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self-efficacy and anxiety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remote lecture education

        Gyusang Jo,Ahyeong Oh,Hwon Kim,Jibin Seok,Subin Oh,Hayoung Yun,Malgeum Lee,Minji Lee,Youngshin Lee 한국성인간호학회 2021 성인간호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8

        Aim(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cture time of online classes and to understand how self-efficacy and anxiety are correlated with academic achievement. Currently, due to COVID-19, the change in the learning environment of students became inevitable. Through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self-efficacy, and anxiety. Correlation studies are needed as there are positive or negative conflicting results. Method(s): Subjects were 1st, 2nd, and 3rd year nursing students attending 4-year K University in Chungbuk, who had experienced online classes.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by the SPSS 18.0 program to perform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irst, men have higher academic self-efficacy than women, and women have higher levels of anxiety than men.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was high in the order of second grade, first grade, and third grade. Third, the lower the grade, the higher the anxiety, and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academic self-efficacy. Fourth, the self-efficacy of solving problems was high in the order of credit 2.99 or less > 4.0 or higher > 3.5 – 3.99 > 3.0 – 3.44. Fifth, the higher the grade, the shorter the online lecture time, and the shorter the online lecture time, the higher the academic self-efficacy. Conclusion(s): 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nd anxiety. Academic performance and problem-solving, self-efficacy did not show correlation. Finally, the more time spent on online remote lectures, the lower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However,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achievements through online lectures cannot be evaluated in the same way as those through existing methods of teaching.

      • KCI등재

        Pattern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Genotyping of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ESBL) Producing Clinical Isolates in Korea

        Gyusang Lee,Jong Bae Kim 대한의생명과학회 2007 Biomedical Science Letters Vol.13 No.4

        The emergence of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ESBL) producing bacteria is worldwide concern. Until recently,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strains in the Republic of Korea were E. coli and Klebsiella spp. The incidence of resistance to extended spectrum β-lactam antibiotics is increasing in Wonju city, Korea. Total 57 strains of ESBL producing E. coli and Klebsiella species were isolated from Wonju Christian Hospital during a 9 month-period from April to December, 2003. To determine the prevalence and genotypes of the ESBL producing clinical isolates,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ESBL activity test by VITEK system and double disk synergy (DDS) test, and PCR based genotyping were performed. Fourteen (82%) isolates of 17 ESBL producing E. coli were found to have blaTEM gene and 5 (29%) isolates were found to have blaCTX-M gene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hirty (75%) isolates of 40 ESBL producing Klebsiella species with blaTEM gene, 38 (95%) isolates with blaSHV gene, and 7 (20%) isolates with blaCTX-M type gene were also identified. Enterobacterial repetitive intergenic consensus (ERIC) PCR and similarity index by dendrogram for genetical similarity to band pattern of each clinical isolates were examined. ESBL producing E. coli were grouped into 6 clusters up to 84% of similarity index and Klebsiella species were grouped into 12 clusters up to 76% of similarity index. In conclusion, ESBL producing clinical isolates were characterized with the results from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 and genetical similarity using ERIC PCR.

