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한국 에큐메니칼 운동의 전통과 신학적 유산

        박재순(Park Jae-Soon) 한국신학연구소 2005 신학사상 Vol.0 No.128

        이 글에서 나는 한국 에큐메니칼 운동의 전통과 신학적 유산을 밝히려 한다. 기독교는 처음부터 교회와 세상의 일치를 추구했고 이 일치는 평화와 정의를 내포한다. 일찍이 신약성서는 온 피조세계와 우주만물의 화해와 일치를 말했는데 세계 에큐메니칼 운동에서는 최근에 창조세계와 우주만물의 일치를 말하게 되었다. 한국 기독교는 동서문명의 창조적 만남과 융합의 과정으로서 생겨났고, 역사와 사회의 중심과 전면에 나서는 한국 민중은 기독교 신앙과 복음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조선왕조가 몰락하고 일제에 의해 식민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민주적인 현대국가를 건설하려는 민족지도지들, 안창호, 이승훈, 조만식, 유영모, 김재준, 함석헌 등은 기독교 교파와 종교들의 벽을 넘어 민족의 일치와 평화를 위해 헌신한 기독교인들이었다. 이들이 한국 기독교 에큐메니칼 운동의 선구자와 모범이 된다. 교회, 민족, 인류, 자연생명의 일치를 추구하고 세계평화의 비전을 제시하고 실천했던 김재준, 함석헌, 문익환의 삶과 사상에서 한국 에큐메니칼 운동의 전통과 신학적 유산을 확인한다. 김재준은 신학적 주체성, 생활 신앙, 역사 참여적 신학, 우주적 사랑의 공동체에 대한 비전을 제시했다. 함석헌은 한국 민족정신과 기독교 신앙을 결합함으로써, 풀뿌리 민주철학과 세계평화사상을 제시하고 민주화운동에 헌신했다. 문익환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인 의인론을 생명과 평화의 대통합 원리로 파악하고 민족통일, 인류통일, 생명통일의 길을 열기 위해 헌신했다. The writer tries to find the tradition and theological legacy of korean ecumenical movement. Christianity from the beginning seeks out the unity of church and world, that includes justice and peace. There are many sayings about the reconciliation and unity of whole creation and universe in New Testament. But WCC began to talk about the unity of creation and universe. Korean christianity came to be out of meeting and fusion of east and west civilization, korean minjung coming out at the center and front of history and society, accepted the gospel and faith of christianity actively. In the process of destruction of Chosen Dynasty and colonization of Korea by Japan, national leaders Ahn Chang Ho, Lee Seung Hoon, Jo Man Sik, You Young Mo, Kim Jae Joon, Ham Suk Hon are faithful christians, who dedicated themselves to the liberation, unification, democratization and peace of nation beyond the walls of denomination and religions. They are forerunners and examples of korean ecumenical movement. The writer finds out the tradition and theological legacy of korean ecumenical movement in the life and thoughts of Kim Jae Joon, Ham Sok Hon and Moon Ik Hwan, who were seeking after the unity of church, nation, human being and life of universe. They presented and practiced the vision of world peace. Kim Jae Joon tried to establish the authenticity of theology, faith of life, participation in history, community of cosmic love. Ham Sok Hon integrated korean spirit and christian faith, and dedicated himself to democratization movement. He presented philosophy of grassroots democracy and thoughts of world peace. Moon Ik Hwan, who understood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as the principle of great unification, dedicated himself to unification of nation, human beings and life of whole world.

