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ISS 인기논문

        TV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방안 연구 : 중상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양순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V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어와 한국문화 교육방안 연구 - 중․상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본고는 한국어 등급이 중·상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TV 드라마를 활용하여 한국 문화 교육과 한국어 교육을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한국 사회는 1990년대 전후로 국내 체류 외국인과 결혼 이민자들의 급격한 유입으로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 다민족 사회로 이동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 사회의 화두라고 할 수 있는 ‘다문화 사회’는 문화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상호 문화를 존중하고 인정하려는 태도를 전제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화적 토대를 제대로 알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행동 양식 및 의식 구조를 이해하게 하는 적극적인 교수·학습이 필요할 것이다. 있는 그대로의 한국 사회, 문화를 드러내면서 한국어 학습을 병행케 하고 그 과정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는 것이 언어·문화 교육의 궁극적 목표라면 굳이 한국 문화 교육을 전형적인 한국적인 것, 전통 문화적인 것들로만 채울 필요는 없을 것이다. 모든 문화 현상의 이면에는 사회 경제적 이유들이 숨어 있으며 이것까지 이해하고 비교하면 그저 논의하게 하는 것이 바로 진정한 문화교육이자 이상적인 언어 교육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중·상급 학습자대상으로 볼 때, 어느 정도 한국어로 표현하거나 토론하는 것과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준이므로, 한국문화에 대한 좀 더 깊고 전문적이거나 체계적인 내용을 소화할 수도 있고 또한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를 통합하는 수업 방식을 통해 더욱 많은 것을 효과적으로 배울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생각에 입각해 본고에서는 중·상급 학습자들에게 전반적인 한국인과 한국 문화의 특징을 보여주기 위해 한국인과 한국 문화에 대해 쓰인 신문, 잡지, 논문, 책 등을 포함한 각종의 텍스트를 편집해 제공해 학습자의 읽기 및 어휘 학습을 겨냥하고 이들 내용과 관련이 있는 TV 드라마의 장면들을 편집해서 혹은 유투브 등의 하이퍼링크를 통해 보게 하여 듣기 위주의 학습을 하고, 이후 읽고 시청한 내용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말하거나 감상을 적어보고 토론하게 하여 말하기와 쓰기까지 통합하는 교육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필자는 2014년 2월 현재 한국에서 방영중인 TV 드라마 중에서 주말에 방영되는 ‘왕가네 사람들’을 편집하여 이용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드라마의 선정성과 막말 및 비속어 논란, 캐릭터들의 배금주의, 지나친 가족주의 및 속물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 드라마를 참고 자료로 이용한 이유는 이 드라마가 근래 한국 드라마가 다루지 않거나 관심을 두지 않았던 평범한 한국인의 일상에서 맞닥뜨릴법한 경제적·사회적 이슈들에 대한 내용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고, 대부분의 등장인물들이 이른바 전형적인 서민층이다 보니 현실적으로 사용될법한 생생하고 감칠맛 나는 표현이나 관용구들이 자연스럽게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드라마에는 ‘캥거루족’, ‘연어족’, ‘삼포 세대’, 노후 대책, ‘내 집 마련’, ‘입시 전쟁’, 블루칼라, 화이트칼라, 비정규직, 주부 재취업, 고령자 취업, ‘명예퇴직’ 등과 같은 용어들과 동시대의 한국 사회의 사회적 분위기를 (과장·왜곡되어 있을망정)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장면들이 빈번히 등장하고 있다. 특히 “왕가네 식구들”과 같은 드라마를 편집하여 사용할 때는, 극중 할머니의 북한 사투리,매우 친밀한 관계가 아니라면 사용해서는 안 되는 비하어(derogatory expressions)와 속어(slang), 인터넷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신조어(internet slang)에 대해서는 유의할 필요가 있다. 수업 과정에서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받아쓰기나 빈 괄호 채우기 같은 활동을 할 때는 특히 이런 표현들을 피해야할 것이며. 대화의 내용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비속어나 슬랭에 대해서는 의미 외에도 격식성(formality)의 정도, 함의(connotation), 사용 가능한 상황에 대해 반드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등 적절한 언어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는 주의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어느 드라마를 선택하여 수업하든(“왕가네 식구들”처럼 드라마 내용과 관련된 논란이 많은 드라마라면 더욱 더 그러하겠지만), 드라마의 줄거리나 등장인물의 성격 및 인물 간의 관계에 지나치게 집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국어 교실에서 이용하는 드라마 장면은 언어 수업을 위해 정교하게 편집된 영상이라는 점을 기억하고, 학생들이 언어 학습이나 문화 학습 이외의 것에 흥미를 느껴 학습 과정이 분산되지 않도록 교사는 꼭 필요한 설명 이외에는 자제하는 식으로 균형을 잡을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교사는 항상 한국인의 기저에 있는 문화적 코드에 대해 객관적이고 편견 없는 시선으로 주시하고 이와 관련된 장면이나 현상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부단히 노력해야한다. 실제적인 언어 및 문화 자료(authentic material)를 구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일상성과 동시대성, 구체성을 위해 드라마를 한국어 학습 과정에 활용하기 위해서, 어느 장면을 교수 학습에 이용하는 것이 적합한지, 관련 자료나 참고

      • 한국의 정(情)문화 교육 방안 연구 : 정(情)문화 관련 언어표현을 중심으로

        코다야마유미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정(情)문화 특성을 파악하고 정과 관련된 언어표현을 분석하여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정문화 교육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매년 한국어 학습자들이 증가하면서 한국어 학습공간에는 다문화가 존재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화 간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문화 교육이 필요하다. 홉스테드(Hofstede. G)에 의하면, 한국은 집단주의 사회의 성향을 가지고 있다. 한국 집단주의 사회의 대표적인 ‘정(情)’을 들 수 있다. 정은 한국인들만의 독특한 심리가 존재하고 한국인과의 인간관계에서는 정을 빼고 말할 수 없다. 한국인들에게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정을 주고받는 것과 동일하게 생각한다. 정을 한마디로 해석하기는 어렵지만 정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정(情)’이란 시간의 지속적인 접촉과 공통된 경험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한국인에게 정은 중요한 문화적 요소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언어표현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정문화의 특성과 정에 관련된 언어 표현들은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정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먼저,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정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정에 관련된 문헌과 논문을 토대로 정문화 특성을 파악하였다. 정문화 관련 언어 표현을 분류한 후, 그 속에 내재된 문화적 요소를 살펴보았다. 현재 한국의 정문화 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통합교재와 한국어 문화교재를 분석하였다. 정의 사전적인 의미를 보기 위해 4권의 사전을 선정하였고 한국어 통합교재 대상은 유학생 수가 많은 대학교에서 편찬된 8권의 교재를, 한국어 문화교재 대상은 2017년 현재까지 출판된 교재 중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문화교재를 7권 선정하였다. 한국 정문화의 특징은 크게 관계성, 자연생성과 지속성, 공감과 공동체의식(‘우리’의식), 양면성으로 볼 수 있다. 정은 기본적으로 인간과 인간의 관계에서 형성되어 지속적인 관계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된다. 정의 마음은 상대방을 이해하는 것으로 심정 공감을 통해서 생성된다. 정문화는 가족관계서 출발되어 지역, 국가로 확장되어 ‘우리’라는 공동체 의식을 만든다. 정을 바탕으로 한 한국의 ‘우리의식’은 친절, 배려와 같은 긍정적인 면과 편 가르기, 배타성과 같은 부정적인 면을 같이 가지고 있다. 한국의 대표적인 정의 표현 ‘고운 정, 미운 정’을 보면 정문화는 양면성을 가지고 있다. ‘미운 정’은 상대방을 미워하는 감정이 아니라 상대방에게 섭섭해서 생긴 감정이다. 이러한 언어표현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정의 특성을 알지 못하면 이해하기가 힘들다. 본 연구는 정의 특성을 토대로 정과 관련된 언어표현을 분류하고 그 속에 내재된 문화적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정문화 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어 통합교재와 한국어 문화교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통합교재에서는 정 관련 어휘와 정문화 관련 내용이 8권 중 6권에 있었으며 대부분의 고급과정에서 정을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한국어문화교재에서는 대부분이 중급자를 대상으로 교재가 구성되어 있어 정문화 관련 내용이 많지 않았다. 그러나 7권 중 2권의 문화교재에서 정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이와 같이 정문화는 고급과정에서 교육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수준이 올라갈수록 관념문화에 속하는 정문화의 교육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문화 특성과 정문화와 관련된 언어표현을 활용하여 한국의 정문화 교육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정과 관련된 언어 표현 속에서 단긴 정의 문화적 요소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정문화를 이해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정문화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eong culture, analysing of words related Cheong and seeking teaching method of Korean Cheong culture for foreign students. There are multiple culture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becaus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each year.