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정서행동문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봉환,남미경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9 상담심리교육복지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of community child center children’s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and school life adjustment. Data from community child center child panel survey(fourth and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ere analyzed, 606 4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ho were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 were analyzed by means of the 1st survey data of 2014 community child center panel survey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behavioral problem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go – resilience,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Ego -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behavioral problem and school life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the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in the local children center are closely related to school life adjustment, and ego - resilience plays a role to support adjustment to school life due to emotional/behavioral problems.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정서행동문제가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정서행동문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 지역아동센터중앙지원단의 ‘지역아동센터 이용 패널조사 2014년도 2기 1차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등학생 4학년 606명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상관관계, 신뢰도 및 요인분석, 각 변수 간의 인과관계 및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행동문제가 자아탄력성에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정서행동문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들의 정서행동문제가 학교생활적응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자아탄력성이 정서행동문제로 인해 학교생활적응을 지원할 수 있는 매개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大衆音樂의 敎育的 責任과 役割

        봉환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8 No.-

        Popular music isn't a tool about amusement that carries out only one function for us to listen and enjoy. It is also education to juvenile and symbol of moral life. This study recognizes that popular music is not only a education toward the mass of people, but culture forming virtue, and pays attention to the educational duty and role of popular music. Considering the passion to popular song from juvenile, the capacity and role of popular song, like this, is problem that cannot be never overlooked. But it is difficult for us to neglect that popular song of present days go on following up pleasures, losing the moral, educational capacity and role. In not any security, most of teenagers are exposed to the situation like that violent or sexual words, expressions and gestures are rampant. And even anyone can't stand that things. At first the popular music appears with 'masses' as the slogan. But nowadays the popular music of this kinds are looking away from masses and even bad for them even. And such a popular music makes us feel that popular music is the changed artistic activities tarnished by commercialism and only chasing their profits even if they made masses slogan of them. But ,unfortunately, we have to focus on this situation is not in connection only with musical problem. Because this musical problem will lead the problems to confusion of community and corruption of masses. So, this study proposes the cognition about educational duty and role of popular music and necessity of effort about recovery from educational, moral ability, also tries to find alternative on musical problems. 대중음악은 듣고 즐기는 단 한가지의 기능만 수행하는 단순한 유희의 도구가 아니다. 그것은 청소년을 상대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이고 윤리적 삶의 표상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대중음악을 대중을 상대로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이고 도덕성을 형성하는 문화임을 인식하고 대중음악의 교육적 역할과 책임에 대해 주목하였다. 특히 청소년들의 대중음악에 대한 열정적 관심을 고려할 때 대중음악의 이러한 기능과 역할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요즘 대중음악은 교육적․윤리적 기능과 역할을 상실한 채 쾌락만을 추구한다는 느낌을 지우기 어렵다. 견디기 힘들만큼 폭력적이고 선정적인 말과 표현 그리고 몸짓들이 난무하고 이러한 상황에 청소년들은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이것은 ‘대중’을 기치로 내걸고 등장한 대중음악으로서 대중을 외면하는 처사이며 나아가 대중에 대한 예가 아니다. 마치 대중이라는 간판만 걸고 속으로는 자신들의 이익만을 쫓는 상업주의에 찌든 변질된 예술 활동이라는 느낌마저 들게 한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단지 음악만의 문제로 그치지 않고 사회의 혼란과 대중의 타락으로 이어진다는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중음악이 지니는 교육적 책임과 역할에 대한 인식과 교육적․윤리적 기능 회복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한다.

