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대중문화론의 토대 놓기

        강성영(Kang Sung-Young) 한국신학연구소 2006 신학사상 Vol.0 No.133

        본 논문은 "문화의 시대"라고 일컬어지는 21세기를 지배하는 대중문화의 성격과 의미를 규명하고 이를 평가하며 올바른 실천의 방안을 기독교윤리학적 관점에서 다루는 것이다. 문화는 인간의 의식과 활동의 산물인 동시에 삶의 가치와 의미가 생산되고 실천되는 자리이며, 인간이 그 속에서 자연과 더불어 세계와 소통하는 일정한 관계의 그물이다. 따라서 인간의 삶을 구성하는 문화의 성격과 기능에서 보면 문화에 대한 선험적이고 규범적인 정의는 적절하지 않다. 그래서 필자는 이 논문에서 기독교인의 문화 이해와 문화 실천에서 올바른 태도를 모색하고, 어떻게 진정한 문화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형성하며, 진선미의 이상과 삶의 의미를 실현할 것인가에 대한 기독교대중문화론의 토대를 놓으려는 시도를 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먼저 대중문화에 대한 기독교적 태도를 배격, 변혁, 그리고 무비판적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정리하고, 이러한 기존의 입장이 문화의 본질과 패턴을 올바르게 이해하지 못하였음을 밝혔다. 그리고 나아가 리처드 니이버(H. R. Niebuhr)의 "그리스도와 문화"의 유형론적 이해를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로써 문화를 이해하는 적절한 방법으로 "문화에 응답하는 그리스도" 라는 대화 모델을 제시하였다. 신학의 주제는 일상적인 삶을 포괄하는 것이며, 대중문화가 일상적 삶을 지배하는 것이기에, 당연히 대중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이 요청된다. 문화를 부정하는 극단적 평가나, 문화에 순응하고 동화하는 태도나, 또 문화를 단순히 변혁의 대상으로 보는 입장도 현대 문화를 보는 을바른 태도가 아니라고 본다. 또한 기독교대중문화론은 단순한 문화 비평이 아니며, 문화 연구의 단순한 수용도 아니고, 교회의 올바른 문화 실천과 문화 반성을 지향한다. 기독교대중문화론은 현대 문화와의 비판적 대화의 원리에 정초하여, 생명과 해방과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문화 실천을 추구한다. This paper clarifies the character and the meaning of the popular culture which rules over the 21st century called as ""the generation of culture"" and evaluates them and then deals with the methods of proper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ethics. Culture is the product of consciousness and activity of human beings a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place of producing the value and the meaning of life, and it is the net of a certain relationship in which human beings communicate with the world and the nature. Therefore, in the view of the character and the function which make up the life of human beings, the transcendental and normative definition does not fit to the culture. This is the reason that this paper tries to find a proper attitude in Christian"s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of culture, and tries to make the foundation for the Christian theory of the popular culture about how to form the view of the value and the world of real culture and how to realize the ideal of the true, the good, and the beautiful and the meaning of life. For this purpose, first of all, this paper summarizes the Christian attitude of the popular culture as the perspective of rejection, transformation, and uncritical reception, and then proves that this attitude did not understand the essence and the pattern of culture properly. Furthermore,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typological understanding of "Christ and culture" of Richard Niebuhr. As the result, this paper suggests a communication model, that is, "Christ who responds to the culture" as a proper method to understand the culture. Because the theme of theology includes Everyday-life and the popular culture rules over Everyday-life, it is natural to request to understand the popular culture correctly and observes critically. The extreme evaluation denying the culture, the attitude of adjusting and assimilating to the culture, or the position seeing the culture simply as the object of reformation are not the proper attitude to look at the modem culture. A Christian theory of the popular culture is not simply a cultural criticism or is not a simple reception of cultural studies. It moves toward a proper cultural practice and cultural reflection of the church. A Christian theory of the popular culture pursues the cultural practice to promote the life, the liberation, and the well-being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critical dialogue with the contemporary culture.

