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가족기능화 상담 모형에 관한 연구

        선남 한국상담학회 2005 상담학연구 Vol.6 No.3

        가족기능화상담은 체제로서 가족의 기능들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가족체제의 조직수준-개인수준, 관계수준, 전체수준-별로 그리고 계열적으로 개입하는 절차와 기법들을 포함한다. 가족기능화상담 모형을 제안하기 위해 개인수준에 세티어 모형, 관계수준에 헤일리 모형, 그리고 전체수준에 미뉴친 모형을 통합할 수 있는 가족기능화상담의 패러다임과 이론을 발달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①가족기능화상담의 패러다임 ②가족기능화상담의 이론 ③가족기능화상담의 모형의 순으로 기술하였다. In this paper, I describe the model of family functioning counseling. This model consist of sequential intervention procedures of Satir's Human Growth Model, Haley's Strategic Model, and Minuchin's Structural Model which are reinforcing family functioning in the personal level, relational level, and family unit level of the family system. In order to select intervention procedures and skills, I present selecting frame of reference and criterion. Consequently, I propose ①the paradigm of family functioning counseling, ②the theory of family functioning counseling, and ③the model of family functioning counseling.

      • KCI등재

        수용자의 독서행태에 관한 연구 : 연령별 차이를 중심으로

        선남,희주 한국출판학회 2019 한국출판학연구 Vol.4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수용자의 독서행태에 대한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결과, 첫째, 독서시간에서 연령별 차이를 보였다. 50대의 독서시간이 가장 길었던 반면 30대의 독서시간이 가장 짧았다. 둘째, 도서구매 권수는 연령별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 셋째, 선호하는 독서 장르에서 연령별 차이를 보였다. 20대는 ‘실용서’, 30대는 ‘유아아동서’, 40대 및 60대 이상은 ‘인문교양서’, 50대는 ‘학술서’를 선호했다. 넷째, 구매도서 장르에서 연령별 차이를 보였다. 20대는 ‘문학서’, ‘교육서’, 실용서’를, 30대는 ‘유아아동서’를, 50대는 ‘학술서’, ‘인문교양서’를 더 구매했다. 다섯째, 독서동기에서 연령별 차이를 보였다. 20대는 ‘정보추구’, ‘습관’, ‘긴장해소’, ‘오락추구’ 동기에서 두드러졌다. 40대는 ‘정서함양’, 60대 이상은 ‘자아실현’에서 두드러졌다. 여섯째, 도서 대출을 한 도서관 이용률에서 연령별 차이를 보였다. 40대의 도서 대출을 위한 도서관 이용률이 가장 높았던 반면, 30대 도서 대출을 위한 이용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신입생들의 대학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선남,임재식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9 주관성연구 Vol.-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ypify the deciding factors of college freshmen’s college choices. It was foun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at there is a total of 3 types of college freshmen’s deciding factors. The first classification is the ‘focus on reputation.’ Unlike these students’ concern on ‘college reputation and growth potential,’ they do not focus on the ‘college’s PR policy’ and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programs.’ These students occupied 46.2% of the total respondents and was generally found in both male and female freshmen. The second classification is the ‘focus on career.’ While these students emphasize the ‘college’s high post-graduation employment rate,’ they do not focus on the ‘college’s PR activities’ and ‘the stability of the college’s environmental infrastructure.’ These students composed 32.2% of the total responses and was mostly observed in male, STEM-related major freshmen. The third classification is ‘the focus on financial support.’ Unlike these students’ interest in ‘low tuition fees’ and ‘scholarship opportunities,’ they do not focus on ‘college’s PR activities,’ and ‘the quality of the educational system (student abroad, distinguished faculty).’ These individuals composed of a minority (21.4%) of the total responses and the students were mostly female, humanities-related major freshme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신입생들의 대학선택 결정에 관한 주관성 구조를 유형화시키는데 있다. 연구결과, 대학신입생의 대학선택 결정요인은 총 3개 유형으로 발견되었다. 첫 번째 유형은 ‘명성 중시형’이다. 이들은 ‘대학평판 및 성장가능성’에 관심을 둔 반면 ‘대학의 홍보정책’ 및 ‘질 높은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주목하지 않았다. 이들은 전체 응답자의 46.2%를 차지하였으며 대체로 남녀 신입생에게서 발견되었다. 두 번째 유형은 ‘진로 중시형’이다. 이들은 ‘대학의 높은 취업률’에 관심을 둔 반면 ‘대학의 홍보활동’, ‘대학의 안정된 환경 인프라’ 등에는 관심두지 않았다. 이들은 전체 32.2%를 구성하였으며 주로 남학생 및 이공계열 신입생들 사이에서 두드러졌다. 세 번째 유형은 ‘경제적 지원 중시형’이다. 이들은 ‘낮은 등록금’, ‘장학제도’ 등에 관심을 둔 반면 ‘대학의 홍보활동’, ‘질 높은 교육프로그램(해외연수, 우수한 교수진)’에는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들은 전체 응답자의 소규모(21.4%)를 차지했으며 대체로 여학생 및 인문사회계열 신입생들 사이에서 두드러졌다.

