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디스플레이 및 일시 기능 소자에 적용된 산화물 기반 박막 트랜지스터

        남궁석,송민규,권장연 한국세라믹학회 2018 세라미스트 Vol.21 No.1

        Oxide semiconductor has been spotlighted as a channel material of TFTs in AMLCD as an alternative to Si, due to high mobility ( > 5cm 2 /Vs). It is also one of the strong candidates for TFTs in AMOLED because of high bias stability at amorphous phase. Beyond the advantages mentioned above, oxide semiconductor has many strengths such as transparency, low fabrication temperature and relatively low fabrication cost. For those reasons, the application of oxide semiconductor is not limited to display but can be extended to new types of electronics, for example, transient electronics for human implantable devices. From this context, oxide materials that have been used as semiconductor and insulator at transient electronics are investigated respectively, and conductor and substrate candidates are also explained, since transient electronics require systematic consideration beyond individual oxide films.

      • 김치類 貯藏中 pH 및 窒酸鹽과 亞窒酸鹽 含量의 變化

        남궁석 서울保健大學 1982 論文集 Vol.2 No.1

        깍두기, 배추김치, 열무김치의 冷藏 및 室溫貯藏중 pH와 窒醒根 및 亞窒酸根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H의 변화는 담근직후 깍두기 6.5, 배추김치 6.2, 열무김치 6.1이었으나 5℃冷藏 貯藏중 pH변화는 상당히 완만하게 떨어져 28일에 각각 6.25, 5.60, 5.60에 달하였다. 2) 25℃室溫 貯藏중에는 1일 경과후 각각 4.65, 4.90, 5.10으로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H의 증감경향이 달라져, 깍두기는 계속 떨어졌으나 배추김치와 열무김치는 각각 5일에 4.2, 4일 4.1까지 달하였다가 다시 13일째에 각각 6.5, 6.7로 상승하였다. 3) 窒酸根함량은 담근직후에 깍두기 409.5ppm, 배추김치 1174.6ppm, 열무김치 1056ppm이었으나 5℃貯藏의 경우 깍두기는 20일에 최고로 상승하여 743.5ppm에 달하였다가 그후 감소하여 24일에 최저 161.6ppm 까지 떨어지다가 24일째 다시 상승하는 경향이었고, 배추김치는 4일째 최고 1191.6ppm으로 약간 상승하다가 계속 떨어져 24일에 최저 528.0ppm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하는 경향이었으며, 열무김치는 6일째 최고 1180.3ppm까지 달하였다가 계속 떨어져 24일에 최저 452.6ppm이 되었다가 다시 상승하였다. 그리고 25℃ 貯藏 경우는 전반적으로 서서히 감소하여 13일에 각각 344.8ppm, 400.0ppm, 350.0ppm으로 계속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4) 亞窒醒根함량은 담근직후 깍두기 7.24ppm, 배추김치 2.60ppm, 열무김치 5.40ppm 이었으 나, 5℃ 貯藏의 경우 2일째 급격히 감소한 후 아주 낮은 상태로 지속되다가 20일을 전후하여 깍두기 3.9ppm, 배추김치 3.7ppm, 열무김치4.1ppm으로 다시 상승하다가 그후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25℃ 財藏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서서히 감소하여 13일에 각각 344.8ppm, 400.0ppm, 350.0ppm으로 계속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Nitrate accumulated in vegetables can, via NO_(2) during storage and after their ingestion, cause the formation of methemoglobin and many of which are carcinogenic in human body. Especially such vegetables with the highest consumption in Korea as chinese cabbage and raddish frequently showed that high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could accumulate. Therefore, pH and the content of nitrate and nitrite of Korean pickles made of upper vegetables, viz, Baichu Kimchi, Yulmookimchi and Kakdooki were estimated during storage at the conditions of 5℃ and 25℃ Storage at 25℃ generally led to the more rapidly than that at 5℃ But changes of nitrite level showed very low variation in all tested Kimchi.

