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동강하굿둑 통합관리를 위한 3차원 고정식 유량 측정 자료를 이용한 하굿둑 개도 방류량 산정 기법 개발

        강두기,서용재,임경모,박병우 한국습지학회 2022 한국습지학회지 Vol.24 No.1

        최근 낙동강 하구의 통합물관리를 위한 다양한 노력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한 연구 중 하나로 3차원 고정식 초음파유속계를 이용한 수문별 개도 방류량의 측정이 수행되고 있으나, 개도별 방류량 산정식 도출을 위한 실측 성과를 활용한 수리학적 및 통계적 처리 절차와 기법에 대한 연구는 기초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고정식 초음파 유속계측정자료를 이용한 자료 처리 기법을 개발하여 측정 데이터 기반의 유량계수 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방류량 산정식 개발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유역관리를 위한 소권역 중요도 평가기법 연구

        강두기,갈병석,이나은,전병훈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급속한 도시화와 상업화는 경제의 거대한 흐름을 바꾸어 놓았으며 현재 우리의 삶의 방식 또한 변화하게 하였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은 물질적, 정신적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게 하였으나 최근의 기후변화에 따라 유역관리 측면에서는 많은 것을 잃게 한 요인이기도 하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강수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이수, 치수, 환경적인 문제는 안전한 물의 확보와 수질 및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관리를 필요로 하는 단계에 들어서 있으며 국내에서는 물환경 조성 및 수생태계 보전을 위한 중권역 물환경 관리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권역 물환경관리계획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다양한 유역관리 요소를 평가·분석하여 소권역중 유역관리 필요성이 높은 곳으로 판단되는 권역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선정된 중점관리 소권역은 위험도에 따른 집중적인 개선 및 체계적인 정책관리방향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가친숙도가 “관광 목적지로서의 브랜드 이미지와 제품속성 중요도의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강두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3

        In an effort to identify more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of a tourism destination, it appears to be critical to know how Korea is deemed as a destination, what are important attributes in a decision-making process as well as in regard to information acquisition dynamics such as direct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marketing activities. In this context, brand image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consumer behavior studies as it is believed to affect consumers' perceptions and decision maki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crepancy between brand image and importance of tourism attributes by utiliz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nd familiarity as a reliable indicator of favorable images toward a specific brand for determining effective messages and channels.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safety, friendly locals and natural/cultural attributes are to be emphasized for the efficient allocation of marketing resources. And it also indicates that high familiarity to Korea through meeting and making friends of Koreans and engaging in Korean social groups contributes to a positive brand image toward a destination. The results will be conducive to shaping the means and the focal points for successful marketing communication planning. 본 연구는 갈수록 치열해지는 관광시장에서 좀 더 효율적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핵심 메시지와 중요한 정보 전달 채널을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먼저 소비자의 인식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이미지에 주목하여 미국 소비자가 한국을 관광목적지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그리고 관광지를 결정할 때 고려되는 다양한 제품속성들에 대해 미국 소비자는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지 측정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브랜드 이미지와 제품 속성 중요도를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응용하여 교차 분석하고 통계적으로 불일치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 과정에서 중요하지만 이미지가 좋지 않은 속성, 중요하면서 이미지도 좋은 속성, 중요하지 않은데 이미지는 좋은 속성, 중요하지도 이미지도 좋지 않은 속성으로 나누어 커뮤니케이션 자원을 어떤 메시지에 집중해야 하는지를 밝혀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불일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국가에 대한 친숙도에 주목하고 대중매체를 통한 지식과 경험 획득이 아닌 객관적 지식과 한국과 관련된 지인이나 주변인을 통한 직접적 정보 획득을 중심으로 친숙도를 측정하였다. 이렇게 파악된 친숙도 항목 중 변별력과 난이도를 고려하여 유의미한 변인들을 선별하고 이를 기준으로 집단을 구분하여 브랜드 이미지와 제품 속성 중요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 친구가 있거나 한국관련 사교단체에 가입한 경험이 있는 집단이 한국에 대해 현저히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을 방문한 경험이 있는 집단도 한국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나타내 향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기획할 때 중요한 정보원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기사 속 불평행동 소비자에 대한 상담사와 소비자의 인식비교: 상호지향성모델을 중심으로

        강두선 ( Kang Doo Syen ),이유나 ( Lee Yoona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4

