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대 중국에서 ‘동물’(動物) 표상의 철학적 함의 ―동양철학 동물연구 서설 (1)

        김시천 ( Sicheon Kim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4 No.-

        이 논문은 매우 단순한 물음에서 시작한다. 즉 고전 한자어 ‘動物’은 ‘animal’과 같은 말일까? 상식적으로 보면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動物’은 ‘animal’에 대한 번역어로서 본격적으로 사용되는 현대적 개념이란 점은 잘 지적되지 않는다. 실제 고전 문헌을 찾아보면 ‘動物’보다는 ‘禽獸’나 ‘蟲’ 등의 다양한 한자어들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서설적 연구의 성격을 지닌 이 논문은 고대 중국의 고전 속에서 동물에 대한 표상과 그 철학적 함의를 다루고 있다. 이 글은 먼저 한국 학계에서 다루어 온 동물 관련 연구 논의들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면서, 보다 체계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아울러 고대 중국의 고전에서 동물에 대한 대표 분류어가 부재함은 물론 신과 인간 그리고 동물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묵자』, 『맹자』, 『순자』와 『장자』의 동물에 대한 표상과 그 맥락을 살펴봄으로써, 동물에 대한 인식 또한 문헌에 따라 다르다는 점을 살피고 있다. 현대생물학이라는 과학적 시각에서 자연과 동물의 세계를 일의적으로 바라보는 현대인과 달리, 고대 중국의 고전이 보여주는 동물에 대한 관점은 훨씬 다양하고 독특한 성격을 드러낸다. 오늘날 인간은 자연과 기계, 심지어 동물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와 관련하여 커다란 인식의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우리는 고대 중국의 고전에 등장하는 동물 표상을 연구함으로써, 고대의 철학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동아시아 전통에서 ‘동물’이 어떻게 이해되고 사유되어 왔는가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어쩌면 그런 성과 속에서, 과거의 세계관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함은 물론 나아가 21세기의 다양한 문제를 새롭게 볼 수 있는 시각을 얻을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 This thesis begins with a very simple question. Is the classical Chinese word ‘animal’ the same as ‘dongwu’(動物)? Common sense might think so, but it was not pointed out that ‘animal’ is a modern concept that has started to be used in earnest as a translation for ‘animal’. If you look at the classical literature, you can see that various Chinese characters such as ‘chin-shou’(禽獸) and ‘chong’(蟲) were used rather than 'animal'. This thesis, with the character of an introductory study, deals with the representation of animals in ancient Chinese classics and their philosophical implications. This article outlines animal-related research discussions that have been dealt with in Korean academic circles, and raises the need for more systematic research. In addition, I pointed out that there is no representative taxonomy for animals in ancient Chinese classics, and that the boundaries between gods, humans, and animals are ambiguous. Lastly, by examining the representations and contexts of animals in 『Mozi』, 『Mengzi』, 『Xunzi』, and 『Zhuangzi』, we are examining that the perceptions of animals are also different. Unlike modern people who view nature and the animal world unilaterally from the scientific point of view of modern biology, the viewpoints on animals shown in ancient Chinese classics are much more diverse and unique. Today, humans are facing a major shift in how they relate to nature, machines, and even animals. We can understand ancient philosophy more concretely by studying animal representations in ancient Chinese classics.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that more active interest and research is needed on how ‘animals’ have been understood and thought in East Asian traditions. Perhaps through such achievements, we can not only understand the worldview of the past more concretely, but also gain a new perspective on the various issues of the 21st century.

      • KCI등재

        ‘老學’에서 ‘易學’으로

        김시천(Kim Si-Cheon) 한국도교문화학회 2003 道敎文化硏究 Vol.19 No.-

        魏晉 초기에 등장한 王弼의 『老子注』?는 현대에 와서 『노자』의 정통 주석서로 간주된다. 또한 왕필은 당시의 현학 사조를 주도한 인물로서, 『노자』의 사상으로 『주역』을 해석한 철학자로 평가된다. 하지만 왕필 『노자주』의 언어와 내용을 분석하면 이와 다른 결론에 도달한다. 왕필은 『장자』의 논리를 원용하면서 『노자』를 『주역』의 언어로 대체하고 있으며, 따라서 『주역』으로 『노자』를 해석한 것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위진 시대 『노자』의 핵심 사상으로 받아들여진 ‘無’는 ‘元’, ‘太極’, ‘理’ 등으로 대체되고, 『노자』의 ‘無爲’는 『논어』의 ‘무위’로 탈바꿈한다. 왕필은 『노자』, 『주역』, 『논어』 ?모두에서 의리적 접근을 통해 성인의 도를 긍정하는 논리를 펴는 것이다. 이 논문은 왕필의 『노자주』의 기본 성격을 이와 같은 노학의 역학화 또는 의리적 전환으로 보려는 시도이다. Wang Pi's philosophy focuses on the reestablishment of Confucius's tao, who hold a prominent position than Lao-tzu in the intellectual discourses of that period. While Wang Pi is Taoistic in his argumentation, he is a Confucian in social and political ideal, which based on Confucius's Analects and Book of Changes. The word-expressions of his commentary on Lao-tzu reveal that the key-concepts of Taoism would be substituted by the terms of Confucius's Analects and Book of Changes: ‘nothingness’ by the ‘One’ and the supreme ultimate, benevolence by compassion, the sage by the great man, etc. This understanding of Wang Pi's Commentary on Lao-tzu is in conformity with the Commentary of I Ching: the ethico-logical way of interpret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감각이란 무엇인가-동양철학적 접근