      • KCI등재
      • KCI등재

        퍼지 환경하에 FMS의 다목적 작업할당 모델

        남궁석,이상용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1995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18 No.33

        This paper intends to develope the multi-objective loading model in a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FMS) to support decision maker under fuzzy environment. To obtain the optimal solution, this paper uses interactive fuzzy multi-objective linear programing(IFMOLP) and describes the process of optimal solution. As a case study, numerical examples are demonstrat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odel.

      • 韓國人의 食事嗜好에 關한 硏究 : (Ⅰ.基本味의 變化)

        남궁석,장건형,양철영,윤은숙 서울保健大學 1985 論文集 Vol.5 No.1

        한국인의 식사가호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4원미의 측정, 맛의 기호성조사, 미맹검사를 위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기본미의 최소감각농도는 짠맛이 0.008-0.015%, 단맛이 0.244-0.246%, 신맛 0.004-0.006%, 쓴맛 0.008-0.012%였다. 2. 기본미의 최소감미농도는 짠맛 0.013-0.015%, 단맛 0.247-0.250%, 신맛 0.007-0.010%, 쓴맛 0.011-0.015%였다. 3. 4원미의 최소감각농도의 평균농도는 짠맛이 0.021%. 단맛 0.2446%, 신맛 0.0050%, 쓴맛 0.0104% 이었고, 최소감미농도의 펑균농도는 짠맛이 0.0137%. 단맛 0.2480%, 신맛 0.0089%, 쓴맛 0.0133%으로 나타났다. 4. 음식맛에 대한 기호도는 단맛 12-14%로, 외국사람들이 나타낸 10-12%에 비하여 단맛을 좋아하는 경향을 보이며, 신맛인 orange juice 0.85%. 미역초우침 0.5356%이고, 짠맛은 콩나물국0.3446-0.6892%, 두부찌게 0.9189%로서, 종래의 국의 염분농도인 1.040-1.900%보다 낮은 염분농도를 좋아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쓴맛은 0.0565-0.075%였다. 5. 식품의 기호맛중 단맛과 신맛은 농촌거주인이 높은 농도를 좋아하는 경향이고 쓴맛은 도시거주인들이 농촌거주인보다도 높은 농도를 좋아하였다. 6. PTC(0.03% Phenylthio Carbamide) 물질에 의한 미맹검사 결과는 7.10%가 미행으로 나타났으며, 표현된 맛으로는 단맛(1.0%), 신맛(0.8%), 짠맛(0.8%), 기타의 맛(1.6%), 맛이 없다(2.9%) 로 나타냈다. Four primary taste, dietary preference and taste blind testing were investigated to provide data applicable to food industry and to improve Korean dietary lif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etection threshold concentration of four primary taste by panel members, was 0.008-0.015% of salt, 0.244-0.246% of sweet, 0.004-0.006% of sour and 0.008-0.012% of bitter, respectively. 2. T he recognition threshold concentration of salt, sweet, sour and bitter was 0.013-0.015%, 0.247-0:250%, 0.007-0.010% and 0.011-0.015%, respectively. 3. The average detection threshold of salt, sweet, sour and bitter was 0.012, 0.244, 0.005 and 0.010%, The average recognition threshold was 0.013, 0.248, 0.008 and 0.013%, respectively. 4. The most dietary preference were 12-14% of with sugar content, 0.85% of orange juice, 0.488%of seaweed seasoning with acetic acid,0.344-0.689% of soybeen sprout soup, 0.918% of poststew with bean curd with ~odium chloride, 0.056-0.075% of bitter with caffein, respectively. 5. Farm village panel members liked higher concentration of sweet sour and than others member, college student and business men liked higher. concentration of bitter than farm village members. 6. The result of taste blind testing by four groups, showed that blind numers were 7.10%, taste was sweet (1.0%), sour (0.8%), salt (0.8%), other taste (1.6%) and no taste (2.9%),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