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APD, ERIC-PCR 및 REP-PCR을 이용한 Serratia marcescens의 분자역학적 조사

        신경섭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3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3 No.2

        배경 : Serratia marcescens는 흔한 원내감염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균의 아형 분류에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PCR에 기초한 방법을 적용하여 보았다.방법 : 2001년 3월부터 5월까지 충북대학교 병원에 입원한 24명의 환자로부터 분리된 S. marcescens 24 균주를 대상으로RAPD, ERIC 및 REP-PCR을 이용하여 아형 분류를 하였고 이들 방법의 재현성을 보았다. 그리고 이들 균주의 최소억제농도를측정하였다.결과 : 감염의 창궐을 일으킨 균주(epidemic strain)가 분리된환자들은 모두 소변 카테터를 가지고 있었으며 중환자실 및 신경외과 병동에 입원하고 있었다. 이들 균주는 매우 유사한 항균제감수성 양상을 보였는데, imipenem을 제외한 시험한 모든 항균제에 내성이었으며 최소억제농도도 매우 증가되어 있었다. Non-124 신경섭epidemic 균주는 서로 다른 내성양상을 보였으며 15번 균주를 제외하고 최소억제 농도도 낮았다. RAPD, ERIC 및 REP-PCR에의한 아형은 epidemic strains (1-14번 균주)은 동일하였으며,non-epidemic strain (15-24번 균주)은 서로 달랐다. 이들 PCR에 기초한 방법은 쉽게 접근할 수 있었으며, 빠른 결과에 도달할수 있었고, 분별력 및 재현성도 우수하였다.

      • KCI등재

        인체적용시험을 통한 홍삼기반 'SSR'이 인체 피로도 감소 및 혈액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신경섭,이홍기,박선미,Shin, Keong Sub,Lee, Hong Gi,Park, Sun Mi 한국식품영양학회 2021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4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sumption of red ginseng-based 'SSR' for 30 days and the reduction in human fatigue, blood component changes, and immune cell activity in 35 human subjects. 'SSR' is composed of zinc oxide, folic acid, and D-α-tocopherol with red ginseng as the main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otocol criteria of the study, 35 subjec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signed an informed consent form were selected. The fatigu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after taking 'SSR', a decreased tendency of physical, mental, and neurosensory fatigue was observed. In hematological analysis,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levels of WBC, RBC, and hemoglobin; however, AST (SGOT) and ALT (SGPT) lev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In immunological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the proliferative effect of T cells (CD3+CD4+) was greater than that of NK cells (CD16+CD56+).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t-test analysis using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 from this study proposes that 'SSR' can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as it reduces human fatigue and enhances immune function.

      • Metallo-β-lactamase 생성 Pseudomonas aeruginosa 및 포도당 비발효그람음성간균의 검출방법에 관한 연구

        신경섭,김원식,손재철,홍승복,최재운,형성민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忠北醫大學術誌 Vol.13 No.2

        연구목적: Metallo-β-lactamse (MBL)는 carbepenem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β-lactam 항균제를 가수분해할 수 있으므로 MBL 생성균의 확산은 이들 균에 의한 감염의 치료에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MBL 생성균에 의한 감염의 확산을 막기 위해 이들 균의 조기 검출이 필요하다. 저자들은 MBL 생성균을 검출할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을 PCR 방법과 비교하여 보았다. 재료 및 방법: Imipenem의 MIC가 8 μg/mL 이상인 50개의 포도당 비발효 그람음성 간균을 대상으로 EDTA-double disk synergy test (EDTA-DDS), Etest MBL, Hodge 변법을 시행하였으며 대조 검사로 IMP-1, VIM-1, VIM-2에 대한 PCR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50 균주 중 MBL 생성균은 Pseudomonas aeruginosa 1 균주, Alcaligenens xylosxidans 7 균주 등 8 균주(16%)가 검출되었다. 이들 균주는 모두 VIM-2 형이었으며, EDTA-DDS, Etest MBL은 PCR 방법과 100% 일치하였다. Hodge 변법은 8 MBL 생성균주 중 2 균주를 검출하지 못했다. 결론: 50 균주 중 8 균주가 MBL 생성균이었고 모두 VIM-2 형이었다. Etest MBL은 가격이 비싸 검사실에서는 EDTA-DDS가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Because metallo-β-lactamase (MBL) has activity to hydrolysls against most β-lactam drugs, dissemination of MBL producing bacteria may cause problems of treatment of infection by their microorganisms. Early detection or screening for MBLs will contribute to prevent further spread of resistance. Authors compared three MBL detection methods with PCR for MBLs. Materials and Methods: For 50 isolates of g1ucose nonfermentative gram negative bacilli with reduced susceptability against imipenem (MIC≥8 μg/mL), EDTA-double disk synergy (EDTA-DDS), Etest MBL and modified Hodge test were compared with PCR detection method for MBLs. Results: Among 50 isolates of glucose nonfermentative microorganisms, eight MBL producers including a Pseudomonas aeruginosa and 7 Alcaligenes xylosoxidans were detected. Those isolates were VIM-2 producer. The results of EDTA-DDS and Etest MBL completely agreed with PCR for MBL detection. Two isolates among eight MBL Producers were not detected in modified Hodge test. Conclusion: All of MBL producing bacteria were VIM-2 genotype. In conclusion, EDTA-DDS may be useful method for MBL detection in clinical laboratory due to high cost of Etest MBL strip.