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in order to grasp the differences between cultures. According to Hofstede. G, Korea has a tendency of collectivism. One of the feature of Korean collective society is ‘Cheong(情)’. Cheong is a very unique concept to exist in Korean society. To Koreans, building a relationship means to exchange Cheong. It is not easy to interpret what Cheong is in one wor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eong is formed unconsciously through the continuous contacts and experiences. Cheong is important cultural element for Korean so there are various language expressions related to it. It is expected to help Korean leaner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Cheong and language expressions related it in this study. First,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Cheong based on the bibliography and thesis to find a way to educate Cheong for Korean learners. After classifying language expressions related to Cheong, this study looked at the inherent of the cultual elements in it. It also analyzed integrated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and textbooks of Korean culture for foreign students in order to know present condition of Cheong education in Korea, 8 integrated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are compiled by universities with a large number of foreign students and 7 textbooks of Korean culture is published until 2017. Besides it chose four dictionaries to see the definition of Cheo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eong culture can be seen largely as relationship, naturally occurring and long-time correlation, sympathy and a sense of community (‘we-ness’consciousness) and bilateral identity both sides of the aspects. Cheong culture is basically formed in the human relation and is naturally generated through the continuous contacts. Cheong mind created through sympathy and understand each other’s mind. Cheong culture starts family relations and extends to social and national matters and create a sense of community as ‘We’. This ‘we-ness’, which has been generated both of the positive aspect and the negative aspect of Cheong. The major expression of Cheong in Korea which is ‘go-wooncheong and mi-woonjeong’ has two sides. The feeling of mi-woonjeong is not hate others, but is awaken feelings of regret at others. The both aspects of Cheong are hard to be understood if Korean learners do not know the characteristics of Cheong.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Cheong, it was categorized language expressions related to Cheong and analyzed the cultural elements inherent in Cheong.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ntegrated textbooks and Korean cultural textbooks were as follows. Words and contents related to Cheong were founded in six of the eight integrated textbooks. Cheong contents were in the most of the advanced level of Korean directly. The textbooks of Korean culture were mostly for intermediate level. Therefore, there were not much about Cheong. However, there were founded some Cheong contents in two of the seven textbooks. As such, it is necessary to educate Cheong as Cultural Perspective. Finally, this study derived the teaching method of Cheong using characteristics of Cheong culture and language expressions related to it. Cheong derived from this study and cultural element of Cheong in language expressions could be the basi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understand Cheong. Furthermore, it could help teaching Korean culture with Cheong.

      • e-러닝 한국어교육의 한국문화 콘텐츠 교수설계 분석 : Kemp의 교수설계 모형을 기반으로

        이윤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needs to be considered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of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for the development of improvement methods by analyzing the instructional design of Korean cultural contents for the Korean education by e-learning, centering on Kemp’s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erefore, some suggestions have been made regarding the contents development for cultural education based on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of Korean cultural contents on e-learning Korean education websites. In Chapter 1, the necessity of an instructional design analysis on Korean cultural contents by e-learning Korean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discussed. Some previous studies were researched divided into studies on e-learning Korean education websites, studies to which the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were applied in e-learning Korean education, and studies on cultural education utilizing multi-media or the Web.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e-learning and Korean education, of Korean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and of systemic instructional design were dealt with. In Chapter 3, seven websites that presented culture separately from e-learning Korean education were selected as the target of the analysis, and the analysis items and standard were provided by dividing the components of Kemp’s instructional design model into instructional planning and teaching learning support systems. In Chapter 4,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of e-learning Korean education was analyzed centering on Kemp’s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structional planning for Korean cultural contents, learners’ characteristics, the suggested instructional goals, the systematization of the contents, evaluation tools, etc. were analyzed. Of the seven target websites, four websites, ‘Nuri-Sejong Hakdang,’ ‘Multi-cultural Family e-Learning Campaign,’ ‘Bareun Korean,’ and ‘Learning Korean’ presented detailed instructional goals which served as the evaluation standard. The desirable composition of the learning contents was to include cultural items in a systematic, diverse manner, but the contents were actually composed so as to fit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purposes of each website. As the ‘Multi-cultural Family e-Learning Campaign’ was produced targeting female immigrants for marriage, it consisted of cultural items suitable to multi-cultural families. As ‘Study Korean’ was produced for Korean nationals abroad, it dealt chiefly with Korean history and the achieved culture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ethnic identity. Looking into the evaluation tools of each website, the evaluation outcomes were provided in the contents produced in the form of WBI but were not provided in the form of videos or animations. Second, as for the type, quantity and language of the contents, which are instructional materials provided as a method of teaching Korean culture, videos, WBI and animations were chiefly adopted as types of the contents. For ‘Dynamic Korean Exciting hallyu,’ the cultural education contents were produced utilizing dramas, K-POP, etc. in order to develop contents in such a way to induce a practical, empirical learning and to raise learners’ interest. The quantities of the contents mostly required a ten-to-fifteen-minute play, and there were videos as short as three to five minutes and as long as about one hour. As for the languages, the contents were being delivered mostly in English or in Korean; ‘Nuri-Sejong Hakdang’ and ‘First-step Korean’ were captioned in various languages, and the Korean culture of ‘Multi-cultural Family e-Learning Campaign’ was produced in seven languages. As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interactions between a learner and an instructor and between learners were being made mostly through replies on the noticeboards. For strategies to motivate people to be engaged in learning, ‘Nuri-Sejong Hakdang’ was offering character emoticons based on accumulated points after lessons, while ‘First-step Korean’ was giving a certificate when a learner completed a course. Third, to support learners’ learning in the method to implement the teaching learning support system for Korean cultural contents, ‘Click Korean’ provided a role-play function and ‘Frist-step Korean’ provided a Hangul-letters practicing program. To support mobile learning, ‘Nuri-Sejong Hakdang’ and ‘First-step Korean’ provided mobile applications, and ‘Bareun Korean’ provided contents linked to SNS in order to enhance mobile accessibility. In most websites, learners were supposed to check the My Page or Lesson Complete boxes so that the learning history and progress status could be inspected intuitively. The learning materials could be downloaded by MP3 or PDF so that the learners could perform a review or a repetitive learning. ‘Study Korean’ and ‘First-step Korean’ had a system in which some video contents could be partially downloaded. The continuous update of the contents was checked through the resource management in the project management domain; new contents we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and provided in ‘Nuri-Sejong Hakdang’ and ‘Study Korean.’ Also, whether the interacting functions were being properly utilized and managed by managing the delivery system, was looked into, and it turned out that ‘Nuri-Sejong Hakdang,’ ‘Bareun Korean,’ ‘First-step Korean,’ and ‘Study Korean’ had been managing them continuously. For information management, whether the information on learning and learners was being managed was examined, and it turned out that ‘Nuri-Sejong Hakdang,’ ‘Bareun Korean,’ ‘First-step Korean,’ and ‘Study Korean’ had been utilizing th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members, the number of learners’ visits and learning hours as PR instruments or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Finally, in Chapter 5, a summary of the analysis and the study results were provided; the limi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nd some suggestions were made as to follow-up studi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able to be used as basic study materials on instructional design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Korean cultural contents for e-learning Korean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e-러닝 한국어교육의 한국문화 콘텐츠 교수설계를 Kemp의 교수설계 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문화 콘텐츠의 교수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검토하고 개선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e-러닝 한국어교육 사이트의 한국문화 콘텐츠 분석을 통해서 얻은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문화교육 콘텐츠 개발에 대한 제안 사항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e-러닝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화 콘텐츠 교수설계 분석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을 살펴보고, e-러닝 한국어교육에서 교수설계 이론을 적용한 연구, 멀티미디어나 웹을 활용한 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e-러닝과 한국어교육, 한국어교육과 문화 교육, 체제적 교수설계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다루었다. 3장에서는 분석의 대상으로 e-러닝 한국어교육에서 문화를 분리하여 제시하고 있는 7개 사이트를 선정하고 Kemp의 교수설계 모형의 구성요소를 교수 기획과 교수 방법 및 교수 학습 지원체제의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 항목과 분석 기준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e-러닝 한국어교육의 한국문화 콘텐츠를 Kemp의 교수설계 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문화 콘텐츠의 교수 기획에서는 학습자 특성, 교수 목표 제시, 내용의 계열화, 평가 도구 등을 분석하였다. 7개 분석 대상 사이트 중에 교수 목표를 명시적으로 제시한 ‘누리-세종학당’, ‘다문화 가정 e-배움 캠페인’, ‘바른 한국어’, ‘Learning Korean’ 4개의 사이트 중에서 ‘다문화 가정 e-배움 캠페인’과 ‘Learning Korean’은 평가의 준거가 되는 구체적이고 상세한 교수 목표를 제시하였다. 학습 내용의 구성은 각 사이트의 학습자의 특성과 제작 목적에 따라 문화 항목이 구성되었다. ‘다문화 가정 e-배움 캠페인’은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제작된 사이트여서 다문화 가정에 맞는 문화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Study Korean’은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제작된 사이트여서 민족 정체성 함양이라는 목적으로 역사와 성취문화를 비중 있게 다루었다. 각 사이트의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WBI 방식으로 제작된 콘텐츠에서는 평가를 제시하였지만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 방식에서는 평가가 제시되지 않았다. 둘째, 한국문화 교수 방법으로 제시되는 교수 자료인 콘텐츠의 유형과 분량, 구성 언어를 살펴본 결과 콘텐츠의 유형으로는 주로 동영상과 WBI,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Dynamic Korean Exciting hallyu’는 실제적이고 경험적인 학습을 유도하고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는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드라마나 K-POP 등을 활용한 문화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콘텐츠의 분량은 10-15분 정도 소요되는 콘텐츠가 대부분이었는데 3-5분 정도의 짧은 동영상도 있었고 30분 또는 1시간 분량의 콘텐츠도 있었다. 콘텐츠의 구성 언어는 대부분 영어나 한국어로 제시하였는데 ‘누리-세종학당’과 ‘First step Korean’은 다양한 언어로 자막을 제공하였고, ‘다문화 가정 e-배움 캠페인’의 한국문화는 7개 언어로 제작되었다. 교수 전략으로 학습자와 교수자, 학습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대부분의 콘텐츠가 게시판의 댓글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학습 동기부여 전략으로 ‘누리-세종학당’에서는 학습 후 마일리지를 모아 캐릭터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First step Korean’에서는 학습을 마치면 수료증을 준다. 셋째, 한국문화 콘텐츠의 교수 학습 지원 체제를 구현하는 방식에서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서 ‘Click Korean’에서는 Role Play 기능을, ‘First step Korean’에서는 한글자모연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 학습 지원으로 ‘누리-세종학당’과 ‘First step Korean’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바른 한국어’는 모바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 SNS로 연계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학습 상황 점검이 가능하도록 My Page가 있고 학습 완료가 자동으로 체크 표시되어 직관적으로 학습 이력과 진도 상황을 알 수 있게 하였다. 학습 자료는 복습이나 반복학습을 할 수 있도록 MP3나 PDF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었고 ‘Study Korean’과 ‘First step Korean’에서는 부분적으로 동영상 콘텐츠도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였다. 프로젝트 관리 영역에서 자원 관리로 콘텐츠의 업데이트 지속성을 살펴보았는데 ‘누리-세종학당’과 ‘Study Korean’에서는 꾸준히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달체제의 관리로 상호작용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여 관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는데 ‘누리-세종학당’, ‘바른 한국어’, ‘First step Korean’, ‘Study Korean’은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 관리로 학습 및 학습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는데 ‘누리-세종학당’, ‘바른 한국어’, ‘First step Korean’, ‘Study Korean’은 회원 수와 학습자의 방문 수 학습 시간 등의 정보를 관리하여 홍보의 도구로 사용하기도 하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분석에 대한 전체적인 요약과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향후 e-러닝 한국어교육의 한국문화 콘텐츠 개발을 위한 교수설계의 기초 연구 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 한국 식문화 관련 관용표현 인식 연구 : 중국어권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소옥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국어권 고급 학습자의 한국어 식문화와 관련된 관용표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고에서 사용하는 관용표현의 용어, 범 위와 의미를 정리하였고 중국어권 학습자가 한국의 식문화 관용표현에 대한 인식 조사 하기 위해 한국의 식문화와 중화권의 식문화 인식차이에 대한 비교도 함께 하였다. 본고에서는 중국어권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1) 학습자가 한국의 식문화 관용표현에 대한 인식이 언 어 학습 환경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2)이해도에 차이가 보 인 관용표현들의 특징이 무엇인지, 그리고 학습자가 낯선 관용표현을 보았을 때 어떠한 이해 전략으로 의미를 파악하는지 등 연구문제를 알아보고자 한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한·중 식문화 관련 관용표현에 대한 연 구, 한국어 관용표현의 은유성에 대한 연구, 그리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관용표현 연구들 을 정리하고 검토하였고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 사용할 관용표현 의 범위, 정의, 개념과 용어 선전을 제시한 다음에 관용표현의 특징 중의 하나인 은유 성에 대해 분석하였고 한국과 중화권의 식문화 인식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중국어권 학습자들이 한국어 식문화 관용표현 인식을 밝히기 위해 연구방 법, 연구대상 그리고 연구 수단을 설명하였고 연구도구 부분에서는 본고에서 선정된 한 국 식문화와 관련 관용표현 목록과 설문지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서 중국어권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한국 식문화 관용표현에 대한 인식을 언어 학습 환경에 따른 차이를 보기 위해 KSL 환경 학습자와 KFL 환경 학습자 두 집단을 나누어 인식 차이를 밝혔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중국어권 학습자는 한국어 관용표현의 사용빈도가 높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KFL 환경 학습자가 한국 음식 관련 관용표현에 대한 사용빈도가 KSL 환경 학습자에 비해 높지만 통계적으로 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는 다. 