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월조사 행장 발굴과 연보 정정

        최동순 한국불교학회 2009 韓國佛敎學 Vol.54 No.-

        Sangwol josa (Sangwol Wongak Daejosa, 1922~1974) is the founder of Guinsa-Temple at Danyang, Chungbuk and the patriarch of reestablished Cheontae order in modern Korea. He was bor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ound the mountains of Samcheok, Gangwondo. Based on the strong religious beliefs prevailed in the Samcheok region, he had organized a religious community within So-Baek Mountain in 1950. From the time on, he has taken care of the poor and alienated people who has been suffered from the Korean War and conflicts between leftists and the rightists. In 1966, Sangwol josa declared Guinsa-Temple body as Korean Buddhist Cheontae order and inherited Cheontae order that had develop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t that time, he had endeavored greatly to establish the Cheontae order as the main religious order and also showed many other outstanding educative power that served as a basis for expanding religious influence. Despite these factors, research on the restored Cheontae order and Sangwol josa has barely been made. This serves as the background for this research and it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issues. First, the achievements of Sangwol josa, who had restored Cheontae order, has not been revealed. The procedure of founding Guinsa-Temple and restoration of Cheontae order has not been yet examined either historically or ideologically. Due to the lack of research, the error in birth year has still not been corrected. Currently, Cheontae order is following the theory that Sangwol josa was born in 1911. This is one of the reasons why it was difficult to produce any base material for studying the restoration of Cheontae order. Second, there is an identity problem of the restoration of Cheontae order. The oppression of Buddhist Monks through military regime in 1980 is a typical example. After this incident, effort was made to resolve the identity problem, such as, publishing a sūtras and modifying the education system. However, the achievements of Sangwol josa has not been revealed, which has served as problem in religious order studies. Third, chronological history of Sangwol josa is realistically needed. If the erroneous birth year of Sangwol josa would be set in 1911, it would function as an obstacle for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heontae order. Insisting on the error degrades the state of the religious order. Furthermore, these errors will be recorded in educational material for missionary work focused on monks and believers. Media reports and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will just serve as a circulation of falsehood. Even more, academic researches will be based on false informations. As the present paper will show, the year of Sangwol josa’s coming to the world should be 1922, not 1911, as is often cited. We must modify the birth year to the year that can be actually backed up with true evidence. From this study, the birth year of Sangwol josa should be modified from 1911 to 1922 and in accordance with it the chronological record should be settled. Hence, the modification of the birth year in preexisting publications has enabled research for ideology of Sangwol josa, as well as, Cheontae order. Historical inheritance, along with ideological orthodoxy was secured by the connection of the Goryeo Cheontae order, as well as Chinese Cheontae order. Furthermore, it created a good chance for studying the religious culture of Samcheok, where Sangwol josa was born. Especially, the publishment of “White Lotus will blossom everywhere (Sangwol josa’s founding of Guinsa-Temple)” (Dong-soon Choi, 2009) was an innovative event in Cheontae order history. 상월조사(상월원각대조사, 1922∼1974)는 충청북도 단양군 소백산 기슭에 구인사를 창건하고 천태종을 重創하였다. 그는 일제강점기에 강원도 삼척 지방의 산중에서 태어났다. 삼척 지역이 갖는 강렬한 신앙을 기반으로 1950 년 소백산에 수행 교단을 구성했다. 해방과 좌우익의 대립, 6.25전쟁, 냉전시 대를 겪으면서 그는 피폐해진 민중들의 가슴을 보듬었다. 1966년 상월조사는 구인사 교단이 대한불교천태종임을 선언했으며 고려 시대에 발전했던 천태종을 계승하였다. 당시 천태종을 한국의 주류 종단에 편입시키는 등 뛰어난 교화 능력을 바탕으로 교세를 확장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창 천태종 및 상월조사에 대한 학술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연구 조사의 배경을 세 가지로 요약한다. 첫째, 상월조사의 행적이 자세히 알려지지 않은 배경이다. 연구 결여로 인 해 상월조사의 출생 및 생애 연도의 오류를 확인하지 못했다. 또한 구인사 창건 과정과 천태종 중창에 대한 역사적 사상적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것이 중창 천태종 연구를 위한 기반 자료를 제작하기 어려웠던 배경이다. 둘째, 중창 천태종의 정체성 문제이다. 1980년 계엄군에 의해 발생한 法 難 때 드러난 것이 대표적 사례이다. 법난 파동 이후 정체성 문제 해결을 위해 宗典 발간과 교육제도의 개선 등으로 이어졌다. 그러나 상월조사의 행 적이 밝혀지지 않아 논란이 되었고, 중창 교단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로 이 어지지 못했다. 셋째, 상월조사 생애 연보 제작의 현실적 필요성 때문이다. 오류인 1911 년 탄생설은 대한불교천태종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다. 오류를 고수함으 로서 종단의 위상을 약화시킬 것이다. 더구나 탄생 주기 및 승려 및 신자 교육은 물론 청소년 포교를 위한 교재에도 오류들을 수록하게 될 것이다. 1922년 출생 사실이 밝혀진 이상 탄생 연도를 바꾸지 않으면 안 된다. 본 연구조사에 의하여 상월조사 출생 연도를 1911년에서 1922년으로 수정 하였고, 연보를 확정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출간물의 연도 수정을 통해 상 월조사의 사상은 물론 중창 천태종에 대한 연구 착수가 가능하게 되었다. 더 불어 상월조사를 배출한 삼척 지역의 신앙문화를 연구할 수 있는 좋은 기회 이며, 본 연구조사의 결과물인 『처처에 백련 피우리라(상월조사의 구인사 창 건기)』(최동순 지음)를 발간한 것은 천태종 역사의 획기적인 일이라 하겠다.

