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옆’과 ‘옆구리’의 語彙史에 대한 硏究

        김진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0 No.3

        This study examines the semantic change of the body term based on {yeop}. The term { yeop} was originally a body term, meaning ‘the side part of the body’ in Middle Korean. Until the 16th century, no case was found to mean ’(by the) side’. However, from the 17th century, {yeop} began to indicate the side of objects, and its meaning gradually changed. After the 18th century, it even referred to adjacent areas. Thus, a diachronic semantic change is observed in the word {yeop}, as well as a categorical metaphor. Body terms extending their meaning to spatial terms is a common phenomenon in other languages. In this study, for example, a similar case was found in English. Of further interest is the word {yeopguri}. First appearing in the 16th century as ‘nyeopgure,’, it is a compound of ‘nyeop’ and ‘gure,’, referring to the torso part in ‘nyeop’. Accordingly, the ‘yeopgure’ which appeared in the Middle Korean language is understood as ‘the torso and the empty part on the side of the body.’ 김진우, 2022, ‘옆’과 ‘옆구리’의 어휘사에 대한 연구, 어문연구, 195 : 77~103 본고는 {옆}을 중심으로 신체어의 의미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옆}은 본래 중세 국어에서 “몸의 옆 부분”을 의미하는 신체어였다. 15~16세기에 현대 국어와 같이 “옆”을 의미하는 경우는 전혀 찾아 볼 수 없다. 그러나 17세기부터 {옆}은 사물의 옆 부분을 가리키기 시작하면서 점차 의미를 변화시켰다. 18세기 이후에는 사물의 옆 부분에서 나아가 인접 영역을 가리킬 수도 있었다. 이처럼 국어에서 {옆}은 통시적인 의미 변화가 관찰되며, 범주적 은유의 위계가 발견된다. 이와 같이 신체어가 공간어로 의미를 확장해 나가는 것은 다른 언어에서도 보편적인 현상이다. 이 연구에서는 영어의 경우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발견되었다. ‘녑구레’로 16세기에 처음 등장한 {옆구리}는 시기를 고려하면 ‘녑’과 ‘구레’의 합성어로, 본래 “몸의 옆 부분”을 의미했던 ‘녑’에 있는 몸통 부분을 가리키는 어휘이다. 이에 따라 중세 국어에 등장한 ‘녑구레’는 “몸의 옆 부분에 있는 몸통 및 비어 있는 부분”으로 파악된다.

      • KCI등재
      • KCI등재

        공통참조기준초안(DCFR)에서의 계약법의 지도이념

        김진우 대한변호사협회 2014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45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four main principles of contract law in Volume Iof the Draft Common Frame of Reference (“DCFR”), which are freedom, security, justice andefficiency. DCFR embraces the common principles of European private law, and in some cases,proposes new approaches and solutions. It also examines whether the DCFR provisions are inharmony with each othe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gal frameworksincluding legislature are not only technical, but they also are manifestation of values and idea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DCFR purports and how the Principles areinterrelated to each other with a view to evaluate DCFR in terms of legal policy, dogmatics andits consistency. Second, most legal frameworks try to avoid reiteration of similar provisions. Theyadopt generalization and abstraction in order to avoid regulatory gaps. DCFR has similar ways ofregulation as well; therefore, it may face a risk of encountering regulatory gaps and may be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pre-understanding of domestic laws. DCFR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contract law. DCFR also needs to deal with the gap-filling issue. Third, it will be meaningful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DCFR principles for Korean private lawby taking the comparative legal studies approach. 본 연구는 공통참조기준초안(DCFR) 제1권에 담겨 있는 계약법의 4가지 지도이념인 자유, 안정성, 정의 및 효율성의 내용을 파악하고, 그것이 동 초안의 개별조항들과 과연 조화를 이루고 있는지여부를 살펴보았다. 공통참조기준초안은 현대 유럽사법의 공통원리를 추출하여 집대성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새로운 접근방식 내지 해결책을 제시한 규범집인데, 여기에는 다른 국제계약규범과들과는 달리계약법의 지도이념이 담겨 있다. 이러한 연구가 요청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이 압축할 수 있다: 첫째,법률을 비롯한 규범집은 기술적 작품일 뿐만 아니라 그 기초자의 가치관의 구체적 표현이기도 하다. 따라서 공통참조기준초안에 대한 법정책적․법리적 평가는 물론 일관성의 평가를 위해서는 동 초안이지향하는 목표 내지 이념이 무엇이며 또 이들이 내부적으로 상호 어떤 관계에 놓여 있는지를 파악하는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대개의 규범집은 유사한 내용의 조문들이 반복되는 것을 피하고 또규율의 공백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일반화․추상화의 기술을 사용한다. 공통참조기준초안 역시 이러한 규율방식을 취하고 있어 각국의 국내법적 先理解와 함께 읽혀질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규율상의 공백도 있기 때문에, 지도이념을 기초로 한 해석과 공백보충이 요망된다는점이다. 셋째, 비교법적 관점에서 공통참조기준초안의 지도이념의 우리 사법학에 대한 시사점을 구하고자 함이다.

      • KCI등재

        극한해석에 근거한 철근 콘크리트 깊은 보의 현재 설계기준에 대한 타당성 검토

        김진우,김대진,홍성걸,이영학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2

        The current American Concrete Institute(ACI) and Canadian Standard Association(CSA) code provisions on the shear strength of a simply supported concrete deep beam and its end anchorage details suggest that deep beams should be designed using the strut-and-tie model approach. Although this is a useful methodology to design members in disturbed regions, the quality of the design is highly dependent on the truss model that designers creat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current ACI and CSA design codes on these issues by comparing the estimates by the codes with those of the shear strength equations of concrete deep beams proposed by Hong et al.(2002) The comparison shows that deep beam members designed by the ACI and CSA strut-and-tie approaches retain the shear strengths close to the values predicted by the shear strength equations, but its requirements on end anchorage details may be rather conservative. 콘크리트 깊은 보의 전단강도 및 정착길이 산정을 위해 현행 미국 콘크리트 학회(ACI) 및 캐나다 표준 규격 협회(CSA)의 설계기준은 스트럿-타이 모델을 이용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비록 이 접근방식이 유용하지만 설계의 품질이 설계자가 구성한 트러스 모델 적합성에 크게 좌우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행 미국 콘크리트 학회 및 캐나다 표준 규격 협회의 콘크리트 깊은 보 설계기준의 타당성을 홍성걸 등에 의해 제안된 콘크리트 소성학에 근거한 전단강도식의 에측치와 비교함으로써 평가한다. 비교 결과 미국 콘크리트 학회 및 캐나다 표준 규격 협회의 스트럿-타이 모델에 의해 설계된 깊은 보 부재는 소성학에 근거한 전단강도식의 예측치와 유사한 강도를 보유하고 있으나, 이들 설계기준의 깊은 보 단부의 정착길이에 대한 요구조건은 다소 과도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