둘째, 학습 환경에 따른 관용표현의 이해 양상을 살펴본 결과 총17개의 관용표현 중 에 학습자가 상대적으로 이해도가 높은 관용표현들은 중국어에서 의미와 형태가 유사한 표현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이해도가 낮은 표현들은 중국어에서 의미와 형태가 대응하는 표현이 없는 것은 특징이다. 또한 밥과 관련된 관용표현 그리고 떡과 관련된 관용표현 의 이해도를 평균점수로 환산해 보았을 때 언어 환경에 따른 차이가 없이 두 집단 모두 밥과 관련 관용표현 의미에 대해 잘 파악한다고 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떡에 관련된 관 용표현의 의미를 잘 파악하지 못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들이 낯선 표현을 보았을 때 사용하는 전략은 KSL환경 학습자와 KFL 환경 학습자의 차이가 보인다. 이는 KSL 환경 학습자가 '문장 앞뒤 문맥 활용'과 관용 표현 어휘 단위 분석'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KFL 환경 학습자는 중국어에 비슷한 표현 으로 관용표현의 의미를 추측하는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hines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food culture and its idiomatic expressions. For this purpose, the paper defines terminologies, range, and meanings of the idiomatic expressions and compares the different perception between Korean food culture and Chinese food culture. This paper focuses on several research questions through the survey targeting Chinese learners. The questions include whether the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of the learners has impact on their perception of idiomatic expression regarding Korean food culture, the features of idiomatic expressions that show difference in understanding, and how the learners approach to comprehend unfamiliar idiomatic expressions. The structure of the paper is as follows. Chapter 1 discusses the purpose and the importance of the research. It examines the research on idiomatic expressions of Korean and Chinese food culture, the metaphor of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nd the expressions in Korean language eduction. Chapter 2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research. First, the range, definition, meaning and choice of the used idiomatic expressions in this paper are presented. Then, it analyses the metaphor, one of the features of idiomatic expressions, and examines the different percep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food culture. Chapter 3 explains the study method, target, and means of researching the perception of Chinese learners of idiomatic expressions about Korean food culture. For study means, the table of contents of selected idiomatic expressions and the survey configuration have been presented. In Chapter 4, the survey participants are divided into to two groups, KSL learners and KFL learners,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on the perception of Chinese learners of the idiomatic expressions. The First, most of the Chinese learners has low frequency of using Korean idiomatic expressions. Although the KFL leaners use more Korean food-related idiomatic expressions than the KSL learners,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is trivial. Second, by observing the understanding of idiomatic expressions based on the learning environment, there are 17 Korean expressions that show the good understanding of Chinese learners and those expressions have similar meanings in Chinese. Moreover, by translating their understanding into average score, for the expressions related to rice and rice-cake, both groups well understand the expressions related to rice regardless of their learning environment. Third, in the situation when the leaners see unfamiliar expressions, it shows clear difference in the strategy of comprehending them. The KSL leaners use the context and Lexical unit analysis the most; whereas, the KFL leaners try to guess the meaning by recalling the similar Chinese expressions.

      • 비디오 컨퍼런싱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수·학습 방안 연구

        김다은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비디오 컨퍼런싱을 활용한 한국문화교육의 가능성을 살피고 그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문화에 대해 높은 관심과 요구를 만족시키고 교사와 상호소통하며 한국문화를 배울 수 있는 방법으로서 비디오 컨퍼런싱을 고안하였다. 비디오 컨퍼런싱은 화상 회의 프로그램으로서 본고에는 줌(ZOOM)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비디오 컨퍼런싱은 물리적 제한을 해결하며 동시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이다. 또한 기존의 인프라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접근성이 높다. 연구 대상은 대만의 중·고급 한국어 학습자이다. 연구 방법은 크게 조사연구와 담화 분석으로 나뉜다. 학습자의 요구가 반영된 한국문화 교수요목 설계를 위해 질문지법을 이용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비디오 컨퍼런싱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경험이 있는 대만의 중·고급 학습자이다. 질문지는 학습자의 첫째, 기본정보 둘째, 한국문화교육 교수요목 선정을 위한 요구조사 셋째, 줌(ZOOM)프로그램에 대한 의견 조사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문화 항목은 크게 성취문화, 행동문화, 정보문화로 나누었고 조사 결과 행동문화에서 학습자 관심도가 높은 문화 항목이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총 8차시의 한국문화 수업을 제시하였다. 학습 목표 및 내용은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을 참고하되 학습자의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였다. 첫째, 각 차시의 주제에 해당하는 한국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이해한다. 둘째, 한국문화와 자국문화 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 파악한다. 셋째, 다양한 관점에서 한국문화를 이해하고 새로운 관점에서 한국문화를 바라보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3장에서 설정한 한국문화 교수요목을 바탕으로 4장에는 한국문화 교수·학습 과정안과 한국문화 수업의 실제를 제시한다. 교수·학습 과정은 총 8차시 중 첫 차시에 해당하는 ‘한국이라는 나라’의 내용만 담고 있다. 수업은 줌(ZOOM) 프로그램을 활용해 일대일로 진행된다. 교사는 일방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이 아닌 학습자과 비슷한 위치에서 문화를 교류하고 서로의 시각과 관점을 이해하려 해야 한다. 학습자 역시 수업 전에 반드시 자국문화와 관련된 과제를 수행함으로서 객관적으로 자국문화를 바라보는 기회를 가지고 문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 밖에도 비대면으로 수업이 이루어질 때에 교사가 갖춰야 하는 기술적 지식, 환경적 조건 등을 고려해야 한다. 실제 진행한 수업은 문화간 의사소통적 측면에서 총 네 가지 부분에 초점을 두고 담화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는 상대 문화에 대한 개방성과 호기심이 있는가. 두 번째는 목표 문화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이를 사회적 상호작용에 활용하고 자신의 문화적 관점을 절충할 수 있느냐. 세 번째는 문화간 고정관념을 해결하는 능력과 상대 문화의 가치와 신념을 이해하는 능력이 있는가. 네 번째는 상대 문화와 자국 문화를 냉철하게 판단할 수 있는가이다. 담화는 비디오 영상을 통해 반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의 한국문화에 대한 개방적이고 적극적인 태도, 호기심을 지속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고, 자국 문화에 대한 객관적인 해석을 시도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본고는 기존 한국문화교육에서 다뤄지지 않던 비디오 컨퍼런싱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비디오 컨퍼런싱을 통한 화상교육은 다양한 물리적, 현실적 한계를 해소시켜 줄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교육이 시대와 기술, 환경의 변화에 발맞춰 발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주요어 : 비디오 컨퍼런싱, 화상교육, 한국문화교육, 줌(ZOOM) 프로그램, 한국문화교육 교수·학습 방안,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using video conferencing and to study the method of teaching it. Video conferencing was devised as a way to learn Korean culture by satisfying high interests and need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living abroad and interacting with teachers. In this article, I used Zoom as the video conferencing program. Video conferencing is a medium that overcomes physical limitations and enables simultaneous interaction(s). In addition, technology already exists to facilitate video conferencing and accessibility is high.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middl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from Taiwan. Research methods are largely divided into surveys and discourse analyses. In order to design teaching requirements for Korean culture reflecting the needs of learners, a research study using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he survey targeted the Taiwanese middle and advanced learners, with experience in learning Korean using video conferencing.