      • KCI등재

        무주당 청화의 염불선 사상에 내재된 천태교관

        최동순 한국정토학회 2019 정토학연구 Vol.31 No.-

        무주당 청화선사(1923-2003)는 전남 무안 출신이다. 그는 한국전쟁 중에 출가하였다. 1985년 동리산 태안사 주지로 부임하기까지 그는 여러 토굴을 이동하면서 줄곧 염불선을 수행하였으며 이 선법에 대한 역사적, 사상적, 실천적 근거를 찾아 그 이론적 체계를 세웠다. 그 근거는 중국 보리달마의 가르침으로부터 혜능에 이르는 순선(純禪)이며 이를 청화는 정통선이라 하였다. 이 선법의 교판적 지향점은 원통불법이며, 그 실천적 목표는 마음청정을 통한 정토구현이다. 중국 당 초기 이전에 선정수행이 보급되던 시기는 천태종의 종조인 지의(538-597)가 활동했던 시기와 일치한다. 지의는 『법화경』 정신의 구현이 목표이며 이를 위한 실천체계인 선정과 지관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했다. 이론 체계로서 『법화현의』 이며 그 실천체계로서 『마하지관』 이다. 특히 지의의 『관무량수경소』 를 송 초기의 지례는 이를 해석하여 『관무량수경소묘종초』 를 썼는데, 이 책은 천태종의 종파적 입장을 강조하였다. 청화는 이 책 내용의 염불 및 관심(觀心)에 대한 관심이 깊었다. 청화는 염불선 뿐만 아니라 천태교관에도 밝았다. 청화는 금타 스승이 남긴 『금강심론』 에 내재한 사상과 실천법의 체계를 세우기 위해 천태사상을 활용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몇 가지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교판(敎判)의 수용이다. 천태종의 종지는 소의경전인 법화경 정신의 구현이며, 이를 위해 천태대사는 삼대부를 통해 관심의 실천을 강설하였다. 이는 선종이 추구하는 화엄경 정신과 차별이 있다는 점에서 청화는 천태 원돈(圓頓)의 영향을 받아 원통(圓通)불법의 원융과 회통정신을 천명하였다. 둘째는 일행삼매의 수용이다. 『마하지관』 에서 강설한 상좌삼매와 상행삼매의 내용은 청화의 행법인 염불선으로 정착하였다. 셋째는 본시성불론이다. 이는 천태학의 육즉론과 십계호구론 그리고 삼법(심법·불법·중생법) 무차별 등이 청화의 법문집에 등장한다. 넷째는 심청정에 의한 국토청정의 유심정토사상이다. 청화는 특히 지례의 『관무량수경소묘종초』 의 시심작불·시심시불 해석의 영향을 받았다. Chan Master Mujudang Chunghwa is from Muan, Jeollanam-do and he was a genius who graduated from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e was appointed as a disciple by Geumta master in Korean war(1950-1953). Until his appointment to the representative of Taean Temple in Mount Dongli in 1985, he had practiced YumbulSeon practice from temple to temple, and established its theoretical system in search of historical, ideological and practical grounds for the Yumbulseon. The basis of Yumbulseon, from the teachings of the Chinese Dharma to the Hymen, is Yeoraeseon. Chunghwa called it orthodoxy seon or purity seon. The orthodox orientation of this method is Wontongbulbeop, and its practical goal is to establish a clean mind and clean land. The teachings of Chungwha were influenced by the ideas of Tientai Zhi-i, at this time a Purity seon were occurred. The goal was to realize the spirit of the Pundarika Sutra. The method of Zen and the Zhiguan as the practice system is proposed. The theoretical framework is Fahuaxuanyi(法華玄義) and Mahezhiguan(摩訶止觀) as its practical system. Master Chunghwa knew not only Yumbulseon but also Idea of Tientai. He used Tientai thought to set up ideas and systems inherent in the theory left by his teacher Geumta. In relation to these, four things are listed as follows: The first, acceptance of a Tientai order’s doctrine. The purpose of Tientai order is to realization the spirit of the representative scripture, Lotus Sutra. To this end, Master Tientai gave a lecture on Three main scripture which is orthodox of this order. This is different from the spirit of Huayan Sutra pursued by Seon order. This is different from the spirit of Huayan Sutra pursued by Seon order. The second, accepted the Yihangsanmei(一行三昧) taught by Master Tientai. The contents of Changzuosanmei(常坐三昧) and Changhangsanmei(常行三昧), lectured in Mahezhiguan(摩訶止觀), were settled by Yumbulseon method. The third, Master Chunghwa accepted the theory of nature Buddhahood. This is the teaching about Liuji(六卽), Shijiehuju(十界互具) and three dharma(mind, buddha, living things) indiscriminate in Tientai school. Fourth, it is the Pureland idea of national territory which cleaning by mind cleaning. In particular, Chunghwa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idea of Guanmoliangshou Sutra(觀無量壽經) as interpreted by Zhili(知禮) who belonging to Tientai order.

