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방 원료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를 통한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치 평가

        강금석,김인덕,권륜희,허예영,오상훈,김민아,정혜진,강환열,하배진,Kang, Kum-Suk,Kim, In-Deok,Kwon, Ryun-Hee,Heo, Ye-Young,Oh, Sang-Hoon,Kim, Min-Ah,Jung, Hye-Jin,Kang, Hwan-Yul,Ha, Bae-Jin 한국생명과학회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8

        본 연구에서는 7가지 한방원료(음양곽, 복분자, 오미자, 구기자 , 건지황 l 사상자 , 토사자)의 항산화 효과, collagen 합성 촉진 효과, collagenase 활성 저해 효과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항산화 실험인 DPPH 소거 효과, 리놀산 자동산화 억제 효과, superoxide radical 소거 효과, hydroxyl radical 소거 효과에서는 음양곽, 복분자, 오미자, 구기자가 대체적으로 뛰어난 활성을 보여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며, 주름개선 실험인 collagen 합성 촉진 효과, collagenase 저해 효과에서는 건지황, 사상자, 토사자가 다른 네 가지 물질에 비해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어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7가지 한방원료가 항산화 및 주름개선 효능을 나타내므로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The human skin is constantly exposed to environmental irritants such as ultraviolet, smoke and chemicals. Free radical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caused by them play critical roles in cellular damage. They not only injure the skin structure but also participate in the immensely complex inflammatory reaction. Anti-wrinkle effects of the Oriental herb extracts(OHE) were evaluated by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tion, collagenase inhibition and collagen synthesis in normal human fibroblast. OHE showed antioxidative activity as high as vitamin C, trolox and DL-penicillamine. Also OHE showed promotive effect on collagen synthesis and inhibitory effect on collagenase activity.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OHE could be useful as an anti-wrinkle cosmetic ingredient.

      • KCI등재

        다시마 푸코이단 추출물의 간독성에서 효소 조절 효능에 관한 연구

        강금석,남천석,박은경,하배진,Kang, Kum-Suk,Nam, Chun-Suk,Park, Eun-Kyung,Ha, Bae-Jin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7

        다시마(Laminaria japonica)는 우리나라 해역에서 생산되는 대표적인 갈조류로 칼슘, 칼륨, 요오드, 아연 등 신체의 생리대사에 관여하는 주요 무기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uronic acid로 구성된 alginic acid, 황산기를 함유하는 fucoidan 및 laminaran과 같은 식이섬유도 함유되어 있다. 다시마로부터 추출된 푸코이단의 항 간독성 효과를 확인하고자 흰쥐의 복강 내에 다시마 푸코이단 추출물을 14일간 투여하고 15일째 되는 날에 $CCl_4$를 투여한 후에 혈액 및 간 조직에서의 효소 활성의 변동을 통해 간독성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였다. GOT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CCl_4$의 간 장애 유발로 인해 효소 level이 약 3.8배 증가하였고 시료군인 LFC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였을 때 40% 감소하여 다시마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역시 GPT level에 있어서도 $CCl_4$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대해 약 11.5배정도 증가하여 간 장애 유발이 확인되었고 LFC군이 대조군에 비해 64%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시마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소 level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간 조직에서의 SOD 활성정도는 대조군에서 정상군에 비해서 약 1.79배 정도로 낮게 나타났고 LFC군은 대조군에 비해 114%의 상승효과를 보였다. 또한 CAT의 활성도는 대조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약 1.59배 감소를 보였으며 LFC군은 대조군보다 36.1% 높게 나타났다. GPx활성도의 경우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2.5배의 감소율을 보였으며 LFC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55.9%의 증가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시마 푸코이단 추출물이 간독성에서 효소 조절 효능을 가지므로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aminaria japonica fucoidan extract (LJFE) through the enzymatic regulation against the hepatotoxicity-inducing carbon tetrachloride $(CCl_4)$ in LJFE and $CCl_4-treated$ rats. LJFE of 100mg/kg concentration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into rats at dose of 1.5m11kg for 14 days. On the day 15, 3.3ml/kg of $CCl_4$ dissolved in olive oil (1:1) was injected 12 hours before anesthetization. We examined the levels of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in serum of rats, superoxide dismutase(SOD) in mitochondrial fraction, and catalase(CAT), glutathione peroxidase(GPx) in liver homogenate. $CCl_4-treatment$ markedly increased the levels of GOT and GPT,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ose of SOD, CAT and GPx. But LIFE pretreatment decreased the levels of GOT and GPT, by 40% and 64%, respectively and increased those of SOD, CAT and GPx, by 114%, 36.1% and 55.9%,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e LIFE had the enzymatic regulatory effects against the hepatotoxicity-inducing $CCl_4$ in the preventive way.