      • KCI등재

        관리통제시스템의 이용방식과 조직역량 간 관계에서 기업수명주기의 조절효과

        이규상(Gyusang Lee),이상완(Sangwan Lee) 한국관리회계학회 2017 관리회계연구 Vol.17 No.1

        관리회계분야 선행연구들은 조직역량이 성과증진을 유도하는 핵심동인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MCS의 이용방식과 조직학습으로 대리되는 조직역량 간 관계를 지속적으로 연구해왔다. 하지만 해당 선행연구들은 두 변수 간 관계에 대해 일관된 실증결과를 제시하지 못하며 혼재된 결과 양상을 나타내는 한계점을 보인다. 한편, 기업의 발전단계는 조직 내 시스템의 변화를 강요하며, MCS의 설계 또는 이용방식의 선택적 변화를 유도할 것이라는 주장이 존재한다. 이들은 수명주기모델을 활용하여 각 수명주기 단계별 MCS의 상이한 특성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보고해왔다. 또한 인사분야 선행연구들은 조직학습을 조직의 대내외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일련의 학습과정으로 인식하고, 기업수명주기의 단계별 특성변화와 높은 연계성을 나타낸다는 실증적 증거들을 제시해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황이론의 관점에 입각하여 MCS의 이용방식과 조직학습 간 혼재된 선행연구결과가 다양한 상황요인들의 효과성을 간과한 것에 기인하였다는 판단 하에 기업수명주기의 역할에 주목하여, MCS의 이용방식과 조직학습 간 관계에서 기업수명주기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방식과 이중고리학습 간 관계에서 기업수명주기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해당 효과는 성숙기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환경불확실성의 수준을 나타내는 성장기 기업에서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기업수명주기단계에 따라 MCS의 이용방식과 조직학습 간 관계의 정도가 상이하게 나타날 것으로 판단한 본 연구에서, MCS의 상호작용적 이용방식과 이중고리학습간 정(+)의 관계는 성장기 기업에서 강화되는 반면, 성숙기 기업에서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환경불확실성을 나타내며 의사결정구조에 있어 분권화된 형태를 취하는 성장기 기업에서 두 변수 간 관계성이 강화될 것이라고 예측한 본 연구의 논리와 합치되는 결과이다. 추가적으로 성숙기 기업표본에서 MCS의 진단적 이용방식은 이중고리학습과 유의한 정(+)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최근 전반적으로 증가된 경영환경의 불확실성 위협 하에서 기업의 지속생존을 위한 능동적 대처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The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has studied the association between MCS and organizational capability is proxied by organizational learning based on cognition that organizational capability is a major factor to induce the performance enhancement. But prior research has limitation that it cannot suggest the empirical result consistently. Meanwhile, prior research being based on assertion which corporate stage of development induced the selective changes of MCS design has reported the differences of MCS characteristics in each stage of corporate life-cycle. From that point of view, prior research overlooked the influence of contingent factor on association between MC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Thus, being based on recognition which inconsistent results were caused by contingent factor,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corporate life-cycle in association between MC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The finding shows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corporate life-cycle is significant in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active use of MCS and double loop learning. In addition, the level of moderating effect is stronger in growth stage than maturity stage. Meanwhile, in this study which predic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use of MCS and organizational learning would be different following the stage of corporate life-cycle,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interactive use of MCS and double loop learning was made stronger in growth stage and weaker in maturity stage.

      • KCI등재

        BSC 인식, 상사신뢰, 그리고 관리적 성과 간의 관계

        이규상(Gyusang Lee),이상완(Sangwan Lee) 한국관리회계학회 2017 관리회계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군 조직을 대상으로 개인수준차원에서 조직구성원들이 나타내는 BSC 인식을 이해도와 유용성 인식으로 구분하여 상사신뢰 및 관리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였다. 과거대표적 영리조직인 기업을 중심으로 도입, 정착되어 온 BSC가 최근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도입차원에서의 확장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실무적 차원에서의 추세에도 불구하고 BSC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여전히 기업을 중심으로 주된 연구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공공부문을 대상으로 수행된 확장연구 또한 학교 또는 정부기관과 같은 특정조직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된 한계점을 나타낸다. 더욱이 해당 선행연구들은 BSC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요구되는 제반요인들을 검증하는데 있어 제도적 차원에서의 접근시각에 머물러 있는 추가적 한계점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부문인 군 조직을 대상으로 해당 제도를 관리, 운영하는 주체인 조직구성원들이 나타내는 인지적 차원에서의 지원요인에 주목하여 상사신뢰 및 관리적 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이해도 및 유용성 인식으로 구분되는 BSC 인식은 두 차원 모두 관리적 성과에 정(+)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상사신뢰에는 유용성 인식만이 정(+)의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한편, 상사신뢰는 관리적 성과에 정(+)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이는 전통적으로 관리회계분야 선행연구들이 제시해온 실증결과와 합치되는 결과이다. 해당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상사신뢰는 BSC 인식 중 유용성 인식과 관리적 성과 간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이는 매개효과분석을 통한 추가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나타냄에 따라 그 강건성이 확보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SC recognition being classified with understandability and utility, trust in supervisor, and managerial performance for military organization. In recent years, the introduction of BSC has been extended to non -profit organizations. For all this stream of working-level, prior studies on BSC has still focused on only profit organizations. Furthermore, these studies has limitations that the effects of supporting factors was only verified in institutional dimension. Therefore, this study t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SC recognition, trsut in supervisor, and managerial performance for military organization. The results from analyzing PLS-SEM show that the both dimensions of BSC affect to managerial performance positively, but to trust in supervisor positively only utility. Meanwhile, trust in supervior shows positive effect to managerial performance and these results are in accord with prior studies in managerial accounting. All these results take together, trust in supervior acts as mediating role in relationship between BSC utility and managerial performance. And this result is robust by mediating effect analysis.