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One ,the learners basic information, second, a survey of requirements for selecting Korean culture education teachers and third an opinion survey on the Zoom program. Cultural items were largely divided into achievement culture, behavior culture, and information culture. As a result of the survey, most of the cultural items with high learner interest were found in behavior cul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eight classes of Korean culture were presented. (For learning goals and content, refer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ee factors wer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learners' ability to communicate between cultures. First, understanding the basic knowledge of Korean culture corresponding to each theme. Second, grasping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native cultures. Third, the possibility to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o view Korean culture from a new perspective. Based on the Korean culture teaching requirements set in Chapter 3, Chapter 4 presents the Korean cultur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and the practicality of Korean culture classes. The teaching course contains only the contents of “The Country Korea” which is the first of eight classes. Classes are conducted one-on-one using Zoom. Teachers should try to exchange culture and understand each other's perspectives in a position similar to learners, rather than in a unilateral way. Learners must also try to have a new perspective on culture with the opportunity to objectively view their culture by performing tasks related to their culture before cla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technical knowledg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so on, that the teacher must have when conducting a non-face-to-face class. The actual lessons were conducted in a discourse analysis with a focus on four parts in terms of communication between cultures. First, is there openness and curiosity towards the other culture? Second, is it possible to acquire knowledge about the target culture, use it for social interaction, and trade off one's own cultural viewpoint? Third, is the ability to solve stereotypes between cultures and the value and beliefs of other cultures present? Fourth, is it possible to judge the relative culture and the culture of the country in a cold manner? The discourse was analyzed repeatedly through video imag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ossible to continuously discover the learner's open and active attitude and curiosity of Korean culture and to see an attempt to objectively interpret their culture.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tried to find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video conferencing that was not covered in Korean cultural education. Education through video conferencing will not only solve various physical and realistic limitations but also enable Korean cultural education to develop in line with changes in the times, technology and environments. Key words : Video conferencing, Video education, Korean cultural education, Zoom program,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Korean cultural educati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 이슬람계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 파키스탄 학습자를 중심으로

        아만 울라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파키스탄 이슬람계 초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 화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오늘날 한국문화 교육은 국내(한국)뿐만 아니라 국외 여러 나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파키스탄 이슬람계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 교육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한국문화와 관련된 선행연구와 이슬람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문화 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슬람 계 문화와 한국문화 사이에 존재하는 의사소통 요인을 분석하고, 사례 연 구를 통해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파키스탄 너믈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Modern Language) 내 한국어학과의 한국문화 교육 현황과 한계를 살펴보았고 파키스탄 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의 한국문화 교육의 항목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파키스탄 내에 있는 한국어 교육자 및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 교육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적용한 세 가지 연구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과로 파 키스탄 이슬람계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구 체적으로 이슬람계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문화 요소를 선정하여 학습단계별로 배열해 보았다. 문화 요소의 선정 및 배열 의 기준으로는 문화간 의사소통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화충격을 줄이는 데에 큰 도움이 되는 문화 요소를 초급에,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것을 중급과 고급에 배열하였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는 파키스탄 이슬람계 초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가 접근하기 쉬운 한국문화 요소를 선정하였다. 나아가 기존 선행연구, 교재 분석 및 교육자와 학습자의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이슬람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화 교육의 방법과 자료를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 과정을 바탕으로 하여 파키스탄의 이슬람계 초급 단계 한국 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화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 교수 학습 모델 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an efficient way of teaching Korean culture to the beginner level of Muslim students of Pakistan, Recently, Korean culture education is not only being taught in Korea, but also in many other countries including Pakistan, but preceding research studies on Korean culture education for the Muslim students of Pakistan was still meager. So, in this research, I reviewed some previous work on the Korean culture of Korean generals and Korean culture related studies for the Muslim students of other countries. Moreover, I analysed the communication factors between Korean and Muslim cultures and found out a way of nourish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two cultures by examining background case studies. Also, I examined the present conditions and obstacles of teaching Korean culture to the Muslim student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of NUML(National University of Modern Languages) university located in Islamabad, Pakistan. I analysed Korean culture items from the Korean language books, which are being taught to the Muslim students in Pakistan. Additionally,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find the factors which are the real obstacles i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also presented some suggestions on teaching Korean culture to the Muslim students of Pakistan, based on the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Particularly, I suggested a route of teaching Korean culture to the Muslim students of Pakistan based on the result of three research methods presented in this. In concrete terms, I set up a goal of teaching Korea culture to the Muslim students by selecting some appropriate Korean culture items and organizing them in to different levels. I arranged some Korean culture items for a beginner level Muslim student which would be helpful to reduce the cultural shocks that may occur during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the people of two respected countries. I also suggested setting the Korean culture items in the intermediate and advance level that could enhance the level of understanding Korean culture and Korean society for Muslim students. Besides this, I selected some appropriate Korean culture items and developed the method and materials of teaching Korean culture to the beginner level of Muslim students of Pakistan, based on the result of background study, analysing Korean language books and investigating the questionnaire survey. In the end, I presented an efficient model of teaching Korean culture to the Muslim students of Pakistan.

