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MVRDV의 건축적 사유방식과 데이터스케이프를 기반으로 한 작품 특성 분석(1992-2006)

        박현옥,Park, Hyun-Ok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2007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 논문집 Vol.7 No.2

        After 20th century, The using of data tend to important in a sphere of architecture. The recent European including MVRDV, Rem Koolhaas, Van Verkel and Zaha Hadid tend to the their own design strategy based on the objective data. This architectural design method leads to make new paradigm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For the purpose of the understanding a part of new architecture paradigm(datascping), I will analyze the relation of Thing system and Formation system in 36 works of MVRDV from 1992 to 2006. As a results are as follows. The purpo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and social elements(Thinking system) are density of site, networking, lighting & vista, micro-climate, energy, noise & vibration, life style, city, communication and variety. Second, The Formation system is layering & stacking, open & close, folding & extending and eco-friendly design. Finally, the major matrix of MVRDV's works is pragmatic and systematic approach to the lighting, climate and variety of community.

      • KCI등재

        국내 시각장애 관련 실험 연구의 동향 및 실태 분석 - 학술지 시각장애연구를 중심으로 -

        박현옥,김정현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5 시각장애연구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xperimental research related to visual impairment in South Korea.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s of experimental research related to visual impairment in South Korea?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methods of experimental research related to visual impairment in South Korea? 27 articles selected from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which were published through 2000-2015 and were examine in each research areas, such a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design, and research proced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lot of studies related subject matter education for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Second, most researches were done by 2 authors and the 1st author were professor affiliated to universities. Third, regarding on research subjects, articles 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more discussed than others. Forth, there were many errors of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procedures. And very simple statistical analysis(just like t-test or comparison of pretest-posttest) were used. Therefore more accurate experimental research with various content is needed for the future research. 이 연구는 국내 시각장애 관련 실험 연구의 연구 동향 및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시각장애 관련 실험 연구의 연구 내용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 둘째, 국내 시각장애 관련 실험 연구의 연구 방법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는가? 이 연구를 위해 2000년 3월부터 2015년 9월까지 학술지 ‘시각장애연구’에 게재된 실험 연구 중 이 연구의 분석 기준에 부합되는 총 27편의 논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시각장애 관련 실험 연구의 연구 내용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교과교육을 강조하는 최근의 경향에 따라 교과 학습 및 예체능 지도를 통해 시각장애학생의 교과 학습 및 운동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둘째, 국내 시각장애 관련 실험 연구의 연구 방법적 특징 중 연구자에 관한 것은 2인 공동 연구의 비율이 높고, 제1저자가 교수인 경우가 많다. 셋째, 국내 시각장애 관련 실험연구는 맹학생과 저시력 학생을 구분하지 않았고, 소수(2~3명)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대상자의 연령이 유아를 포함한 학령기에 집중되어 있다. 넷째, 국내 시각장애 관련 실험연구는 중재자 미상, 측정 도구 및 중재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미실시, 예비 조사 미실시, 사전 검사-사후검사의 차이를 단순 비교하는 수준의 자료 분석 등 연구 방법적인 측면의 오류가 발견되었다.

