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論山 白日軒 李森 家 문화자원의 활용방안

        강경윤(Kyung, Yoon-Kang) 역사문화학회 2016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9 No.2

        여러 다양한 인물과 관련한 역사문화자원이 지역의 경쟁력확보를 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이루어지고 있는 많은 연구와 축제들은 단순한 흥미유발 위주의 행사가 되고 있으며 인물에 관한 자료들의 정리 과정이 부족해지고, 결국에는 역사적 가치나 의의가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다. 인물을 중심으로 다루어지는 활용들은 다른 인물이나 유적과의 차별성과 특성을 확보해야 하며 나아가 다양한 활용분야를 모색해 교육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지역역사 인물에 대한 사례연구로 자료를 수집과 정리․고증의 과정을 거쳐 그 인물을 규명하고, 현재 남아있는 자료들을 바탕으로 교육이나 전시, 그리고 활용가능하고 직접적인 프로그램의 활용방안을 모색 해 인물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지속 가능한 실질적인 자원화 활용방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에 많은 역사적 인물 중에서도 잘 알려지지 않은 충남 논산 출신의 이삼 장군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역사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계시켜 유물과 유적을 효율적으로 전승ㆍ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현재 전하고 있는 문화자원을 바탕으로 가장 먼저 자료의 원형소재인 이삼의 생애와 사상, 업적 등을 여러 문집이나 기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고, 활용 가능한 유적과 유물들의 현황을 파악했다. 그리고 이삼과 관련한 문화자원의 특징과 경쟁력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고택의 활용이나 전시관의 운영 등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자원화의 방안을 기획하여 여러 구체적인 방법의 활용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예컨대 백일헌 이삼의 학문과 사상을 정확히 규명하고 알리는 기초적인 자료 정리와 연구, 그리고 그것을 통한 특성을 찾아 다양한 활용방안 모색하였다. 또한 인물 선양 사업에 흔히 나타나는 보수 정비의 행태를 극복하고 차별화하여 교육과 전시로 연계시켜 교육 자료의 개발의 강조하였다. While various people and relevant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have the potential for securing competitiveness of each region, studies and festivals until now have focused only on creating fun factors. In this process, efforts have been lacking in organizing and maintaining data on significant figures and eventually they are not receiving their due attention for their historic values and significance. Applications focused on significant figures should gain uniqueness and traits differentiated from other figures and historic remains and the various areas of use should be searched in an educational and systematic way. This study, as a case study of a historical figure of a region,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ollecting, organizing, and studying data and examined a historic figure. Based on the existing data, it searched for ways for education, exhibition, and programs that are directly applicable, and tried to find ways to have the right understanding of a regional figure and to practical and sustainable ways to use resources. To this end, this study chose as its study object, general Lee Sam from Nonsan, Chungcheongnam-do Province, one of the figures who are not very well known, systematically organized his historical significance, connected past, present, and future, and tried to search for ways to effectively inherit and use historical remains and ruins. Based on cultural resources that are currently handed down, it systematically organized life, beliefs, and achievements of Lee Sam through literature and records, which is the original material of the resource,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remains and ruins that can be utilized. Then by analyzing the features and competitiveness of cultural resources related to Lee Sam, it planned actual ways of using resources such as utilizing old houses and operating exhibition halls, and presented a specific way to use resources. For example, through the process of organizing data, conducting a research, and finding features on the academic aspects and beliefs of Baekilhun, Lee Sam, it searched for various ways of using them. Also, it overcame the frequent modifying and mending practice that is often shown in the process of exalting a historic figure, connected the project to education and exhibition, and stresse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data.

      • 朝鮮後期 忠武公 李舜臣 家系의 무반배출과 선조추숭

        강경윤(Kang, Kyoung-yoon)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9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1