      • KCI등재

        신적 폭력과 역사의 구원

        김기명(Kim Ki-Myoung) 한국신학연구소 2010 신학사상 Vol.0 No.151

        소위 ‘민주정부’ 10년의 경험 끝에 도래한 이명박 정부 하에서 우리는 촛불집회와 용산참사라는 커다란 ‘질문’을 만났다. 신학이 단지 교회라는 종교집단의 자기 해명의 담론이 아니라면, 우리는 이 질문 앞에서 응답해야만 할 것이다. 이러한 신학적 응답을 위해 이 글에서는 20세기 초엽에 세속적 ‘정치신학’에 대한 성찰을 본격적으로 열었던 발터 벤야민(과 칼 슈미트)을 검토하려 한다. 이 글의 전반부에서는 폭력과 주권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슈미트와 벤야민의 정치신학을 각각 ‘주권자의 정치신학’과 ‘메시아의 정치신학’이라는 이름으로 정식화하여 비교해 보려 한다. 그리고 후반부에는 신적 폭력의 논의와 결부된 벤야민의 역사의 구원에 대한 탐구를 다루어 볼 것이다. 칼 슈미트의 “정치신학”은 주권개념을 비상사태에 근거를 지운다. 주권자는 비상사태를 결정하는 자이다. 평화 시에도 주권자가 자신의 주권을 주장할 수 있는 이유는 그가 언제든지 비상사태를 선언할 수 있는 자라는 점에 있다. 주권자는 곧 세속의 ‘신’인 것이다. 벤야민은 슈미트의 정치신학의 논의를 깊이 성찰하고 받아들였지만, ‘역사’에 대한 사유를 통해 그것을 넘어선다. 억압받고 있는 자에게 비상사태는 상례이다. 그들에게는 매일의 삶이 예외적이고, 평화를 누리지 못하는 삶인 것이다. 때문에 벤야민의 과제는 이 상례화된 비상사태에 상응하는 역사의 개념에 도달하는 것이며, 그것은 곧 진정한 비상사태를 도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벤야민은 하나의 메시아적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역사의 변증법적 이미지”를 통해 그의 정치신학을 전개한다. In the opening of the 20th Century, the seculized political theology reached the point of its culminaiton by Carl Schmitt and Walter Benjamin. The first part of this thesis will compare and contrast the political theologies of schmitt and benjamin, especially related to the sovereign and the messiah, respectively. And the latter part will be focused on the examination of benjamin' s concept of the ‘salvation of history’coupled with divine violence. Schmitt bases his concept of the sovereignty on the state of emergency. Because the sovereign is who determines the state of emergency, he has capability of his sovereignty in ordinary times as well as in the state of emergency. In this respect, the sovereign is the secularized God. Even though Benjamin accepted and considered Schmitt’s thought seriously, he overcame that through the concept of the hi story of the oppressed. According to Benjamin, the tradition of the oppressed teaches us that the ‘state of emergency' in which we live is not the exception but the rule. Therefore, Benjamin realized that is his task to bring about the real state of emergency. For this purpose, he presented hi s political theology through the thought of “the dialectical images" that is a Messianic concept.

      • KCI등재

        [연구논문] 성령과 기(氣)의 에로스 : 「氣성령론」을 향하여

        신은희(Shin Eun-Hee) 한국신학연구소 2005 신학사상 Vol.0 No.128

        이 글의 목적은 서구 기독교의 성령 개념과 한국의 동학사상에 나타난 무속적 기 개념을 통하여 한국적 성령론인 「기성령론」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있다. 두 전통의 대화를 연결하기 위하여 슐라이터의 내적 문화화 (inter-culturation) 의 방법론을 통하여 한국 종교 문화 가운데 역사하는 성령을 새롭게 발견하고자 한다. 성령과 기의 종교철학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통하여 한국적 범재신론의 특성을 살펴보고 기성령론의 성서적, 신학적 준거를 제시한다. 기성령론은 기의 생명성, 치유성, 공동체성을 강조하며 신 중심적 성령론이 아니라 우주 신인론적 성령론으로 동양적 성스러움의 미학을 신학적으로 제시한다. 기성령론은 한국적 성령의 개념을 "생기" 에서 "신령"으로 확대하여 살아있는 영뿐 아니라 죽어 흩어지지 못하는 아픔의 영과 해원의 범위까지 포함하는 성령론으로 윤리적 실천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ove toward the reconstruction of a Korean panentheistic Ki-pneumatology through a dialogue with the Holy Spirit and Korean concept of Ki. Using Robert Schreiter's method of inter-culturation, the concept of the Holy Spirit and the Shamanic Ki will be explored in order to present a Korean Ki-pneumatology. The peculiar feature of this pneumatology is that it is centered on the idea of life, healing, community. The wholistic Spirit of the Ki-pneumatology permeates and activates all the processes of creaturely life and leads them beyond themselves in a process of synchronic spiritualization.

