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도라지 추출액과 한약재 함유 도라지 추출액에 의한 면역세포 활성 표지유전자 발현 분석

        강신애(Shin Ae Kang),전성식(Sung Sik Chun),강신권(Shin Kwon Kang),정영철(Young Chul Chung),전은우(Eun Woo Cheon),조상욱(Sang Uk Cho),정경화(Kyung Hwa Jung),안순철(Soon Cheol Ahn),유학선(Hak Sun Yu)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5

        초롱꽃과에 속하는 도라지는 항염증, 항산화, 항암작용뿐 아니라 간기능 강화에도 작용하여 한방에서 만성염증성 질환의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46.7 세포와 비장으로부터 분리한 T세포에서 도라지 추출액(CC), 도라지 추출물이 함유된 활맥단 추출액(HWAL, 도라지 82% 함유) 및 맥환추출액(MAEK, 도라지 7% 함유)을 처리하여 대식세포와 T세포의 활성과 관련 있는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면역증진 및 항염증 효과를 real-time RT-PCR 기법을 통해 확인해 보았다. 그 결과, 활성화된 T세포에서 많이 발현되는 c-fos (10배 이상), CD40L 유전자(6배 이상)의 경우, 맥환 추출액 처리군에서 가장 높은 발현이 유도되어 면역활성 효과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도라지 추출액과 활맥단 추출액의 경우도 c-fos 유전자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지만 미약하였고, CD40L의 경우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도라지 추출액을 처리한 군에서 면역활성을 유도하는 M1 대식세포에서 많이 발현되는 iNOS 유전자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반면에 활맥단 추출액을 처리한 대식세포는 M2 표식인자인 Ym1, arginase1 (ARG1) 유전자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결론적으로 도라지가 다량 포함된 맥환 추출액은 면역활성을 유도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며, 도라지 함유가 적게 포함된 활맥단 추출액은 항염증 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xtra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have been reported to show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anti-metastatic,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cell activation and M1/M2 differential macrophage activation by extracts of P. grandiflorum or P. grandiflorum containing various medicinal herbs. Using real-time RT-PCR, we analyzed expression levels of c-fos, and CD40L(T-cell activation markers) in splenocytes and iNOS, Ym1, and ARG1 in RAW 246.7 cells after treatment of CC (hot water extract of P. grandiflorum), MAEK (hot water extract of P. grandiflorum [82%]and six different plants), and HWAL (hot water extract of P. grandiflorum [7%] and eight different plants. The results showed that MAEK significantly elevated the expression of T-cell activation markers of splenocytes, with the c-fos gene activated more than 10-fold and the CD40L gene activated more than 6-fold. Although CD40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CC and HWAL, the increase was only about 2-fold. In addition, CC and HWAL did not significantly activate the expression of the c-fos gene. On the other hand, CC elevated the M1 activation marker iNOS, and HWAL elevated the M2 activation marker Ym1 and ARG1 gene expression. In conclusion, MAEK could be used as an immune stimulant because of its ability to activate T cells (elicited c-fos and CD40L gene expression), whereas HWAL could serve as an anti-inflammatory agent because of its differential activation of M2 macrophages.

      • KCI등재

        국제경제 : 한국기업의 배당과 투자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력 연구

        강신애 ( Shin Ae Kang ),민상기 ( Sang Kee Min ) 국제지역학회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2

        본 논문은 외국인투자자가 국내 기업의 배당과 투자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2001년에서 2008년까지 거래소에 상장된 12월 결산 비금융업체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외국인투자자의 경우 배당성향을 증가시켰으나 이러한 경향은 최근으로 올수록 약화되었다. 또한 투자목적을 구분한 경우 기업의 배당성향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외국인 투자자들의 지분이 증가할 경우 고정자신증가율과 유형자신증가율로 본 설비투자는 감소하였으며 5%이상 외국인 투자자와 경영참가목적 외국인 투자자의 경우 연구개발비율에서 유의한 양(+)의 계수값을 보였다. 또한 5%이상 외국인 투자자의 영향력은 경영참가목적 외국인 투자자에 의해 주도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과 기업의 배당 의사결정 간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하기 위해 HT-IV/GLS 방법을 선택한 결과와 회귀분석, 고정효과 모형 간에 계수 값의 크기와 유의성에 차이가 있어 내생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알려주었다. This paper investigates empirically the impact of foreign investors on a firm`s dividend and investment decision making in Korean stock market. Empirical results using the sample firms in non-financial firms listed in Korean stock market whose settlement month are December, we find that foreign investors who declared participation in management didn`t exert significant impact on dividend increase. In the case of investment, foreign investors exerts significant impact on R&D investments. Using Hausman-Taylor Instrumental Variable method, we controlled endogeneity problem related with foreign ownership and dividend and in vestment policy.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hat the purpose of foreign investors whether or not participate in management is the most critical point and the impacts of foreign investors on dividends and investment are different whether they participate in management or not.

      • KCI등재

        외국인투자자의 중국상업은행 투자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강신애 ( Shin Ae Kang ),설원식 ( Wok Sik Sul ) 국제지역학회 2011 국제지역연구 Vol.15 No.1

        This paper examines what factors contribute to the entry of foreign investors to Chinese commercial banks from 1996 to 2008. Empirical results show that using survival analysis, size, liquidity ratio and non-interest incomes are important to foreign investors. This indicates that as Chinese banking system opened, foreign investors invest in bigger but financially weak banks. For Joint-Stock commercial banks, foreign investors invest in banks whose asset qualities and non-interest incomes are low. But for City commercial banks, foreign investors invest in banks that are big but have low liquidity ratios. This results indicate that because City commercial banks operate in only one city, foreign investors require minimum bank size to operate in that city.