        조선후기 무반들은 가계를 세습하면서 하나의 세력을 형성해 간다. 가문 내에서는 물론 혼인관계를 통해서도 무반직을 세습하면서 후기로 갈수록 특정 정파와 밀접하게 연계되면서 하나의 정권기반이 되어 갔는데 이러한 변화는 무반을 더욱 성장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조선후기 무반가문의 세습에 관해서는 연이은 과거 급제, 혼맥, 전란과 변란을 통한 공신책봉 등 여러 형태로 계승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양하게 나타나는 무반가문 세습의 사례 중에서 특정인물 배출 이후에 후손들이 무반을 계승하여 성장 발전한 성씨로써 가장 대표적인 모습을 보이는 덕수이씨 충무공파의가계를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현재까지도 조선시대 최고의 명장으로 알려진 인물인 충무공 이순신 이후 후손들이 무반직을 계승하여 지속적으로 관직에 나아감은 물론 공신의 후예라는 점에서 끊임없는 비호와 예우를 받으면서 조선말기까지 가문이 성장해 가는 모습을 여러 사료를 통해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후손들이 사당과 정려 건립, 문집 발간 등을 통해 선조 추숭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고 향촌세력에서 기반을 다지고 있는지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덕수이씨 충무공파 가문이 조선후기에 점차 확고한 기반을 다지면서 명실상부한 무반 가문으로 자리잡게 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uban(武班: military officers) class of late Joseon built upon their power and influence by hereditary successions within their families. By passing on military positions within their families and through marriages, they built up bases of power by becoming closely associated with certain political factions, particularly during the late period of Joseon. Such changes enabled the further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muban class. Hereditary successions among the muban families of late Joseon occurred in vanous forms, such as the successive passing of the national examination (gwageo), marnages, and new appointments for distinction in battle. In view of such varied cases of hereditary successions among the muban families, this study examined the descendants(忠武公派) of Yi Sun-sin(李舜臣) of the Duksoo Yi Clan(德水李氏) as a prime example of a clan that saw substantial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the efforts of descendents after a family had produced a distinguished individual. Various historical records show that not only did the descendants of Admiral Yi -who is to this day regarded as Joseon s greatest military hero -continue to serve as military officers; they also saw steady growth in the clan s power thanks to privileges and preferential treatment for being the descendants of a military hero. By looking at their efforts for ancestor worship - such as the building of shrines and commemorative gates as well as the publishing of anthologies - and built their local power base, this study examines how Admiral Yi s descendants of the Duksoo Yi Clan established themselves as one of the distinguished muban families of late Joseon.

      • 공주 진주류씨의 무반가형성과 혼맥관계 연구 : 덕수이씨 충무공파와의 혼인관계를 중심으로

        강경윤(Kang, Kyoung-Yoon)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0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2

        본 논문은 조선후기 충청우도에 세거하면서 무반으로 성장발전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공주의 진주류씨 정민공파 가문의 사례연구이다. 유교사회였던 조선은 양난을 겪고 난 후 군사력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이에 무반직을 세습하는 무반가계가 독자적으로 형성되기 시작 하였다. 진주류씨 역시 무반가문으로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면서 나름대로의 정체성을 확보해 나아갔다. 이들은 서로 무반가문들 간에만 고위직을 세습하고 혼맥을 맺어 연대를 통해 지속적으로 무관 고위직을 배출하여 가문의 위상을 높여 나갔다. 먼저 진주류씨가 무반가문으로 형성-성장-발전하는 시기를 파악하였다. 또한 조선후기의 무반들은 통혼관계를 통해 자신들 가문의 위상과 사회적 지위 유지를 위해 노력했다. 진주류씨 역시 가문이 성장하는 시기인 18세기 후반부터 집중적으로 무반가문들과 혼인을 하고 있음을 파악 하였다. 특히 아산의 덕수이씨 충무공파와 중첩적이고 집중적인 혼인관계를 맺게 됨으로써 친밀한 유대관계를 유지하였다.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the family of the Jinju Ryu Clan Jeongmingong Branch who developed into a muban(military nobility) while residing in Woodo Island in Chungcheong Province for generation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military might was raised after Joseon, which was a Confucian society, underwent two wars(Imjin War and Manchu War). This led to the independent formation of muban families who inheritedmuban positions. As a muban family, the Jinju Ryu clan also acquired independent power and began establishing their identity. The clan members monopolized high ranking positions amongst themselves through hereditary succession and heightened the statusof their family by consistently producing high ranking muguans (military officials) through connections formed by marriages. First, the periods when the Jinju Ryu clan was formed, grew, and developed into a muban family were identified. The mubans of the late Joseon dynasty endeavored to maintain the status and social position of their families through marriages. It was found that the Jinju Ryu clan started to focus on marrying other muban families from the late 18th century. They especially maintained close ties with the Deoksu Lee clan Choongmugong branch from Asan through multiple and close maritalrelations.

