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강의 개선을 위한 수업컨설팅 사례 분석

        홍성(洪性蓮)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아시아교육연구 Vol.11 No.3

        수업컨설팅은 대학의 대표적인 교수지원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위치한 A 대학의 사례를 통해 수업컨설팅이 강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9년 A 대학에서 수업컨설팅에 참여한 15명의 교원들의 수업컨설팅 자료, 그룹 인터뷰 자료, 학생 만족도 평가 자료 등을 토대로 수업컨설팅 절차, 교수들의 참여 동기, 진단된 문제와 개선 방향, 수업개선의 효과 등을 분석하였다. A대학은 학기 별로 전문 컨설턴트에 의한 일대일 수업컨설팅과 동료컨설팅이 혼합된 형태의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수업컨설팅 참여 교수들은 학생들의 낮은 수업 참여도, 미흡한 학습 내용 이해, 저조한 강의평가 점수 등을 이유로 수업컨설팅을 신청하였다. 수업컨설팅 결과, 교수들의 교수활동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부족한 경우가 많았으며, 학생들의 학습 촉진 미흡, 강의의 비구조화, 원활하지 못한 상호작용, 교수기법의 부정확한 적용, 불필요한 행동습관 등이 수업의 문제점으로 진단되었다. 이 중 교실에서의 행동수정과 같이 상대적으로 적은 노력이 요구되는 개선안은 쉽게 수업에 반영되었다. 수업컨설팅 전후 시행된 9문항의 학생 강의만족도 조사에서 15명의 참여 교수 중 11명의 교수에게서 상승한 강의만족도 문항이 하락한 강의만족도 문항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컨설팅은 참여 교수자들에게 ‘교수(teaching)’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는 점에서 대학교육의 질 개선에 유의미한 방안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consultation which is based on videotaping of class, and to analyze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in instructional consultation, problems in teaching and learning, proposals of improvement, and the result of students" satisfaction. Fifteen professors of university A located in the capital area participated in instructional consultation in 2009. As a result, professors indicated the motives of participating in this consultation to be bad interactive relationship of their students, low students" satisfactions, improvement of teaching styles, obtaining special types of teaching methods, etc. The consultant identified the problems in encouraging students" study, organizing of teaching contents, having interactive relationship with students, applying special teaching methods, and unnecessary teaching habits, and then suggested the improvement strategies. The professors changed their teaching strategies, such as unnecessary teaching habits, that were easy to improve preferentially. After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11 professors got the increased scores of students" satisfaction items. The instructional consultation program is effective for providing with professors reflections o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 이온화 에너지의 양자화학적 계산

        홍성,지용구 고신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2 고신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Vol.11 No.-

        이온화 에너지는 이론적으로 Koopmans' theorem에 의한 방법 (방법 1)과 중성 분자와 양이온의 에너지 차이를 취하는 방법(방법 2)으로 계산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양자화학적 계산을 통해서 5 가지 작은 분자 (H₂, N₂, CH₄, NH₃, H₂O), π-결합을 하고 있는 에텐 및 벤젠, 열린 전자 껍질을 가지고 있는 O₂의 이온화 에너지를 위의 2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구하였으며 이들 값을 실험치와 비교하였다. 양자화학적 계산 방법으로는 Hartree-Fock (HF), Moller-Plesset second-order perturbation theory(MP2)를 이용한 방법과 density functional theory (DFT)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들 방법에 따른 이론값들도 비교하였다. 또한 상기 분자들의 전자 친화도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 공학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교육에서 ‘통찰’의 개념 탐색