      •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나라의 평화 ― 기독교 평화윤리의 토대 놓기

        강성영(Sung Young Kang) 혜암신학연구소 2018 신학과교회 Vol.9 No.-

        이 논문은 “예수와 하나님 나라의 평화”라는 주제 하에 기독교 평화윤 리의 토대를 놓기 위해 평화윤리의 성서적 신학적 근거를 찾고,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와 세계의 평화를 실현하기 위한 교회의 선교적 과제를 모색하였다. 평화윤리는 산상설교의 반명제인 폭력의 포기와 원수 사랑의 계명, 예수의 윤리에 성서적 토대가 있고, 하나님 나라의 도래에 대한 예수의 선포에서 나타난 종말론적 윤리에 신학적 근거를 가진다. 기독교 평화윤 리의 수립을 위한 성서적-윤리적 토대 놓기를 통해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평화는 가능하다. 2) 평화 건설은 폭력 사용의 포기와 원수에 대한 적대감의 극복과 화해를 통해 가능하다. 3) 평화 건설은 하나님 나라의 희망을 통해 동기화되고, 현실화되며, 완성된다. 4) 평화는 정의와 결합되어 구조화된 폭력을 제거하고 삶을 온전하게 회복하는 정의로운 평화가 되어야 한다. 오늘 한국 사회와 교회의 현실에서 당면한 평화의 과제는 두 가지이 다. 하나는 오래된 남북의 갈등과 적대를 종식하고, 화해와 평화의 길을 열어가는 가운데, 한반도의 비핵화를 이루어 평화체제를 정착하는 일이 다. 다른 하나는 한반도의 평화를 넘어 세계의 평화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교회에 주어진 평화의 위임과 책임을 감당하는 일이다. This essay seeks under the theme of “Peace of Jesus Christ and the Kingdom of God” the biblical theological basis of Christian Peace-Ethics. Based on this, we sought the missionary task of the church to realiz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world. Peace ethics has a biblical foundation in the abandonment of violence and the commandment of Enemy-love and the preaching of Jesus to the coming of the Kingdom of God. The conclusion is as followings. 1) Peace is possible. 2) Peace building is possible only through abandonment of violence use, overcoming the hostility against enemy, and reconciliation. 3) Peace building is motivated, realized, and completed through the hope of kingdom of God. 4) Peace must be combined with justice to be a just-peace that removes structured violence and restores the integrity of life. Today, there are two kinds of missions of peace in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One is to settle the peace system by denuclearizing the korean peninsula, ending the conflicts and hostilities and opening the way of reconciliation and peace. The other is to fulfil the delegation and responsibility of peace given to the church to do for the peace of the world.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의 타자의 윤리 : 본회퍼와 레비나스를 중심으로 살펴본 혐오 극복의 윤리학

        강성영(Sung-Young Kang),이상철(Sang-Cheol L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4