      • KCI등재

        LPS로 유도된 급성 간독성에 대한 구기자 추출물의 보호 효과

        강금석,권륜희,김인덕,이동근,이재화,이상현,하종명,하배진,Kang, Kum-Suk,Kwon, Ryun-Hee,Kim, In-Deok,Lee, Dong-Geun,Lee, Jae-Hwa,Lee, Sang-Hyeon,Ha, Jong-Myung,Ha, Bae-Jin 대한약학회 2007 약학회지 Vol.5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s of Lycii fructus Extract (LFE) against the acute hepatotoxicity-inducing lipopolysaccharide (LPS) in the liver. LFE of 100 mg/kg concentration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into rats at dose of 1.5 ml/kg for 20 days. On the day 21, 1.5 ml/kg of LPS dissolved in saline was injected 4 hours before anesthetization. We examined the levels of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lactate dehydrogenase (LDH) in serum of rats, superoxide dismutase (SOD) in mitochondrial fraction, and malondialdehyde (MDA),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in liver homogenate. LPS-treatment markedly increased the levels of GOT, GPT, LDH and MDA,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ose of SOD, CAT and GPx. But LFE-pretreatment decreased the levels of GOT, GPT, LDH and MDA, by 17.7%, 27.5%, 40.7% and 56.9%, respectively and increased those of SOD, CAT and GPx, by 90.5%, 78.9% and 83.8%, respectively.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LFE had the preventive effects against the acute hepatotoxicity-inducing LPS in the liver.

      • SCOPUSKCI등재

        갈파래 추출 분획물의 CCl<sub>4</sub> 독성에 대한 항산화 효과

        남천석,강금석,하종명,이상현,이재화,이동근,장정수,강환열,하배진,Nam, Chun-Suk,Kang, Kum-Suk,Ha, Jong-Myung,Lee, Sang-Hyeon,Lee, Jae-Hwa,Lee, Dong-Geun,Jang, Jeong-Su,Kang, Hwan-Yul,Ha, Bae-Jin 한국독성학회 2006 Toxicological Research Vol.22 No.4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s in anti-oxidation of Ulva lactuca extract fractions (ULEF) against $CCl_4$ toxification in liver total homogenate and mitochondrial fraction of ULEF-pretreated and carbon tetrachloride $(CCl_4)-posttreated$ rats. ULEF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into rats at dose of 1 ml/kg for14 days. On the day 15, 3.3 ml/kg of $CCl_4$ dissolved in olive oil (1:1) was injected 12 hr before anesthetization.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SOD) in mitochondrial fraction were measured an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malondialdehyde (MDA) in liver total homogenate. SOD, CAI and GPx were higher in the ULEF-pretreated and $CCl_4-posttreated$ group than those in the $CCl_4-posttreated$ group, and the pretreatment of ULEF decreased MDA.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retreatment of ULEF had the preventive role in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SOD, CAT and GPx

      • KCI등재

        $CCI_4$로 유도된 간 기능장애에 대한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보호효과

        남천석,강금석,하배진,Nam, Chun-Suk,Kang, Kum-Suk,Ha, Bae-Jin 한국생물공학회 2007 KSBB Journal Vol.22 No.2