      • KCI등재

        16세기 사제 복장: 트렌토 공의회까지

        봉환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6 가톨릭신학 Vol.0 No.29

        16세기에 사제가 입던 평상복은 어떠하였을까? 당시의 교회는 사제 복장에 관해서 어떤 규정을 내세웠을까? 제5차 라테란 공의회(1512~1517)에서 레오 10세는 교황령 수페르네 디스포지시오니스(Supernae dispositionis, 1514.5.5.)를 반포하였다. 이 문헌에 서는 고위 성직자의 가솔(familia)을 구성하는 성직자들의 복장과 관련된 규정을 다루고 있다. 특히 사제들에게 단정한 복장, 즉 법으로 정한 흰색의 복장들을 착용하고 적어도 발목까지 내려오는 긴 겉옷(tunica talaris)을 착용하도록 한다. 궁정 관리나 마부처럼 고된 일을 하는 하급 성직자들은 성직자 복장에 관한 규정이 면제되어 대품을 받지 않은 경우 짧고 헐렁한 복장을 착용할 수 있다. 나아가 교황 가솔의 구성원들에게 주교 품위에 어울리는 홍색 복장을 착용할 수 있다. 16세기에는 트렌토 공의회의 규범을 시작으로 사제 복장에 관한 중대한 결정들을 내렸다. 공의회는 사제 복장과 관련된 남용을 비롯하여 여러 남용에 단호하게 대처하려고 교회 개혁에 관한 일반 규정들을 제시하면서그 권한을 관할 주교에게 맡기고 있다. 트렌토 공의회의 개혁 교령에서 성직자 복장에 관한 주제는 세 번 언급되며 이전 입법을 부분적으로 반복하고 있다. 먼저 교황 율리오 3세가 소집한 제14차 회기(1551.11.25.)의 제6조는 성직자에게 외적으로 적합한 복장과 단정한 내적 품행 사이의 일치를 다루고 있다. 한편으로 성직자들이 자신의 품위와 성직자 신분의 명예를 과소평가하면서 공적으로도 평신도 복장을 착용할 정도로 경솔함과 종교에 대한 경멸이 몇몇 성직자들 안에 뿌리박혀 있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성직자의 신분과 품위에 맞는 정숙하고 단정한 복장을 착용하도록 강조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보편법이든 개별법이든 그 법을 존중하여 따르도록 하면서 법적 처벌이 가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예상하고 있다. 두 번째, 제22차 회기의 제1조는 성품을 받은 성직자들이 신자들에게 삶과 행동으로 보여주어야 할 좋은 표양과 관련된 다른 것들과 함께 그들의 신분에 적합한 복장을 착용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관할 주교들은 성직자들의 신분에 부적합한 사치와 탐닉, 춤과 노름, 오락과 각종 범행 그리고 피해야 할 세속적인 거래에 관한 교황들과 공의회에 의해 결정된 이전의 규정들을 상기한 뒤에 주교들에게 지켜지지 않는 규정들을 정성들여 지키도록 당부하고 있다. 끝으로 제23차 회기의 제6조는 삭발례의 표지를 지닌채 성직록 수령의 특전을 누리면서 만 14세가 되지 않는 이에게도 법정에 대한 면책특권을 누리도록 허용하는 성직자 복장을 언급하고 있다. 덧붙여 서, 교황 보니파시오 8세(Bonifacius VIII, 1294~1303)의 교령에서 정한 조건에 따라, 결혼한 하급 성직자들은 관할 주교의 지시나 명령에 따라 어느 성당에서 소임이나 직무를 맡아 수행하고 있는 경우, 삭발례의 표식을 지닌 채 성직자 복장을 착용해야 한다고 주지하고 있다. In the 16th century how the sacerdotal clothing was? How does the Church of the period established the discipline about the sacerdotal clothing? During the V Lateran Council(1512~1517), Pope Leo X promulgated the “Supernae Dispositionis” Constitution. There are established rules concerning the clothing of those clerics that constitute the “family” of a prelate. In particular the presbyters are recommended to wear dresses of a colour established by the right and long at least until the heels. Instead it is made an exception for the clerics that carry out a laborious job, like the esquires or the grooms, who are allowed to wear shorter or more convenient dresses, provided that they are not presbyters. Besides the papal “family” members are allowed to wear red dresses in decorum of the pontifical dignity. The XVI century saw important decisions about the ecclesiastic clothing beginning from the norm of the Tridentine Council(1545~1563). The Council left the concrete regulation on the clerical clothing to the discretion of local Ordinaries, inside the general dispositions about the Church reform that had to remedy various abuses, among which also those concerning the clerical clothing. The clothing argument is treated three times by the Council in his reform Decree, retaking in part the precedent legislations. First of all, in the XVI session, that happened under Pope Julius II(1550~1555), it returns the theme about the coherence between the clothing that appears outside and the interior dispositions of a cleric. So it prosecutes noting that in some the presumption and the contempt of religion have reached such a point that “without any cure for their own dignity and the clerical status honour, they publicly wear laical dresses…”, and it urges to respect either universal or particular norm, by pointing out the possibility of incurring the canon penalties. The second, the necessity of wearing in public an appropriate clothing by those that are constituted into sacred orders is after confirmed in the XXII session of the Council, together with other demands concerning the good example to transmit to the faithful. After remembering other precedent prescriptions about the life, the honesty, the forming of the clerics and all that is not suitable for their status, it invites the Ordinaries to do all to report the useful prescriptions in use and to make them be diligently observed by all. Finally, the XXIII session refers to the clerical clothing that, together with tonsure and having specific prerogatives, permits also the cleric that is not fourteen yet to enjoy the forum privilege. Besides it is made observed that the clerics constituted only into minor orders, that are marr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established by the Constitution by Boniface VIII(1294~1303) and that are destined by their bishop for some ministry, must wear the clothing and tonsure. 99)