        코로나19를 통해 드러난 타자에 대한 배제와 혐오의 문제는 국내외적으로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 그것은 북미에서는 아시안 혐오의 형태로 나타났고, 국내에서는 중국인 혐오, 신천지 혐오, 동성애자 혐오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코로나19 시대 등장한 혐오를 극복하기 위한기독교 윤리를 모색한다. 본문은 크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코로나19를 둘러싼 혐오의 현상학을 살필 것이다. 코로나19 이후 미국과 한국에서 등장하는 혐오 현상들에 대한 분석을 한 후에 무엇이 그것을 가능하게 했는지에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본론의 두 번째와 세 번째 장에서는 타자의 윤리학을 대표하는 유대계 철학자 레비나스와 기독교 신학자 본회퍼를 초대한다. 그들을 통해 코로나19와 더불어 도래한 혐오의 시대를 거슬러 올라가는 타자의 윤리에 대한 지혜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독교 윤리의 관점에서 “코로나19 시대 타자의 윤리”를 정초하는 하는 내용이 결론부에서 펼쳐질 것이다. 코로나19는 백신이 보급되면서 점차 수그러질 수 있겠으나, 이와 유사한 인수 감염병(zoonoses)은 앞으로도 계속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등장하면서 인류를 위협할 것이다. 그때마다 감염병의 창궐로 인한 사회적 혼란을 상쇄시키고자 누군가를 희생시키는 혐오의 정치학이 등장할 것이고, 그때마다 공동체는 갈등과 아픔을 경험할 확률이 높다. 본 논문에서 말하는 ‘타인의 윤리학’이 우리 사회가 비상사태의 상황에 빠졌을 때 타자에 대한 관심과 배려의 시각을 제공하고, 사회적 약자와 타자에 대한 무비판적 혐오와 폭력 앞에서 우리에게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 간절하다. The issue of exclusion and hatred of others revealed through COVID-19 is becoming a serious social problem at home and abroad. Disgust has been expressed in North America at the abomination of Asian hatred, and in Korea as hatred of Chinese, a loathing of Sincheonji (one of the heresies of Protestant sects) and homosexual hatred. This paper seeks a Christian ethics to overcome the hatred that has emerged during the COVID-19 era. This article consists of three main parts. First of all, we will look at the phenomenology of hatred surrounding COVID-19. After analyzing the hate phenomena emerging in the U.S. and South Korea after COVID-19, we discuss what made it possible. In the second and third sections of the paper, we investigate the insights of the Jewish philosopher Levinas, who represents the ethics of others, and of the Christian theologian Bonhoeffer. Through them, we seek to promote wisdom about the ethics of others, dating back to the age of hatred that came with COVID-19. Based on this research, we conclude that the “ethics of others in the era of COVID-19” are based on Christian ethics. While COVID-19 may gradually abate as vaccines become available, similar cases of zoonoses will continue to emerge repeatedly in the future, threatening humanity. Each time, there will be a political science of hatred that sacrifices someone to offset the social chaos caused by the outbreak of infectious diseases, and each time, the community is likely to experience conflict and pain. We sincerely hope that the “ethics of the Other” in this paper will provide a view of interest and consideration for others when our society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provide us with opportunities for reflection in the face of uncritical hatred and violence against the socially disadvantaged.

      • KCI등재
      • KCI등재

        소비사회의 인간 이해 : ‘광고’를 통해 본 욕구와 한계의 변증법

        강성영(Kang Sung-You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7 신학사상 Vol.0 No.138

          우리는 소비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다. 소비주의는 소비사회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이다. 오늘의 문화 담론의 가장 중요한 주제인 대중문화는 대중적 욕망과 소비에 기초해 있는 상업적 소비문화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소비사회의 은밀한 신화와 이데올로기를 비판하고, 진정한 인간적 가치와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해서 신학과 대중문화, 특히 광고와 대화하고자 한다.   소비사회는 의식주의 기본적인 필요를 넘어서 “잉여와 사치”를 추구하는 소비자본주의 사회를 가리킨다. 소비사회를 이끌어 가는 것이 광고이다. 광고는 매체를 통해 소비대중의 허구적 소비욕구를 재생산한다. 대중은 광고를 통해 현실세계의 불만족을 느끼고 또 다른 욕구를 가지게 된다. 상품의 소비를 통해 채워지지 않는 불만족은 인간을 과영실제(hyper-reality)에 대한 욕구의 노예가 되게 만든다. 상품의 가치가 인간적 가치보다 중요한 것이 된다. 더 나아가 소비사회는 양극화를 통해 불평등과 사회적 재앙을 산출하고 인간의 무절제한 욕구의 추구로 인해 환경적 재앙을 야기한다.   소비사회의 인간은 본회퍼(D. Bonhoeffer)의 ‘창조와 타락’에서 보면 ‘신과 같이 되려는’ 인간이다. 욕구에 사로잡혀 주어진 한계를 알지 못하는 인간이다. 그는 피조성을 부정하고 동료인간을 자신의 욕망의 도구로 삼는다. 오늘날 소비주의는 하나의 신앙이며 종교다. 죄란 자본이 인격화되고 시정이 신성화되어 인간이 상품과 교환되는 가치 전도(顚倒)이고, 이것을 조장하는 소비주의가 바로 악이다.   광고는 소비주의의 전달자이고 소비사회의 신화를 생산한다. 따라서 이데올로기비판의 관점에서 볼 때 광고는 대중의 허위의식을 체계적으로 조장함으로써 대중을 상품과 문화의 진정한 향유로부터 소외시킨다. 따라서 광고비평은 문화읽기이며 동시에 이데올로기비판이다. 인간의 삶에 작용하는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인 광고를 비판적으로 대화하는 것은 현대신학의 중요한 과제이다. 이것을 통해 우리는 반물신적 신학과 타자에 대한 관심과 배려의 윤리를 모색할 수 있다. 또한 광고와의 비판적 대화는 교회의 선교적 과제이기도 하다. 설득커뮤니케이션으로서 광고와 교회의 선교적 커뮤니케이션은 경쟁관계에 있다. 그러므로 오늘의 교회는 대중에게 친밀하고 신뢰받고 사랑받을 수 있는 영성 마케팅을   We live in consumer society. Consumerism is the dominant ideology of consumer society. Popular culture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heme of today"s culture discourses can be the commercial consumer culture which is based on public desire and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for criticizing secret myth and ideology of consumer society and for making a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popular culture, especially commercial advertisement to seek the true human value and the meaning of life.   Consumer society is about the society of consumer capitalism which pursues "surplus and extravagance" beyond the basic need of food, closing, and housing. It is commercial advertisement which leads consumer society. Commercial advertisement reproduces false consuming desire of the consumer public through media. The public feels dissatisfaction in the real world because of commercial advertisement and starts to have other desires. The dissatisfaction which can not be filled with consuming products makes a human being be a slave who has a desire for hyper-reality. The value of product is more important than the human value. Further more consumer society produces unequality and social disaster through bi-polarization and brings environmental disaster caused by the pursue of human being"s uncontrolled desire.   The human being of consumer society is a human being who "wants to be God" in "Creation and Fall" written by D. Bonhoeffer. This human being does not know given limitation being caught by desires. He denies the identity of creature and uses other human beings as the means of own desire. Nowadays consumerism is faith and religion. Sin is overturning value which exchanging a human being with a product after capital is personalized and market is worshiped. Consumerism that stimulates this is evil.   Commercial advertisement is a messenger of consumerism and produces the myth of consumer society. Therefore from the

