에 대한 탐구가 미흡했음을 지적하고, 학교 교육의 맥락에서 미술교과 지식의 구조를 재개념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issues and challenges of school art education as a school subject based on discussions on future educ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knowledge in the contex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which is emphasized for educational change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and to develop discussions on the knowledge of art subject, the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of art and future art educat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restructuring of art subject knowledge and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art subject education were presented as issues of future art subject education, and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this. These discussions point out that while art education has been focusing on the value and possibility of a subject related to life by emphasizing the external expansion and connection, the search for the structure and intrinsic properties of knowledge, which are the unique contents of the art subject, is insufficient. It was suggested that efforts to reconceptualize the structure of art subject knowledge in the context of school education are necessary.

      • KCI등재

        예술 중심 프로젝트 기반 학습(A-PBL)으로서 그림책 창작의 가능성 탐구

        강주희(Joohee Kang),이지연(Jiyeo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그림책을 ‘삶 속의 예술’의 종합체로 간주하며, 예술로서의 그림책의 가치와 그림책을 창작하는 과정을 프로젝트기반 학습에 적용하여 실천한 사례를 탐구하고 그 가능성을 제안한다. 방법 본 실행연구는 예술로서의 그림책 창작과정과 성찰보고서, 교수자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그림책이 지닌 미술작품으로서의 가치와 예술중심 프로젝트 기반학습으로서의 가능성과 시사점을 제시한다. 결과 연구참여자들과 함께 예술중심 프로젝트기반학습(A-PBL)을 진행하였으며, 프로젝트 계획, 프로젝트 탐구, 프로젝트 제작, 프로젝트 발표의 과정을 통해 그림책이 최종 창작물로 나왔다. 결론 본 연구는 예술중심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학습자들이 부담감 없이 도전적인 예술 창작에 몰두할 수 있도록 돕고, 협동학습을 하면서도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및 창작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는 면에서 유의미한 학습활동이 될 수 있다. 프로젝트기반학습의 경험은 팀워크를 개발하고 협동학습을 강화한다,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게한다. 교수자도 수행 중 맥락을 반영하여 프로젝트를 재구성한다. 학습자는 학습동기가 강화될 뿐 아니라 성찰의 자세를 배운다. Objectives In this study, Considering picture books as a synthesis of ‘art in life’, the value of picture books as art and the process of creating picture books as an art are applied to project-based learning to explore practical cases and suggest their possibilities. Methods This action research analyzed based on the process of creating picture books as art, reflection reports, and feedback from the instructor. Results Art centered project-based learning (A-PBL) was conducted with the research participants, and a picture book came out as a final creation through the process of project planning, project exploration, project production, and project presentation. Conclusions The experience of project-based learning develops teamwork and reinforces cooperative learning, allowing learners to take the initiative in constructing the curriculum. The instructor also reconstructs the project by reflecting the context during execution. The learner not only strengthens the learning motivation but also learns an attitude of reflection.

      • e-Learning학습 시 학습자의 주의집중 향상에 관한 연구

        강주희(Joohee Kang),박민재(Minjea Park),윤유정(Yujung Yun),최호양(Hoyang Choi),박성원(Seongwon Park),조광수(Kwangsu Cho)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는 e-Learning 환경에서 동영상 강의를 들을 때, 강의 조작행위를 최소화해 학습자의 주의집중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고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했다. 학습자의 강의 조작행위는 주의집중을 방해하는 요소라고 간주했다. 강의 학습자의 고개 움직임에 따라 동영상의 속도를 변화시켜 학습자가 강의 조작을 하지 않도록 돕는 기능을 연구했다. 학습자의 고개의 상하 움직임을 분석해, 고개를 들고 숙이는 이유와 필기의 관계를 관찰했다. 필기를 하지 않는 고개 움직임의 최소 시간을 측정했고, 강의 속도 자동조절 기능 실험에 적용 했다. 이 시간을 강의 속도 자동조절 기능에 적용함으로써 짧은 고개 움직임에 기능이 반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실험1 결과 학습자들의 고갯짓 중 2초 이내의 경우 필기와 관련이 없었으며, 2초에서 5초 사이는 짧은 필기, 5초 이상은 긴 필기를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에 따라 강의 속도 자동조절 방법은 고개가 내려간 후 2초간의 시간차를 두고 시행하는 것으로 실험2를 진행했는데, 필기를 방해하는 조작 횟수가 1/4로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강의 속도 자동조절 방법은 필기에 도움을 줌으로써 주의집중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develop learner"s attention to help taking notes by minimizing function control and adjusting play speed with learner’s habit during studying e-Learning. we analyze learner’s head nodding and divide head shaking into two situation. One is nodding for note-taking and the others are nodding for nothing. We study on the relationship nodding with note-taking. Counted nodding time shows us minimum time for ignoring nod of head. This nodding time is applied to a function of auto-controlling of media speed for e-Learner. So we can prevent that the function unnecessarily changes a speed of e-learning lecture. As a result of the case 1, under 2 seconds of learner"s noding time is meaningless. Between 2 seconds to 5 seconds of learner"s noding time is note-taking for short words. Over 5seconds of learner"s noding time is note-taking for long sentences. We apply the auto-controlling of media speed to the case 2. In the case 2, learner" the number of function control and adjusting play speed decreased to 1/4. As a result of the study, it showed that the function of auto-controlling of media speed has a positive influence on note-taking for attention improvements.

