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창원 대산면 맑은 물 공급 사업 효과 분석

        이병선 ( Byungsun Lee ),서상진 ( Sangjin Seo ),이규상 ( Gyusang Lee ),송성호 ( Sungho Song ),강점순 ( Jumsoon Kang ),이정은 ( Jeongeun Lee ),김현도 ( Hyundo Kim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창원시 대산면은 당근, 풋고추, 수박 등이 주된 농업생산물로, 관개용수 공급을 위해 개별 관정에 의한 공급, 낙동강 탁수의 직접 공급 등으로 해결 해왔지만 관개용수 수량부족, 노즐막힘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창원시는 낙동강 탁수에 대한 모래여과 하천수 공급 시설을 설치하여 수질이 개선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맑은 물 공급 사업」을 시행 중이다. 「맑은 물 공급 사업」의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맑은 물 공급으로 인한 재배작물 생산량의 변화, 농가소득 변화, 그리고 영농편의 증가 여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가압장을 이용한 맑은 물 공급 후 수질뿐만 아니라 공급수량이 풍부해지고 안정화 됨에 따라 기존에 재배면적이 없던 딸기의 재배면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단위면적당 생산량은 대부분의 작물들이 유사하거나 약간 감소한 반면, 파프리카와 딸기 등 고소득 작물의 생산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단위면적당 작목별 농가소득 또한 대부분의 작물들이 매년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딸기 작목에서는 증가하였다. 이는 기존 개별관정에 비해 맑은 물의 풍부한 수량을 공급함에 따라, 물을 많이 소비하는 고소득 작물인 딸기로 전환되어 농가소득을 증대시킨 원인으로 분석된다. 창원시 대산면 인근 주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노동력 절감 효과와 노즐막힘, 겨울철 농수 확보 등에 대한 농민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다. 또한 재배 안정성이 확보되어 재배작목을 고소득 작물로 전환하는 등 긍정적인 변화도 조사되었다. 향후 유수율 분석, 가압장 운영에 따른 시설관리비 절감, 부스터 펌프를 기설 양수장이 아닌 취수원(강)에 직접 설치할 때의 장단점, 완속여과에 대한 내용 등이 추가로 연구될 수 있다면,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가뭄 수요대응 관정연계이용을 위한 지하수 최적 배분 연구

        이병선(Byungsun Lee),명우호(Wooho Myoung),정찬덕(Chanduck Jeong),이규상(Gyusang Lee)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상습가뭄지역의 가뭄 수요대응 방안으로, 기설 관정을 연계 이용하여 지하수 공급 극대화를 도모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기설 관정 연계 이용 시 가장 중요한 사항은 해당 농업가뭄 발생지역의 정확한 수요량에 대한 분석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연계 가능한 관정을 수리지질학적 분석을 토대로 지정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홍성군의 대표적인 상습 가뭄지역에 대하여 가뭄 수요 대응 상시 지하수 공급체계를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총 1,164필지(면적 약 289 ha)로 구성되며, 지하수 공공관정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53%) 편이다. 농경지는 537필지(약 46 ha)이며 총면적(약 289 ha)의 약 16% 이고, 논이 약 11%(약 33 ha), 밭이 약 5%(약 13 ha)에 해당한다. 논에 대한 관개용수 수요량의 경우 논(297필지) 면적변화를 기반으로 HOMWR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밭에 대한 관개용수 수요량은 밭(240개 필지)의 재배작물에 대하여 작물별 증발산량이 밭작물의 관개용수 수요량과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산정하였다. 이 결과, 최근 10년간(2010-2019) 연구지역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377천 ㎥/년으로 추정되었다. 논은 밭에 비해 약 6배 관개 용수 수요량이 많았고, 상세하게는, 논의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321천 ㎥/년이었고, 반면 밭의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56천 ㎥/년으로 산정되었다. 이 후, 양수시험 자료(양수정과 주변 관측공의 수위변동 자료)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지하수가 풍부한 수계와 그렇지 못한 수계의 대수층의 이방성을 확인하였고, 수리전도도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으며,각 수계별 이방성에 따른 연계대상 관정을 지정하여 상습가뭄 발생지역의 최적 지하수 공급을 도모하였다.