      • 충청우도 무반가 자료의 사례연구 : 결성 담양전씨 가문의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강경윤(Kang, Kyoung-yoon)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1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5

        본 논문은 조선후기 충청우도의 무반가문 중 현전하는 자료를 통해 가문의 성향을 알 수 있는 결성의 담양전씨 보령공파가문의 사례연구이다. 조선은 유교 정치 이념에 따라 나라를 다스리는 문치정치를 추구하게 되었고 점차 문반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로 재편성되었다. 그러한 사회 속에서 무반들은 대외적으로는 관직진출 및 혼인관계를 통해 자신들의 기반을 마련하였고 내부적으로는 문중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무반가문들은 자신들과 관련된 유적과 유물, 고문서 자료들을 후손들에게 남겨 주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무반가는 문반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현전하는 유물과 고문서 등의 자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다. 때문에 현전하고 있는 무반가의 자료들은 더욱 중요한 가치를 지니게 된다. 그중 조선후기 충청우도 결성현의 담양전씨 보령공파의 자료를 바탕으로 자료의 현황을 파악하여 가문의 성격과 성장과정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단일 세계(世系)에서 300년 이상 관력을 이어받아 무관직을 세습하는 모습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또한 담양전씨의 혼인관계를 통해 지역사회에서의 성장·발전 모습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n the Damyang Jeon family of Boryeonggongpa in Gyeolseong to figure out its tendencies based on the remaining materials of military nobility families in Chungcheongwoo Province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Joseon sought after civil administration-based politics to rule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Confucian political ideas and was gradually reorganized into a society around civil servants. In the Joseon society, the military officers built a foundation by advancing to government positions and marrying other families on the outside and made efforts to keep the family power on the inside. In this process, military nobility families left relics, artifacts, and antique document materials related to them to their descendants. The remaining relics, artifacts, and antique document materials of military nobility families of Joseon are, however, relatively less than those of civil servant families, which add further values to the remaining materials of military nobility famili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such materials based on the materials of Damyang Jeon family of Boryeonggongpa in Gyeolseong, Chungcheongwoo Province during the latter part of Joseon and figured out the family s nature and growth process based on the materials. The family, in particular, transmitted its military position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y inheriting the government power in a single world for over 300 years. The family also grew and developed in the community through its marriage rel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수확시기에 따른 까마중 열매의 유용성분 및 생리활성 변화

        최성규,윤경원,김용두,진성우,김경제,강경윤,고영우,임승빈,정상욱,서경순,Choi, Seongkyu,Yun, Kyeong-Won,Kim, Yong-Doo,Jin, Seong-Woo,Kim, Kyung-Je,Kang, Kyeong-Yun,Koh, Young-Woo,Im, Seung-bin,Jeong, Sang-Wook,Seo, Kyoung-Sun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17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4 No.6

        본 연구는 까마중 열매의 수확시기에 따른 성분변화, 항산화효과 및 항염증 효과를 분석하여 최적 수확시기를 구명하였다. 까마중 열매의 유리당은 4가지가 검출되었으며, 유리당 중 fructose는 대체적으로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까마중 열매의 주요 유기산은 malic acid와 acetic acid로 나타났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10월 18일과 10월 25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들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10월 18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 10월 11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 및 10월 25일에 수확한 까마중열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확시기별 까마중 ethanol 추출물들의 항산화효과와 항염증효과 검정을 위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와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를 수행하였으며, 항염증 효과 측정을 위하여 lipopolysaccharide(LPS)로 염증을 유발시킨 RAW 264.7 cells을 NO 저해실험에 사용하였다.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는 10월 18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 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10월 18일에 수확한 까마중 열매는 총 폴리페놀 함량, 항산화 효과 및 항염증 효과가 우수하였다. 까마중 열매의 수확시기에 따른 성분분석 및 생리활성 실험 결과, 까마중 열매의 최적 수확시기는 성숙 중기인 10월 18일과 10월 11일로 밝혀졌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variation in free sugars, organic acids, amino acids,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Solanum nigrum Linne fruits according to harvest time. Four kinds of free sugars (fructose, glucose, sucrose, maltose) were detected in S. nigrum fruit, and the free sugar contents varied significantly with harvest time. Organic acid content of S. nigrum fruit showed the highest in malic acid and acetic acid, and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organic acids was found in S. nigrum fruit harvested on October $18^{th}$ and October $25^{th}$. For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S. nigrum fruit harvested on October $18^{th}$ was the highest. The strongest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howed in S. nigrum fruit harvested on October $11^{th}$ and October $18^{th}$.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s were the highest in the ethanol extract from S. nigrum fruit collected on October $18^{th}$ and October $11^{th}$. Thus, it seems the best to harvest of S. nigrum fruit harvested on October $11^{th}$ and October $18^{th}$.