        홍성 한국교육컨설팅학회 2014 교육컨설팅연구 Vol.2 No.1

        사회적으로 공학적인 지식을 일상 생활이나 다른 영역에서 발휘하는 융복합 인재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와 함께 공학교육에서도 공학도들에게 인문학적인 사고력을 습득하도록 하는 여러 방법들이 논의되고 있다. 통찰력은 공학전문가에게 직접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의 하나로 범주화되지는 않지만, 공학적 문제해결이나 사회 및 산업계 요구에 부응하는 기술 선도 등을 위해 필수적으로 갖춰야 하는 능력이다. 통찰력은 분석적이고 절차적인 사고력과는 다른 종합적이며 평가적인 사고력을 의미하며, 즉각적인 이해를 통해 지식을 산출하는 직관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또한, 문제해결력과 창의력 등 고차적 사고력이 필요한 문제해결과정에서 성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공학도들이 다양한 이론과 기술을 현실에 효과적으로 접목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의 하나로 통찰력을 상정하고, 통찰력의 개념과 작동 메커니즘을 여러 이론과 학문을 기반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공학도에게 요구되는 역량 중 통찰과 관련된 역량을 분석한 후, 통찰력 교육의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향후 공학도를 위한 통찰력 배양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 이론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review the concepts and mechanism of insight and to explore the applic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Engineers need to have the variety competencies such as thinking skills, problem solving, creativity and practical power. Insight does not categorize the competency for engineer, however, it is the element of forcing to work the mechanism of core competencies. It defines the thinking skills which is related to intui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logical thinking. Engineers are accustomed to logical and analytical thinking, however, they have not experienced the intuition and insight. To develop the practical product, engineer need to have practical and theoretical knowledge and to learn relationships within a model, context, or scenario. This study identify and suggest the core elements of teaching for cultivating the insight of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 based on the theoretical exploration.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 the curriculum of insight for engineer education.

      • KCI등재

        레보플로사신이 저산소조건에서 난소암 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홍성 ( Hong Seong Yeon ),박주현 ( Park Ju Hyeon ),김은진 ( Kim Eun Jin ),이종원 ( Lee Jong Won ),고석봉 ( Go Seog Bong ),이태성 ( Lee Tae Seong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8

        목적 : 카보플라틴으로 치료하는 난소암 환자에서 퀴놀론 계열의 항생제로 감염을 치료할 때 저산소 조건에서 난소암세포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사람의 난소암 세포인 SK-OV-3를 이용하여 정상 산소 및 저산소 상태에서 항암제인 카보플라틴과 항생제인 레보플로사신이 세포의 생존에 미치는 상태를 세포수 및 DNA 조각내기 아쎄이를 통해 알아보았다. 결과 : 항생제의 일종인 레보플로사신이 저산소 및 저포도당 농도에서 난소암 세포인 In solid tumor, there is a hypoxic region where oxygen supply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found that one of the quinolone antibiotics, levofloxacin, made a human ovarian cancer cells, SK-OV-3, resistant to hypoxia, even in the presence of a platinu

      • 1,3-butadiene의 conformation에 관한 양자화학적 연구

        홍성,임진성 고신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02 고신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논문집 Vol.11 No.-

        HF/6-311++G(d, p), MP2/6-311++G(d, p). B3LYP/6-311++G(d, p) 및 MP2/6-311++G(d, p) //B3LYP/6-311++G(d, p) 계산을 통해서 1, 3-부타디엔의 형태 변화에 따른 퍼텐셜 에너지 곡선을 얻어서 비교하였다. 4가지 계산 딘두 전체적으로 비슷한 형태 퍼텐셜 에너지 곡선을 보였다. 안정한 형태로는 s-trans 형태와 30。 ~ 40。 정도 비틀린 형태 (gauche 형태)로 나타났으며 전자가 후자보다 약 11 kJ/mol 정도 더 안정한 것으로 추산되었다. 형태간의 에너지 차이와 회전 에너지 장벽의 크기는 계산 방법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HF 계산 결과는 MP2 계산 결과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미루어 전자 상호관계의 보정 유무는 형태 분석에 그다지 큰 영향을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density functional theory을 이용한 계산은 비교적 높은 회전 에너지 장벽을 보였으며 평면 구조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MP2,/6-311++G(d, p)와 Mp2/6-311++G(d, p)// B3LYP/6-311++G(d, p) 계산은 거의 동일한 결과를 보이며 실험값과 매우 일치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π -Conjugation이 있는 계의 conformation에 관한 연구를 할 경우, density functional theory 를 이용한 방법으로 분자의 구조를 얻고 MP2 방법으로 그 분자의 에너지를 계산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줄뿐만 아니라 경제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과학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 기반 기초 화학 과목의 개발 및 적용