      • KCI등재
      • KCI등재

        원통불법의 기반으로서 도신의 염불선 -청화 스님의 ‘순선’, ‘안심’, ‘일상’ㆍ‘일행’ 삼매 고찰-

        최동순 한국정토학회 2012 정토학연구 Vol.18 No.-

        본 논문은 ‘원통불법’이 성립된 배경으로서 청화(1923∼2003)의 생애사, 순선 시대, 그리고 도신의 선사상과 그 영향관계를 고찰하고 있다. 그 의의를 네 가지로 정리한다. 첫째, 해방 직후 출가하여 수행에 전념했던 청화는 1980년대에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였다. 일제강점기에 탄생한 청화는 한국 현대사의 격변기를 살다 간 인물이다. 제2차 세계대과 동서 간의 이념대립이 있었고, 국내에서도 좌우익의 극심한 대립에 이어 전쟁이 발발하였다. 전후 이어졌던 국내의 혼란상과 함께 불교계 역시 정화운동이라는 이름으로 대립이 거셌다. 이러한 시대적 질곡을 해소하고자 청화는 ‘원통불법’의 기치를 들었다. 둘째, 한국불교의 특징으로서 (원)통불교임을 확인하였다. 청화는 원효, 의천 등 한국의 고승들이 이미 원통불교를 지향했다고 하였다. 그런데 청화는 최상승선인 화두참선은 누구나 향유하기 어려운 선법으로 보았다. 청화는 제종파를 포섭하는 원융과 회통의 불교를 주창하였다. 禪者들 뿐만 아니라 근기의 차별없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수행법을 제시한 것이다. 그것은 청화의 원통불교 취지가 ‘대한불교 조계종’의 종지를 벗어나지 않았음을 논증하였다. 셋째, 삼매로서 ‘일상’․‘일행’의 실천이다. 청화는 혜능 이전의 순선시대 조사들이 설정한 ‘일행삼매’에 주목했으며 특히 도신의 선사상으로부터 깊은 영향을 받았다. 스님은 도신의 일상과 일행을 ‘止’와 ‘觀’, ‘慧’와 ‘定’에 배치하여 선법을 체계화하였다. 그 수행의 목표는 ‘安心’으로 귀결되도록 하였다. 이 안심의 의미는 불교에서 지칭하는 깨침과 동등하다. 조사들의 고원(高遠)한 선기(禪機)의 세계라기보다 누구나 불법 실천에 의해 ‘안심(편안한 마음)’에 도달할 수 있다는 희망과 확신을 전했다. 넷째, 정토(불국토) 구현이다. 청화는 철저하게 유심정토를 주창하였다. 염불하거나 모두가 (실상)염불선으로 회통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화두선 역시 염불선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결국 청화의 목표는 정토구현이며, 이는 대중들이 ‘안심’에 도달함으로써 가능하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d lifetime history of chunghwa(1923~2003), the age of pure seon, Seon idea of Doxin and its relationship as being a background of the Wongong Buddhism establish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be summarized as following 4 points; First, Chunghwa concentrated on attainment upon ordained Buddhism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started its full swing activity during 1980s. chunghwa is a figure who was bor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passed away witnessed the upheaval of modern Korean history. During his period, there was the 2nd World War, East – West ideological confrontation , and locally, Korean war erupted as a result of sever left-right confrontation. Together with domestic confusion that continued after the war, there was a sever confrontation in the Buddhism society as well in the name of purification. To overcome such ordeal of that age, chunghwa raised the value of wongong buddhism. Second, he verified wongong buddhism as being a typ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According to chunghwa, Korean priests of high virtue like Wonhyo, Uicheon. has directed already wongong buddhism. But chunghwa regarded Hwaduchamsun the supreme seung seon as a difficult seon-bub(method) that can not be mastered by everyone. chunghwa preached Buddhism of Wonyung & Hoetong embracing all religious branches. He presented the method of attainment capable