      • KCI등재

        [연구논문]신학과 심리학: 피스터(Oskar Pfister)와 투르나이젠(Eduard Thurneysen)을 중심으로

        최광현(Choi Kwang-Hyun) 한국신학연구소 2004 신학사상 Vol.0 No.127

        목회상담은 신학과 심리학이라는 두 개의 학문이 서로 만나 상호 긴장과 갈등, 그리고 보완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목회상담 안에서 본질적으로 다른 두 학문의 만남은 목회상담의 정체성의 논란으로 확대되기도 하며, 어떻게 신학적인 본질과 심리학적인 과학성이 동시에 유지될 것인지의 문제가 목회상담이 가진 근원적인 과제로 여겨진다. 신학과 심리학의 관계성에 대한 논쟁에서 이 둘의 관계에 대한 좋은 모범을 제시해 주는 목회상담학자가 있다. 바로 변증법적 목회상담의 대변자인 투르나이젠(E. Thurneysen)과 정신분석적 목회상담의 대변자인 피스터(Oskar Pfister)이다. 본 논문은 투르나이젠과 피스터의 신학사상과 심리학과 신학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오늘날 목회상담 안에서 계속 제기되는 심리학과 신학의 통합과 관계성에 대한 주제를 서술하고자 한다. 목회상담의 영역 속에서 심리학은 필요한 존재이며 그리고 신학과의 관계 속에서는 협력자로서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심리학과 신학의 만남은 교회의 목회적 사역 속에서 신학의 정체성을 확고하게 유지하게 하며 또한 인간 삶의 정황에 대한 이해의 학문인 심리학을 통해 인간 개개인에게 더욱 효과 있게 다가가며 그들의 문제와 상처를 치유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municate recent scholarly thinking on the interrelationslips of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concepts, and to consider the application of these concepts to a variety of professional settings. Can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modern psychology be integrated with biblical theology? This study explored the integration of psychology and theology from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s. Epistemological issues from the perspectives of Scripture, traditional psychology explored. In fact, Integrating theology and psychology is not a new concept. The earliest pioneers in this included Oskar Pfister, Eduard Thurneysen. They have constituted the model for much of the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psychology. Theological and psychological concepts can be fruitfully compared and mutually corrective, according to Pfister, Thurneysen's position.

      • KCI등재

        제 3세대의 토착화 신학에 있어서의 종교간 대화의 과제와 전망

        김진희(Kim Jin-Heui) 한국신학연구소 2010 신학사상 Vol.0 No.150

        본고는 토착화 신학 제 3세대 논의에 입각하여 오늘날에 있어서의 토착화 신학의 과제와 전망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본고는 토착화 신학의 신학적 전개 속에서 종교간의 대화의 측면에 주목하고, 그 중에서도 변선환의 종교간의 대화에 초점을 맞추어 토착화 신학에 있어서의 종교간의 대화가 무엇을 의미하며, 오늘날의 우리에게 어떠한 방향성과 과제를 부여하고 있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우선 토착화 신학에 있어서의 종교간의 대화의 의미를 세가지 측면에서 부각시키고, 이것이 변선환에게도 적용됨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변선환의 종교간의 대화의 두가지 축인, 야기 세이치(八木誠一)와 존 힉(John Hick)에 주목하여 각각의 신학의 특질을 검토한다. 또한, 변선환이 그 무게 중심을 야기로부터 힉으로 전환하게 되는 의미를 규명하고, 그 득과 실을 드러내겠다. 마지막으로 이와같은 검토에 근거하여 토착화 신학, 특히나 종교간의 대화에 있어서의 앞으로 과제와 전망을 필자의 입장에서 서술한다. This study intends to clarify The issues and views for third generation of korean Indigenous Theology. Especially focussing on religious dialog of Pyon, Sunhuan. It first focuses on what is religious dialog meaning for korean Indigenous Theology. Second, the paper reveals two backgrounds, Yagi seichi(八木誠一) and John Hick, of Pyon, Sunhuan's religious dialog, and analyzes there theological characters. Third, consideration is given to the meaning of change from Yagi to Hick. Finally, based on these aguments, it describes The issues and views for korean Indigenous Theology