        소비자의 서비스 만족과 서비스 산업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맞물리며 소비자 불평행동에 대한 두 집단 간 인식의 간극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기업을 대표해 소비자 문제 해결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콜센터 상담사들에게서 더욱 극명하게 나타난다. 불만족한 고객은 개선을 요구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한 부적절한 행동은 상담사들에게 상처를 남긴다. 소비자의 요구는 수용되고 해결되어야 하고 업무에 불만족한 상담사들은 이직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비용은 기업만의 몫이 아니다. 결과적으로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상호지향성 모델을 통해 불평행동 소비자에 대한 상담사와 소비자의 정확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동일 주제에 대한 상호간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현 상황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좀 더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본이 될 것이다. 연구는 집단간 비교를 위해 소비자 상담이나 피해보상을 처리하는 상담사와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중립적으로 조작된 기사를 바탕으로 기사 속 불평행동 소비자에 대해 평가하도록 요청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사에 나타난 소비자에 대한 객관적 평가는 다르게 나타났다. 상담사는 소비자보다 더 부정적으로 소비자를 평가하였다. 둘째, 두 집단 모두 자신과 상대 집단 간에는 커다란 인식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주관적 인식의 차이는 소비자 집단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셋째, 상담사는 소비자를 정확하게 추측하고 있는 반면, 소비자는 상담사를 실제보다 더욱 부정적으로 추측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담사의 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은 외재적 통제주체, 업무상 느끼는 시간적 압박, 감정소진 등이 있었으며 제3자 효과도 발생하였다. 다음으로 상담사가 느끼는 소비자와의 주관적 인식차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은 시간적 압박, 상사지원, 업무경력 등의 환경적 요소들이 주를 이루었다. 또한 연령, 연 가계소득, 상담 업무 분야 등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도 영향을 주었다. 특히 가전에 대한 불만행동을 다룬 기사였기 때문에 가전 분야 상담사들이 다른 분야 상담사들에 비해 소비자와의 인식 차이를 더욱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흥미롭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상담사와 소비자의 인식 차이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따른 전략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소비자와 상담사의 긍정적 관계형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Consumers and service workers appear to increase the differences in evaluating consumer complaining behavior. The differences become more salient to call center workers who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customer service and emotional labor as a representative of the company. In an increasingly service-oriented marketplace, call center workers should cope with entitled customers under the assumption of ``the customer is always right`. This kind of imbalanced power creates psychological damage and intention to quit to call center workers. Companies seem to pay the cost inccured to solve customers` problems and replace quit workers. Yet, consumers will take up the cost at the end. In this context,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al difference between consumers and call center workers when evaluating the complaining consumer in a news article. It will be conducive to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planning for long-term relationship building to identify the current perceptional status of the two groups. Based on the co-orientation theory, the current study is designed to compare the perception towards the complaining customer shown in a newspaper article between consumers and call center workers. The results indicate the three relationship of agreement, congruency and accuracy. First, each of the two groups`s beliefs actually do not agree with the other. The two groups evaluate the issue(i.e., complaining customer) very differently. Consumers perceive the customer more positively than call center workers do. Second, each group imagines the other`s interpretation of the issue and the two groups perceive they will disagree on the issue each other. However, the perceived level of disagreement is higher in the consumer group. Third, call center workers have an accurate perception of consumers` orientation toward the issue, while consumers do not have a correct estimate of call center workers` views. The paper als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all center workers`` beliefs and their perceived disagreement with consumers. The findings show that locus of control, time pressure and burnout influence their perception towards the compalining customer. Call center workers also reveals the third-person effect that involves an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n oneself, and the influence on others. They believe that their colleagues are more vulnerable to entitled customers. In addition, organizational factors rather than personal factors, such as time pressure and supervisor support affect their perceived gap between consumers and themselves in assessing the consumer`s behavior in the article. Demographics such as age, annual household income and work field, also partially explain their disagreement with consumers. Interestingly enough, call center workers dealing with claims of electronics and appliances appear to be more sensitive to the space between consumers and themselves, because the customer in the article is complaining of a smartphone. This study will provide insight into what consumers and call center workers need to do for understanding each other, communicating their views of the issue they coorient to reach the consensus and agreement.