      • KCI등재
      • 소유지배괴리도와 기업의 지급정책

        강신애 ( Shin Ae Kang ),최향미 ( Hyang Mi Choi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3 기업경제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기업소유지배구조가 기업의 지급정책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고 2001~2009년까지 유가증권에 상장된 대규모기업집단소속 비금융업체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업소유지배구조 중 지배주주의 소유권과 지배권의 차이인 소유지배괴리도를 살펴봄으로써 지배주주의 이익유용가능성이 지급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소유지배괴리도는 배당성향과 유의적인 음(-)의 관계가 발생하였으나, 자사주취득과는 유의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소유지배괴리도는 당기순이익 중 주주에게 지급되는 총지급금액(보통주현금배당금과 자사주취득금액의 합계액)과 유의적인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소유지배괴리도와 총지급금액 중 보통주현금배당금의 비중인 현금배당비율과는 유의적인 음(-)의 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소유지배괴리도가 높은 경우 주주에게 지급가능한 금액 중 현금배당은 줄이고 자기주식취득을 많이 하여 지배주주의 기회적인 이익추구가 발생하였다. Using a panel sample of listed non-financial companies of the Korean large business conglomerates during 2001~2009,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on dividend payout policy.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ownership disparity and dividend payout policy in seeking to explore the likelihood of controlling shareholders’ expropriation.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trol-ownership disparity h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dividend payout ratio, whereas the dispar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repurchasing treasury stock. Second, the disparity is negatively related to total payout - the sum of dividends and repurchases. Third, we find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arity and the ratio of regular cash dividends on common stock.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controlling shareholders’ opportunistic expropriation is likely to occur by preferring repurchases over cash dividends in the companies with high control-ownership dispari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외환위기 이후 외국자본이 유입된 은행의 특성 및 성과 분석 -아시아 5개국을 대상으로-

        민상기 ( Sang Kee Min ),강신애 ( Shin Ae Kang ),설원식 ( Won Sik Sul ) 국제지역학회 2007 국제지역연구 Vol.11 No.1

        본 논문에서는 1997년 외환위기를 겪었던 한국,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5개국 은행산업을 대상으로 외국자본이 현지국 은행시장에 진입할 때 어떤 특성을 가진 은행들을 인수하는가와 외국자본 유입이 해당 은행의 경영성과를 유의적으로 개선시켰는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인도네시아에서는 비이자수익 비중이 높을수록 외국자본에 M&A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나머지 4개국에서는 예대마진이 크고 유동비율이 낮은 은행들을 외국자본이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외국자본이 유입된 은행들은 순이자마진을 증가시키면서 성과를 개선시킨 것을 발견했다. 외국자본의 M&A 이전과 이후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외국자본 유입 이후에는 높은 자기자본비율과 낮은 유동성 비율이 경영성과 개선에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what factors attract foreign capital most when investors enter that capital into the banks of a particular host country, and whether foreign ownership offers significant improvements on bank performance for a sample of commercial banks operating in Korea, Thailand, Indonesia, Malaysia and The Philippines, all of which suffered during the Asian Economic Crisis of 1997 for an approximately ten-year period dating from 1995 to 2005. Our empirical result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the banks who had high non-interest income have a strong possibility of entering into M&As by means of foreign capital in Indonesia, while in the other four countries, the banks that have a high net interest margin and a low liquidity ratio were preferred. Moreover, the banks that were foreign-owned were shown to have improved overall performance by increasing net interest margin. After examining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performance of banks before and after M&As of foreign capital were entered into, we found that after the entry of foreign capital, a high return on equity (ROE) and a low liquidity ratio are the key variables for improving management performance.

      • KCI등재

        외환파생상품사용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전상원(Sang-Won Jeon),강신애(Shin-Ae Ka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3

        환경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커진 상황에서 기업의 위험관리가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기업의 외환파생상품사용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비금융업종 기업을 대상으로 2002년부터 2007년까지 패널회귀분석방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기업의 외환파생상품사용이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분석기간을 2002년에서 2004년, 2005년에서 2007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환율이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던 2002년에서 2004년에서는 외환파생상품사용과 기업가치간 유의적인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환율의 변동성이 확대된 2005년에서 2007년기간동안 공정가액으로 측정한 경우 외환파생상품사용은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계약가액으로 측정한 경우 외환파생상품사용은 기업가치에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미쳤다. 외환파생상품의 사용 측정치에 따라 상반된 결과가 나타난 결과는 공정가액과 계약가액의 측정치 특성 때문으로 사료된다. 통제변수 중 지배주주와 외국인대량지분투자자는 기업가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Under conditions of increasing environmental uncertainty, firms’ risk management becomeimportant.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foreign currency derivative usage on firm valueusing 3,004 Korean non-financial firms from 2002 to 2007.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currencyderivative usage and firm value for the whole period and from 2002 to 2004 when exchange ratewas relatively less volatile. But form 2005 to 2007 when exchange rate was volatile, foreigncurrency derivative usage gave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firm value, whereas whencontract value was used, the relatinship was significantly positive. These results might be comefrom the characteristics of contract value and fair value of foreign currency derivatives. increased firm value when contract value was used as foreign currency derivative usagemeasure. But when fair value was used, there was no significance. For control variables, majorshareholders ownership and foreign blockholders own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with firm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