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한대판법에 의한 복합적층절판의 해석

        윤석호,한성천,장석윤,Yoon, Seok Ho,Han, Sung Cheon,Chang, Suk Yoon 한국강구조학회 2001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료로 구성된 구조물로서 박스거더와 같이 임의의 각도로 연결된 절판을 유한대판법으로 해석하였다. 각 적층판의 강성으로부터 적분에 의하여 판두께 방향의 전체 강성을 구하고 최소 포텐샬 에너지 이론으로부터 구한 평형방정식에 대입하여 전체 강성매트릭스를 구하였다. 슬래브나 박스거더의 변위 함수는 횡 방향의 Hermite 다항식과 종 방향의 조화함수의 결합으로 가정하였다. 종 방향 조화함수는 단부의 경계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를 사용하였다. 해석시간의 단축 및 모델링이 쉽다는 장점을 가진 유한대판법은 복합적층 재료로 구성된 박스거더와 같은 절판해석의 경우에도 매우 정확한 해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paper the analysis of laminate composite folded plates with arbitrary angle connection like box girder is studied by finite strip method Total stiffness of laminated plate is obtained by integration of the stiffness in each layer or lamina through laminate thickness and total stiffness in each layer or lamina through laminate thickness and total tiffness matrix is obtained by substitutionto equilibrium equation derived from the minimum total potential energy theorem. The assumed displacement functions for a finite strip method in plate or box girder analysis are combinations of one-way polynomial function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harmonic functions in the span-wise direction. Finite strip method with the merits of the simplification in modeling and the reduction of analytical time is accurate in the analysis of laminate composite folded plates shaped like box firders.

      • KCI등재

        비등방성 복합적층판 및 쉘의 고차전단변형을 고려한 비감쇄 동적응답

        윤석호,한성천,장석윤,Yoon, Seok Ho,Han, Seong Cheon,Chang, Suk Yoon 한국강구조학회 1997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9 No.3

        This paper will expand the third-order shear deformation theory by the double-Fourier series and reduce to the solution of a system of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in time, which are integrated numerically using Newmark's direct integration method and clarify the undamped dynamic responses for the cross-ply and antisymmetric angle-ply laminated composite plates and shells with simply supported boundary condition. Numerical results for deflections are presented showing the effect of side-to-thickness ratio, aspect ratio, material anisotropy, and lamination scheme. 본 연구에서는 복합재료로 구성된 복합적층판 및 쉘에 대하여 3차 전단 변형이론을 이용한 변위를 가정하여 단순지지 경계조건을 만족하는 변위형상함수를 퓨리예급수로 전개하고 동적 평형 방정식을 유도하여 뉴마크의 수치적분법을 사용하여 단면특성계수, 재료의 특성, 층의 배열에 따른 복합적층판 및 쉘의 비감쇄 동적응답특성을 연구하였다.