      • 호산구 증다증에 대한 임상적 고찰

        최윤미,채수안,형성민,신경섭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6 忠北醫大學術誌 Vol.6 No.1

        말초 혈액에서 호산구의 증가는 알러지성 질환, 기생충 감염, 악성종양 및 혈액질환, 약물반응, 세균 및 진균성 감염질환 등에서 자주 관찰된다. 그러나 많은 예에서는 충분한 조사에도 불구하고 원인을 밝힐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특히 과호산구 과다증후군(HES; 이하 HES로 약함)과 같이 오랜시간 동안 원인을 모르는 호산구 증가가 지속되며 장기 침범 소견을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또는 일시적으로 호산구의 증가를 보일 수 있다. 현재 호산구 증다증에 대한 관심이 국내외적으로 집중되고 있으며, 호산구 증가의 임상적 고찰에 대한 연구결과도 다수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1995년 1월부터 9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에 입원 또는 외래환자 중 말초 혈액 호산구가 전체 백혈구의 20%이상되는 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 병록지를 검토하여 호산구 증다증의 원인과 그원인에 따른 호산구수 및 나이, 성별, 일반 혈액검사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남자가 2.55:1로 더 많았으며, 전체 71예중 45예에서만 원인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는알러지성 질환이 가장 많았고 그 밖에도 감염성 질환, 기생충 질환, 간 질환, 악성종양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들 중 호산구의 수치는 악성질환에서 가장 높았다. 그밖의 검사 결과에서는 원인질환 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Peripheral blood eosinophilia is frequently observed in patients with allergic disease, parasitic disease. Occationally, bacterial and fungal infections, malignant disease, autoimmune disease, hematologic diseases are associated with eosinophilia. However in many instances, one could find no definite cause of eosinophilia despite through search. In particularly there is hypereosinophilic syndrome which are persistent with non-causible eosinophilia during long time and transient eosinophilia. In many years ago, interest against eoisinophila had been increased and clinical studies of eosinophilia were reported. We had conducted retrospective study to evaluate causes and to compare with eosinophil count, age, sex, CBC in each causes in 71 patients who had been admitted to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 1995 to Sep. 1995.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52 years ranging from 13 to 83,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about 2.55 to 1. 2. Among 71 cases, 45(63.4%) cases were found to have identifiable and/or possible causes, and 26(36.6%) cases were of unknown causes. 3. Among cause-known group, bacterial or viral infections(20%), hepatobilliary diseases(7.8%), malignant diseases(17.8%), allergic disease or drug reactions(28.9%), parasitic infestaions(11.1%) were the major causes of eosinophilia 4. The amplitude of eosinophilia compared in each causes was highest in malignancy disease and lowest in allergic diseases. Other laboratory dat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 비분비성 다발성 골수종 1예

        최윤미,이도훈,김승택,신경섭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6 忠北醫大學術誌 Vol.6 No.1

        다발성 골수종은 특징적인 방사선학적 골융해 소견과 골수내 종양성 형질 세포의 증식, 혈청이나 소변내 단클론성 면역글로부린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그러나 아주 드물게는 단클론성 면역글로부린의 분비장애로 인해 혈청이나 소변으로 단클론성 단백질이 분비되지 않는 비분비성 다발성 골수종을 갖는 예가 있어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다발성 골수종은 전체 다발성 골수종의 1-5%의 빈도로 보고되는 드문 예로 진단에 있어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에 저자들은 혈액학적, 방사선학적, 면역화학적 그리고 면역형광법으로 비분비성 다발성 골수종 1예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61세 여자로 골수내 형질세포가 36%이고 두개골에 다발성 골융해 병소를 보이고 골반뼈에 골조송증과 늑골 및 11번 흉추에 오래된 골절소견을 보였다. 혈청과 뇨에서 단백전기영동에서 단클론성 면역글로부린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면역전기영동검사에서도 비정상 침전 단백질도 발견되지 않았다. 골수천자 검체로 시행한 간접면역형광검사에서 세포질내 IgG, kappa형 면역글로부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자들은 비분비성 다발성 골수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possible diagnosis of multiple myeloma is usually raised by presence of typical radiographic "lytic" lesions, bone marow plasmacytosis(greater than 30%) and monoclonal immunoglobulin in serum and/or urine. However, about 1-5% of patients with multiple meyloma, a monoclonal immunoglobulin(M-spike) cannot be detected. The non-secretory myeloma has a block in release or synthesis of monoclonal protein, which are account for abscence of paraproteinemia. The authors experienced one case of nonsecretory multiple myeloma studied by hemoatologic, radiographic, immunochemical and immunfluorescent methods. The 61-years old female patient had bone marrow plasmacytosis(36%) and multiple lysitc lesion in skull, osteopenia in pelvis, old fracture in 11th thoracic vertebrae and rib. On electrophoretic study, there is no monoclonal peak in serum and urine and immunoelectrophoretic study reveals no abnormal precipitation arc. Immunofluorescence of bone marrow aspiration demonstrates intracytoplasmic IgG, kappa type M-component. So we report case of nonsecretory multiple myeloma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우수등재

        외부 도청자에 대한 에너지 효율적 시간 전환 보안 릴레이

        신경섭 대한전자공학회 2023 전자공학회논문지 Vol.60 No.9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수확이 가능한 릴레이와 외부 도청자가 존재할 때, 보안 에너지 효율성을 최대화하기 위한 최적의 방해 전파 전력 비율과 시간 전환 비율을 찾았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 값을 최적화함으로써 네트워크의 보안 에너지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find the optimal jamming power ratio and time-switching rate to maximize the secrecy energy efficiency in the presence of energy-harvesting relay and external eavesdropper. Through simulations, we show that by optimizing these values, the secrecy energy efficiency of the network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