      • KCI등재
      • KCI등재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목사후보생 교육의 현주소와 미래

        강성영(Sung Young Kang)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09 신학연구 Vol.54 No.-

        The present article is to reflect the purpose of theological education of Hanshin Theological Seminary historically, and suggests the main focus on its education for ministerial candidates and its direction. Chosun theological seminary started in 1940 with two purposes: subjectivity, that is to raise Korean ministers who would lead Korean churches, and globalism, that is to train leaders who would serve the world. The milestone of theological education is God’s mission and progressive theology, and ecumenical theology. After the establishment of Hanshin Graduate School of theology, Hanshin attempted to balance between academism and practice in ministry. The curriculum for ministerial candidate needs to focus on the programs in ministry, and recover the reform church tradition, and seeks publicity of theology so that they would the leader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in the future. And concretely, it needs to specialize and expand theological education, deepen spirituality, and develop leadership. For developing leadership, three are suggested: First is to develop ecumenical leadership that understand the current agenda such as peace, human right, ecology, women, religion and culture and capable to deal with the issues. Second is to develop cultural leadership that understand modernity and culture and obtain cultural literacy of media and technology. Third is servant leadership that participate in public welfare both in local and global. For this, curriculum needs to include practical field works, such as volunteer work for disabilities and site visitation that conflicts and fights.

      • KCI등재

        고추를 가해하는 담배나방[Helicoverpa assulta (Guenée)]의 효과적 방제를 위한 쌀좀알벌(Trichogramma evanescens Westwood)과 미생물제제의 종합생물방제 효과

        김근섭,허혜정,박정아,유용석,함은혜,강성영,권기면,이건형,김용균,Kim, Geun-Seob,Heo, Hye-Jung,Park, Jung-A,Yu, Yong-Suk,Hahm, Eun-Hye,Kang, Sung-Young,Kwon, Ki-Myeon,Lee, Keon-Hyung,Kim, Yong-Gyu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7 No.4

