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선암 483예의 생존율과 예후인자 및 항암 보조 화학요법의 효과

        천성원,이재학,장석균,이종서 가톨릭중앙의료원 가톨릭암센터 1996 암심포지움 Vol.- No.2

        수술후 보조 항암 화학 요법은 FAM 71예, FEP 115예, F 51예에서 적용되었으며 보조 항암치료를 받지 않은 예는 204예이었다. 항암요법의 효과는 생존율로 비교하였는데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근치적 정제술을 받은 환자만을 선택하여 암시기와 각각의 항암제는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병기 1을 제외한 3년, 5년 누적생존율은 FAM군의 경우 76.7、692%,FEP군 60%, 40% EAP군 25%, 25% F군 45.1%, 29.5% 항암제를 항암제를 투여하지 않은 군에서는 58.9%, 44.2%로 각 군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나 EAP군의 경우 진행된 병기에서 주로 사용되었고 치료와 관련된 독성으로 사망률이 높았느며 F군의 경우 병기 3이상에서 대부분을 사용되어 이둘 두군을 제외하고 제3상 임상연구로 FAM, FEP군과 NCD군의 생존율을 비교하였는데 FAM군이 NDC군보다 생존율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FEP군과 NDC군의 생존율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FAM군이 FEP군보다 생존율이 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인를 보였다. 단병량적 분석에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병소위치, 육안적 분류, 종양의 크기, 위절제 정도, 조직학적 분류, 근위 단면부 침윤여부, 윈위 단면부 침윤여부, 암 침윤도, 임파절 전이 정도, 전이 임파절 개수, 병기, 근치적 절제, 광범위 곽청술, 임파관 침습, 신경침습, 정맥침습, 복막 및 간전이 여부, 항암 보조화학요법등이 유의하였으며 이에 대한 다변량적 분석에서 독립적인 예후인자로는 암 침윤도, 임파절 전이정도, 전이 임파절 개수, 병기 3에서의 임파절 곽청범위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위선암의 예후는 암침윤도와 임파절 전이정도에 의하여 결정되며 병기 3에서 D2이상의 임파절 곽청을 포함한 근치적 절제가 생존율 향상에 기인하였고 FAM 항암보조화학제가 FEP항암제에 비하여 비교적 부작용이 경미하고 생존 기간연장에 일부 관여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향후 새로운 세대의 복합항암 화학제의 개발과 보조치료의 시도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New classes of antineoplastic agents of ovarian cancer

        이준모 가톨릭중앙의료원 가톨릭암센터 1998 암심포지움 Vol.- No.1

        난소암은 미국지역에서는 부인과영역의 악성종양의 사망 순위가 1위이다. 진행된 난소암 환자의 대부분은 수술을 받고 다음 항암 치료를 받는다. 그러나, 난소암은 최신 지견을 가지고 관리를 함에도 난소암의 진단이나 치료에 있어서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실정이다. 진행된 난소암에서 현재 좀더 효과적인 항암 치료법이 개발되었다고 하지만 완전한 효과 반응을 나타낼 수 있는 항암제나 수술방법이 모두 아직 미진한 수준에 있는 상태이다.

      • 한국인 유방암 조기 진단의 방사선학적 접근

        오기근 가톨릭중앙의료원 가톨릭암센터 1996 암심포지움 Vol.- No.1

        조기유방암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다. Gallaghar와 Martin은 초기에 미세유방암(mininal breast concer)이라는 명칭을 정했으며, 그 병변이 소엽상피내암(lobular carcinoma in situ), 관내상피세포암종(ductal carcinoma in situ) 혹은 침윤성유방암이라도 그 직경이 0.5cm를 넘지 않는 경우를 지칭했다. 그러나 미세유방암의 정의를 후에 Breast Concer Detection Demonstration Proje(BCDDP)에서 유방암의 종괴 크기가 1cm이하인 경우로 결정했다.