        김시천 ( Si Cheon K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7 시대와 철학 Vol.18 No.3

        근대 서구철학의 전통에서 감각이란 일정한 대상 세계를 전제하는 인식론적 개념이다. 따라서 감각에 대한 논의는 대개 이성과 감성, 인식론과 존재론의 맥락에서 접근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 방법이 고대 동아시아 철학에서도 그대로 타당한 것일까? 필자는 이 글에서 제인 지니의 논의를 바탕으로 감각과 관련된 주요한 용어와 특징들을 분석함으로써, 고대 동아시아의 감각 논의가 ``인식론``의 내용을 구성하기보다 더 넓은 기철학적 세계관에 맞닿는 일종의 ``감응론``으로 보아야 한다고 본다. 감응은 사물에 대한 객관적 인식을 추구하는 기획이 아니라, 주-객이 구분되지 않는 관계적이고 상호작용하는 활동이다. 한의학의 신체 묘사 또한 시각적, 해부학적, 객관적 재현을 중시하는 서구 의학의 신체 묘사와 다른 까닭 또한 바로 거기에 있다. 이러한 논의에 기반할 때, 20세기에 구성된 전통 고대 동아시아의 인식론과 철학에 대한 논의는 다시 새로운 지평에서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What was the concept of ``sensation`` in classical Chinese thought? Accordingly to the western traditions, the sensation is a passive function of aesthesis, a medium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But the concept of aesthesis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 one in classical Chinese texts. First of all, the sensation is an active behavior of the parts of human body, the five sense-organs, which was the communicative channel between the inner-life and the outer-world. And the discourses of sensation has made up of not the theory of knowledge but the ch`i philosophical worldview. The contacts between our mind-heart and five senses gives rise to qing(feelings and desires) that was the flowing of ch`i in our body. For that reason, the discourses of sensation in classical Chinese texts must be related to the sphere of psychology and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not of epistemology.