        Due to internal feeding behavior,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Guen\acute{e}e$), infesting hot pepper has been regarded to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targeting egg and neonate larval stages just before entering the fruit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fficient biological control method focusing on these susceptible stages of H. assulta. An egg parasitoid wasp, Trichogramma evanescens Westwood, was confirmed to parasitize the eggs of H. assulta. A mixture of Gram-positive soil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and Gram-negative entomopathogenic bacterium, Xenorhabdus nematophila ANU101, could effectively kill neonate larvae of H. assulta. A sex pheromone trap monitored the occurrence of field H. assulta adults. The microbial insecticide mixture was proved to give no detrimental effects on immature development and adult survival of the wasp by both feeding and contact toxicity tests. A combined treatment of egg parasitoid and microbial pesticide was applied to hot pepper fields infested by H. assulta. The mixture treatment of both biological control agent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ruit damage, which was comparable to the chemical insecticide treatment, though either single biological control agen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ntrol efficacy. This study also provides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s of T. evanescens. 고추를 가해하는 담배나방(Helicoverpa assulta ($Guen\acute{e}e$))의 최적 방제 적기는 과실 내부로 침투하기 이전 시기인 알과 어린 유충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담배나방의 이러한 감수성 발육시기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 생물적 방제 기술을 개발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쌀좀알벌(Trichogramma evanescens Westwood)은 알기생봉으로 담배나방 알도 기생시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관찰되었다. 그람양성균인 토양 곤충병원세균(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과 그람음성균인 곤충병원세균(Xenorhabdus nematophila ANU101)은 어린 담배나방 유충을 대상으로 상호 협력적 병원력을 발휘하였다. 고추 포장의 담배나방 성충 발생은 페로몬트랩을 통해 모니터링하였다. 혼합 미생물제제는 접촉과 섭식 독성 분석 모두에서 쌀좀알벌의 유충 발육과 성충 생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담배나방 성충 발생이 성페로몬 트랩으로 확인된 시기에 고추포장에 쌀좀알벌과 미생물제제의 혼합 처리가 실시되었다. 혼합 생물방제 처리는 화학농약과 비슷한 수준으로 과실의 피해를 현저히 감소시킨 반면, 단독 생물방제 처리는 효과가 현저히 낮았다. 아울러 본 연구는 쌀좀알벌의 형태적 및 유전적 특징을 분석했다.

      • KCI등재

        알기생봉(Trichogramma sp. Nabis101)의 저온 발육 휴지와 단기 저장 기술

        김용균,허혜정,김근섭,함은혜,김지원,강성영,권기면,Kim, Yong-Gyun,Heo, Hye-Jung,Kim, Geun-Seob,Hahm, Eun-Hye,Kim, Ji-Won,Kang, Sung-Young,Kwon, Ki-Mye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8 No.3

        상용화된 Trichogramma sp. Nabis101은 알 기생봉으로 대상 기주 범위가 넓어 해충 방제용으로 농생태계에 방사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 미생물농약과 혼용 기술이 개발되어 이들의 적용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 기생봉의 정확한 종 동정이 되어 있지 않다. 또한 비교적 불규칙적 수요에 대응하여 생존력과 기생 능력 차이 없이 기생봉을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기생봉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이 기생봉의 종 동정을 실시한 결과 T. brasiliensis와 가장 높은 유사성을 나타냈다. 이 기생봉의 저장은 기생 초기의 기주 알을 $10^{\circ}C$에서 보관하는 기술이 결정되었다. 이 조건에서 기생봉은 5주 동안 생존력, 성비, 수명 및 기생능력의 큰 저하 없이 유지될 수 있었다. A commercial egg parasitoid, Trichogramma sp. Nabis101, was released into agricultural cultivating areas in Korea due to its wide host spectrum against insect pests. Moreover, an application technique has been recently developed to enhance its control efficacy by mixture treatment with a microbial control agent. Despite its expansion of commercial availability, any genetic identification on this commercial strain was not determined. Also, to meet inconsistent demands from consumers, the live parasitoids need to be stored without significant loss of their survival and parasitic activity. This study determined nucleotide sequence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of the wasp species. The identified ITS sequences indicate that this wasp species is most similar to T brasiliensis. Optimal storage condition of this wasp required young parasitized stage at $10^{\circ}C$. Under these conditions, survival, sex ratio, longevity, and parasitic behavior were not much impaired for 5 wee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