        갈파래는 해양성 조류 중 녹조류의 일종으로 해양성 조류의 생리활성물질로 알려진 다당체인 푸코이단을 함유하고 있다. 갈파래로부터 추출된 푸코이단의 간 독성 보호효과를 검토하기 위해서 흰쥐를 사용하여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 (ULF)을 14일간 매일 1회 복강 내로 선 투여하고 15일째 되는 날에 $CCI_4$를 후투여한 후에 혈액 및 간 조직에서의 지질의 평가와 효소 활성의 변동을 통해 간 독성의 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GOT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CCI_4$의 간 장애 유발로 인해 효소 활성이 약 3.3 배 증가하였고 시료군인 ULF군은 대조군과 비교 하였을 때 29.8% 감소하여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PT의 경우에도 $CCI_4$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3.7배 정도 증가하여 간 장애 유발이 확인되었고 ULF은 대조군에 비해 48.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효소 활성 감소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CCI_4$로 간 손상이 초래된 대조군은 MDA 양이 정상군보다 약 2.97배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ULF군은 대조군에 비해 37.64%의 감소율을 보여 갈파래 푸코이단 추출물의 지질과산화 감소효과를 화인할 수 있었다. SOD 활성 정도는 대조군의 효소활성이 정상군에 비해서 1.38배 정도로 낮게 나타났고 ULF군은 대조군에 비해 343%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CAT는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 약 1.7배 감소하였으며 ULF군은 대조군 보다 30.2% 높게 나타났다. GPx의 경우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약 3.5배의 감소율을 보였고 ULF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34.43%의 증가율을 보여 효과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측정 결과는 갈파래 추출 푸코이단이 간 독성을 예방하는 보호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The effects of Fucoidan extracted from Ulva lactuca on carbon tetrachloride ($CCI_4$)-induced dysfunction in $CCI_4$-posttreated rats were investigated. Ulva lactuca fucoidan (ULF) of 100 mg/kg concentration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into rats at dose of 1 ml/kg for 14 days. On the day 15, 3.3 ml/kg of $CCI_4$ dissolved in olive oil (1 : 1) was injected 12 hours before anesthetization. We examined the levels of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GO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GPT) in serum of rats, superoxide dismutase (SOD) in mitochondrial fraction an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malondialdehyde (MDA) in liver of rats. SOD, CAT, GPx decreased, and GOT, GPT, MDA increased in the $CCI_4$-treated group. But SOD, CAT, GPx increased, and GOP, GPT, MDA decreased in the ULF and $CCI_4$-treated group. These results showed that ULF had the protective effects on the liver dysfunction of $CCI_4$-treated rats.

      • KCI등재

        갈파래 분획, LPS, 효소활성의 상관성과 수층분획의 가치평가

        남천석,강금석,하종명,이상현,이재화,이동근,장정수,강환열,하배진,Nam, Chun-Suk,Kang, Kum-Suk,Ha, Jong-Myung,Lee, Sang-Hyeon,Lee, Jae-Hwa,Lee, Dong-Geun,Jang, Jeong-Su,Kang, Hwan-Yul,Ha, Bae-Jin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6

        갈파래는 해양성 조류 중 녹조류의 일종으로 현재 식용으로 이용되지 않고 방치되어 갈파래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물질의 효용성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여 활용가치를 창출하고 해양자원의 이용범위를 확대하는 것은 중요하고도 절실하다. LPS는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을 만드는 물질의 일종으로 NO를 생성시키고 $Ca^{2+}$를 증가시키며 free radicals를 형성하여 간 조직의 막을 파괴하고 간의 지방을 축적시키고 노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갈파래를 에틸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수층으로 분획하고 그 분획을 선 투여하고 LPS를 후 투여한 경우에 항산화효소에서 분획 별 LPS에 대한 예방효과를 관찰하고 효소활성화 최적 분획을 검색하고자 하였다. 흰쥐를 사용하여 갈파래 분획을 14일간 매일 1회 복강 내로 선 투여하고 15일 째 되는 날에 LPS를 투여하였다. SOD의 활성도는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1.93배 정도로 낮았으며 LPS를 투여함으로써 활성도를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갈파래 분획별로 활성도를 보면 대조군에 비해 ULE군은 45.04% ULA군은 46.86%, ULW군은 47.46% 상승하였으며 갈파래 분획의 선 투여가 LPS의 후 투여로 인한 효소 불활성을 예방하여 활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CAT의 활성도는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1.29배 정도로 낮았으며 LPS를 투여함으로써 활성도를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갈파래 분획별로 활성도를 보면 대조군에 비해 ULE군은 66.96% ULA군은 46.51%, ULW군은 42.94% 상승하였으며 갈파래 분획의 선 투여가 LPS의 후 투여로 인한 효소 불활성을 예방하여 활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GPx의 활성도는 대조군에서는 정상군에 비해 3.72배 정도로 낮았으며 LPS를 투여함으로써 활성도를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갈파래 분획별로 활성도를 보면 대조군에 비해 ULE군은 34.06% ULA군은 11.52%, ULW군은 24.9% 상승하였으며 갈파래 분획의 선 투여가 LPS의 후 투여로 인한 효소 불활성을 예방하여 활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3가지 항산화효소 SOD, CAT, GPx 전부에서 LPS를 투여하면 높던 효소활성이 낮아지고 갈파래분획을 선 투여하면 LPS를 투여하더라도 효소활성이 낮아지지 않고 상승된 높은 효소활성을 나타냄으로서 고-저-고 패턴의 상관성을 보여 주었고 갈파래 분획의 선투여가 LPS에 대한 예방적 보호효과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갈파래 분획 중에서 에틸에테르 분획이 실험적으로는 가장 높은 예방적 보호효과틀 나타냈으나 용매의 제거비용 및 해독 면에서 불 때 수층 분획이 실용적으로는 활용가치가 더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Lipopolysaccharide(LPS) was posttreated after the 14 day-pretreatment of Ulva lactuca fractions(ULF), and their correlativity to enzymatic activity alteration was investigated in the liver of rats. ULF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into rats at dose of $1m{\ell}/kg$ of 100 mg/kg concentration for 14 days. On the day 15, $1m{\ell}/kg$ of LPS was injected. The corelativity was examined by measuring the changed values of superoxide dismutase(SOD) in mitochondrial fraction and catalase(CAT), glutathione peroxidase(GPx) in liver homogenate. The results showed that LPS treatment decreased the high values of SOD, CAT, GPx to the low values, but ULF pretreatment increased the low values of SOD, CAT, GPx to the high values. It was suggested that ULF, LPS and antioxidative enzymes like SOD, CAT, GPx had the corelativity of the high-low-high pattern and that the ULF pretreatment played the proper preventive role in the protection against the LPS treatment-induced enzymatic inactivity in the water fraction.

