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공계 여성 근로자들이 직업현장에서 경험하는 미묘한 성차별과 직무 소진의 관계: 자기침묵, 외로움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박희진,김민선 한국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nection between microaggression and burnout in women who work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ender-microaggression experiences on burnout, developed a model of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on this path via self-silencing and loneliness, and examined the fitness of the model and connections among the variables. A convenience sample of 283 women who had graduated from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s, and were working in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fields was recruited. The findings showed that self-silencing and lonelines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 between gender-microaggression and burnout. The study then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found that it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path of self-silencing and loneliness. Finally, self-compass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s of gender-microaggression on burnout via self-silencing and loneliness.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기업에 종사하는 직장 여성들이 직업현장에서 경험하는 미묘한 차별과 직무소진의 관련성과 미묘한 차별과 직무소진의 관계 안에 존재하는 심리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환경적인 어려움으로 볼 수 있는 미묘한 성차별 경험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경로에 있어 자기침묵과 외로움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모형을 설정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각 변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이공계 학과를 졸업하고 이공계 기업에 종사하는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283명의 여성들을 모집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침묵과 외로움은 미묘한 성차별과 직무소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미묘한 성차별에 대한 지각이 높을수록 자기침묵과 외로움을 더 크게 인식하게 되며, 이를 통해 직무소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자기침묵과 외로움의 경로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자기침묵과 외로움의 관계는 자기자비 수준에 따라 달라짐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미묘한 성차별이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자기침묵과 외로움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 및 상담실제에 대한 함의를 논하였다.

      • 노인요양시설의 VOCs와 HCHO의 농도에 관한 연구

        박희진,최재현,우경숙,강택신,이종대,김종오,최경희,손부순 한국실내환경학회 2013 한국실내환경학회지 Vol.10 No.4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of the facilities and indoor environment for the senior citizens nursing facilities of Kyeonggki and Seoul-total 30 facilities; 10 facilities in Seoul and 20 facilities in Kyeonggki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7. In the result of surveying indoor and outdoor pollution degree of 30 senior citizens nursing facilities, the average geometric concentration of indoor and outdoor TVOCs were 264.11μg/㎥ and 162.63 μg/㎥,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geometric concentration of indoor and outdoor HCHO were 22.76 μg/㎥ and 9.55 μg/㎥,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ratio of indoor and outdoor air pollutants were 1.21, 1.23, 1.62 and 2.38 for benzene, toluene, TVOCs and HCHO,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s of toluene, TVOCs and HCHO were 31.40μg/㎥, 274.30μg/㎥ and 24.17 μg/㎥ in the building constructed after 2000. On the other hand, The concentrations of toluene, TVOCs and HCHO were 27.99 μg/㎥, 248.54 μg/㎥ and 20.48 μg/㎥ in the building constructed before 2000. As the constructed year was not late, low concentration was indicated. In the facilities using carpet or not, the concentration of toluene, TVOCs and HCHO were 50.50 μg/㎥, 342.73 μg/㎥ and 32.94 μg/㎥, respectively, in the facilities using carpet. On the other hand, the concentration of toluene, TVOCs and HCHO were 29.35μg/㎥, 261.41 μg/㎥ and 22.40μg/㎥, respectively, in the facilities using no carpet. The concentrations were presented higher in the facilities where carpet exits.

      • KCI등재

        JPV 소수 생성 알고리즘의 확률적 분석 및 성능 개선

        박희진,조호성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2

        Joye et al. introduced a new prime generation algorithm (JPV algorithm hereafter), by removing the trial division from the previous combined prime generation algorithm (combined algorithm hereafter) and claimed that JPV algorithm is 30~40% faster than the combined algorithm. However, they only compared the number of Fermat-test calls, instead of comparing the total running times of two algorithms. The reason why the total running times could not be compared is that there was no probabilistic analysis on the running time of the JPV algorithm even though there was a probabilistic analysis for the combined algorithm. In this paper, we present a probabilistic analysis on the running time of the JPV algorithm. With this analytic model, we compare the running times of the JPV algorithm and the combined algorithm. Our model predicts that JPV algorithm is slower than the combined algorithm when a 512-bit prime is generated on a Pentium 4 system. Although our prediction is contrary to the previous prediction from comparing Fermat-test calls, our prediction corresponds to the experimental results more exactly. In addition, we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JPV algorithm. With this method, the JPV algorithm can be comparable to the combined algorithm with the same space requirement. Joye와 연구자들은 기존의 조합 소수 판단 검사에서 trial division 과정을 제거한 새로운 소수 생성 알고리즘 (이하 JPV 알고리즘)을 제시하였으며, 이 알고리즘이 기존의 조합 소수 생성 알고리즘에 비해 30~40% 정도 빠르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이 비교는 전체 수행시간이 아닌 Fermat 검사의 호출 횟수만을 비교한 것으로 정확한 비교와는 거리가 있다. 기존의 조합 소수 생성 알고리즘에 대해 이론적인 수행시간 예측 방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알고리즘의 전체 수행시간을 비교할 수 없었던 이유는 JPV 알고리즘에 대한 이론적인 수행 시간 예측 모델이 없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JPV 알고리즘을 확률적으로 분석하여 수행시간 예측 모델을 제시하고, 이 모델을 이용하여 JPV 알고리즘과 기존의 조합 소수 생성 알고리즘의 전체 수행시간을 비교한다. 이 모델을 이용하여 펜티엄4 시스템에서 512비트 소수의 생성 시간을 예측해 본 결과 Fermat 검사의 호출 횟수를 이용한 비교와는 달리 JPV 알고리즘이 기존의 조합 소수 생성 알고리즘보다 느리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이론적인 분석을 통한 비교는 실제 동일한 환경에서 실험을 통해서 검증되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JPV 알고리즘의 성능 개선 방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을 사용하여 JPV 알고리즘을 개선하면 동일한 공간을 사용할 경우에 JPV 알고리즘이 기존의 조합 소수 생성 알고리즘과 비슷한 성능을 보인다.