      • 한국문화와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에 관한 복음적 고찰 : 한국사회 생활문화 전반의 복음화를 위한 교회의 실천

        김대성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문화와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에 대한 고찰은 한국사회의 온갖 부조리와 모순의 근원을 파악하는데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연고주의(緣故主義), 권위주의(權威主義), 심정주의(心情主義)'라는 세 가지의 개념을 통하여 한국문화와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을 규명해 나간다. 한국사회를 이끌어가는 원리의 첫 번째는 '연고주의'이다. 혈연, 지연, 학연 등 정성을 기울인다. 향우회, 종친회, 동문회 등의 각종 모임을 통해서 한국인들은 가족 같은 인간관계의 유대를 맺으려고 한다. 가족과 같은 끈끈한 정으로 똘똘뭉친 소집단의 구성원들은 이렇게 해서 '우리'를 만들고, '우리' 밖의 타인들을 우리와 분명히 구분짓는다. '우리' 안에서 사람들은 더없는 일체감으로 한 덩어리가 된다. 그들이 상호간에 맺는 유대는 공감을 넘어 거의 공범적 밀착, 아니 유착관계라 할 만하다. 이 관계는 감정적 차원에서 흔히 '정(情)' 또는 '의리(義理)'라 불린다. 이 유착관계 속에 진정한 의미의 윤리적 요청이 끼어들 여지는 없다. 다시 말해, 그들이 하는 행위가 일반 도덕율에 합치하느냐 혹은 합리성에 부합되느냐는 부차적이고 또 별 의미가 없는 문제가 된다. 중요한 것은 시키는 일, 의리가 명하는 일을 조건 없이 하는 것이고 그것으로 족하다. 한국사회의 연고주의는 각종 비리와 부정한 유착의 온상인 것이다. 한국사회를 이끌어가는 원리의 두 번째는 '권위주의'이다. 한국은 개별적 이고 독립적인 주체로서의 개인보다는 집단의 관계망 속에서 개인을 규정하는 집단준의사회이다. 시대가 바뀌고 세상이 많이 달라졌다고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이 땅을 500연 이상 지배해온 유교 문화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조선시대의 지배층은 법제적으로, 사상적으로, 그리고 윤리적으로 집단주의사회의 근간이 되는 수직적 위계질서를 합리화하고 체계화하려고 하였다. 그들은 신분은 물론이고 성별(性別), 장유(長幼), 위계(位階), 친소(親疎), 등에 따라 사물들에 엄격한 차별을 두었다. 조선시대의 성리학은 이러한 작업을 학문적 차원에서 논리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었다. 조선시대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한국인은 타인을 만나면 우선 집단 속에서 그 사람과 자신의 서열을 파악하려고 한다. 이때 가장 먼저 고려되는 것이 '나이'에 따른 서열이다. 하지만 지금은 예의로써 대접받았던 나이도 그다지 존중받지 못하고 있다. 어떤 형태든지 힘을 가진 사람이 그 힘을 통해서 권위를 유지하려고 한다. 오늘날의 한국은 힘이 지배하는 권위주의사회이다. 사람들은 윗사람, 권력을 가진 이들에게는 고개를 죽이고 아랫사람, 힘없는 이들에 대하여서는 그 위에 군림하려 한다. 직장의 상관과 동등한 인간으로서 대화하고 토론할 수 있는 직장 분위기는 아직도 한국사회에서는 대단히 드물다. 권위주의는 평등한 인간관계를 거부한다. 평등한 인간관계의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 되는 합리적인 대화와 토론을 권위주의는 권위라는 이름으로 억누른다. 권위주의는 결국 기득권자들의 지배구조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국사회를 이끌어가는 원리의 세 번째는 '심정주의(心情主義)'이다. 한국인의 심정주의적 삶의 방식에서는 마음의 쓰임이 모든 것을 좌우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외부에 있는 객관적 규정보다 내부에 있는 주관적 기준을 보다 중요하게 생각한다. 동일한 상화 속에서도 '나'와 '너'가 어떻게 마음을 쓰느냐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과 양상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음씀의 기초가 되는 '너'와 '나'의 관계가 일차적 중요성을 갖는다. '나'와 '너'의 관계를 어떻게 규정하고, '나'와 '너'가 포함되어 있는 '우리'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마음의 쓰임도 달라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오늘날 한국인의 심정주의적 삶의 방식은 마음의 쓰임이 엄격하지 못하기 때문에 비리와 불의를 낳는 온상이 되고 있다. 사람들은 사사로운 이익을 위해 심리적 한통속을 중심으로 한 연계적(連繫的) 부조리가 일상적 현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부정과 부패, 비리와 결탁, 한국사회의 온갖 부조리와 모순의 근원에는 한국사회의 연고주의, 권위주의, 심정주의가 자리 잡고 있다. 흔히들 "한국인의 시민의식은 높은데 정치인들의 수준은 엉망이다"라고 말하곤 한다. 그러나 이는 대한히 피상적인 판단이다. 한국사회를 지배하는 원리와 시민들의 사소한 일상을 지배하는 원리가 결코 다르지 않다. 높은 시민의식이 계속해서 엉터리 정치인들을 선택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교회는 어떠한가? 한국사회의 연고주의, 권위주의, 심정주의를 교회는 극복하였는가? 결코 그렇지 않다. 오히려 권위주의에 있어서는 사회의 변화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비판의 소리들이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교회의 가장 우선적인 과제는 회개와 성찰을 통한 자기복음화(自己福音化)이다. 교회는 먼저 스스로 새롭게 복음화 되어야 한다. 복음정신에 입각하여 먼저 사랑과 섬김의 공동체, 형제적 우애의 공동체로 변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대안적(代案的) 모델이 되어 한국사회의 근본적인 변화를 촉구하고 주도해야 한다. 한국사회의 인간관계의 원리, 게임의 법칙이 바뀌어야 한다. 교회는 이것에 대한 비판과 문제제기를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야 한다. 그렇게 할 때 한국사회의 이기적이고 위선적인 지배와 소유의 문화, 죽음의 문화는 인간존중과 사랑의 문화로 변화되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1970년대에 한국교회가 암울했던 한국사회에 횃불이 되어 민주화투쟁에 앞장섰듯이 어제는 복음정신에 입각한 생명과 사랑의 문화를 이 땅에 건설해 나가는 것이 오늘날 한국사회를 향한 교회의 가장 우선적이고 절박한 사명일 것이다.

