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집 『협률대성』의 편찬 특성과 전승ㆍ 향유의 문화적 의미

        강경호(Kang, Kyung-Ho)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0 No.-

        이 글은 조선후기 가곡문화의 흐름 속에서 가집 『協律大成』이 갖는 독자적 특징과 문화·향유 기반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협률』은 국문학·국악학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가집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가곡원류계 이본 가집정도로만 인식되고 있는 바 이 가집이 담고 있는 문학사적 또는 문화사적 의미와 가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글의 논의는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졌다. 하나는 『협률』 이본 가집들의 성격과 그 전승 및 유통 양상에 대한 검토였고, 다른 하나는 『협률』의 내적체계 탐색을 통한 이 가집의 편찬 특성과 그 문화적 의미에 관한 연구였다. 우선 이본 검토에서는, 1) 『협률』의 이본 가집으로는 경농본과 가람본이 있는데, 가람본은 여러 표기 및 작품 표기에서 몇 가지 문제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협률』 연구는 경농본을 주 대상으로 삼고 살펴봐야 하며, 가람본은 그 비교 자료로 삼을 수 있다. 2) 이본들의 전승 양상에서는, 경농본은 소장자 이근우의 서울에서의 행적이나 활동시기 등을 볼 때 20세기 초에 입수된 것으로 추정되며, 편찬 시기도 이 시기와 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 당시에도 가람본 등 다른 이본들이 계속 파생된 것으로 보아 『협률』이 20세기 초에 새로운 가곡원류계 가집으로 전승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협률』의 편찬 특성 및 문화적 의미를 살펴본 결과, 1) 시조 작품이 수록된 ‘永言全部’에서는 전 작품의 연음표 표기, 안민영 작품의 탈락 현상, 〈태평가〉의 수록 위치의 변화 등이 확인되었다. 『협률』은 여러 가곡원류계 가집들에서 보이는 공통체계를 토대로 큰 변화 없이 만들어진 전형적인 가곡원류계 가집체계를 보이는데, 『협률』 편찬자는 중대엽을 포함한 전 곡에 연음표를 붙이면서 작품의 음악적 해석을 보다 충실히 시도하려 했으며, 편찬 당시 가곡문화의 음악환경에 맞춰 〈태평가〉의 위치를 조정하는 등 변화된 양상을 반영하려 하였다. 2) 가집 서두부에 수록된 ‘양금 가곡보’는 ‘弄’ 악곡의 분화, ‘始弄返樂’이라는 새로운 악곡의 수록, 小歌曲 중심의 수록 등 20세 초 가곡문화를 반영하고 있었다. 특히 이 양금 가곡보는 편찬자가 자신의 편찬 의식에 맞게 당대 가곡 작품들을 선별하여 가곡 연창 방식의 標本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협률』 ‘영언전부’에 대부분의 작품이 연음표까지 기입되어 수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편찬자가 양금 반주와 장구 장단까지 추가하여 가곡보를 제시한 것은 보다 세밀하고 실제적인 가곡 연행의 방식을 보여주기 위한 노력인 것이다.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character of Hyeopryuldaesung belonged to a Collection of Gagokwonryu series and fundamental base to possess and meaning in flow of sijo culture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Never theless Hyeopryuldaesung is well known in korean literary field, it just has been perceived as different type in a Collection of Gagokwonryu series until now. Also literary or cultural meaning and value has not been truly recognised. Hyeopryuldaesung is valuable gajip in gagok cultural history because of indicating compiling feature in early 20th century and transitional shape in this period. This study was progressed to two directions. One was study about character of these different version of gajips passing down & aspects of distribution, other one was reserch about this gajip’s character verified by research on compiling system and culural meaning. Result of first research is as follow as. 1) result on checking the bibliography of different version, different version of Hyeopryuldaesung is kyungnong versi on and garam version in present, after checking many problems about mark of poetries are discovered. Therefore, research about Hyeopryuldaesung should be base on kyungnong version, garam version can be database for preparing. 2) These differnet versions are presumed to be acquired in early 20th century by researching past activities and active periods of owner Lee Geun-woo. Also this gajip can be known to pass down continuously as new Collection of Gagokwonryu series in early 20th century by researching fact that many variety versions, for example garam version, were derived. Next, second study is result on investigating character of gajip’s compiling and cultural meaning. 1) Many things like mark of Yeoneum-Pyo[voice directing note symbols] mark in all sijo, eliminating phenomenon in An-minyoung’s poetries, changing location of Taepyungga’s potries are found in Yeongunjunboo included all sijo. Hyeopryuldaesung shows Gagokwonryu series’s traditional structure like other several Collections of Gagokwonryu series, but tried to adapt new aspects in that musical environment. 2) Gagokbo of Yang-geum attached on prologue of gajip adopt Gagok culture in early 20th century such as separation of Nong tune, Sinogbanrak(attachment of new tune), singing method focused on small gagok, etc. This Gagokbo of Yang-geum is good presented sample for sining method of gagok to be matched for compiler’s own intention by sorting gagok poetries in that age.