      • KCI등재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간 협력 방안 고찰

        박현옥,이소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0 교육과학연구 Vol.31 No.1

        최근 장애영유아의 성공적인 통합을 촉진하기 위한 요소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간의 협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협력의 정의와 특성 및 협력의 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협력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시하고 특수아 조기교육 대상자를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간의 협력 과정과 내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협력의 과정적인 면에서는 협력적 의사소통의 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내용 면에서는 장애유아의 통합적 상황과 관련하여 일반유아교육 기관과 유아특수교육사가 있는 통합 유아교육 기관내에서의 협력을 중심으로 한 협력적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바람직한 전문가간 협력 방안을 제안하였다. Collabor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 for the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eacher collabor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educational integra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recent years, early childhood educator-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 collaboration to promote the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highly valued. The purpose of this t\study was to investigate some of the key issues involved in early childhood educators' collaboration. First, the basic conceptions and components of collaboration were reviewed, including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 collaboration and the positive effects of collaboration among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ors. Second, the practical aspects of collaboration and collaborative processes were considered. There was no universal agreement on the collaborative process and little empirical support existed to guide what should be done in multi-dimensional collaboration processes. Accordingly, we suggested collaborative communication skills, negotiation, and mediation strategies to guide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for facilitating effective collaboration. Third, collaborative conten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wo aspects: (a) inter-agency collaboration and (b) intra-agency collaboration. Various collaborative contents were suggested to facilitate the merger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that was the core component of inclusion. Inter-agency collaboration affected ongoing service delivery to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ra-agency collaborative contents were related to planning curricula and choos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environmental adaptations. Ultimately, inter- and intra-agency collaborative efforts may serve critical roles in fostering true social and instructional inclus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모형

        박현옥,박경숙,권오윤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1

        This study is to determine health related to Quality of Life(QOL)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factors of predictors, and influence of these factors to develop and verify the structural model for development of an effective nursing mediation strategy for improved QOL. The participants were 254 women who immigrated to Korea for marriage. The hypothetical model is based on the health improvement model by Pender. Immigrant women’s perceived barriers, perceived benefits, self-esteem, and perceived health had an impact on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HPB). These variables explained 55.2% of the QOL regarding health, and perceived health conditions, self-efficacy, self-worth, and level of cultural adaptation explained 29.3% of acts towards improving heal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velopment of efficient policy considering factors affecting health related to QOL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설명하는 요인을 규명하고, 각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구조모형을 개발해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3년 7월 1일부터 2014년 2월 28일까지 한국거주 1년 이상인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 2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설적 모형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바탕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내생변수로 구성하여 구축하였다. 수정된 모형의 적합 결과는 χ²=112(p<.001), RMSEA=0.069, GFI=0.937, NFI=0.910, CFI=0.948 였다. 수정 모형의 검정결과 지각된 유익성, 지각된 장애성, 자아존중감,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관련 삶의 질을 55.2% 설명했으며 지각된 건강상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문화적응도가 건강증진행위를 29.3% 설명하였다.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은 자아존중감(β=.35), 지각된 건강상태(β=.20), 지각된 장애성(β=-.26), 지각된 유익성(β=.21)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효과를 확인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혼이주여성에게 제공되는 건강 정책에서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개념이 직업포부수준에 미치는 영향

        박현옥,강혜영 한국진로교육학회 2011 진로교육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mpact of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 and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tudents' self concept on their vocational aspiration. Especially, the level of vacational aspiration is divided into level of status and achievement expectation related to their desired jobs to examine their vocational aspiration more specifically. We surveyed on 389 students who are 5th and 6th graders of 3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about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 the students' self-concept, and vocational aspir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level of vocational aspiration, and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cept and their level of vocational aspiration.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fathers' achievement oriented/non-achievement oriented attitude, mothers' achievement oriented/non-achievement oriented attitude and, mothers' and affectionate/hostile attitude have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level of status related to their desired job respectively. However, it was found that parents' chid rearing attitude doesn't have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vocational aspiration and achievement expectation. Second, General subject self-concept among sub-factors of self-concept, and general subject self-concept and physical appearance self-concept among sub-factors of achievement have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level of status related to their desired job.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개념이 직업포부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직업포부수준을 장래희망 직업에 대한 지위수준과 성취기대 두 가지 측면으로 정의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직업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초등학교 3곳의 5, 6학년 학생 389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개념, 직업포부수준에 대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직업포부수준과의 관계 그리고 초등학생의 자아개념과 직업포부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버지의 성취-비성취적인 양육태도는 초등학생의 지위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성취-비성취적인 양육태도와 애정-거부적인 양육태도도 지위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직업포부 성취기대에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개념의 하위요인 중 일반교과 자아개념이 지위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기대에는 일반교과 자아개념과 신체외모 자아개념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통합교육 상황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과 비장애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현옥,김정현 한국발달장애학회 2017 발달장애연구 Vol.21 No.3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 in Inclusive Kindergarten on Challenging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social Behaviors of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sitive behavioral support in inclusive setting on the challenging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 in this study selected one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43 young children in inclusive kindergarten(21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22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The control group would only receive general educat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receiv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in addition to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terview, direct observation by A-B-C behavior scale, and Prosocial Behavior Scale for Young Children were used. This study applied to single subject study used multiple baseline across conditions design and pretest-posttest control design were used. SPSS 12.0 for Window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was effective on reducing challenging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he positive behavioral support was improved the prosocial behavior of young children. <Key words> Positive Behavior Support, Chllenging Behavior, Prosocial Behavior 통합교육 상황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과 비장애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는 통합교육 상황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과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G광역시 내 2개 유치원 만 5세 반(실험집단: 가 유치원, 통제집단: 나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발달지체유아와 비장애유아들이었다. 실험집단에 속한 발달지체유아의 학부모, 담임교사를 비롯한 유치원 관련 인사들이 통합교육 상황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팀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집단에 8주 동안 통합교육 상황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같은 기간 동안 통상적으로 실시하던 교육을 그대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 속한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 변화는 상황 간 중다기초선 설계(multiple baseline across conditions design)를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비장애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통제집단 사전-사후 검사(pretest- posttest control group design)를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차원의 긍정적 행동 지원은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비장애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켰다. <주제어> 긍정적 행동지원, 문제행동, 친사회적 행동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930년 서울지역학생 연합시위와 근화여학교