      • 한국문화콘텐츠를 응용한 패브릭디자인

        이경남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달은 모든 디자인의 디지털화를 촉진하고 있다. 온라인 네트워크, 영상압축기술, 데이터 전송 및 저장기술의 발전은 음악, 방송, 게임, 애니메이션, 섬유, 패션 등 다양한 디자인 및 상품에 디지털화를 가능하게 하고,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였다. 즉, 디지털 기술은 문화콘텐츠의 제작기술에 있어서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동시에 기존의 유통구조에도 혁신적인 발전을 유도하고 있다. 디지털 문화콘텐츠산업은 초기 개발 투자비가 많이 들지만, 디지털화 비용이 없다는 디지털 제품의 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고수익이 기대되는 산업이다. 그리고 디지털 제품은 온라인을 통해 유통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통비용 또한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세계 각 국은 이러한 디지털 산업의 경제성을 파악하여, 디지털 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패브릭 디자인 분야도 이러한 첨단 테크놀로지와 산업의 유통 변화에 대한 이해력 없이는 새로운 디자인이 창조될 수 없으며, 세계적인 시장개척도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화와 더불어 이슈가 되고 있는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섬유산업의 특징적인 작업공정을 디지털화함으로 첨단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근자에 이르러, 우리나라 민화는 그림의 아름다움과 한국적 위상으로 인해 그 가치가 재평가되고 있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민화'라는 어휘의 개념정립이나 사회학적, 민속사적 의의만 타진되고 있을 뿐, 서구의 텍스타일 디자인처럼 디자인적 측면에서 재해석, 체계화되지 못하고 있다. 민화는 선조들의 생활공간의 장식재, 마감재로서의 역할과 더불어 화가의 개인적인 미관과 그리는 사람, 주문하는 사람이 만들어 내는 공동의 미의식이 가장 잘 표출된 것이므로 민화에서 문화콘텐츠로서의 디자인적 요소를 도출한다. 그리하여 민화에 담긴 한국적인 정체성과 조형 원리를 정성적,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현대적인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서 말한 디지털화, 세계화의 시대적 흐름을 조사, 분석하여 문화콘텐츠로서 미의식과 정체성을 민화에서 찾아 디지털화하고 현대적인 감성언어로 재해석, 디지털 문화콘텐츠디자인으로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하였다. 첫째, 문화콘텐츠는 문화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여 정보 산업적인 기술로 전환, 재생산하여야 하기 때문에 문화예술의 발전과 체계적인 개념이 없이는 활성화가 될 수 없음을 기존의 국내 문화콘텐츠산업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외의 사례를 통하여 고품격의 디자인의 향상을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정책적인 지원, 지속적인 디자인 정체성에 대한 체계 확립과 창조성을 통한 시대성을 반영해야 발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섬유 산업이 문화콘텐츠화 함에 있어서 디자인 방법의 문제가 아닌 취해야 하는 문화콘텐츠 내용의 문제임을 인식하였다. 그리하여 우리나라만이 지니는 고유한 조형의식의 여러 가지 특징을 고찰하여 풍토적, 사상적 배경을 근간으로 한 자연적 인본주의를 한국적 미학의 특수성으로 보고, '한결같음', '담백함', '절로', '비'를 한국적 조형언어로 전제하였다. 셋째, 한국 고유의 디자인 정체성과 민화의 시각적 특징을 토대로 문화콘텐츠로 적극 활용될 수 있는 조형원리로서 주조적 통일, 방사형 균형, 흐르는 리듬, 비대칭의 비례로 정의하였다. 민화에서 사용된 오방색은 인간과 환경의 유기적 관계를 반영한 색채 원리라는 사실에 근거해 상징체계, 도형체계로서 자연색체계의 특성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그리하여 민화의 색을 측색하여 서구의 체계화된 대표적인 자연색체계인 헤링(Ewald Hering)의 NCS의 색체계로 이미지 스케일화한 결과 Tone계열의 중명도, 중채도의 부드럽고 편안한 뉘앙스를 지님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한국 문화콘텐츠로서 4가지 조형원리에 근거하여 주제를 정하고 분석된 색채 뉘앙스를 적용하면 한국적이지만 차별화된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으로 민화가 새롭게 개발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전통색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의식적인 청색과 흰색의 사용으로 보다 단아하고 담백한 이미지와 함께 현대적인 공간감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개발된 디자인을 모듈화하여 고객으로 하여금 다양한 디자인상품으로 재창출하고 디지털화된 생산공정인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시스템을 활용하여 오프 라인 상으로 제시함으로써 디자인의 표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 fas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promoting digitization of all designs. On-line network, image compressor technology, data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save technology made digitization possible to music, broadcast, a game, an animation, textile, fashions various design and a commodity and made share of the digital contents which used the internet possible. That is, digital technology is causing a large change in manufacture technology of culture contents and is inducing innovative development in the existing distribution structure at the same time. Because initial development investment reflects a characteristic of the digital product which digitization cost did not have in settling as for the digital culture contents industry very much, high yield is prospective industry. Because an again digital product has a lot of cases circulated through on-line, there is advantage that circulation expense is inexpensive. World each nation recognizes an economy of this digital industry and is leaning to a lot of effort in a Upbringing of digital culture contents industry. A new design cannot be created without understanding about this high-tech technology and culture in fabric design field, and international market reclamation is impossible. In this research, i wish to ready an opportunity that textile industry can develop by frontier industry. by digitalise diagnostic work process of fiber industry with comprehension about culture heritage To arrive in these days, The value of our country Folk painting is revaluated by beauty of picture and Korean value upswing. However, Folk painting reinterprets only the meaning that Concept thesis of vocabulary called 'Folk painting' or Nothing but is taped sociology, ethnic customs' s sense, Folk painting is not analyzed and reconstructed like West Europe textile design, in design vantage point. Because, Folk painting is a decorations of ancestors life space, a finish and is, That is expressed best, a common esthetic sense that a person to order and a person drawing make together. In this research, I wish to present possibility of modern interior fabric design using quantitative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in Korean identify and molding principle that appear to Folk painting. Therefore, in this research, I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above-mentioned digitization, times stream of globalization, and I am going to study as follows in order to reinterpret and digitalize Folk painting that appear Korean traditional sense of beauty and molding anger with a best by a modern sensitivity language. The first, Because culture contents must be based on identity of culture, and must reproduced and converted to the technology that is an information-industry know that through an instance of the existing domestic culture contents industry, without the development that culture-art and systematic concept, activation of culture contents can not succeed Also, see an oversea instance, for luxurious design elevation, assistance of national dimension and system establishment, about continuous design identity and reflection age through creativity are necessary. The second, In culture contents of the textile industry, recognized not a problem of design way but a problem of the contents that you must select. Thus, regard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unique molding consciousness that only our country has and a climate, humanism of naturalism of philosophy background as specificity of Korean a little aesthetics, 'Timelessness', 'Clearness', 'JeolLo', 'Anti-gravity' etc. Can conclude a back by Korean a few molding language. The third, Korean modeling principle that can be utilized culture contents on the basis of Korea unique design identity and modeling language of Minwha, defined as Dominate unity, Radiation balance, Flowing rhythm, Composition of asymmetry. Obangsaek used in Folk painting, can know what carry a characteristic of a nature color system as a symbol system, a diagram system based on the fact called color principle that reflected organic relation of man and environment. As a result that was so done, from the results that image scale anger tried to make a color of Folk painting color system of the Ewald Hering's NCS which was a systematized representative natural color system of Western Europe color system, can know that hold a comfortable nuance of middle brightness and middle chroma in a Tone system. The fourth, If it applies the color nuance that the subject is determined based on four molding principles as Korean culture contents, and was analyzed, Folk painting can newly develop to an interior fabric design with korean style however excellent, be discriminated. also, In spite of several kinds of natural color, can read a grace and a simple image and an effect of space feeling by use of a blue and white more intentionally. Modularization does a developed design, It is done a customer and creates various design commodity again, and then using the digital textile printing system that is a digitalized manufacturing process, with presenting an off line quotient, I can know that I can overcome a restriction of an expression of a design.