      • KCI등재

        정약용(丁若鏞)의 기자(箕子) 인식(認識) - 고법(古法)탐구와의 연동(連動)을 중심으로 -

        윤석호 ( Yoon Suk-ho ) 한국실학학회 2021 한국실학연구 Vol.- No.42

        정약용의 기자 인식은 비균질적이면서도 전환적으로 변화했다. 또한 보편적 유교문화의 시원으로서 기자를 정위한다는 기조를 공유했으되, 기자로부터 전래된 보편문화가 무엇이었는가에 대해서는 당시의 유자들과 상이한 견해를 가졌다. 이에 본고는 다산의 기자 인식이 古法에 대한 독법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 양자를 계기적으로 논증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사료적 가치에 있어 후대의 역사서보다 經書를 우선했다는 점, 경서에 대한 해석을 토대로 유교의 보편적 전장을 궁구했다는 점, 또한 이것이 기자의 역사성을 판단하는 준거로 활용되었다는 점 등은 다산의 기자 인식에서 지속적으로 확인되는 특징이었다. 그럼에도 다산의 기자 인식은 유배기 전후로 크게 달랐는데, 이는 고법과 기자에 대한 경전적 해명의 변화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먼저 사환기까지의 다산은 기자의 동래와 그로 인한 행적 전반에 대한 경학적 전거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단군이 한반도를 다스렸고 ‘朝鮮’이라는 명칭도 이때부터 있어왔다고 보았던 한편으로, 기자의 동래 나아가 평양에 도읍을 세웠다는 것에는 강한 의문을 표했다. 이러한 입장은 당시 ‘기자정전’으로 운위되던 평양의 격자형 유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 유지의 구획는 ‘井’자가 아닌 ‘田’자였는데, 이와 같은 형태는 『맹자』의 정전에 대한 경문과는 부합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것은 다산이 ‘기자정전’을 인정하지 않았던, 대신 이를 당나라의 이세적이 운영했던 둔전의 유지로 추정케 했던 경학적 근거였다. 그러던 다산에게 강진 유배기는 유학의 보편적 전장을 본격적으로 궁구할 시공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다산은 『周易』의 明夷卦를 역사적으로 재해석하여, 기자 동래에 대한 경전적 근거로 삼았다. 또한 『주역』의 坤卦, 『尙書』의 洪範九疇와 六鄕制, 『周禮』의 營國원리 등을 재해석했다. 그리고 ‘井’자가 토지제도에서부터 도성[읍성]건설, 나아가 통치 이념에 이르는 삼대 전장에서의 보편적 원리였음을 추론했다. 이와 같은 고법 독법 하에서 다산은 기자의 흔적을 평양의 유적 가운데에서 해명했다. 그런데 그가 주목한 것은 평양성 밖의 이른바 ‘기자정전’이 아닌 평양성 내부의 격자형 유지였다. 동래한 기자가 고법에 의거해 평양성을 조영했으니, 내부에 남아 있는 ‘井’자 형태의 공간 구조가 바로 그 증거라는 것이다. 이로써 다산은 고대의 한반도를 유학의 보편적 전장이 시행된 시공으로, 그와 같은 경학적·역사적 추론에 대한 실증적 근거로서 평양성을 위치시켰다. 이처럼 다산에게는 보편적 전장의 해명이라는 학술적 목표가 일관되게 저류하고 있었다. 특히 유배기 이후로는 경전의 재해석을 통해 고법에 대한 기왕의 독법을 조정했으며, 그 논점을 통치체제의 차원으로 확대했다. 다산의 이러한 학술적 경과 속에서 고법은 기자와의 주요한 교점이 되었다. 그리고 고법 독법의 변화에 근거해 기자에 대한 인식 또한 연동했고, 이 과정에서 기자는 고대 한반도에서의 문명사적 실체로서 자리매김했다. Dasan(茶山) Jeong Yak-yong(丁若鏞)'s recognition on Kija(箕子) was inhomogeneous and conversely change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argue Dasan's perception on Kija under the connection with the process of changing his view about Old Law(古法). The fact that the historical value of the Confucian scriptures was prioritized over the later historical books, that the universal system of Confucianism was explained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Confucian scriptures, and that it was used as a criterion for judging the historicality of Kija were characteristics that were continuously confirmed in Dasan's perception on Kija. Nevertheless, Dasan's perception on Kij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xile period, because Dasan's explanation based on Confucian scriptures for Old Law and Kija was changed. Dasan before exile was unable to provide evidence in the Confucian scriptures for Kija's migration to the east and the overall course of action related thereto. In addition, Pyongyang(平壤)'s grid-shaped historical site, so-called ‘Kija's Jeong-jeon(井田)’, was not recognized because it did not conform to the explanation of 『Mencius(孟子)』 about Jeong-jeon. Dasan was exiled by Gangjin(康津), and during that period, he studied the universal system delivered in Confucian scriptures in earnest. In this process, Dasan historically reinterpreted Ming-Yi Hexagram(明夷卦) in 『I-Ching(周易)』, and used it as a scriptural basis for Kija's migration to the east. In addition, Dasan reinterpreted Kun Hexagram(坤卦) in 『I-Ching(周易)』, the Nine Category of the Great Rule(洪範九疇) in 『Shangshu(尙書)』, Hyangsu- System(鄕遂制) in 『Zhou-li(周禮)』 and 『Shangshu』, and argued that the form of ‘Jeong(井)’ was the universal principle of the Confucian ruling system. Under this interpretation of Old Law, Dasan explained the traces of Kija among Pyongyang's ruins. However, what he paid attention to was not the so-called ‘Kija's Jeong-jeon’, but the maintenance of the grid inside Pyongyang Fortress. He understood that Kija built Pyongyang Fortress in accordance with the old law, and regarded the remaining shape of Jeong as its evidence. Overall, Dasan evaluated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as a space where the universal Confucian system was implemented. In addition, he positioned the grid-shaped historical site inside Pyongyang Fortress as an empirical basis for his Confucian scriptural and historical reasoning.

