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UI(University Identity)시스템을 반영한 모바일 앱(App)디자인 개발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모바일 앱(App)중심으로

        임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오늘날 스마트폰 시장이 급증하면서 새로운 미디어의 보급은 기존 미디어 이용 형태를 급속하게 변화시키며 우리들의 생활 속으로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빠르게 확산되어 라이프스타일의 시대가 되어가고 있다. 이에 스마트폰의 급증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마켓의 열풍으로 보고 있다. 2007년 1월 아이폰 출시로 애플에서 운영하는 앱스토어(App store)의 수 많은 앱의 개수가 쏟아지면서 국내 또한 구글의 ‘안드로이드 마켓’의 이름으로 2008년 8월에 발표하여 10월부터 이용이 시작되어 앱의 수는 2012년 3월, 현재 45만개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 많은 앱으로 인해 앱의 종류와 디자인의 중요성도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편승하여 국내 각 대학들은 학생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학교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앱을 개발하였고, 이용도 또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학교 앱은 주로 도서관 빈자리 현황과 도서 반납과 대출, 대학내 건물 위치, 학생식당 메뉴, 강의시간표, 사이버 캠퍼스 등 대학종합정보시스템 전반의 효율성 향상과 재학생의 행정 처리의 개선을 달성하는데 도움을 주기위해 만들어 졌다. 현재 많은 대학들은 수요에 발맞춰 학교생활에 도움을 주는 기능적 컨텐츠를 주로 갖춘 UI(University Identity)를 반영하여 개성있는 디자인을 개발하고 있다. 각 대학교 앱은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로 인해 애플의 앱스토어와 구글의 안드로이드 두 방식으로 앱을 만들고 있으나 정보전달의 그래픽요소는 동일하게 구성되어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서비스 앱 시장인 구글의 안드로이드에 등록되어있는 대학교 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앱 디자인 연구를 진행 하였다. As the smart phone market expanded rapidly, new media has changed the previous media usage massively and has become a era of our lifestyle that has rapidly came into our liv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ccordingly, the widespread increase of smart phone is taken as a boom in the application market that provides the mobile application. Ever since the i-phone was released in January, 2007 by Apple, numerous apps came out to the market from the App store and in Korea, as it was released in the name of Google’s ‘Android market’ in August, 2008, it started it use from October and as of March, 2012, the number of the app has reached 450 thousand. Due to such a huge number of app, the type of app and the importance of design has become a major topic. Leveraging such trend, local universities has developed apps for the student and user convenience and to transcend the school information and its usage has risen as well. School app was made mainl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university total information system that shows vacant seats and book renting in the library, university facility location, school cafeteria menu, class timetable, cyber campus etc and improve the administrative works for the students. Upon the demand of the app, numerous universities are developing creative design that reflects the UI which is equipped with functional contents that helps school life. Due to the usage of mobile device of the users, although the universities are making apps in types of Apple’s app store and Google’s Android, the graphic components to transcend the information are similar and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university app which is registered on Google’s Android and started the Ewha Womens University app design study based on such analysis.