      • KCI등재

        지역방송 연구영역에 대한 주관성 분석: 전문가의 인식 유형을 중심으로

        선남,명성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9 주관성연구 Vol.-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area which is needed to revitalize local broadcasting programs. Depending upon Q methodology, data were collected from experts who were believed to watch local programs. Experts' subjectivities were categorized on the basis of their perceptions. Three types of research fields were found from the orientations directed by experts. The first type was "program content analyzing type." Those who were in this type were 58% of respondents. They understood that the research relevant to the program content development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field. The second type was "financial support structure analyzing type." Those who belong to this type were 24% of respondents. They perceived that the research relevant to financial bases and business environment is the most crucial in the field. The third type was "audience's needs analyzing type." Those who were in this type were 18% of respondents. They thought that what is important in the research is to analyze viewer rating, locality and ot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help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find the direction to which the future policies addresses for the revitalizing local program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방송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어떤 유형의 연구영역이 필요한지를 살피는데 있다. 이에본 연구는 지역방송 시청자 가운데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지역방송 연구영역에 관한 주관성 구조를 유형화했다. Q분석 결과, 지역방송 관련 전문가들이 지향하는 지역방송 연구영역은 세 가지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프로그램 콘텐츠 분석형”이다. 이 유형은 지역방송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 관련 연구가 중요하다고 인식한 스타일로, 전체 응답자의 약 58%를 차지했다. 제2유형은 “재정적 지원 구조 분석형”이다. 이 유형은 방송사 운영에 필요한경제적 기반 및 환경 분석 연구가 중요하다고 인식한 스타일로, 전체 응답자의 약 24%를 차지했다. 제3유형은“수용자 욕구 분석형”이다. 이 유형은 ‘시청률’, ‘지역성’ 등의 개념을 중시하고 이와 관련한 시청자의 욕구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인식한 스타일로, 전체 응답자의 약 18%를 차지했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방송의 활성화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

      • 빅데이터 시대의 개인정보보호 방안 : 빅데이터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선남,이환수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는 산업 발전에 대한 긍정적 시각과 함께 개인정보보호 및 프라이버시 침해와 관련한 우려 또한 낳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방송통신위원회는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 수집과 이용 범위를 규정하는 ‘빅데이터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동 ‘가이드라인(안)’은 산업 진흥에 목적을 두고 있어, 기존 「개인정보보호법」과 충돌하는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정보주체의 인권이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제정을 강력히 반대하며, 결국 개인정보위원회는 최근 전면 재검토를 요청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 ‘가이드라인(안)’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국내·외 관련 법률을 검토하여, 개인정보보호를 통한 프라이버시 침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기업들이 빅데이터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법과 제도적 정비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