      • KCI등재

        조선조 망관례(望關禮)의 중층적 의례구조와 성격

        윤석호 ( Suk Ho Yoon ) 한국사상사학회 2013 韓國思想史學 Vol.0 No.43

        망궐례는 명초 천자를 대상으로 한 제후의 요하의로 기획되였다. 명을 천자로 승인한 조션은 먼곡의례로서 망궐례를 도입하였고, 내면 화된 사대의식 속에서 정례적으로 시행했다. 한펀 『홍무예제』의 〈進賀義禮〉에 부속된 외관요하의도 곡내에 수용되였는데, 상위의례인 조회와의 연관성 속에서 조선적 변용을 거치며 『곡조오례의』에는 삭망에 까지 정례화되였다. 명 청 교체는 망궐례의 자발성을 축소시켰다. 반면 외관요하의는 『곡 조오례의』에 규정된 시행일이 준수되였다. 주목되는 것은 외관요하의를 망궐례로 칭하는 용례가 일반화된 점이다. 당대의 사환일기나 조정의 관 행, 실학자의 인식 등에서 망궐례는 외관요하의를 의미했다. 이처럼 외관 요하의가 용어로서의 ``망궐례``를 잠식한 것은 표면적으로는 명청교체에 원인을 둔다. 하지만 그 저변에는 외관요하의의 도입부터 변용에 이 르기까지 일관되게 관철된 의도가 내재해 있였다. 이는 곧 곡왕중섬의 집권적 지방지배를 관철하는 것이며, 외관요하의는 그 의례적 도구로 활 용되였다. Manggwollye(望闕禮), which was a kind of Yoha ritual(遙賀儀), was designed in the early Ming dynasty to make imperial subject congratulate on emperor`s holiday, Recognizing the Ming Dynasty as an emperor, the Chosun Dynasty adopted and performed Manggwollye regularly, Meanwhile, Woigwan - Yoha ritual(外官遙賀儀) which means the Y oha ritual acted by local governor for king was also defined in Hongwu Etiquette Orders(洪武禮制), and accepted in Chosun Dynasty, However, unlike Ming`s regulation, it changed according to the alteration of Chohoe(朝會) in the Chosun Dynasty, so that the 1st and 15th days(朔望) were added in the date of performance, The dynastic change from Ming to Qing reduced the spontaneity of Manggwollye, whereas Woigwan - Yoha ritual was performed regularly according to the regulation of Cugjo - oryeui (國朝五禮儀), It is noteworthy that the usage that Manggwollye meant Woigwan - Yoha ritual became prevalent. Manggwollye meant Woigwan - Yoha ritual in the diary of current local governor, the custom of royal court. and the recognition of Silhak scholarsi(實學者), Apparently, the encroach on the meaning was due to the dynastic change. However. the practical cause was based on the continuous aim of achieving the centralized regional ruling system. which worked from the adopting to variation of Woigwan - Yoha ritual.

      • 강진 다산문화의 활용 현황과 과제

        윤석호(Yoon, Suk-ho)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20 다산과현대 Vol.13 No.-

        다산에게 강진은 유배지이자 학문과 삶의 공간이었다. 그리고 강진에서 다산은 지역의 문화와 풍광, 사람, 아픔과 함께 호흡하는 이웃이었다. 서로가 동행했던 18년 동안 많은 성과와 자취, 그리고 스토리가 쌓여갔다. 또한 여기에는 다산이 ‘죄인’으로서 수밖에 없었던 당대의 구조, 그리고 강진의 연혁과 사회경제적 위상이 배경으로 자리한다. 이로써 이들이 엮어낸 유·무형의 문화를 강진의 ‘다산문화’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일찍부터 강진군과 다산박물관, 그리고 연세대학교 부설 강진다산실학연구원은 강진의 다산문화를 진작 및 활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경주해왔다. 유적지의 복원에서부터, 전시 및 체험의 강화, 컨텐츠의 개발, 교육 및 문화사업의 다변화 등이 그러하다. 이와 같은 성과를 토대로 하되, 앞으로의 강진 ‘다산문화’ 활용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전환의 시기에 부응해야 한다. 기술적 진보가 공간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할수록, 역설적이게도 인간의 삶은 더욱 단절, 소외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로써 본다면 인간과 사회에 대한 공감과 치유는 우리 사회에 던져진 중요한 과제이다. For Dasan, Gangjin was a place of exile and also a place of study and life. For Gangjin, Dasan was a neighbor who breathed with local culture, scenery, people, and their pain. During the 18 years that they accompanied each other, many achievements, traces, and stories had been accumulated. It is also set in the background of the structure of the time when Dasan was forced to come down as a "sinner," and the history and socio-economic status of Gangjin. This allows us to define the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e that they had woven as ‘Dasan culture’ in Gangjin. Gangjin-gun, Dasan Museum, and Gangjin Institute of Dasan Studies attached to Yonsei University have made great efforts to promote and utilize Dasan culture of Gangjin. This includes the restoration of historical sites, strengthening exhibitions and experience programs, development of contents, and diversification of educational and cultural projects. Based on such achievements, the future use of ‘Dasan Culture’ in Gangjin should meet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is because the more technological advances overcome the physical limitations of space, ironically, human life is being cut off and alienated. In this regard, empathy and healing for humans and society is an important task for our society.

