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직연금에서의 위험자산 선택요인 분석: 사업장 특성을 중심으로

        최수정 한국금융정보학회 2023 금융정보연구 Vol.12 No.2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decisions of employers to invest in risky assets are related to workplac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employees, types of industries, and retirement pension types. The study utilizes individual-level data from 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Plan (IRP), Defined Contribution Plan (DC), and firm IRP accounts that are self-managed by employers in the workplace. However, individual DB balance cannot be identified because Defined Benefit Plan (DB) accounts are managed by the firm in aggregate. The data was obtained from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for the period 2015 to 2020 through the authorized Microdata Integrated Service (MDIS). Previous literature has documented a peer effect in investing in risky assets, which appears strongly among investors who earn relatively higher disposable incomes and among males. The study finds that employers who work in large-sized and well-compensated firms are more likely to invest in risky assets, particularly male employers who are older, have longer work period, and work in industries requiring a high level of financial literacy. This result indirectly supports the peer effect in choosing risky assets in their retirement pension plan for employers. Interestingly, the study also finds that DB holders are less likely to invest in risky assets through their IRP accounts than DC or firm IRP holders. However, once they start investing in risky assets, the proportion of risky assets relative to the total balance is higher than others. Overall, this study provides comprehensive insights into the determinants of investing in risky assets by employers, utilizing individual-level data and workplace information. 본 연구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승인형 퇴직연금 마이크로데이터(MDIS)를 분석하여 직장정보가 존재하는 개인 IRP 계좌 보유자를 대상으로 사업장 특성이 근로자들의 위험자산 선택과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DB 적립금의 경우 가입자별 계좌 금액이 별도로 보고되지 않지만, DC, 기업형 IRP, 개인 IRP는 가입자별 계좌 잔액이 보고되어 개인 IRP 계좌 잔액만 분석한 최수정(2022)보다 좀 더 폭넓게 개인별 위험자산 투자현황 및 위험자산 선호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위험자산 금액은 계좌 총 잔액에서 원리금보장형 상품 잔액과 계좌 내 대기성자금을 제외한 원리금비보장(실적배당)형 상품 잔액으로 정의하였다. 개인의 위험자산 선택 여부는 동료의 위험자산 선택 여부에 크게 좌우되며, 이러한 동료효과(peer effect)는 성별 및 연령 요인과 함께 개인이 위험자산을 선택하는 주요한 요인일 수 있으므로 사업장 특성 분석을 통해 위험자산 선택에 있어서 동료효과의 존재를 간접적으로 검토하고자 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가처분소득이 높은 남성들에게 동료효과가 강하게 나타나는데, 본 연구에서도 기업의 규모가 크고 평균소득이 높은 산업군에서 위험자산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고 보유금액도 높게 나타났다. 즉, 근속기간이 길수록, 근로자 연령이 높을수록,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여성보다는 남성 근로자가 더 위험자산을 선택 및 많이 보유하였으며, 다른 퇴직연금 가입자들에 비해서 DB 가입자들의 경우 평균적으로 개인 IRP 계좌에서 위험자산에 투자하지 않거나 적게 보유했지만, 일단 위험자산을 1원 이상 보유한 경우 위험자산에 더 많이 투자하는 경향이 존재했다.

      • KCI등재
      • KCI등재

        Calcifying Aponeurotic Fibroma with Osseous Involvement of the Finger: a Case Report with Radiologic and US Findings

        최수정,안재홍,강길현,이종혁,박만수,류대식,정승문 대한영상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Radiology Vol.9 No.1

        Calcifying aponeurotic fibroma is a rare soft tissue tumor that occurs in the distal extremit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e report ultrasound and X-ray findings of a calcifying aponeurotic fibroma in the finger of a 36-year-old woman, associated with distal phalangeal bone involvement.

      • KCI등재

        Representation Algorithms in Some Free Groups

        최수정 한국수학교육학회 2008 純粹 및 應用數學 Vol.15 No.3

        This paper is intended to clarify and verify two representation algo-rithms computing representations of elements of free groups generated by two linear fractional transformations. Moreover in practice some parts of the two lgorithms are modi¯ed for computational e±ciency. In particular the justi¯cation of the al- gorithms has been rigorously done by showing how both algorithms work rectly and e±ciently according to inputs with some properties of the two linear fractional transformations.