      • 품격있는 농어촌지하수 가치 창출 연구

        이병선(Byungsun Lee),서상진(Sangjin Seo),이규상(Gyusang Lee)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국내 관개용수 관리는, 수량의 경우 주로 논의 필요 수량에 대한 공급 관리, 수질의 경우 농업용수 수질기준 적합 여부에 대한 판단적 절차가 주를 이루는 편이다. 최근 고부가가치 작물생산을 위한 관개용수는, 일반적인 논 용수와는 다르게, 작물이 필요로 하는 적정 수량과 더불어 생산작물의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수질까지도 고려해야 한다. 이에 따라, 관개용 지하수도 용수공급 말단부 수자원 공급 목적 외, 고부가가치 작물 생산을 위한 재배용수로서 수질의 적합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다. 이 연구는 고부가가치 농산물 생산에 기여하는 농어촌지하수 가치를 재창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 중인 농어촌지하수 수질 DB에서, 비료성분 16종에 대한 지하수 내 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후,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 세계식량기구(FAO) 등 여러 공인된 기관에서 인증한 관개용수 수질기준을 참고로 하여 관개용 지하수의 수질등급을 구분할 수 있는 지표를 마련하였다. 비록 수질 DB 자료의 한계(대부분 양음이온 등에 국한) 때문에 다양한 비료성분에 대한 평가가 부재한 한계가 있었지만, 전술한 지표를 이용하여 수질 DB에 대한 구분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지자체별, 농어업용 공공관정 별, 우수한 관개용수 수질을 보유한 농어촌 지하수에 대한 순위를 책정하였다. 이를 통해 관개용수로서 고품질의 수질을 보유한 농어촌지하수를 품격있는 농어촌지하수로서 가치를 되매김하였으로, 향후 품격있는 농어촌지하수를 활용한 작물재배, 이를 통한 고부가가치 작물의 판로 확대를 도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하수 함양시설 또는 LID시설에서의 질산성질소 오염방지를 위한 농업부산물의 탈질효율 실험연구

        이진원,이병선,김강주,이규상,Lee, Jinwon,Phung, Thanh Huy,Lee, Byungsun,Kim, Kangjoo,Lee, Gyusang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1 지하수토양환경 Vol.26 No.6

        Facilities for low impact development (LID) or groundwater recharge have the high potential spreading groundwater nitrate contamination because of the rapid infiltration. This study was initiated to remove nitrate from the waters using agricultural byproducts as organic sources for denitrification during infiltration. As the first step of this purpose, we experimentally tested the denitrifying efficiency of 4 organic materials (pine tree woodchips, cherry leaves, rice straws, and rice hulls) and tried to identify the key factors controlling the efficiency. For this study, we precisely investigated the change of chemical reactions during the experiment by analyzing various geochemical parameters. The result shows that the denitrification efficiency is not simply linked to the availability of the easily decomposable contents in the organic matter. It is found that avoiding the severe pH decrease due to the CO<sub>2</sub> generation is the essence to derive the efficient denitrifying conditions when organic matters were used.

      • KCI등재

        장기 지하수위 관측자료를 활용한 농업가뭄 재평가 방안 제언

        정찬덕,이병선,이규상,김준겸,Jeong, ChanDuck,Lee, ByungSun,Lee, GyuSang,Kim, JunKyum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1 지하수토양환경 Vol.26 No.4

        Since climate factors, such as precipitation, temperature, etc., show repeated patterns every year, it can be said that future changes can be predicted by analyzing past climate data. As with groundwater, seasonal variations predominate. Therefore, when a drought occurs, the groundwater level is also lowered. Thus, a change in the groundwater level can represent a drought. Like precipitation, groundwater level changes also have a high correlation with drought, so many researchers use Standard Groundwater Level Index (SGI) to which the Standard Precipitation Index (SPI) method is applied to evaluate the severity of droughts and predict drought trends. However, due to the strong interferences caused by the recent increase in groundwater use, it is difficult to represent the droughts of regions or entire watersheds by only using groundwater level change data using the SPI or SGI methods, which analyze data from one representative observation station. Therefore, if the long-term groundwater level changes of all the provinces of a watershed are analyzed, the overall trend can be shown even if there is use interference. Thus, future groundwater level changes and droughts can be more accurately predicted.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groundwater level changes in the last 5 years compared with the monthly average groundwater level changes of the monitoring wells installed before 2015 appeared similar to the drought occurrence patter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with the water storage yields of 3,423 agricultural reservoirs that do not immediately open their sluice gates in the cases of droughts or flood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elation was higher than 56% in the natural stat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re-evaluate agricultural droughts through long-term groundwater level change analyses.

      • ATM VP 스위칭 모듈의 과부하제어 방법 구현

        김현숙(Kim Hyunsuk),이재흠(Lee Jeaheum),이병선(Lee Byungsun) 한국정보과학회 199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B

        ATM VP 교환시스템의 스위칭 모듈에서 수행되는 과부하제어 방법에 관하여 논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환기 스위칭 모듈에서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는 자원에 대한 과부하 레벨, 과부하 발생시 스위치유지보수기능으로 보고되어야 하는 데이타와 데이타 측정주기, 과부하 발생시의 제어방법등을 기술하였으며, 이것을 고려하여 ATM VP 교환시스템에 구현하고 있는 스위치 유지보수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 밭농업 지역 관개용수 수요량 평가 및 수문분석 사례