      • KCI등재

        삼대(三代) 기내(畿內)의 토지제도에 대한 『주례주소(周禮注疏)』의 해석

        尹錫皓 ( Yoon Suk-h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9 大東文化硏究 Vol.106 No.-

        유교 경전에서 전하는 王土의 운영원리는 分田과 制祿이다. 그러나 그 古法의 내용은 제한적이며, 다양한 해석의 결절점이 내재해 있다. 그로 인해 삼대 토지제도의 실상, 기내의 구조 및 통치체제와의 연관성 등의 많은 부분은 해석의 대상으로 남아있다. 鄭玄은 『周禮』와 『孟子』를 비롯한 다수의 경전을 통섭해 『周禮注』를 저술하여 주대 토지제도를 체계적으로 논정했고, 賈公彦은 疎를 통해 정현의 견해를 강화했다. 그 주요한 특징으로는 먼저 野를 횡적으로 양분하여 두 권역에 각각 6鄕-6遂-公邑과 采邑을 비정했고, 여기에 10溝法과 井牧法[井地]이라는 상이한 토지구획이 시행된다고 보았다. 그리고 기내를 관료제에 기초한 천자의 직접지배지와 采邑主의 직접지배지로 양분했는데, 그 권역은 각각 10구법지대와 정목법지대에 일치했다. 아울러 고전을 통섭하되, 기내에는 『周禮』 <載師>와 『司馬法』의 규정을, 기외의 봉국에는 『시경』·『맹자』·『논어』·『춘추좌씨전』의 경문을 각각 적용하여 해당 지역의 토지제도를 논증했다. 정현의 삼대 토지제도론은 賈公彦의 『周禮疎』를 통해 강화되었다. 특히 賈公彦은 기내에서의 封建을 인정했는데, 기내 채읍의 토지제도를 『맹자』의 경문을 근거로 재해석한 것 역시 그 일환으로 평가할 수 있다. 『周禮注疏』가 송대에 13경 주소의 지위를 얻게 되면서, 삼대 토지제도와 기내 통치체제에 대한 그 독법도 후대의 주요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특히 『주례주소』는 采邑을 封國으로 규정하여, 分田과 制祿의 원리를 기내봉건과 긴밀히 결합시켰다. 이는 후대의 경세학에서 井田과 封建을 표리적 관계로 인식하게 되는 경학사적 토대로 작용했을 것으로 이해된다. In confucian classics, the ideology of the Three Periods of Xia, Yin, Zhou's land system is conveyed by Bunjeon(分田) and Jerock(制祿) of Royal Land(王土), but of which the Old Law(古法) is not clearly explained. In this regards, the Confucian scholars commonly idealized the land system of Three Periods, but they understanded and demonstrated the Old Law of land system in different ways. Jung Hyun(鄭玄) regarded the Ten-square Field(10溝法) and the Nine-square Field(井田) as different ways of land-dividing law. Furthermore, he separated Wangki(王畿) to two areas in where each land-dividing law was enforced, and matched the governing styles of each region to royal's ruling by bureaucracy and feudal lords ruling. Ga Gong-eon(賈公彦) assented and followed Jung Hyun's interpretation, especially strengthening the independence of feudal state in Wangki.

      • 전단변형을 고려한 비등방성 적층판의 기하학적 비선형 처짐 해석

        윤석호(Seok Ho Yoon),장석윤(Suk Yoon Chang) 한국강구조학회 1993 韓國鋼構造學會誌 Vol.5 No.1

        Laminated composite plates exhibit properties different from those of single-layer plate. In addition, the great difference in elastic properties between fiber and matrix materials leads to a high ratio of in-plane Young`s modulus to transverse shear modulus for laminated composite plates. It results in the fact that the classical theory of plates, based on neglecting transverse shear deformation, is invalid for laminated composite plates. Thus, to obtain the more exact behavior of laminated composite plates, considering a effects of shear deformation and geometrical nonlinear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nalysis of them. The finite difference technique is used to analyze laminated composite rectangular plates in geometrical nonlinear problem as well as linear problem. The algorithm in this study is the Newton-Raphson iteration method. From the numerical results, it is clarified that the effects of transverse shear deformation and coupling between stretching and bending due to variation of ply-angle are quite significant components for small ratio of side length to thick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