      • SCOPUSKCI등재
      • 1: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ASTER DEM, SRTM DEM의 정확도 검증

        강경호(Kyung-Ho Kang),손홍규(Hong-Gyoo Sohn),정재훈(Jae-Hoon Jung),최시경(Si-Kyong Choi)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9

        본 논문에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작한 1:5000 수치지형도에서 추출한 등고선을 이용하여 생성된 DEM과 최근 세계 모든 지역의 3차원 DEM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SRTM DEM과 ASTER DEM을 대상으로 한반도 지역의 DEM 구축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대상지역의 1:5000 수치지형도를 통해 DEM을 생성하고 동일한 지역의 SRTM DEM과 ASTER OEM을 취득하여 상호 중첩비교가 용이하도록 동일한 투영방식으로 변환하였다. 특히, 한반도 지형특성을 고려하여 산악지역, 평지, 산악지역과 평지가 적절하게 분포하고 있는 설악, 안양, 진안 세 지역의 DEM 구축 정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수집과정에서 발생한 국부적인 hole(void) 등을 제거한 filled finished SRTM OEM을 활용하였다. DEM 구축 정확도 비교는 수치지형도 등고선을 기반으로 구축된 DEM을 기준으로 SRTM DEM과 ASTER DEM의 통계적 분석과 각 DEM의 동일 픽셀간 RMSE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두 DEM 자료 모두 수치지형도 DEM과의 상대적인 오차가 약 11~12m로 나타났다. 특히 30m 해상도의 ASTER DEM은 향후 한반도 전역의 DEM 3차원 정보 구축 등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20세기 초 전통 가곡의 근대적 변모와 실현 : 라디오방송을 통해 향유된 가곡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강경호 ( Kang Kyung-ho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1 No.-

        이 글은 20세기 초 라디오에서 방송되었던 전통 가곡의 연행 및 향유 양상을 살펴보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192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라디오방송은 다양한 전통 예술들의 대중적 지평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가곡은 본래 소수 애호가들에 의해 향유되던 상층의 풍류 음악으로 대중적 차원에서는 활발히 전승되지 못했다. 하지만 라디오방송으로 인해 단절되어 가던 전통 가곡 문화를 새롭게 계승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라디오방송 초창기에는 한두 악곡의 작품들이 전파를 탔고 그 방송 횟수도 적었지만, 1930년대로 넘어가면서부터는 대여섯 악곡 작품들이 레퍼토리를 이루어 가곡 편가(한바탕)의 방식으로 방송되었다. 이후 방송 횟수도 점차 늘어나며 1936년에는 한 해 동안 50회에 걸쳐 방송되기도 하였다. 가곡창 라디오방송은 여창 가곡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었고 남녀 교환창은 이벤트성이 강한 성격을 띠며 방송되었다. 조선 후기 주도적이었던 남창 가곡은 이 시기 들어 급격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를 통해 볼 때, 20세기 초 라디오방송의 가곡 레퍼토리들은 조선 후기 전통 가곡 문화의 연장선상에서 그 편가 구성 방식들을 계승하였고, 근대 매체로 수용되어 전달되는 특징으로 인해 20세기적 변모 양상 또한 반영되어 연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erformance and enjoyment aspects of Korean traditional song[Gagok] broadcast on radio in the 20th century and to identify the meaning of cultural history for them. Various traditional cultures had been widely popularized thanks to a radio broadcast started from the middle of 1920s. Gagok was not popularly passed down to the public because the only minor enthusiasts of the high class enjoyed the Gagok. However, the radio broadcast was a starting point for inheriting the traditional Gagok culture. One or two music played on the radio and the number of radio broadcast was rare in the early of the broadcast. However, a repertoire of several music as a set of Gagok was broadcast on the radio in the 1930s. After that, the number of radio broadcast was increased and then the broadcast was 50 times in 1936. The radio broadcast of Gagok-Chang included mostly female song programs and Male-female antiphonal song consisted of pop-up programs. Male songs which were the main song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declined. Taken together, a Gagok repertoire broadcast on radio in the 20th century succeed the formats of a set of Gagok with an extension of traditional Gagok culture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Moreover, the Gagok repertoire reflects the aspects of 20th century’s transformation because of the transfer method through a modern broadcasting media along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 KCI등재

        시각장애학교 중도실명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태도 및 만족도

        강경호 ( Kang Kyung-ho ),이해균 ( Lee Hae-gyu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ttitudes toward school life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adventitious blindnes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educational improvements to enhance students` school Life. In order to carry it out, 134 students with adventitious blindness who attend 12 high school for the blind were given questionnaire sheet. And than those were analyzed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ese are the findings based on research and discussions. First, attitudes toward school life by background variables; female students remain more positive than male students. Students with low vision are presented more positive than bli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by background variables; students with low vision are presented more positive than blind students and it is high in the order of teens, twenties, thirties, forties and fifties. Second, attitudes toward school life by questions; students with low vision reveal more positive than those with visual impairment for confidence, self-consciousness, task solving abilities, promise and activity.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by questions; female students indicate more positive than male students for friendship, teachers concerns and use of classroom equipments. Third, the attitudes toward school life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present a positive correlation.

      • KCI등재

        김춘택의 작자의식과 <별사미인곡>의 창작,향유 양상에 대한 일고찰

        강경호 ( Kyung Ho Kang ) 한국시가학회 2013 韓國 詩歌硏究 Vol.35 No.-

        Gasa <Byulsamiingok(別思美人曲)> was created by Kim Chun-taek(金春澤) when he had exiled to Jeju island. It has been mainly acknowledged as a work influenced by Song Gang`s <Sa·Sokmiingok> or exilic·royal Gasa by an exile caused by party strife.However, I assume that Kim Chun-taek, who created a lot of Chinese poetry at his time, did not simply imitate Song Gang`s Gasa in order to express his pathetic situation. Thus, I reconsidered Kim Chun-ta다`s consciousness as an author and the reason why he created <Byulsamiingok(別思美人曲)>. And then I would review the aspects of enjoying and passing down the work. As a result, I figure out what Kim Chun-taek created Gasa with his own consciousness as an author. I could confirm that <Byulsamiingok> is a parting words[別辭] for the content differences and a parting tune[別調] for the musical differences. In particular, Kim Chun-taek wished <Byulsa- miingok> sung like ‘song of love’ or ‘song of waiting’ by various enjoying singers. Since it, his wish has been realized by the singsong Giseang[歌妓] of Jeju handed down and enjoy the Gas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