      • 정부 지원 한국어·한국문화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어펠로십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혜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concerns itself with the development of programs regarding the Korean culture and the Korean language; therefore, the focus was centered around analyzing past participants and current participants of the Korea Foundation’s (KF) Korean Fellowship program to better determine the needs of the participan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n additional resource for current and future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programs for foreigners.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the motivation behind the research as well as previous research regarding the topic are discussed. Related literature was narrowed into 18 articles regarding development of Korean education programs and was divided into purpose, substance, and intended audience which provided a basis for needs analysis for developing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second chapter, materials regarding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details regarding the KF's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program are presented. In addition, previous literature regarding the development for foreig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s laid out. Also, the contents of the two flagship programs of The Korea Foundation, ‘Korean Language Training Fellowship’ an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program for Diplomats’, are summarized. In the third chapter, the survey methods including subjects, tools, and analysis methods are discussed. The data for the needs analysis was collected in a pre-survey and a main survey with the subjects as the KF Korean Fellowship participants through in person interviews as well as through paper surveys. The collected surveys were analyzed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IBM SPSS Statistics 23). Statistical analysis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cross sectional analysis, the t-Test,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were used. In the fourth chapter,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es described in the third chapter are presented. In analyzing the responses, five findings as described below could be concluded. First, analyzing the Korean language experience and the motivation behind participating in the Korean Fellowship program revealed that most participants possessed some sort of Korean experience and the participants were motivated to join the program because they wanted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Specifically, the participants pointed to the ability to converse as the primary skill they wanted to acquire during the fellowship. Second, the surveys revealed that most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Korean language classes they received through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replied that environments which facilitated discussion were the most favored classroom setting and the participants requested that the classes be centered around realistic scenarios. Third, the analysis concluded that the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cultural seminars. Regarding the topics of the seminars, the participants responded favorably to ‘Korean cultural stereotypes and pre-conceptions’ for the culture/society focused seminars, ‘Korean foreign diplomatic policies’ for the political/diplomatic/national security section, ‘Problems incurred by foreign companies entering the Korean market’ in economic/trade/investment section, ‘Korean Energy Resources’ in science/technology, and in health care/welfare section ‘Korean birth policies’ received favorable responses. In the cultural experience portion of the program,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direct contact with native Koreans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learning and responded that about three times per semester would be a fair number of experiences. The analysis found that Jeju island is the preferred location for the cultural experience lasting more than two days. In regards to day trips,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would like to visit Pan Mun Jum/the De-Militarized Zone (DMZ). For the cultural experiences, traditional pottery experience, musicals, and traditional calligraphy received favorable ratings. Fourth, the analysis concluded that participants were referred to the fellowship by their respective professors and showed a strong penchant for learning through interactions with other participants in the fellowship.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primary objective is to achieve proficiency in Korean.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needed information regarding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prior to arriving in Korea and were satisfied with the information they received through The Korea Foundation. Fifth, in analyzing the participants’needs, the nationality of the participant and Korean language proficiency were found to be correlated to their needs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the participants’areas of studies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ir needs. Also, through multiple response analysi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ference between most variables but some variables showed minor differences in preference per variable. In the fifth chapter,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nd the conclusion is presen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Further topics of studies are also discussed in this chapter. This research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current government and government sponsored Korean language and Korean culture classes for foreigners and will be used as a basis to develop curriculums for future foreign students. 본 연구는 정부 지원 한국어·한국문화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과정으로 KF 한국어펠로십 프로그램에 참가한 적이 있거나 참가하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들의 요구를 분석하였으며 정부 지원 한국어·한국문화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기존에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보완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행 연구는 목적별, 내용별, 대상별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18편을 목록으로 선정하여 본 연구를 위한 요구분석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2장에서는 외국어교육에서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내용과 한국국제교류재단(KF)의 한국어·한국문화 연수 프로그램에 대해 다루었다. 외국어교육에서의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내용으로는 요구분석 관련 이론과 문화교육 관련 이론을 살펴보았고 KF의 한국어·한국문화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으로는 한국어펠로십 프로그램과 외교관 한국 언어·문화 연수 프로그램의 지원 내용과 현황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요구분석의 절차와 대상, 조사 도구와 분석 방법에 대해 상세히 다루었다. 요구분석은 예비 조사와 본 조사의 절차로 진행되었으며 설문 대상자인 KF 한국어펠로십 학습자들에게 면접과 설문 방식을 이용하여 요구를 조사하였다. 요구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IBM SPSS Statistics 2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교차분석과 t검증, 다중반응 분석 방법을 실행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의 연구 절차에 따라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요구를 분석하고 학습자 변인에 따른 요구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요구분석 결과 첫째, 학습자들의 배경 분석을 종합하여 보면 한국어펠로십 프로그램에 참가하기 전에 한국어를 배운 경험이 있는 학습자가 많았고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한국어펠로십 프로그램에 참가하였으며 특히 말하기 능력의 향상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들은 한국어펠로십의 한국어 수업에 대체로 만족하였다. 수업 활동으로는 토론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휘 중심 수업이나 실제적인 의사소통 중심 수업을 희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학습자들은 문화 특강에 대해서도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화 특강의 주제로 사회/문화 분야에서는 ‘한국인의 가치관과 사고방식’, 정치/외교/국방/안보 분야에서는 ‘한국의 외교 교섭 및 대외 정책’, 경제/무역/투자 분야에서는 ‘외국 기업의 한국 시장 진출과 장애 요소’,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한국의 에너지 자원’, 보건/복지 분야에서는 ‘한국의 출산 정책’ 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문화를 한국인과의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 배우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답하였다. 문화 체험은 한 학기에 3회 정도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2일 이상의 문화 체험 장소로 ‘제주도’를 희망하였고 당일 문화 체험 장소로는 ‘임진각과 판문점’을 가장 선호하였다. 문화 체험 활동으로는 ‘도자기 만들기’와 ‘뮤지컬 관람’, ‘붓글씨 배우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자들은 교수의 소개로 한국어펠로십에 참가하는 경우가 많았고 다른 학습자들과의 교류를 통하여 관련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한국어펠로십 프로그램을 통하여 높은 수준의 한국어 습득을 최우선 과제로 여기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한국 입국 전에는 한국어 교육기관에 대한 정보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KF를 통한 정보 제공에는 만족하고 있었다. 다섯째, 학습자 변인별 요구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국적과 한국어 숙달도에 따른 요구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항목이 있었다. 그러나 학습자의 전공에 따른 요구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다중반응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변인에 따른 선호도에는 차이가 없는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변인별로 약간 차이를 보인 것도 있었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운영되고 있던 정부 및 정부 산하기관의 외국인 한국어·한국문화 연수 프로그램 운영에 기준을 마련할 수 있게 도울 것이며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한국문화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