      • KCI등재

        해석(解釋)인가, 전유(專有)인가? - 20세기 한국의 『노자』 이해와 ‘동양철학’(東洋哲學) -

        김시천 ( Kim Si-cheon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7 No.-

        오늘날 한국에서 『노자』는 유(儒)·불(佛)·도(道)라는 ‘삼교’(三敎)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텍스트 가운데 하나로 받아들여진다. 특히 20세기 초에 공자와 더불어 노자는, 철학사의 원류인 ‘제자백가’(諸子百家)의 가장 중요한 두 기점으로 정립되었다. 그리고 이로부터 연원하는 갖가지 텍스트와 실천들은 동아시아의 철학적, 사상적 역사의 전개 과정에서 ‘전통’의 핵심으로 간주된다. 그런데 19세기 조선의 유학자들에게 『노자』는 명백한 ‘이단’(異端)으로서, 배척의 대상이었다는 점은 종종 잊혀지곤 한다. 이 논문은 ‘이단’으로 배척되던 『노자』가 어떻게 중요한 하나의 ‘전통’으로 변화, 긍정될 수 있었는지 살피고 있다. 유가 텍스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모호한 시적 문체로 구성된 『노자』는, ‘해석’(annotation)보다 ‘전유’(appropriation)를 통해 역사 속에서 전수되어 왔다. 특히 송대(宋代) 이래 문자의 세계를 주도했던 유가 문인(文人) 사대부(士大夫)는 ‘이유해로’(以儒解老)라는 전유의 방식으로 『노자』를 통섭 또는 포용하고자 했다. 몇몇 조선 유학자들이 남긴 『노자』 주석서는 그 전형을 보여준다. 또한 19세기 말에서 20세기를 거치는 근대로의 전환 과정에서, 서구의 ‘철학’(philosophy)이 유입되고, 대학 제도가 도입되면서 과거의 물적 기반을 상실한 전통적 학문 체계는 ‘문명화’와 ‘자기 정체성 유지’라는 커다란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전통 담론은 ‘동양철학’이라는 범주로 스스로를 변화시켜야 했다. 한편 ‘서구’라는 거대 타자의 등장은 정통과 이단으로 구분하던 내적 차이를 ‘동양’ 이라는 집단 정체성으로 포용하면서, 마침내 『노자』는 ‘이단’에서 ‘전통’으로 변화, 긍정된다. 하지만 이러한 전유의 과정은 『노자』나 『장자』와 같은 소수 전통이 과거의 사회와 역사에서 씨름하고자 했던 현실과 그 문제의식을 소홀히 하는 결과를 낳았다. 『노자』를 비롯한 ‘전통’은 현실의 문제를 씨름하기보다 ‘전통’을 구성하면서 과거의 가치와 의미를 긍정하는 소극적인 역할에 머물게 되는 한계를 갖게 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21세기 『노자』에 대한 해석과 토론이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는, 이러한 20세기 과거에 대한 반성에서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The thoughts of 『Laotzu』 (老子) have been considered very significant in Korea because they are one of the core elements to consist of the ‘Three Teachings’―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Particularly, Laotzu and Confucius established two important starting points of the mainstream, all philosophers and scholars, throughout the entire philosophy history at the beginning of twentieth century. Also, the following many related texts and actions have been regarded traditional key factors because these contributed to the process of East Asian philosophical history. However, his thoughts were clarified as heresy, and Confucian scholars in Chosun were unaware of them. This research shows how importantly the thoughts of 『Laotzu』 change into positive outstanding traditions. His thoughts have been compared with Confucianism texts because of ambiguous poetical styles, and historically conveyed through not annotation but appropriation. From Song Dynasty, influential Confucian philosophers and nobility in particular integrated or embraced his thoughts in the manner of ‘an annotation of Laotzu by Confucian ideas’’(以儒解老). Some Confucian scholars’s annotation of 『Laotzu』 in Chosun is a case in point. Also, from the late nine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the Western philosophy appeared in the University education and this made controversial issues about civilization and self identity, which caused East Asian philosophy to spontaneously change. In fact, the influential Western philosophy embraced Eastern philosophy as the collective identity without reference to the authenticity and heresy and therefore, the latter changed into the former and has remained positive. Nonetheless, unlike the thoughts of Laotzu and Chuangtzu on the reality and its awareness, this appropriation process makes these thoughts overlooked. His thoughts and the East Asian traditional philosophy have limitations not to try to solve the reality but to passively act and affirm the values and meanings on the past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 In this way,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e twenty-first century 『Laotzu』 and his thoughts and reviews the twenty century ones.

      • KCI등재

        ‘K-철학’은 가능한가?

        金是天(Kim, Sicheon) 한국동양철학회 2021 동양철학 Vol.- No.55

        한국의 20세기에서 고전 철학의 이해는 중국이나 일본과는 차별화된 성격을 보인다. 예컨대 함석헌 등의 기독교 사상가 계열의 ‘노장’(老莊) 전통은 한편으로는 기독교와 유학, 도가의 회통을 말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민주주의와 인권, 자유와 평등의 가치를 올곧이 담아내고자 하는 철학적, 사상적 실천을 보여준다. 이 글에서 나는 이러한 실천을 규명하기 위해 세 가지에 주목하고자 했다. 첫째는 철학적 텍스트에 대한 논리적 해석에 멈추지 않고, 특정한 철학적 관념이 현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드러나는 맥락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 이는 ‘텍스트 철학’이 아닌 ‘느낌의 합의’ 혹은 보다 쉬운 말로 상식을 대상으로 한다는 말이다. 둘째로 나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문 철학자가 아닌 저자들의 텍스트에 주목했다. 김대중과 기세춘 그리고 함석헌의 텍스트를 논의의 중심에 둔 까닭이 이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는 이러한 두 가지 논점을 포용하는 해석학적 기반을 ‘초월의 해석학’ 이라 이름 붙여 보고자 했다. 이는 특히 함석헌이 말하는 ‘씨의 자리에서 고전고쳐 읽기’는 표현을 가리키는 말이다. 엄밀한 의미에서 보면 20세기 내내 ‘동양철학’은 하나의 기호로서 혹은 식민지 경험의 유산으로 단지 허명(虛名)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같은 텍스트들을 비교적 관점에서 한국철학 혹은 ‘K-철학’으로 읽고자 할 때 우리는 보다 풍부한 철학적 사유의 여정을 확인할 수 있다. Korea’s understanding of Classical philosophy in the 20th century is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China and Japan. In particular, the tradition of ‘old age’ of Christian thinkers such as Ham Seok-heon, on the one hand, refers to the conversion of Christianity, Confucianism, and Daoism on the one hand, while on the other hand, it aims to convey the values of democracy and human rights, freedom and equality. This is because it shows the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practice of doing. In this article, I wanted to focus on three things to clarify this practice. First, I tried to focus on the context in which certain philosophical ideas are revealed in the interaction with reality, not stopping on the 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philosophical text. This means that it is aimed at ‘consensus of feeling’, not ‘text philosophy’, or in simpler words, common sense. Secondly, I focused on the texts of authors, not professional philosophers, for this purpose. This is why the texts of Dae-jung Kim and Se-chun Ki, and Seok-Heon Ham were put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And finally, I tried to name the hermeneutic basis that embraces these two issues as the ‘transcendental hermeneutics’. This is a word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expression Ham Seok-heon refers to as ‘reading revised classics in the place of ‘people’. In a strict sense, ‘Oriental Philosophy’ throughout the 20th century was nothing more than an empty name as a sign or as a legacy of colonial experience. However, when we try to read the same texts as Korean philosophy or ‘K-philosophy’ from a relatively perspective, we can find a richer journey of philosophical thinking.