      • KCI등재

        A Korean ESL Teacher's Construction of Her Professional Identity as an English Teacher

        최수정 한국응용언어학회 2009 응용 언어학 Vol.25 No.3

        Guided by the poststructuralist framework of identity (Hall, 1995, 1996; Weedon, 1997), the present study explores the way that one non-native English speaking (NNES) teacher understands herself as an English teacher while negotiating the intersection between multiple discourses and her professional identity construction. Incorporating an instrumental case study (Stake, 1995), I gathered data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s, interviews, and student questionnaires over an eight month period. I used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Glaser & Strauss, 1967) to conduct qualitative analysis of the data. The findings show that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herself as an English teacher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06 was not singular but multiply constructed within different discourses, i.e., the discourse of the native speaker fallacy and the class-specific discourse of "ESL should be fun." Not only was her construction of her professional identity as an English teacher multiple, but it was also complex and ambiguous at times (Hall, 1995, 1996, 1997; Norton Peirce, 1995; Weedon, 1997).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incorporating the language support component for NNES teachers in TESOL teacher education. The study further draws attention to the significant role that teacher educators hold in the construction of NNES teachers' positive professional identity.

      • 이중섭 작품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취약 아동의 정서지능과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최수정,오승진 한국아동미술학회 2012 아동미술교육 Vol.11 No.-

        본 연구는 이중섭 작품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취약아동의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중섭 작품은 소, 닭, 가족 등의 소재가 많이 사용되고 주제와 조 형적 형식에서도 아동기에 선호하는 친숙한 작품들로써 아동과의 정서이입과 미술치료의 프 로그램 내용으로 좋은 소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섭의 작품세계를 이해하고 치료대상자에 게 작품의 관찰과 표현을 함으로써 대상자의 정서지능과 행동변화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 았다. 연구는 취약아동 2인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12년 10월부터 2012년 12월까 지 주 1회 총 12회기 실시하였으며 각 회기는 40분씩 이루어 졌다. 사전․사후검사로서 정서 지능 검사를 실시하였고,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매 회기마다 행동변화 추이를 관찰 하여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중섭 작품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취 약아동 정서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행동변화에도 하위 4영역 점수가 상 승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이중섭 작품을 미술치료에 활용함으로써 아동의 자기표현을 그림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자연스럽게 표현 할 수 있었으며 작품에서 느껴지는 다양한 감정 을 느껴보게 하고 작품 속 인물이 내가 되어봄으로써 만족감을 느껴하는 등 긍정적인 정서로 변화시켜주는데 효과가 있었고 함께 한다는 것에 대한 의미도 알 수 있게 하여 효과성이 있 다고 볼 수 있다.

      • 日本의 새로운 信託法의 특질

        최수정 민사판례연구회 2008 民事判例硏究 Vol.- No.30

        The law of trusts is an offspring from a certain English legal creature known as equity. This means that the countries which have a civil law system like Korea and Japan should have a different kind of trust law. The Korean Trust code was established in 1961 modelling the Japanese Trust Code. The latter was revised in 2006 -passed as drafted on December 8 and promulgated on December 15- after long and active discussions. The Japanese experiences of getting to the amendment gives much profitable insight in better understanding our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new Trust Code a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o the old one. The Japanese new Trust Code aimed to improve regulations regarding the trust fund, trustee's duties, the beneficiary's rights and the settlor's status in such a way to meet the realistic needs and provided new institutions. This legislative intent sheds light in translating and applying our code. But the details of regulations or institutions and the legislative technique give rise still discussions. Although the Japanese new trust code seems to be far from completion, this can be a starting line for further discussions and refinements and gives good lessons to us. 우리 신탁법이 1961년 제정, 시행된 이래 내용상의 변화가 없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일본의 신탁법도 1922년에 제정된 이래 실질적인 개정 없이 80년 이상 유지되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2006년 12월, 사회경제정세의 변화에 비추어 신탁법제에 있어 수탁자의 의무나 수익자의 권리와 같은 제규정을 정비하고 새로운 제도를 도입함을 목적으로 하는 신탁법이 마련되었다. 새로운 신탁법은 다양한 목적에 활용가능한 유연한 신탁제도를 만들기 위해 신탁이 갖는 제도적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치들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개의 규율들을 구체화, 상세화하고, 종래 해석상의 논의들을 반영하여 관련 규정을 정비하고, 새로운 제도와 유형을 도입하면서 그 기준을 자세히 정하였다. 동시에 많은 규정들을 임의규정화함으로써 신탁당사자들의 의사를 일차적인 기준으로 삼았다. 본고는 새로운 신탁법이 지향하는 바가 개개의 규정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따라서 현행 신탁법과 대비되는 새로운 신탁법의 특질은 무엇인지를 신탁재산, 수탁자, 수익자, 위탁자 그리고 새로 도입된 신탁제도들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우리 신탁법이 영미의 신탁제도를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이를 대륙법체계에 맞춰 독특하게 변형, 재구성한 일본의 신탁법에 기초하고 있는 만큼, 일본에서의 개정과정과 논의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은 우리법의 해석과 운용, 그리고 앞으로의 입법을 위해서도 충분히 의미가 있을 것이다.