      • 제 3 부 한국인의 효문화 : 중,고등학교 효교육 실태 분석

        봉환 ( Bong Hwan Ji )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구 한국청소년문화학회) 2014 韓國의 靑少年文化 Vol.23 No.-

        이 글은 중·고등학교 도덕 및 생활과 윤리 교과서에 나타난 효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효 교육 내용, 효 교육의 비중 그리고 효 교육 방법 등 효 교육에 대한 교육적 관심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교 도덕교과서와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효 교육의 내용은 도덕의 경우자녀는 부모의 사랑에 보답하기 위해서 효도해야 하고, 자녀는 부모의 사랑을 잊지 않고, 부모의 마음을 편안하게 하려고 끊임없이 마음을 써야 한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생활과 윤리의 내용의 경우 부모의 헌신에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효를 실천해야 하지만 효를 자녀의 일방적 의무로 강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올바른 효의 실천은 부모는 자녀에게 자애를 베풀고 자녀는 기꺼이 효를 실천하는 호혜적 원리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그 외 효를 행하는 마음 자세와 진정한 효의 의미 그리고 이웃사랑을 위한 도덕적 기초로서의 효에 대해 다루고있었다. 효 관련 내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한 두 단락 정도로 매우 빈약하고 단편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효 교육을 위한 교육방법 역시 다른 내용과 다른 특별한 방법이 제공되고 있지는 않았다. 인간은 ‘관계’속에서 비로소 인간의 모습을 갖추어 가고 그 관계맺음의 중요한 가치가 효임을 생각할 때 지금과 같은 효에 대한 교육적 상황은 인간관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된다. 따라서 효에 대한 관심은 인간에 대한 관심이라는 점을 생각하여 교육과정 편성 시 효 교육의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효의 가치는 사라져서는 안 될 인류의 중요한 가치다. 따라서 학교라는 제도적 교육기관에서 효 관련 교육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인간관계의 정상화라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일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educational concerns for filial piety - education like contents, proportion of filial piety - education or ways to teach filial piety. And these things are based on contents about filial piety - education which are shown in moral or ethics textbook of middle and high school.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explores ethics textbook of middle and high school. First of all, in the case of moral textbook, the contents of filial piety - education are composed of contents like that children should keep a memory about parental love and should be dutiful for their parents in return for their love, and also that they need to make an effort to always make their parents comfortable. And the contents about filial piety of ethics textbook are composed of contents like that children should serve their parents with a thankful heart for parents’ commitment rather than with a sense of ethical obligation, and authentic filial piety ought to be based on the reciprocal principles that parents give affection and children put filial piety into true practice in return for that. And the contents also include that attitude of mind for children who would be filial, real meaning of filial piety and treat filial piety as a basis for loving our neighbor. But in those textbooks, relatively low percentage of contents focus on filial piety except for one or two paragraphs. And those paragraphs are not just deficient but also fragmentary in various ways. Besides, those contents don’t provide a differentiated ways for instructional methods to teach filial piety - education. Filial piety - education in these times can negatively affect our relationships inasmuch as human can be suitably qualified in relations with others and the most important value of those relations is filial piety. So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 - education is needed when organizing education courses, considering interest in filial piety actually means interest in human beings. The value of filial piety cannot be forgotten or ignored because it is significant value of all human beings. Therefore concerns of school as educational institution for filial piety - education are very valuable, looking at those concerns from the side of normalization for human re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