      • KCI등재

        민족과 탈(脫)민족 논쟁의 시각에서 본 토착화 신학

        이정배(Lee Jung-Bae) 한국신학연구소 2010 신학사상 Vol.0 No.151

        본 논문은 현재 진행 중인 민족/탈민족 논쟁의 선상에서 한국 토착화 신학의 유효함과 가능성을 변증할 목적에서 쓰여졌다. 첫 장에서는 삼재론에 근거한 한국적 주체성이 타자를 부정하는 서구의 초월적 주체성은 물론 식민지 상황에서 생겨난 저항적 주체성과는 다른 것으로 세계성을 담보한 문화적 차원을 지녔음을 강조했다. 둘째 장에서는 A. 네그리의 『제국』이 비판하는 민족주의를 재비판하는 내용을 담았다. 마르크스를 포스트모던적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민족주의를 탈할 수 있다는 것의 논리적 억지와 현실적 한계를 적시한 것이다. 다음으로 J. 리프킨의 『유로피안 드림』의 내용을 네그리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즉 다양한 민족, 언어, 종교로 구성된 유럽 내에서 공통감에 근거한 유럽통합 이념과 통일헌법이 마련된 정황을 숙고하면서 민족개념과 아나키스트의 양자택일을 요구하는 네그리의 현실적 한계를 재론한 것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리프킨 역시 서구 중심적 한계를 노정하였기에 삼재론에 터한 한국의 문화적 민족주의의 빛에서 네그리의 다중개념과 다석 유영모의 얼 기독론을 접목하여 수행적(토착적) 기독교의 알짬인 ‘다중기독론’을 제시했다. 다중기독론 하에서 민족/탈민족 간의 소모적 논쟁을 지양하는 담론을 토착화 신학의 새 차원으로 적시한 것이다. This Article is aiming to stress on a usefulness & possibility of the Korean indigenous Theology beyond the debate between Nationality & Post-nationality. In first chapter, this article has focused on a cultural Horizon of Korean Subjectivity grounded the theory of three foundation(삼재(三才)론, which is different from a not only western transcendent subjectivity, but also a colonial subjectivity. Second chapter has concerned on the Analysis and Critic about the A. Negries <Empire>, which contents mainly are consist of a approval about the Post-nationalism. Because it is not impossible to liberate a Nationality from the point of post-modern reinterpretation about Marxism. In next chapter, we have introduced the J. Rifkins <European dream>, in which it matters the idea of Eropean Integrals(union). Although Europeans are consists of different nations, religions, and cultures, they created integrated nations as european dream on the grounded of the common sense. So it' s proved, it is not impossible to choose one between narionalism and anarchism according to A. Negries. Finally this Article has suggested a new discourse. Namely we have tried to reinterpret Negries ‘Minjung with Singularity’(다중(多衆)) ‘UI-Christology’ Dasuks(다(多)석(夕)). In this new term we expect to be overcomed the western debate between Nationalism & Post-nationalism.