        명우호(Wooho Myoung),이병선(Byungsun Lee),이규상(Kyusang Lee)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본 연구는 밭농업지역의 지하수를 이용한 가뭄대책 수립을 위하여 충청북도 괴산군 일원에 대한 2030년 기준 관개용수 수요량 평가와 수문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가대상지역은 기존의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설계한 발빈도를 고려하여 총 5개의 소유역을 선정하였고, 각 지역에 대하여 작물재배면적에 대한 통계자료와 토지 피복도를 이용한 농경지 면적 추세분석을 통하여 관개용수 수요량을 평가하고 물수지 분석(water balance method)법을 적용하여 미래 지하수 개발 가능량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적용된 기상자료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는 실측자료를 적용하였으며, 2021년부터 2030년까지는 기후변화시나리오(RCP 8.5)를 적용하였다. 평가대상지역의 2030년 기준 농경지 면적은 총 3,971.1 ha로 분석되었으며, 이 중 논은 1,269.8 ha, 밭은 2,082.4 ha, 시설재배지는 92.0 ha, 과수원은 526.9 ha로 분석되었다. 시설별 주요 재배 작물은 밭의 경우 옥수수, 인삼, 콩으로 분석되었으며, 시설재배지의 경우 오이, 과수원의 경우 사과로 분석되었다. 소유역별 농업용수 수요량은 각각 Basin1(연풍면)이 78,922 m³/day, Basin2(청천면)는 40,400 m³/day, Basin3(청안면)은 55,116 m³/day, Basin4(사리면)는 51,195 m³/day, Basin5는 28,021 m³/day로 분석되었다. 2001년~2030년에 대하여 분석한 평균 연간 지하수 개발 가능량은 Basin1의 경우 38,245 × 103 m³, Basin2의 경우 19,085 × 103 m³, Basin3의 경우 8,103 × 103 m³, Basin4의 경우 7,875 × 103 m³, Basin5의 경우 10,136 × 103 m³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걷기 운동 시 심박수와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VO<sub>2max</sub> 간접측정법 개발

        박준성 ( Joonsung Park ),이병선 ( Byungsun Lee ),최현민 ( Hyunmin Choi ),박준성 ( Joonsung Park ),홍규석 ( Gyuseog Hong ),노호성 ( Hosung Nho ),( Joonsung Park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1

        [목적] 본 연구는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일정속도로 걷기 시 심박수와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 경제성이 높은 VO<sub>2max</sub> 간접측정법을 개발하였다. [방법] 총 107명(남성: 55명, 여성: 52명)의 연구 대상자는 신체구성 측정 후 운동부하테스트와 두 번의 1,600 m 걷기(빠르게 걷기, 일정속도 걷기)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연령과 신체적 특성, 그리고 걷기 시 측정된 시간, heart rate (HR), 또는 HR과 activity count per minute (ACM)의 비율(HR/ACM)을 변인으로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개발된 추정식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직접법에 의한 VO<sub>2max</sub>와 추정식에 의한 VO<sub>2max</sub>의 상관관계분석과 예측잔차합제곱(predicted residual sum of squares)를 시행하였다. 또한, 직접법에 의한 VO<sub>2max</sub>와 추정식에 의한 VO<sub>2max</sub>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Bland-Altman plotting과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구간별(400 m, 800 m, 1,200 m, 1,600 m) HR/ACM과 걷기시간이 성별, 연령과 함께 직접법에 의한 VO<sub>2max</sub>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모든 구간에서 추정식이 개발되었으나 400m에서만 직접법에 의한 VO<sub>2max</sub>와 차이가 없었다(R2: 0.675, %SEE: 10.7). VO<sub>2max</sub>=121.659+6.656×Gender-0.865×Age-9.540×Time-2460.952×HR/ACM(Gender, 0=female, 1=male: Time, hundredth of a minute: HR, heart rate: ACM, activity count per minute). 모든 구간에서 빠르게 걷기보다 일정속도로 걷기 시 운동강도(%HRmax)가 낮게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추정식을 통해 보다 짧은 거리 또는 보다 낮은 강도의 걷기를 통해 20대 성인의 VO<sub>2max</sub>측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ew indirect method assessing maximal oxygen uptake (VO<sub>2max</sub>) using heart rate (HR) and accelerometer during walk exercise. [Methods] One hundred seven participants (55 male, 52 female) performed a graded exercise test to determine VO<sub>2max</sub> and two types of 1,600 m walk exercises (fast walk and pace controlled walk). The equations for estimating VO<sub>2max</sub> was develop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validity of developed equations tested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measured VO<sub>2max</sub> and estimated VO<sub>2max</sub>, was assessed by predicted residual sum of squares, and Bland-Altman plotting. [Results] VO<sub>2max</sub> was correlated with time, and HR/activity count per minute (ACM) measured in pace controlled walk exercise at all distance (400 m, 800 m, 1,200 m, 1,600 m). The equations were valid significantly and their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s or standard estimated error were similar to that Åstrand-Rhyming cycle ergometer test or Rockport 1 mile walk test. Using HR/ACM in pace controlled walk (400 m), it was possible to estimate VO<sub>2max</sub> (R<sup>2</sup>: 0.675, %SEE: 10.7). The equation was: VO<sub>2max</sub>=121.659+6.656×Gender-0.865×Age-9.540×Time-2460.952×HR/ACM (Gender, 0=female, 1=male: Time, hundredth of a minute: HR, heart rate: ACM, activity count per minute). [Conclusion] Estimation equation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estimate VO<sub>2max</sub> through a shorter distance, or a lower intensity of walk exercise. It is required studies to target a wide range of ages or to develop walk test on a lower bp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