to be participated by ordinary people not only priest monk but also without discrimination based on length of period of discipline. It proves that the theoretical principle of wongong Buddhism not left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s Cadence. Third, as being samadhi, the implementation of ilsang. ilhaeng. chunghwa paid attention to ilhaeng samadhi that was established by the priest during pure seon age prior Hyeneung and influenced particularly from the seon idea of Daoxin. Master chunghwa systematized Buddhism method by positioning gi & gwan, Hye & jung being the ordinary life and ordinary behavior of Doxin. The objective of attainment discipline is designed to be concluded to ansim. The meaning of ansim corresponds to the enlightenment of Buddhism. Rather than the world of enlightenment of master, chunghwa delivered the hope & confidence capable to attain ansim (peace of mind) by everyone through discipline of Buddhism. Four the realization of Jeungto (pureland Buddist land). chunghwa seriously proclaimed Yushimjeongto(immaterialism). He emphasized the harmonization to Chan Buddha meditation or (true nature)mindfulness of the Buddha meditation. by everyone. The point konganseon meditative practice as well connects to Chan Buddha-mediation was presented. In conclusion, the aim of chunghwa is to realization of pureland, and clarifies this can be attained by ordinary people by reaching to ansim.

      • KCI등재
      • 프로축구팀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사회문화적 인식

        최동순,이창섭,이종호 충남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06 體育科學硏究誌 Vol.24 No.1

        This study is on sociocultural recognition of regional residents for professional football dub, Daejeon Citizen FC. For this 348 persons were participated in survey. Two Analyses were performed : 1) One-way analysis of varience that investigates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ociocultural recognition among sex, age, school career, income, and social class, participation degree for soccer activities and interest degree for soccer; 2)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investigates the sociocultural cognitions(regional identity, social interaction, cultural life) of regional residents for Daejeon Citizen FC(existence, game, relevance with residents). The result of above analyses gained following conclusions : 1)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sociocultural recognition among sex, social class, participation degree for soccer activities and interest degree for soccer. 2) Game, relevance between residents and Daejeon Citizen FC contribute to reinforcement of regional identity, social interaction and cultural life of residents; existence of Daejeon Citizen FC do not contribute to them instead.