      • KCI등재

        한국 교회의 유아기성에 대한 분석과 처방

        이오갑(Lee O-kab) 한국신학연구소 2013 신학사상 Vol.0 No.162

        이 글은 한국 교회의 문제를 유아기성에서 찾는다. 한국 교회가 유아기적인 이유는 프로이트의 관점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에 따르면, 신은 두려우면서도 매력적인 유아기의 아버지가 외부에 투사된 존재이다. 사람들은 그 신 앞에서 두려워하며 동시에 자신의 보호자의 역할을 맡기면서 의존한다. 그런 프로이트의 신이 바로 한국 교회의 하나님과 흡사하다. 한국 교회 역시 전능하고, 강하고, 두려운 하나님을 강조한다. 그 하나님에게 심판이나 처벌을 받지 않고, 그의 마음에 들려는 것이 한국 교회의 신앙의 동기이며 목표이다. 즉 불안이 신자들의 신앙의 동력이다. 그들은 불안하기 때문에 하나님을 떠나지 못하고, 하나님을 선포하고 대리하는 교회나 목사를 떠나지 못한다. 즉 자유가 없이 율법주의나 공로주의 신앙으로 빠져든다. 교회의 시선을 항상 의식하며, 자신 없이, 두려움으로, 또한 의무감으로 살아간다. 그런 식으로 그들은 자유인이나 주체가 아니라 교회의 종으로 예속되어 살아간다. 그런 한국 교회의 유아기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종교개혁 신학의 재발견과 수용이 필요하다. 특히 전능하신 하나님이 아니라 그리스도 안에서 낮아지신 하나님을 설교해야 하며, 그 그리스도를 믿음으로써 얻는 은혜의 구원론을 강화해야 한다. 그런 신학이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에 사로잡힌 율법주의적 신자들을 해방시켜서 자유를 주고, 한 주체로서 자유롭게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는 존재가 되게 한다. In numerous instances Korean Church has a problem in its being, because of its theology and spirituality that cause deformation or mal-formation of church's being. S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problem of being and to reestablish a theology that reforms Korean Church. I think that the problem of Korean Church consists in the infantilism whose reason is well explained in the perspective of Freud. According to him, the god is an extrinsically projected being of both fearful and fascinating father of the infancy. Men are afraid of the god, at the same time depend on him in entrusting the role of their own protector. Such god of Freud is very similar to the Korean Church' s God. Korean Church also emphasizes the almighty, strong and scary God. To avoid the judgement and punishment of such God, and to please him are motives of Korean Church's faith. In other word, the anxiety is the motive of the believers. They are too anxious to leave God and to the pastor who proclaims God and represents Him in the church. It means that there is neither freedom nor evangel. They are in plunged in the legalism and meritism. They live without confidence but with anxiety and obligation, in being always conscious of other' s eyes. In this case, they are neither personal subject nor free men but a kind of slave of the church. Consequently many kinds of stupid and dumfounded things occur frequently in the Korean Church: Privatization of the church, hereditariness of the senior pastor position, diverse egocentric behaviors, secularism, conformism, autism, separatism, neglect of the responsibility to the community etc. In order to solve such infantilism of Korean Church, it is necessary to rediscover and accept the theology of Reformation. Especially not almighty God but humble God who descended up to being a man in Christ must be preached. And it is very important to emphasize the salvation of grace by faith. Because suth theology liberates the legalistic believers from the anxiety of God and lets them to become the subjects who love God and their neighbors voluntarily. The existential theology in the Reformation is also important. It stands the believer directly in front of God, without intercession of the priests or of the church, and lets him realize the subject in relation with God.