      • 상계금지원칙의 적용범위 : 대법원 2007.9.20. 선고 2005다48956 판결

        崔秀貞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서강법학 Vol.9 No.2

        A trust is not a legal person. For there to be a trust, property must be subject to a trust, so the property will be owned by a trustee. He hold property as trustee for the beneficiaries. Unless otherwise authorized by the terms of the trust or by a statute, the trustees are under fiduciary obligations imposed by the law, so that they can't exploit their position for their own benefit. The trust property constitutes an independent fund available only for the beneficiaries or other permitted purposes. They must be kept separate from trustee's private property and from any other property held by him. The rule of prohibition of set-off is to secure this independence principle of trust funds. Korean trust code art. 20 forbids the set-off between the claim belonging to a trust fund and the claim owned not by trust fund. But other kinds of set-off concerning trust fund are not stipulated at all. Lately the Supreme Court gave a decision in this case(2005Da48956) that the trustee could offset the beneficiary's claim by the claim belonging to the trustee's own property. This paper studies the types of sett-off and their ground, and proposes a standard which corresponds to independence principle of trust fund and the interests of parties concerned.

      • KCI등재

        부동산담보신탁상 우선수익권의 성질과 우선수익권질권의 효력 - 대법원 2017. 6. 22. 선고 2014다225809 전원합의체 판결을 계기로 -

        최수정 대한변호사협회 2017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70

        The Supreme Court en banc Decision 2014Da225809 on Jun 22. 2017 addressed a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important issue of the beneficial interest and the pledge on it in trusts for securing creditor’s claim. The majority opinion of the court ruled that the beneficial interest was still valid even after the secured claim of the beneficiary had been transferred by the assignment order and they had been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pledge on the beneficial interest was valid as well. It provided that the beneficial interest is not a security interest but a right that a creditor holds according to a trust contract by which a debtor-settlor transfers his real estate to a trustee for security purpose. As a result the appendant nature of security interests should not apply to the beneficial interest. But the conclusion of this decision cannot be possibly agreed with, though the reasoning thereof appear quite reasonable. Analyzing the economic relation between the secured claim and the beneficial interest requires that the creditor should have the beneficial interest. If the separation of the claim and the beneficial interest were generally allowed, it would obscure the legal relations of the parties and cause disputes between them. In this case the beneficial interest should become invalid and the pledge on it become void as well. So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 of beneficial interests and provides the proper alternative through analyzing the legal relations between plaintiff(pledgee) and dependant(debtor). 대법원 2017. 6. 22. 선고 2014다225809 전원합의체 판결은 실무에서 많이 이용되는 유형의 부동산담보신탁에서 우선수익권의 성질 및 우선수익권을 목적으로 한 질권의 효력에 대해 유의미한 판단을 하고 있다. 우선수익권의 성질을 담보물권이 아닌 신탁계약상 별개의 권리라고 판단한 것은 종래 판결들에서 단편적으로 인정된 바를 확고한 판례 법리로 선언한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채권이 양도 또는 전부된 경우 이와 분리된 우선수익권이 여전히 유효하고 우선수익권질권 또한 유효하다고 판단함으로써, 원고의 우선수익권질권자의 지위를 인정한 점은 납득하기 어렵다. 우선수익권이 경제적으로 채무의 이행을 확보하기 위한 것인 만큼, 채권자와 우선수익자가 일치하거나 적어도 우선수익권이 채무의 이행 확보라고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법률관계가 전제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채권과 우선수익권이 분리된 때 당해 부동산담보신탁은 목적달성불능으로 종료하며 우선수익권도 소멸한다고 해야 한다. 또한 질권의 목적인 우선수익권이 소멸함으로써 우선수익권질권도 당연히 소멸하게 된다. 그리고 여타의 수익권과 차별화된 우선수익권의 내용 내지 기능을 고려할 때 질물로서 우선수익권의 담보 가치는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채권자는 우선수익권에 의해 담보되는 채권에 대해서도 함께 질권을 취득하는 등 다른 담보수단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우선수익권이 담보물권이 아니라는 성질판단에 집중한 나머지 대상판결은 채권과 우선수익권의 실질적인 관계 및 양자의 분리를 허용할 경우 발생하게 될 당사자의 부당한 이해관계를 간과하고 있다. 대상판결이 가지는 전원합의체로서의 무게나 실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이러한 판단은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