      • KCI등재

        경영자 능력과 조직성과 간 관계에서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의 역할

        이규상 ( Gyusang Lee ),이상완 ( Sangwan Lee ) 한국회계학회 2017 회계저널 Vol.26 No.6

        본 연구는 경영자 능력과 조직성과 간 관계에서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의 역할을 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경영자 능력에 따른 조직 내 통제시스템의 운영차이가 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경영자 능력, MCS, 그리고 조직성과 간 관계의 연계성에 대한 포괄적 시각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해당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Demerjianet al.(2012b)이 제시한 방법을 기반으로 경영자 능력을 측정, 대리한다. 둘째, 경영자 능력과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로 구분되는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한다. 셋째, 조직 내운영되는 통제시스템을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으로 대리하여 경영자 능력 및 조직성과와의 관계를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앞선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경영자 능력과 조직성과 간 관계에서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의 역할을 분석한다. 검증결과, 경영자 능력은 재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에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은 재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침에 따라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은 경영자 능력과 재무성과 간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경영자 능력은 비재무성과에 정(+)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에 정(+)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성과측정지표의 다양성은 비재무성과에 유의한 정(+)의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경영자 능력과 비재무성과 간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경영자 능력을 보다 객관화된 대용치를 활용하여, MCS 및 조직성과와의 관계에 대한 포괄적 시각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performance measurement diversity in the association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doing this, we expected that it can suggest the overall sight for association mechanism of managerial ability, MC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Prior research indicates that managerial ability or features affect economic outcome and are therefore studied in economics, finance, and accounting. But proxies of using in that researches have a limitation which it contained not only effects of managerial ability but also other firms’ features. Meanwhile, the stream of research for managerial features and MCS insisted that intensity or the way use of MCS was affected by managerial features. But that research have limitation that it had only focused on restricted managerial features. So, by using the proxy of managerial ability being suggested by Demerjian et al.(2012b), we examined the role of performance measurement diversity in the association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managerial ability does not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directly. But performance measurement diversity affects the financial performance. Meanwhile, managerial ability have an impact on not only non-financial performance but also performance measurement diversity. Furthermore, performance measurement diversity influences on non-financial performance. So, we can examine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performance measurement diversity between managerial ability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We expected that this empirical results can be suggested the overall sight for association mechanism of managerial ability, MC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Marinopyrones A-D, α-pyrones from marine-derived actionmycetes of the family Nocardiopsaceae

        ( Jihye Lee ),( Chulkyeong Han ),( Tae Gu Lee ),( Jungwook Chin ),( Hyukjae Choi ),( Wonjae Lee ),( Man Jeong Paik ),( Dong Hwan Won ),( Gyusang Jeong ),( Jaeyoung Ko ),( Yeo Joon Yoon ),( Sang Jip Na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2016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연구업적집 Vol.26 No.-

        Two actinomycetes, a member of the rare halophilic genus Streptomonospora and a Nocardiopsis sp. (Nocardiopsaceae), strains CNQ-082 and CNQ-675, respectively. were isolated from marine sediments collected off shore near La Jolla. California. HPLC-UV guided fractionations of the extracts of these strains yielded marinopyrones A-D (1-4), the structures of which were elucidated by interpretation of 10 and 20 NMR and HRMS spectroscopic data. Oxidative ozonation, followed by conversion of the acid product to an α-naphthyl amide, provided the absolute configuration at the chiral center on the side-chain. Marinopyrones A-D were examined for the inhibitory activity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LPS-activated mouse macrophage cells (RAW 264.7); marinopyrone D (4) was inhibitory with an IC<sub>50</sub> value of 13 I``M. To our knowledge, marinopyrones A-C are only the second reported natural products from the rare halophi-lic genus Streptomonospora.

      • 창원 대산면 맑은 물 공급 사업 효과 분석

        이병선 ( Byungsun Lee ),서상진 ( Sangjin Seo ),이규상 ( Gyusang Lee ),송성호 ( Sungho Song ),강점순 ( Jumsoon Kang ),이정은 ( Jeongeun Lee ),김현도 ( Hyundo Ki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창원시 대산면은 당근, 풋고추, 수박 등이 주된 농업생산물로, 관개용수 공급을 위해 개별 관정에 의한 공급, 낙동강 탁수의 직접 공급 등으로 해결 해왔지만 관개용수 수량부족, 노즐막힘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원시는 낙동강 탁수에 대한 모래여과 하천수 공급 시설을 설치하여 수질이 개선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맑은 물 공급 사업」을 시행 중이다. 「맑은 물 공급 사업」의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맑은 물 공급으로 인한 재배작물 생산량의 변화, 농가소득 변화, 그리고 영농편의 증가 여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가압장을 이용한 맑은 물 공급 후 수질뿐만 아니라 공급수량이 풍부해지고 안정화 됨에 따라 기존에 재배면적이 없던 딸기의 재배면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대부분의 작물들이 유사하거나 약간 감소한 반면, 파프리카와 딸기 등 고소득 작물의 생산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단위면적당 작목별 농가소득 또한 대부분의 작물들이 매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딸기 작목에서는 증가하였다. 이는 기존 개별관정에 비해 맑은 물의 풍부한 수량을 공급함에 따라, 물을 많이 소비하는 고소득 작물인 딸기로 전환되어 농가소득을 증대시킨 원인으로 분석된다. 창원시 대산면 인근 주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노동력 절감 효과와 노즐막힘, 겨울철 농수 확보 등에 대한 농민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다. 또한 재배 안정성이 확보되어 재배작목을 고소득 작물로 전환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도 조사되었다. 향후 유수율 분석, 가압장 운영에 따른 시설관리비 절감, 부스터 펌프를 기설 양수장이 아닌 취수원(강)에 직접 설치할 때의 장단점, 완속여과에 대한 내용 등이 추가로 연구될 수 있다면,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품격있는 농어촌지하수 가치 창출 연구