      • KCI등재

        [연구 논문] 특이점 정리에 나타나는 은유의 여성신학 및 민중신학과의 접목

        이상성(Lee Sang-Sung) 한국신학연구소 2005 신학사상 Vol.0 No.130

        본 논문의 목적은 일반적으로는 신학과 과학 사이의, 각론에 있어서는 해방 신학과 물리학 사이의 대화를 진작시키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나는 먼저 제l장에서 문제제기를 한 다음 제2장에서 포스트모던 물리학, 특히 천체물리학적 관점에서 제기되는 신학적 물음을 검토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제3장에서 빅뱅 이론과 관련되는 물리학의 기본적 개념들을 정리 하려고 하는데 그것은 물질과 반물질의 관계, 본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C.P.T. 대칭성 이론, 빅뱅 이론, 그리고 닫힌계 이론과 열린계 이론 등이다. C.P.T. 대칭성 이론은 빅뱅 이론의 체계를 세우는 과정에서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는 1956년까지 정설로 여겨져 왔다. 제4장에서는 C.P.T 대칭성 이론과 여성신학, 그리고 민중신학으로부터 도출되는 은유들 사이의 깊은 연결을 맺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주제들을 다룬 후에 최종적으로 결론을 내릴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dialogue between theology and science in general, liberation theology and physics in particular,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will first examine the theological questions raise from the postmodern physics especially in the field of cosmology in chapter 2. I will also introduce some basic scientific concept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ter and antimatter, the theory of C.P.T. symmetry theorem which is the main scientific subject in this article, the Big Bang theory, and the closed system theory and the open system theory in chapter 3. The theory of C.P.T. symmetry is surfaced through the researches of the Big Bang theory and believed to be valid until 1956. In chapter 4, I will try to make deep connection between metaphors derived from the theory of C.P.T. symmetry and feminist theology and minjung theology, Here, the first subject is the symmetry C, which means that the laws are the same for particles and antiparticles. Second subject is the symmetry P, which means that the laws are the same for any situation and its mirror image. The last subject is the symmetry T, which means that if you reverse the direction of motion of all particles and antiparticles, the system should go back to what it was at earlier times.

      • KCI등재

        『바티칸 단편』(Vatikanisches Fragment) 에 나타난 루터신학 연구 : 시편 4편을 중심으로

        정병식 韓國神學硏究所 2013 신학사상 Vol.0 No.162

        이 글은 1516 년에 쓰인 루터신학의 중요한 원자료인 소위 『바티칸 단편』(Vatikanisches Fragment)을 다루었다. 바티칸 단편은 시편 4편과 5편 주해를 담고 있으며, 종교개혁이 본격화되기 이전의 글이라는 점에서 루터의 종교 개혁적 사고의 출발과 성격을 추론하고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척도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은 바티칸 단편에 있는 시편 4편 주해를 집중 분석하여 당시 루터신학의 내용과 성격을 규명했고, 루터의 주해방법론, 기독론, 인간론, 신앙론, 참회 등 주요 주제를 다루어 루터의 종교개혁적 신학의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Es handelt sich hier um das sog. Vatikanische Fragment, das im Jahr 1516 von Luther geschriebenen wurde und für die Theologie Luthers eine wichtige Quelle darstellt. Diese Handschrift enthält eine Auslegung der Psalmen 4 und 5. Sie liefert ein wichtiges Kriterium, den Beginn und den Charakter von Luthers reformatorischem Denken zu erschließen und zu beurteilen. Dieser Artikel analysiert eingehend die Auslegung von Psalm 4. Er erforscht das Wesen und den Inhalt der damaligen Theologie Luthers. Dabei wird Luthers Hermeneutik, seine Christologie, Anthropologie, Glaubenslehre, sowie sein Bussverständnis entfaltet, mit dem Ziel, den Entwicklungsprozess von Luthers Theologie zu erfassen.

      • KCI등재

        [연구논문] 신학과 수학에서의 진리와 믿음 : 사영결정 공리의 신학적 함의

        현우식,김병한 한국신학연구소 2003 신학사상 Vol.0 No.123

        There are recent developments in set theory, the foundation of mathematics, in relation to the studies of the Axiom of Projective Determinacy which deals with a problem of infinity. We assert that these studies show mathematical truth ultimately depends no belief. In this regard, there is a common element between mathematics and the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