      • KCI등재

        예술 기반 학습(arts-based learning)을 활용한 대학 수업 사례 연구

        강주희(Joohee Ka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2

        문화융성시대를 맞이하여 문화와 예술의 가치가 재평가됨에 따라 예술적 사고와 예술적 앎의 과정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예술 활동은 자기 성찰적이며, 정의적 속성을 지니고 있어서 기존의 이성적이고 논리적 사고 중심의 교육 및 연구를 보완해 준다. 이에 예술이 교육적 연구의 방법으로서 활용되기도 하고, 연구의 결과물이 예술 작품을 통해서 발표되기도 한다. 이러한 예술적 사고 과정은 교수-학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 양과 질에 차이는 있으나 이미 학교 및 지역사회 교육에서 이러한 예술 기반 학습이 활용되고 있다. 예술 기반 학습은 예술을 통해 지식을 재구성하는 방법으로서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고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유도하며 인지적 측면과 정의적 측면을 조화롭게 해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예술 기반 학습 전략으로서 비주얼 저널을 대학 수업에 적용하였다. 수업은 수도권 소재 S 대학 학부생 38명을 대상으로 2013년 3월부터 6월까지 한 학기동안 진행되었으며, 수업 결과 분석을 위해서 학생 설문 과 인터뷰, 수업 관찰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술 기반 학습 전략은 개념에 대한 이해 증진 뿐 아니라 심화된 주제 탐구,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In this age of arts and culture. artistic thinking and learning have been revalued and became the focus of attention. Artistic activities promote self-reflection and creative thinking with an affective characteristic whereby they make up for the education and research that focused on reasonable and logical thinking. In this context. recently arts have been used as a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presented in arts. Artistic thinking process can be applied to teaching and learning.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in quality and quantity. arts-based research strategies have been used in school and community education programs. Arts-based learning as a way to reconstruct knowledge by facilitate reflective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s well as harmonizing intellectual with affective approaches. In this study. I used visual journaling as an arts-based learning strategy for the university class. The class was composed of 38 students and taught from March to June. To collect data. survey and open-ended participant interview are done along with class observation. Consequently. arts-based learning strategy promoted not only understanding and exploring of the key concepts but also self-directed learning and high level thinking.