      • KCI등재

        CIFER®를 이용한 무인 헬리콥터의 동특성 분석 (I) - 조종기 제어 입력 데이터 획득을 위한 비행시험 -

        박희진,구영모,배영환,오민석,양철오,송명현 한국농업기계학회 2012 바이오시스템공학 Vol.36 No.6

        Aerial spraying technology using a small unmanned helicopter is an efficient and practical tool to achieve stable agricultural production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An attitude controller for the agricultural helicopter would be helpful to aerial application operator. In order to construct the flight controller, a state space model of the helicopter should be identified using a dynamic analysis program, such as CIFER®. To obtain the state space a model of the helicopter, frequency-sweep flight tests were performed and time history data were acquired using a custom-built stick position transmitter. Four elements of stick commands were accessed for the collective pitch (heave), aileron (roll), elevator (pitch), rudder (yaw) maneuver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rudder stick position signal was highly linear with rudder input channel signal of the receiver;however, collective pitch stick position signal was exponentially manipulated for the convenience of control stick handling. The acquired stick position and flight dynamic data during sweep tests would be analyzed in the followed study.

      • KCI등재

        CIFER<sup>®</sup>를 이용한 무인 헬리콥터의 동특성 분석 (I) - 조종기 제어 입력 데이터 획득을 위한 비행시험 -

        박희진,구영모,배영환,오민석,양철오,송명현,Park, Hee-Jin,Koo, Young-Mo,Bae, Yeoung-Hwan,Oh, Min-Suk,Yang, Chul-Oh,Song, Myung-Hyun 한국농업기계학회 2011 바이오시스템공학 Vol.36 No.6

        Aerial spraying technology using a small unmanned helicopter is an efficient and practical tool to achieve stable agricultural production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An attitude controller for the agricultural helicopter would be helpful to aerial application operator. In order to construct the flight controller, a state space model of the helicopter should be identified using a dynamic analysis program, such as CIFER$^{(R)}$. To obtain the state space a model of the helicopter, frequency-sweep flight tests were performed and time history data were acquired using a custom-built stick position transmitter. Four elements of stick commands were accessed for the collective pitch (heave), aileron (roll), elevator (pitch), rudder (yaw) maneuvers.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rudder stick position signal was highly linear with rudder input channel signal of the receiver; however, collective pitch stick position signal was exponentially manipulated for the convenience of control stick handling. The acquired stick position and flight dynamic data during sweep tests would be analyzed in the followed study.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f August Strindberg's Miss julie & A Dream Play

        朴熙鎭 서울大學校人文大學 1978 人文論叢 Vol.2 No.-

        Miss Julie represents, first of all, its author's most determined endeavor to win the modern stage for naturalism. When he sent Miss Julie to his publisher, he wrote, "I take the liberty of hereby offering you the first naturalistic tragedy of the Swedish drama" Strindberg wrote Miss Julie in July and August of 1888, at the age of thirty-nine.

      • KCI등재

        팀 학습 행동과 팀 수행의 관계: 메타분석

        박희진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팀 학습 행동이 팀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연구들을 통합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팀 크기, 팀 유형 및 연구 장면의 잠재적 조절변인을 사용하여 팀 학습 행동과 팀 수행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모든 자료는 17개 연구들의 21개 효과크기들로 구성되었다. Hunter & Schmidt(2004)가 제안한 절차에 의해 자료를 통합 분석하였다. 통합 분석 결과, 팀 학습 행동과 팀 수행의 관계는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팀 학습 행동과 팀 혁신은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팀 크기, 팀 유형, 및 연구 장면의 잠재적 조절변인들은 팀 학습 행동과 팀 수행의 관계를 조절하였음을 나타냈다. 중간 혹은 큰 팀보다 작은 팀에서 팀 학습 행동과 팀 수행의 관계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비 프로젝트 팀에서보다 프로젝트 팀에서 팀 학습 행동과 팀 수행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현장 장면보다 학교 장면에서 팀 학습 행동과 팀 수행의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작은 팀과 학교 장면에서 개별 연구 수효가 5 미만이므로 신중하게 해석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따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