        이병선(Byungsun Lee),서상진(Sangjin Seo),이규상(Gyusang Lee)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국내 관개용수 관리는, 수량의 경우 주로 논의 필요 수량에 대한 공급 관리, 수질의 경우 농업용수 수질기준 적합 여부에 대한 판단적 절차가 주를 이루는 편이다. 최근 고부가가치 작물생산을 위한 관개용수는, 일반적인 논 용수와는 다르게, 작물이 필요로 하는 적정 수량과 더불어 생산작물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수질까지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따라, 관개용 지하수도 용수공급 말단부 수자원 공급 목적 외, 고부가가치 작물 생산을 위한 재배용수로서 수질의 적합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다. 이 연구는 고부가가치 농산물 생산에 기여하는 농어촌지하수 가치를 재창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 중인 농어촌지하수 수질 DB에서, 비료성분 16종에 대한 지하수 내 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후,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 세계식량기구(FAO) 등 여러 공인된 기관에서 인증한 관개용수 수질기준을 참고로 하여 관개용 지하수의 수질등급을 구분할 수 있는 지표를 마련하였다. 비록 수질 DB 자료의 한계(대부분 양음이온 등에 국한) 때문에 다양한 비료성분에 대한 평가가 부재한 한계가 있었지만, 전술한 지표를 이용하여 수질 DB에 대한 구분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지자체별, 농어업용 공공관정 별, 우수한 관개용수 수질을 보유한 농어촌 지하수에 대한 순위를 책정하였다. 이를 통해 관개용수로서 고품질의 수질을 보유한 농어촌지하수를 품격있는 농어촌지하수로서 가치를 되매김하였으로, 향후 품격있는 농어촌지하수를 활용한 작물재배, 이를 통한 고부가가치 작물의 판로 확대를 도모하고자 한다.

      • 가뭄 수요대응 관정연계이용을 위한 지하수 최적 배분 연구

        이병선(Byungsun Lee),명우호(Wooho Myoung),정찬덕(Chanduck Jeong),이규상(Gyusang Lee)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상습가뭄지역의 가뭄 수요대응 방안으로, 기설 관정을 연계 이용하여 지하수 공급 극대화를 도모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기설 관정 연계 이용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해당 농업가뭄 발생지역의 정확한 수요량에 대한 분석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연계 가능한 관정을 수리지질학적 분석을 토대로 지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홍성군의 대표적인 상습 가뭄지역에 대하여 가뭄 수요 대응 상시 지하수 공급체계를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총 1,164필지(면적 약 289 ha)로 구성되며, 지하수 공공관정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53%) 편이다. 농경지는 537필지(약 46 ha)이며 총면적(약 289 ha)의 약 16% 이고, 논이 약 11%(약 33 ha), 밭이 약 5%(약 13 ha)에 해당한다. 논에 대한 관개용수 수요량의 경우 논(297필지) 면적변화를 기반으로 HOMWR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밭에 대한 관개용수 수요량은 밭(240개 필지)의 재배작물에 대하여 작물별 증발산량이 밭작물의 관개용수 수요량과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산정하였다. 이 결과, 최근 10년간(2010-2019) 연구지역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377천 ㎥/년으로 추정되었다. 논은 밭에 비해 약 6배 관개 용수 수요량이 많았고, 상세하게는, 논의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321천 ㎥/년이었고, 반면 밭의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56천 ㎥/년으로 산정되었다. 이 후, 양수시험 자료(양수정과 주변 관측공의 수위변동 자료)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지하수가 풍부한 수계와 그렇지 못한 수계의 대수층의 이방성을 확인하였고, 수리전도도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으며,각 수계별 이방성에 따른 연계대상 관정을 지정하여 상습가뭄 발생지역의 최적 지하수 공급을 도모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