      • 고형암의 골수 전이에 대한 병리학적 검색 및 임상적 의의

        김재유,박승만,이안희,문한림,김춘추,김훈교,오세정,이경식,이성용,조석구 가톨릭중앙의료원 가톨릭암센터 1997 암심포지움 Vol.- No.1

        저자들은 암환자 중 병기별 분류를 위하여 골수천자와 생검을 실시한 80예를 대상으로 골수 전이유무, 조직면역화학 염색에 의한 부가적인 전이 발견율, 골 동위원소 주사검사상 골 전이 소견, 일반적인 검사 소견등을 분석하였다. 1) rm 결과 80예 중 7예(8.8%)가 고식적인 도말표본 및 생검표본에서 골수에 전이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위암 2예(2/35, 5.7%), 유방암 2예(2/27, 7.4%), 소세포 폐암, 전립선암, 신장암 각 각 1예이었다. cytokeratin, EMA 또는 NSE에 의한 조직면역 화학 염색을 실시하여 미세전이를 발견하여 보고자한 38예 중 고식적인 골수검사 표본에서 전이가 발견된 7예에서만 양성으로 판독되어 예민도가 더 증가하지는 않았다. 골 동위원소 검사에서 골 전이가 있는 것으로 판독된 19예 중 6예(31.6%)와 없는 것으로 판독된 61예 중 1예(1.6%)에서 골수전이가 있어 골전이와 골수전이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골전이와 골수전이가 동시에 있었던 6예는 최소한 7군데 이상의 골전이가 있었으며 모두 천자 부위인 골반골에 전이되어 있었다. 이로써 양성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절한 표본이 중요함을 알 수 있고 여러 곳에서 채취할 것과 특히 임상적으로 골의 변화가 있는 부분을 천자할 것이 권고된다. 또한 각 예마다 골수도말 표본, 응괴절편, 생검표본 모두를 시행함이 양성율을 높이는데 필요하다고 본다. 2) 골수에 미세전이가 있는 환자의 말초혈액 소견과 전이가 없는 환자의 그것과는 크게 다른 점은 없었으나 골수소견으로는 미세전이 때 동반할 수 있는 골수섬유증을 28.5%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3) 골수전이가 있었던 환자의 중앙생존 기간은 3.8개월이었고, 골수의 미세전이는 원격전이나 조기재발을 예견할 수 있는 등 예후 측정에 매우 유용하다. 4) 미세전이를 찾기위하여 immunofluorescent 항체 분석, 골수배양, PCR 및 immunocytopathology, clonal growth, flow cytometry 등 여러 가지 방법의 시도가 요구된다.

      • Adjuvant Chemotherapy in Stomach Cancer

        허대석 가톨릭중앙의료원 가톨릭암센터 1997 암심포지움 Vol.- No.2

        현재까지 수행된 항암화학요법의 결과는 진행위암환자에서 보조항암화학요법의 실시가 환자의 경과에 도움을 주었다는 객관적인 증거가 없다. 따라서, 위암환자에 대한 보조항암화학요법의 적용은 통상진료의 범위에서 시행되는 것은 정당화되기 어려우며, 엄격한 기준에 근거한 임상시험의 일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추천된다.

      • 증상조절

        김시영 가톨릭중앙의료원 가톨릭암센터 2003 암심포지움 Vol.- No.2

        한국에서의 말기 암환자에 대한 완화의료는 1963년 한국호스피스의 효시의 강릉의 갈바리 호스피스와 함께 출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마리아의 작은 자매회 수녀들에 의하여 암환자의 증상에 대한 케어가 이루어졌고 이후 기독교, 개신교에 의하여 운영되는 호스피스 기관에서 말기 암환자들을 돌보게 되었지만 의사들의 참여가 없었기 때문에 증상완화 치료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졌고 대부분 영적인 이면에서 케어가 되어왔다. 그러나 암환자가 점점 늘어나고 환자가 말기로 진행되고 고통속에서 임종을 맞이하게 됨에 따라서 암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들이 완화의료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