      • KCI등재

        미술영재성 개념 정립을 위한 문헌 고찰 연구

        강주희(Joohee Ka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3

        영재교육진흥법이 공포된 이후, 미술영재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전국적으로 미술영재교육이 확산된 반면 아직도 미술영재교육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며, 미술영재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하고 있다. 이는 미술영재성에 대한 명확한 개념의 부재 때문으로 이를 규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영재성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서 영재성의 개념을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미술영재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영재성은 뛰어난 능력, 창의성, 동기 및 태 도 등 내재적 요인과 환경적, 발달적 관점 등 외재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미술 영재성은 미술을 잘하는데 필요한 타고난 재능으로써 잠재된 능력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미술 분야에서 최고의 성취를 이루도록 영향을 주는 심리학적 특성으로 정의할수 있다. 외재적 요인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크고 일반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미술영재성올 미술 분야에서 요구하는 미술적 능력, 창의성, 동기 및 태도 등 내재적 구성 요인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술적 능력에서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강조되었던 표현 능력 뿐 아니라, 감상 및 비평 능력 둥과 같은 인지적 측면과 현대 미술적 맥락을 반영한 사회, 문화적 이해 및 공감 능력 등에 대한 추가 논의가 필요하며, 창의성에서는 창의적 사고과정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정서적, 인지적, 미적 측면이 고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동기 및 태도는 미술영재성 발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요인으로 점차적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외재적 요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giftedness in visual arts and develop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purpose. first. I collected extensive definitions of the giftedness and reorganized it as above ability. high motivation and creativity with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al factors. Such external factors help to maximize one's ability so that we have to consider them in identifying and educating the gifted. Secondly. I reviewed a literature on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in visual arts and defined the giftedness in visual arts based o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giftedness in general. The giftedness in visual arts consists of above ability in visual arts. creativity. and high motivation including other affective factors. Above ability in visual arts can be defined as cognitive skills and visual expressivity. Along with the paradigm changes in art education. the visual expressivity. creativity. understanding arts. and sociocultural communication have been emphasized in chronological order. Sociocultural communication from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reflects the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o that it should be further discussed. To do so. I defined the characteristics of a new paradigms of art education as 1) content-based art education. 2) using multimedia. 3) interdisciplinary approach. 4) art education for social justice after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art education. In this context. the sociocultural communication consists of critical inquiry on social. cultural issues, empathy and communicating skills, interdisciplinary thinking. and digital multimedia literacy.

      • KCI등재

        생태적 정체성의 내면화를 위한 가치지향 생태미술교육

        강주희(Joohee Kang),이지연(JiYeon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2 美術敎育論叢 Vol.26 No.2

        본 논문에서는 인간중심적이며 가치 중심적인 미술교육의 일환으로 인간개개인이 그들이 속한 환경과의 이해와 교감 속에서 자아를 이해하고 정의하여 개인적 가치를 환경적 가치로 재조직 할 수 있는 생태미술교육과 생태적 정체성대해 논의 하려한다. 생태적 정체성은 자연환경과의 관계 속에서 자아를 이해하고 정의하는 방식으로 환경에 대한 개인적 가치와 인식을 재조직하고 환경주의적 행동 및 태도를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본 연구는 생태적 정체성의 의미와 교육 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기반으로 한 미술교육 사례를 소개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환경에 대한 이해와 교감을 통한 생태적 정체성 형성을 목적으로 하며, 체험활동을 통해 환경 문제에 대한 경각심, 환경, 인간, 사회의 관계에 대한 반성, 환경 대한 애정과 관심을 형성하도록 돕고, 이러한 경험은 행동주의적 태도와 실천으로의 변화를 촉진시킨다 미술작품제작은 생태적 정체성의 내면화 과정으로 자아 지역사회 생태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제시된 사례로서의 프로젝트는 자아성찰적 과정으로서의 작품 제 작을 통해 지역사회 생태계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며 환경지식을 형성함과 동시에 실천적 태도를 형성 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생태적 정체성 중심의 미술교육과 작품제작은 인간이 자기 자신‘ 타인, 그리고 자연을 정의하는 방식 즉, 정체성에 대해 숙고하고 성찰하며 의미를 모색하도록 하며 ‘ 이는 환경교육 그리고 생태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여겨진다. 또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생태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생태미술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Ecological identity (Thomashow, 1996) refers to a way in which people form their self concept based on a sense of connection 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 belief that the environment is important to us as a part of who we are. So, it affects the way in which we perceive and act toward the world and hopefully, it can re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To build ecological identity, direct and actual experiences assimilating with and interacting with nature are critical. In this sense, ecological art education helps to build ecological identity. Ecological art is an art genre that uses natural resources based on inter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leading us to introspect the relationship with nature as ecological approach. Sensuous experience is an essential factor in ecological art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natural environment because it is based on intuitive ideas from direct and authentic experiences in nature. In this article, we studied a case of ecological identity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art education project which was conducted at Florida State University in 2009, as an Art & Ecology Class. Also, based on understanding of ecological identity and a case study of ecological identity education, we suggested an ecological art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students to build ecological identity. It is based on ecological education principles that Sobel(2008) suggested. complying with the structure of the 2011 national art education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미술영재교육의 쟁점과 개선 방안 연구