        박현옥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29

        The Gwangju student movement was a national movement which has been risen all around the country. The large scale of joint demonstration of students in Seoul that spread out in response to Gwangju student incident contains an important meaning that it has become a turning point spreading from the regional movement of Gwangju to the nationwide movement. In 1929, the reading clubs under the vanguard unions which were organized in each school were the ones that lead the students demonstration in Seoul. Geunhwa Women's School was triggered by the manifesto of vanguard union and has initiatively participated in the first demonstration among girls' schools. From the second demonstration in Seoul, students have led the whole process from the beginning. Especially, the distinction of this time is that the female students played a key role in it and developed into a large-scale union demonstration by uniting with male students in 1930. With indignation triggered by the sacrifice of Gwangju and a strong solidarity that the victims of Gwangju are also the same students, the students of Geunhwa Women's School aggressively participated in the two demonstrations in 1929 and 1930. In other words, the students of Geunhwa Women's School were also the main activists of Gwangju student movement. 광주학생운동은 ‘광주’라는 지역을 넘어선 전국적 운동이었고, 이는 광주학생운동의 주역이 광 주에만 있었다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들을 재확인시켜준다. 그리고 광주학생사건에 호응하며 서울에서 대규모로 전개된 학생들의 연합시위는 광주학생운동이 광주라는 지역 차원의 운동에서 전국 적 민족운동으로 확산되는 분기점이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929년 서울지역 학 생들의 시위는 각 학교에 조직되어 있는 전위동맹 산하 독서회 조직이 활약했다. 근화여학교 학교 역시 전위동맹 측의 격문살포가 자극이 되어 1차 시위에 여학교로서는 선도적으로 참여했다. 1930 년 서울지역 2차 시위는 계획부터 온전히 학생들이 주도했고, 특히 여학생들이 주체가 되어 시위를 조직해 남학생과도 연대하여 대규모연합시위로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서울지역학생 2차 연합시위를 이끈 여학교 중에서도 근화여학교 학생들이 적극적인 참여를 보였다는 것은 근화여학교 학생의 회의 참여 비율, 시위 주도자 중 검거자 비율에서 잘 나타난다. 근화여학교 학 생들은 ‘광주의 희생’에 대한 공분과 희생자가 같은 학생 신분이라는 연대의식 속에서 1929, 1930 년 두 차례의 서울지역 시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즉 근화여학교 학생들 또한 광주학생운동의 주역이었던 셈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