      • SCOPUSKCI등재

        갈파래 추출 분획물의 CCl₄ 독성에 대한 항산화 효과

        남천석(Chun Suk Nam),강금석(Kum Suk Kang),하종명(Jong-Myung Ha),이상현(Sang-Hyeon Lee),이재화(Jae Hwa Lee),이동근(Dong Geun Lee),장정수(Jeong Su Jang),강환열(Hwan Yul Kang),하배진(Bae Jin Ha) 한국독성학회 2006 Toxicological Research Vol.22 No.4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s in anti-oxidation of Ulva lactuca extract fractions (ULEF) against CCl₄ toxification in liver total homogenate and mitochondrial fraction of ULEF-pretreated and carbon tetrachloride (CCl₄)-posttreated rats. ULEF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into rats at dose of 1 ml/kg for 14 days. On the day 15, 3.3 ㎖/㎏ of CCl₄ dissolved in olive oil (1 : 1) was injected 12 hr before anesthetization.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in mitochondrial fraction were measured an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malondialdehyde (MDA) in liver total homogenate. SOD, CAT and GPx were higher in the ULEF-pretreated and CCl₄-posttreated group than those in the CCl₄-posttreated group, and the pretreatment of ULEF decreased MDA.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retreatment of ULEF had the preventive role in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SOD, CAT and GPx

      • KCI등재
      • KCI등재

        복분자 추출물이 Lipopolysaccharide로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항산화 효과

        김인덕(In Deok Kim),강금석(Kum Suk Kang),권륜희(Ryun Hee Kwon),하배진(Bae Jin Ha) 한국독성학회 2007 Toxicological Research Vol.23 No.2

        The protective effects of Rubus coreanum Miquel (RCM) extract against LPS-induced hepatotoxicity were studied in rats. Squrague-Dawley rats were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the RCM at 100 ㎎/㎏ per day for three weeks. Then single dose of LPS (5 ㎎/㎏) was injected into rats. Four hours later, they were anesthesized with ether and dissected. We examined the levels of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AS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ALT), alkaline phosphatase (ALP) and lactate dehydrogenase (LDH) in sera, superoxide dismutase (SOD) in mitochondrial fraction an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in liver homogenate. LPS-treatment markedly increased the levels of AST, ALT, ALP, LDH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ose of SOD, CAT and GPx. But RCM-pretreatment decreased the levels of AST, ALT, ALP and LDH by 57.9%, 37.4%, 62% and 69% respectively and increased those of SOD, CAT and GPx by 82.9%, 64.2% and 96.7% respectively. Subsequently, the protective effects of RCM was evaluated through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liver tissue. The LPS treatment increased the state of necrosis and cirrhosis surrounding the central veins (CV) and sinusoid, but RCM-treatment decreased the state of necrosis and cirrhosis in the liver tissu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protective effects of RCM against LPS-induced hepatotoxicity.