      • KCI등재

        착종된 근대 -서구의 동양철학 연구서 번역에 나타난 근대와 전근대의 이중주

        김시천 ( Si Cheon K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4 시대와 철학 Vol.15 No.2

        Since the 1980s the Korean translations of the western writings of Eastern Asian Studies, particularily in the areas of philosophy or the intellectual history, have grown in Korean Scholarship. Primarily philosophy originated from Western society, but integrated into every discipline of scholarly studies since early twentith century. Neverthless, if we examine the Korean translations of western writings of East Asian Studies, we can realize that there was entangled modernity among them. So to speak, the Korean translations searched not for modernity but for nostalgia of the past.

      • KCI등재
      • KCI등재

        다윈이 맹자와 만났을 때

        김시천(Si-Cheon Kim) 한국의철학회 2007 의철학연구 Vol.4 No.-

        최근 서구 학계에서는 맹자의 성선론 해석을 둘러싸고 새롭게 진화론에 근거하여 다양한 논변을 보이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최근의 조류를 염두에 두면서 맹자의 성선설(性善說)과 수양론(修養論)이 제대로 이해되기 위해서는, 20세기의 이른바 도덕 형이상학적 해석을 지양하고 오히려 진화론적 사유로 해석할 것을 제안하는 글이다. 이성적 원리에 근거하는 추상적 보편성으로서의 인간 본성이라는 맹자의 성(性) 개념 해석과는 달리, 나는 동아시아 전통 철학적 사유의 핵심이 되는 “정(情)의 인간학”을 통해 맹자의 인성론을 이해하는 것이 보다 적절한 접근 방식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특히 ‘정의 인간학’으로 인간을 이해하는 관점은 동아시아 사유의 특징이면서도 동시에 다양한 방식에서 최근 대두되는 진화심리학과 진화생물학의 과학적 성과와도 부합한다. 이에서 더 나아가 맹자와 순자의 성선설과 성악설로 대표되는 인성 논쟁 또한 본성상의 선악 기원에 관한 논쟁이기보다 최근 다시 부상한 “본성 대 양육” 논쟁의 구도로 해석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 제안한다. 말하자면 나는 이 글에서 맹자의 성선설과 수양론의 사상적 핵심이 “양육을 통한 본성”에 해당하며, 이러한 맥락은 진화론적 용어와 개념을 통해 훨씬 효과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보고자 한다. 물론 이는 시론적 논의이지만, 향후 풍성한 성과가 기대되는 영역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introduce the insights of the current biology and evolutionary psychology into Mencius' theories of human nature and self-cultivation in early China. If we compare the terms and contexts of discourses in Mencius to the current biological sciences, it will be unmistakable that Mencius's conceptions of man are similar to that of biological sciences. Nothing but, Mencius had more inclined to ethics and politics than the latter. For Mencius, human beings were emotional and botanical rather than rational and abstract. The point of his conception of humans was the theory of moral self-cultivation, which had rooted in moral emotions by nature, and which can be compared with the farmer's taking care of plants. My argument is the one that current biological sciences can present some useful terms for proper interpretation to readers of Mencius.

      • KCI등재

        노자(老子)와 제왕(帝王)의 도 -노자의 “전설”과 『노자』 텍스트에 대한 재검토-

        김시천 ( Si Cheon Kim ) 동양철학연구회 2012 東洋哲學硏究 Vol.69 No.-

        The Lao-tzu is not an easy text to read, translate, and interpret. Still, I believe that the problems with regard to the text and author of the Lao-tzu has not solved.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Angus C. Graham, the legends of Lao-tzu in the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reveals the complexity of the person, as an alledged author, that consists of legends originated from different sources. In this case we need to have an other approach to the Lao-tzu, the Lao-tzu text in itself, in particular, the personal pronouns. It resulted that the Lao-tzu was an text of the elite in ancient China, because the sayings of Lao-tzu normally addressed the ruling class about the issues of good government and social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