        홍성,황은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23 교양교육연구 Vol.17 No.6

        대학에서 기초 과학 교육은 기초교육이자 교양교육으로서 내용 지식을 가르치는 동시에 과학적역량을 함양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에 직면해 있다. 이 연구는 내용 지식과 과학 역량을 모두 계발하는수업을 설계하기 위해 <일반화학> 과목을 대상으로 블렌디드 러닝 기반 역량 중심 수업(실험군)과대면 강의 중심 수업(대조군)을 개발 및 운영하고, 과학 역량, 학업성취도, 수업만족도 등의 변화와 차이를 비교하였다. 실험군은 동영상 강의를 통해 비대면으로 교과 내용 지식을 학습하고, 대면에서는 과학적 문제해결과 글쓰기 중심의 역량 기반 활동을 통해 과학 역량을 습득하도록 설계하였다. 대조군은 교과 내용 지식 중심의 강의식 수업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수업이 교실에서 대면으로 이루어졌다. A대학교의 <일반화학> 수강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학기에 동일한 교수자에 의해 실험군과 대조군수업이 이루어졌으며, 실험군 참여자는 23명, 대조군 참여자는 24명이었다. 연구결과, 과학 역량과 관련하여 실험군은 ‘과학적 탐구’와 ‘과학적 의사소통능력’에서 긍정적으로 역량이 개선된 반면, 대조군은 ‘과학적 참여와 평생학습’ 역량이 저하되었다. 학업성취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평균적으로 대조군이 실험군에 비해 높았다. 반면 수업만족도는 대체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았다. 마지막으로 논의 및 결론 부분에 블렌디드 기반 역량 중심 수업을 설계하려는 연구자를 위한 제언을 추가하였다. Basic science education in university serves as both a basic education and general education, responding to social demands for the teaching of content knowledge and the cultivation of scientific competencies. This study aimed to design and implement a competency-based blended learning approach (the experimental group) and a face-to-face lecture-centered approach (the control group) for the course “General Chemistry” to develop both content knowledge and scientific competencies, comparing changes and differences in scientific competencies, academic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The experimental group acquired content knowledge through video lectures in a distance setting and developed scientific competencies through face-to-face activities emphasizing scientific problem-solving and writing.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lecture-based instruction focusing on content knowledge. Finally, all classes were conducted face-to-face in a classroom.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classes were led by the same instructor during the same semester for students of <General Chemistry> at A University, with 23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4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Results revealed positive improvements in scientific competencies, specifically in “scientific inquiry” and “scientific communication skill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experienced a decline in “scientific participation and lifelong learning” competencies.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the control group's average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versely, course satisfaction was generally high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inally, some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instructors aiming to design blended competency-based courses.

      • KCI등재

        신입생 대학 적응 요인에 대한 메타 분석 2001년에서 2020년까지의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홍성,김인수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3

        During the past two decades,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djustment to college of freshmen. However,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which factors had the higher significant effect on freshmen adjustment than others according to the different variables, survey tools and participants for each stud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the adjustment of freshmen by comparing the effect sizes of related variables using meta analysis. In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kr), from 2001 to 2020, there were 226 articles including “university”, “freshman”, and “adjustment” in the research abstract. A total of 33 articles, among them, including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elected and 94 variables were extracted verifying the effect size. As a result, the effect sizes of cognitive and social domains were higher than that of affective domain. Factors with the effect size of .5 or more were learning strategy (.578) in cognitive domain, communication skills (.555), college satisfaction (.530) in social domain, and efficacy (.552) in affective domain. Stress (-.450) and emotional disorder (-.367) showed negative effects in the affective domain. In conclusion, it was important for freshmen to quickly adapt to the learning strategy in college, expand relationships with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efficacy, and increase the sense of belonging and satisfaction in college. Learning support is the most important for freshmen’s adjustment in college because learning failure negatively affects efficacy and passively dampens participation in college activitie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수업컨설팅 개념비교를 통한 발전방향 탐색

        홍성,전영미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3

        최근 초·중등학교와 대학에서 수업전문성을 강화하는 방안으로 수업컨설팅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 수업컨설팅의 외형적인 성장에 비해 이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논의는 상대적으로 활발하지 않은 편이다. 수업컨설팅의 효과적인 확산과 질적인 도약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현장적용을 통해 실천 전략과 방법을 연구하는 것과 동시에 수업컨설팅의 개념과 목적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이론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미국에서 사용되는 수업컨설팅 개념과 유사 개념들을 비교·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수업컨설팅의 발전방향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사용되는 수업장학, 컨설팅장학, 학교컨설팅, 수업컨설팅 등의 개념과, 미국에서 사용되는 학교컨설팅, 수업컨설팅, 수업컨설팅 팀, 수업코칭 등의 개념들을 검토하고, 여섯 가지 쟁점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업컨설팅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다섯 가지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수업컨설팅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이해를 심화시킴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수업컨설팅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