      • KCI등재

        초기 천태교단의 행의(行儀) 고찰

        최동순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6 No.-

        천태대사는 내(內)적 관심뿐만 아니라 외(外)적 의례도 불교 수행의 중요한 부분으로 설정하였고 이는 천태수행 근저에 배태되어 있다. 그는 좌선지관을 통한 관심(觀心)만을 추구하지 않았고, 수행자의 외적 행위인 생활 형태도 중요하게 여겼다. 따라서 좌선 중의 수행뿐만 아니라 행주좌와(行住坐臥)의 생활 중에 일어나는 갖가지 양태들도 수행의 단계로 분류하였다. 그는 여기서 더나아가, 참회법(懺悔法)이나 예불형식 등 특정한 의례도 수행의 중요한 부분에 포함시켰다. 참회법(懺悔法)을 비롯한 각종 불교의 행법들은 불교 수입기라는 특징이 작용하였다. 중국어에 익숙지 않았던 서역승[인도승]들이 보여주는 불교 의식(儀式)은 중국인들에게 색다르게 보였다. 불교의 높은 종교적 철학적 내용들은 당시 왕실이나 귀족 계층에서 수용하였지만, 예불이나 각종 신의(身儀)적 의례, 불명(佛名)에 대한 구칭, 다라니 주송(呪誦) 등의 종교적 의례들은 불교가 민중들에게 보급될 수 있는 중요한 요인들이었다. 의례를 포함한 행도가 강조된 경향은 혜사(지의의 스승)뿐만 아니라 지의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에 교단을 구성한 천태종으로서는 참회법을 비롯한 각종 행의적 양태들을 자연스럽게 수용하였다. 그러한 흔적은 천태삼대부(天台三大部)를 비롯하여 지의 강설 여러 문헌에서 볼 수 있다. 그 가운데 참범 행도는 불교의 중요한 수행방식으로 자리잡았고 여타 다른 행의로 발전하였다. 천태대사의 행법은 수행행위를 규정한 사종삼매(四種三昧)로 분류되고 총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회법을 비롯한 각종 신체적 행의들을 중심으로 재편한 것이다. 이는 내(內)적 지관이 함께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사종삼매에는 내적 수행인 좌선지관과 함께 외적 행도인 예불, 송경, 참회, 다라니 주송, 아미타불을 염불하는 등의 절차들이 개설되어 있다. 지의 입적 이후 국청사(國淸寺) 교단을 이끌어 온 관정(灌頂)은 당시 행해진 의례들을 모아 국청백록 에 수록하였다. 지의가 신체적 형태를 통해 사종삼매의 체계를 세웠고, 관정은 입제법(立制法), 경례법(敬禮法), 보례법(普禮法), 육지사훈(六知事訓) 등 의례와 청규(淸規)들을 정리하였다. ‘국청사 교단’은 지의가 주도했던 ‘수선사 교단’을 계승하고 있으며, 지의 또한 혜사의 ‘대소산교단’의 영향을 받았던 것이다. 이들 교단들은 천태 초기의 교단들이며 당시 남북조 시대의 불교적 편린들을 수용한 것이다. The Great Priest, Chih-i(智顗, 538-597), mentioned that outward practice is also an important part of Buddhist practice not to mention inward interest. His doctrine is the germination of Tien-tai Sect's Idea. He set much value on physical behaviors, that is, ascetics' outward life, besides sitting in Chan(禪) meditation. Thus, he regarded various phenomena shown in process of walking, standing, sitting, and lying in every state, not to mention sitting in Chan meditation. In addition, he regarded specific ceremonies, such as the Way of Ksamayati(懺悔法), worship formalities and otherwise, as a kind of practice. Various practice methods, including the Way of Ksamayati, show the feature in the period of Buddhist introduction. The buddhist ceremonies shown by Indian monks, who was not good at Chinese language, were unusual for Chinese people. High-minded religious and philosophical subjects were accepted by the then royal family or aristocracy, but religious factors such as various body ceremonies(行儀), various buddhist appellations, Dharani(陀羅尼) recitation and otherwise played important roles in diffusing Buddhism throughout the populace. The trend that emphasizes outward practice including ceremonies exercised influence on Chih-i without mentioning Huisi(慧思, the master of Chih-i). As Tien-tai Sect established its religious body in those days, it naturally accepted various practice methods including the Way of Ksamayati. Chih-i's lectures including 'Three Tien-tai Scriptures' support such records. In particular, Chambeom practice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practice of Buddhism and has developed into other practice methods. The practice method of Tien-tai priest was classified into four Samayas that stipulated practice methods, and was synthesized again. In other words, it was recompiled into various physical behaviors. It means that inward insight should be involved. The Four Samaya includes regular formalities such as sitting in Zen meditation, worship, recitation, Ksamayati, Dharani recitation, Amitabha recitation and otherwise. After Chih-i entered Nirvana, Guan-ding(灌頂), who has leaded the Temple Guoqing(國淸寺), arranged buddhist ceremonies performed in those days and compiled 'Guoqingbailu(國淸百錄)' Chih-i established the system of the Four Samaya through physical behaviors, and Guan-ding arranged various ceremonies such as Lizhifa (立制法), Jinglifa(敬禮法), Pulifa(普禮法), admoniton for six mangers and otherwise. The Temple Guoqing has taken over the theory of the Temple Xiuchan(修禪寺), leaded by Chih-i. Likewise, Chih-i was influenced by the religious body of Mt. Daisu(大蘇山). These religious bodies were established in the early stage of Tien-tai, and accepted the various parts of Buddhism in the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ies.