      • KCI등재

        탈지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추출물이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마우스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최라영(Ra-Yeong Choi),함주리(Ju Ri Ham),류효선(Hyo-Seon Ryu),박경욱(Kyung-Wuk Park),강경윤(Kyung-Yun Kang),이미경(Mi-Ky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5

        본 연구는 탈지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추출물이 사염화탄소로 급성 간손상을 유발한 마우스의 혈액, 조직학적 변화 및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발효추출물(500 ㎎/㎏/d), 비발효추출물(500 ㎎/㎏/d) 및 양성물질인 실리마린(200 ㎎/㎏/d)을 3일 동안 일정한 시간에 1회 경구 투여하고 3일째 실험물질 투여 4시간 후 사염화탄소와 올리브 오일을 1:3(v/v)으로 혼합하여 체중 kg당 2 mL씩 복강 내 1회 주사하여 급성 간손상을 유발하였으며, 정상군은 동일한 용량의 올리브오일을 복강 투여하였다. 간독성지표인 혈청 ALT 활성은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발효추출물군에서 대조군과 비발효추출물군보다 각각 27%와 25%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염화탄소로 인해 혈청 TNF-α와 IL-6 함량이 정상군보다 각각 약 32.5배와 98.7배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발효추출물군과 실리마린군은 대조군보다 IL-6 함량을 51%와 25%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H&E 염색 결과, 대조군은 정상군보다 중심정맥 주위에 집중된 괴사와 변성이 관찰되었으나 발효추출물, 비발효추출물, 실리마린 급여로 병변 부위가 다소 감소하였다. 혈청 중의 유리지방산은 정상군보다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2배가 증가했지만, 발효추출물군, 비발효추출물군과 실리마린군은 대조군보다 유리지방산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중성지질 함량 역시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사염화탄소로 증가하였으며, 실험물질들은 정상군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간조직의 중성지질 함량은 사염화탄소 투여로 높아졌지만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았으며, 발효추출물군의 간조직 중성지질 함량은 대조군보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발효추출물, 비발효추출물 및 실리마린은 사염화탄소로 감소한 SOD활성을 정상군보다 높였으며, 발효추출물은 사염화탄소 대조군보다 GSH-Px와 GST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처럼 탈지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추출물은 사염화탄소로 인해 낮아진 SOD, GSH-Px 및 GST 항산화 효소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탈지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추출물은 비발효추출물보다 사염화탄소로 인한 급성 간손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fatted Tenebrio molitor larva ferment extract (MWF) on CCl₄-induced acute hepatotoxicity in mice. The ferment extract (500 ㎎/㎏/d), non-ferment extract (500 ㎎/㎏/d), and silymarin (positive control, 200 ㎎/㎏/d) were orally administrated to mice for 3 days; then, CCl4 (2 mL/㎏, 25% v/v in olive oil)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on the third day. After 24 h of CCl4 injection, the mice were sacrificed to collect sera and liver tissue. CCl4 treatment caused an increase in the serum AST, ALT, IL-6, TNF-α, total bilirubin, and free fatty acid levels, and a decrease in the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level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However, MWF significantly lowered the levels of serum IL-6 and free fatty acid, and tended to lower the ALT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istological analysis revealed that MWF attenuated liver injury caused by CCl₄. Hepatic SOD activity was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however, MWF significantly reversed. Moreover, MWF significantly elevated hepatic GSH-Px and GST activiti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WF has antioxidative effects against CCl₄-induced liver da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