      • KCI등재

        상호지향성 모델에 근거한 소비자와 상담사의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평가 비교

        강두선 ( Kang Doo Syen ),최종원 ( Choi Jong Won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6

        소비자와 고객센터 상담사의 커뮤니케이션은 관계 개선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들이 처한 위치와 서로에 대한 인식이 달라 오히려 관계 악화라는 모순적 상황을 발생시킨다. 특히 고객 불만응대 커뮤니케이션은 기업을 대표하여 정해진 매뉴얼에 따라 메시지를 전달하는 공공 커뮤니케이션의 측면과 불만족한 고객을 일대일로 응대하면서 예상치못한 감정개입을 피할 수 없는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측면을 모두 갖고 있어 상황을 더욱 어렵게 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소비자와 상담사의 정확한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현 상황을 이해하고 그 결과에 따라 효율적인 개선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설득을 위해 서로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상호지향성 모델을 기반으로 소비자와 고객센터 상담사의 인식을 비교연구하고자 한다. 커뮤니케이션 기술관련 변수를 고객센터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적용하여 각자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또한 상대방은 어떻게 평가할 것으로 예측하는지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소비자와 상담사의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평가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소비자는 상담사보다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더욱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소비자와 상담사는 서로의 평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었다. 소비자는 상담사가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고 상담사는 소비자가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질 것이라고 추측하였다. 셋째, 상담사는 소비자의 평가를 정확하게 추측한 반면 소비자는 상담사의 인식을 정확히 예상하지 못했다. 소비자의 예상보다도 상담사는 스스로를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소비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아존중감, 사회적 규범, 나르시시즘 순이었다. 스스로를 존중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여기는 소비자일수록 상담사의 고객응대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다섯째, 소비자가 인식하는 자신과 상담사와의 차이 또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규범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들 변수는 소비자의 긍정적 평가에 영향을 주는 만큼 잘못되고 있다고 생각되는 항목에 대한 평가도 객관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불평행동에 대한 사전지식이 소비자의 평가와 소비자가 인식하는 자신과 상담사와의 차이 모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터넷보다 주변사람이나 TV 또는 직접 경험을 통해 얻게 되는 정보가 소비자의 인식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상호지향성 모델을 소비자와 상담사라는 문맥에서 검증하여 일반화 분야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소비자나 상담사 연구에 있어 한 집단의 일방적인 시각만을 고려해온 기존 연구의 간극을 메꾸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의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소비자와 상담사의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무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Consumers and call center employees share the goal of improving relationship through communication. Ironically, however, the more they communicate, the worse their relationship is, due to the imbalanced power in communication. In particular, the dual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responding to the customer complaints make this situation worse. It is defined as public communication when call center workers deliver the messages based on the manual as a representative of a company. Yet, it can be claimed to be personal communication because call center employees experience unexpexted emotional intervention when communicating with customers. In this complex situation, it seems to be most important for improving relationship to accurately identify how call center communication is perceived from both perspectiv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the perception towards call center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based on the co-orientation model which puts priority on the mutual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us for persuasion. By applying the variables of communication technique into call center communication, it will determine three aspects: 1)how they evaluate call center communication, 2)how much they perceive they will be different in evaluation, and 3)how well they predict each other`s percept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valuating call center communication betwen the two groups. Consumers show comparatively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s call center communication. Seond, the two groups preceive their difference in evaluation. Consumers believe that call center workers will come up with higher scores in evaluation than theirs, while call center employees predict low scores from consumers. Third, call center workers predict consumers` perception well, while consumers do not accurately forecase the response from call center employees. Call center workers evalute themselves more positively than consumers perceive. Fourth,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self esteem, social norm and narcicism, affect consumers` evaluation of call center communication. People who have more confidence in themselves and put more emphasis on other`s evaluation indicate more positive evaluation of call center communication. Fifth, perceived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by consumers is influenced by those personal variables too. It means that more confident and norm-oriented consumers objectively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Last, prior knowledge of consumers complaining behavior explains more negative evaluation and bigger perceived gap between the two groups. Channels to earn information play a role in enhancing the differences. Offline word-of-mouth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difference in evaluation. Academically, this study expands the generalizablity of co-orientation model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call center workers. Practically, it bridges the gap of the extant literature that focuses on one-sided perspective when dealing with consumers or call center employees. The results will enable consumers, call center workers, companies and the government to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and establish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for improving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