      • KCI등재

        원묘 요세의 이동경로에 따른 사상 추이 고찰

        최동순 한국정토학회 2011 정토학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최자(崔滋)가 쓴 「만덕산백련사원묘국사비명 병서(萬德山白蓮社圓妙國師碑銘 幷序)」에 기록된 원묘 요세(圓妙 了世, 1163∼1245)의 이동경로를 알아보고 그 현장 확인, 그리고 그의 사상적 추이를 분석하였다. 요세가 방문했던 사암(寺庵)에 대한 사전 조사, 그리고 이동한 장소를 따라가 확인하는 방법을 취했다. 만덕사지(萬德寺志) 나 국역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지리서들을 참고하였다. 비명은 요세의 생애를 시간적 흐름과 장소적 변화에 따라 명확하게 기록하고 있다. 출생지인 의령군 부림면 신번리를 비롯하여, 승선(僧選)에 따른 개경 진출, 은둔에 따른 장연사와 상무주암의 경로가 나타난다. 요세는 남원지역 활동을 거쳐서 월생산 약사난야에 거처를 정한다. 맹렬한 예참행으로 만덕산과 백련산에 크게 불사(佛事)를 일으켰음을 확인하였다. 이들 가운데 현장 확인이 어려운 곳은 개경(개성)이며 현재 장연사와 약사난야의 위치를 알기 어렵다. 요세가 활동했던 장소는 그의 사상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이동에 따른 사상적 추이의 고찰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천락사에서 천태학을 배우고 승선으로 개경에 진출하여 (천태) 종장이 되기까지의 행로를 추정할 수 있다. 권력을 혐오했던 그는 은둔으로 돌아섰으며 상무주암에서 천태 및 조계의 교판적 차이점을 경험한다. 이후 남원 지역 활동을 거쳐 약사난야에서 본격적인 천태 교관(敎觀)을 실천하며 이를 현실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보인다. 이후 만덕산에 보현도량을 개설하는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요세의 생애사 기록을 토대로 현장을 조사하였으며 보다 생생한 맥락적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vement route of Wonmyo Yose (1163∼1245) recorded in Choi Ja's 「Mandeoksan Baekryeon Sa Won myoguksa Bimyeong Byeongseo(萬德山白蓮社圓妙國師碑銘 幷序)」, verified its point, and analyzed his transition of thought. It employed a method to have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Saam (寺庵) which Yose visited and to confirm the movement areas. Geographical works like Mandeoksaji (萬德寺志) or Translated Sinjeung Dongguk yeojiseungram were cited. Bimyeong(Inscription) recorded the life of Yose according to the time flow and spatial change clearly. It recorded his birth place, Sinbeon-ri, Burim-myeong in Euiryoeng-gun, advancement to Gaegyeong according to the his vow as a monk(僧選), and movement route to Jangyeonsa and Sangmujuam according to his seclusion. Yose resided in Yaksa nanya at Wolsaengsan after his activity in Namwon area. It is confirmed that he had a great success in Buddhism work at Mt. Mandeok and Mt. Baekryeon. Among these, the points that are not available to figure out are Gaegyeong (Gaeseong), and also current Jangyeonsa and Yaksa nanya. The place he worked had been highly related to his idea. It means it is able to figure out his transition of though according to his movement. The route from his study Cheontaehak at Cheonraksa through advancement to Gaegyeong and to becoming a chancellor of Cheontae Order can be conjectured. He returned to nature as he hated power, and experienced the differences between Cheontae Order and Jogye Order at Sangmujuam. Thereafter, he came to practice his Cheontae doctrine at Yaksa nanya after the activity in Namwon. It also showed his working to open Bohyeon Buddhist training camp at Mt. Mandeok vividly.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fe of Yose in a field based on the records and could obtain more vivid contextual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