      • KCI등재

        Lipopolysaccharide와 어성초 혼합 추출물의 지질대사 상관성

        권륜희(Ryun Hee Kwon),강금석(Kum Suk Kang),김인덕(In Deok Kim),하배진(Bae Jin Ha) 한국독성학회 2007 Toxicological Research Vol.23 No.2

        본 연구는 어성초 함유 한방원료의 지질대사 기능을 가진 한방차를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목적으로 LPS로 간독성이 유도된 흰쥐에서 어성초에 오미자. 구기자. 사상자. 음양곽을 혼합해서 추출하고 이 혼합 추출물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어성초 90 g, 복분자 1 g, 사상자 3 g, 구기자 2 g, 음양곽 4 g을 혼합하고 추출하여 감압 농축하여 실험 샘플로 사용하였으며 생후 7주 암컷 흰쥐를 총 21마리를 7마리씩 3군으로 나누었고 군별로 cage에 분리시키고 고형사료와 물을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정상군은 20일 동안 1.5 ㎖/㎏ of 0.9% saline을 투여하고 대조군은 20일 동안 1.5 ㎖/㎏ of 0.9% saline을 매일 투여한 후 21일째 되는 날 LPS를 5 ㎎/㎏의 농도로 만들어 1.5 ㎖/㎏의 용량으로 복강 내로 투여하였다. 시료군(HM)에는 100 ㎎/㎏ 농도의 각각의 분획을 1.5 ㎖/㎏씩 복강 내에 20일간 매일 투여하고 21일째 되는 날에 LPS를 1.5 ㎖/㎏의 용량을 복강 내로 투여하였다. LPS를 투여하고 절식 시킨 뒤 4시간 후에 ether로 마취하고 해부하여 혈액을 채취하고 간을 적출하여 실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Total-lipid 수준에서는 LPS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교하여1.7배 증가하였으며 대조군과 비교해 HM군은 66.30% 감소하였다. Total-cholesterol 수준에서는 LPS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교하여 약 2.1배 감소하여 LPS로 간에 염증이 유발하여 total cholesterol의 수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HM군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41.13%의 수치로 회복하였다. HDL-cholesterol 수준에서는 LPS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교하여 약 2.3배 감소하였으며 HM군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72.61%의 수치로 회복하였다. LDH 수준에서는 LPS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교하여 약 5.8배 증가하였으며 HM군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68.91%의 수치로 감소하였다. TG의 수준에서도 LPS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교하여 약 3.8배 증가하였으며 HM군이 대조군에 비교하여 101.14%의 수치로 감소하였다. MDA는 LPS를 투여한 대조군이 정상군에 비해서 약 3.5배 정도로 높게 나타났고 HM군은 대조군에 비해 58.65%의 감소효과를 보였다. LPS가 간에 염증을 유발하여 혈청 속의 total-cholesterol과 HDL-cholesterol level이 감소하고 total-lipid와 LDH, TG의 수준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되며 대조군에 비교하여 HM군이 혈청 속의 total-cholesterol과 HDL-cholesterol level을 증가시키고 total-lipid와 LDH, TG의 수준을 감소시킨 것으로 보아 HM이 동맥경화 등 지질대사 이상에 의한 성인병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DA에서는 대조군에서 LPS가 간 염증을 유발하여 과산화지질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되며 대조군에 비해 HM군이 과산화지질함량이 감소된 것으로 보아 HM이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높아진 간 조직 과산화지질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간기능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e the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mixture extract on the lipid metabolism i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liver damage of rats. LPS-treatment increased the levels of total-lipid, LDH (lactate, dehydrogenas), triglyceride (TG) and malondialdehyde (MDA). But Houttuynia cordata Thunb mixture extract (HM) pretreatment decreased the levels of total lipid, LDLcholesterol, TG and MDA. Also LPS-treatment decreased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but HM-pretreatment increased both of them.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HM-pretreatment had the preventive effects against the dyfunction of lipid metabolism in the LPS-induced liver damage of 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