        강주희(Joohee K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3

        본 연구는 미술영재교육의 쟁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쟁점 도출을 위해서 기존 미술영재교육 에 대한 이론적 배경 검토, 미술영재교육 실태 파악 등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영재교육 전문가 집단 을 구성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미술영재교육을 5년 이상 담당한 교사 2인, 미술영재교육 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 2인, 영재교육 전문가 1인으로 구성하였고, 인터뷰 분석 결과를 검토하기 위해서 전문가 협의회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쟁점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1) 미술영재성에 대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논의 및 합의, 2) 미술영재교육의 정당화 및 시기에 대한 합의, 3) 미술영재선발의 표준화와 현장성 간의 균형, 4) 미술영재교육의 특수성 에 대한 이해와 공감, 5) 소외계층 미술영재 선발 및 교육 방안 재고, 6) 미술영재 담당 교사 전문성 제고 및 처우 개선과 같은 6가지 쟁점과 개선 방안이 도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ssues in education for the artistically gifted students and draw directions for improvement. For this, I reviewed theoretical backgrounds, researched the field of education for the artistically gifted students and interviewed the expert group. The expert group consisted of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been in charge of the gifted education more than for five years, two school teacher, two experts who have research experience in the gifted education in art, and one gifted education expert. As a result, 1) a clear and specific discussion and consensus on artistically giftedness, 2) agreement on the justification and timing of gifted education in art, 3) the balance between the standardization of selection methods and reflection of site needs, 4)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ity of the gifted education in art, 5) the selection and education of disadvantaged and gifted students in art, and 6)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and treatment of art gifted teachers were identified as issues and challenges for the gifted education in art.

      • KCI등재

        반성적 교사교육의 가능성 탐구 : 「초등디자인교재연구」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강주희(Kang Joo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이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와 학교 교육의 위기 속에서 교사의 전문가로서의 성장을 지원하는 반성적 교사교육 가능성 탐구를 위해 실행되었다. 반성적 교사교육은 반성적 실천가 육성을 목표로 교사의 반성적 역량과 실천적 지식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반성적 교사교육의 의미와 방법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바탕으로 S교육대학교 「초등디자인교재연구」수업을 계획·실행하였다. 수업은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진행하였고 추가 자료 수집 및 분석은 7월부터 12월까지 이루어졌다. 주별 강의주제는 디자인 교육에 필요한 이론을 중심으로 구성하되, 수업의 방식을 탐구과제, 실습 및 체험, 수업 연구 등으로 다양화하여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도록 촉진하였다. 그 결과 실제와의 연결을 통한 지식의 재구성, 학습공동체 형성 및 확산, 탐구-실습-수업 연구를 통한 실천적 지식 형성, 전문가로서의 성장 등의 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that supports to teachers’ growth as a professional.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aims to foster teachers reflective competence and practical knowledge in order to cultivate reflective practitioners. For this purpose, as a researcher and professor I planned and implemented Materials Study for Elementary Design Education class at 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about meaning and method of reflective teacher education. The topics of each lecture were composed mainly of theories required for design education in general, and the methods of teaching were diversified into inquiry tasks, hands - on experiences, field trip experiences, and class researches to promote the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s. As a result, I could confirm the reconstruction of knowledge through connection with their live experiences, formation of learning community and sharing of the results, cultivation of practical knowledge through inquiry - practice - class research, and their growth as professional.

      • KCI등재

        국가 수준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재구조화 방안 : 캐나다 B.C.주 시각 예술 교육과정 설계 모델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정효(Jeonghyo KIM),강주희(Joohee K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8

        본 연구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해 중심 교육과정 이론에 근거하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구성의 적절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개념 중심 교육과정에 근거한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British Columbia, 이하 B.C.)의 시각 예술 교육과정을 선정· 분석하여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미술과의 독자성을 확보하고 교과의 성격을 명료 하게 보여줄 수 있는 내용 체계를 구축하고, 학년 군별 빅 아이디어를 제시하되, 학습이 반복 심화될 수 있는 나선형 교육과 정으로 전체 미술과 내용을 체계화하고 내용 요소 간 연계와 위계를 구조화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system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it. To this end, we critically review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2015 revised art and curriculum content system based on understanding by design theory and analyzed visual arts curriculum in British Columbia, Canada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oriented curriculum. As a result, a cont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clearly show and secure the identity of art subject by systematizing the entire art curriculum content as a spiral curriculum. It could make learning repetitively deepened and linkages and hierarchies between elements of curriculum content could be struct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