      • 대학의 VI(Visual Identity)를 반영한 QR코드 활용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정정은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Recently, we can often see, on TV or advertisements and in subways or bus stops, square-shaped boxes with black and white grid patterns that induce us to scan them with our smart phones. This square-shaped barcode with black and white grid patterns is the QR code (Quick Response code), one of the three major elements of mobile marketing, which is a two dimensional barcode that was developed by Denso Wave in Japan in 1994. A QR code is identifiable despite its color deterioration or 30% damage, and therefore more and more companies are adopting the QR code and designing it to incorporate the company identity. As recently smart phones are widely used in our nation and QR code scan apps are provided, the QR code is also being widely recognized and used in mobile marketing. In wide variety of fields including self-government, corporations, colleges, product promotion, etc., QR Code marketing is being adopted in a way to impress people with their brand images. That is, establishment of organization identity on a QR code is an important factor in QR code marketing, and the scope of applying a QR code is expected to cover extensive areas of products promotion, giveaway events, payments, product information, etc. In this trend, colleges are also demanded to respond to the change of the society’s view and perception and prepare countermeasures overcoming conventional fixed frameworks in a proactive and efficient wa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ssibilities and values of applying a QR code that incorporates Visual Identity (VI) of colleges. For this, in the literature research for theoretical discussion, first the definition of QR code was reviewed, and cases of applying QR codes in corporate or other fields are analyzed. Through analyses of the cases, this study searche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QR code, then suggests the needs of QR code in colleges, draws out visual characteristics of the symbol and the logo type building among the elements of the college VI, and then applies these findings to producing a QR code. Lastly, by providing cases of using QR code in accordance with college circumstances, this study intends to approach QR code applications in a comprehensive way.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for a long-term plan to approach QR code applications for establishment of college identity in the mobile environment. Above all,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college identity by comprehensive management rather than individual management in the mobile environment. 최근 티비나 광고, 지하철, 버스정류장등을 보면, 흑백격자무늬의 사각모양박스를 지칭하여 스마트폰으로 스캔을 유도하는 광고를 자주 볼 수 있다. 모바일 마케팅에 3대 요소중에 하나인 흑백격자무늬의 사각모양 바코드가 QR코드 'Qick Response 코드'의 약자로 일본의 덴소웨이브(DENSO WAVE)사가 1994년에 개발한 2차원 바코드이다. QR코드는 색상변경과 30%훼손이 되어도 인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자사의 아이덴티티를 적용하여 디자인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최근 국내에서는 불기 시작한 스마트폰에 QR코드 스캔앱이 보급되면서 QR코드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모바일마케팅에 사용되었다. 그러면서 행정 지자체, 기업, 대학, 제품홍보 등 분야를 막론하고 QR코드마케팅에 사용되면서 사람들에게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친밀하게 느낄 수 있도록 각인되고 있다. 즉, QR코드에 자사의 아이덴티티확립은 QR코드마케팅에 중요한 요소로 QR코드의 활용 범위는 제품을 홍보하거나, 경품, 결재, 제품 정보제공 등 활용가치의 기대가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변화의 흐름속에 대학도 사회의 시선과 인식의 변화에 대응하고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기존의 정형화된 틀에 벗어나는 강력한 대안이 요구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VI(Visual Identity)를 반영한 QR코드 활용 가치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 측면의 문헌연구에서는 QR코드에 대한 개념정의를 먼저하고 기업이나 타 분야의 QR코드 활용과 디자인에 대해서 사례분석을 한다. 분석사례를 통해 앞으로 QR코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한다. 그리고 대학에서 QR코드 활용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대학의 VI(Visual Identity) 구성요소 중 심벌(Symbol) 로고타입(Logo type) 건물의 시각적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를 QR코드에 반영하여 사례분석을 통해 보았던응용형으로 QR코드를 디자인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의 환경에 맞게 QR코드를 활용 사례를 제시하므로 대학에서 QR코드 활용에 대해 총체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환경에서 대학의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해 QR코드활용에 대한 장기적인 플랜으로 접근하는 방법으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앞으로 모바일 환경에서 개별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VI(Visual Identity)측면에서 총체적으로 관리되어 대학 아이덴티티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UBID-University Brand Identity Design) 프로그램 개발전략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지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79

        21세기는 지식 기반의 무한경쟁 사회이고, 지식과 감성의 융합이 경쟁 우위의 핵심으로 부상하는 시대이다. 또한 21세기는 브랜드 시대이다. 기업 가치 형성의 핵심적 요인인 브랜드는 기업의 가장 중요한 무형자산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세계의 모든 기업들은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마음 속에 바람직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하여 브랜드 경영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대학은 시장에 부응해야 하는 산업이라는 관점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더 이상 ‘폐쇄적인 상아탑’이 아니며 전통적인 학제, 교수 방법 등에서 탈피하여 시장 관점에서 학생, 기업, 정부,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가치와 요구에 부응하여 지속 가능 발전을 도모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미 세계적인 명문대학들은 경쟁과 자율을 핵심가치로 삼는 세계 시장의 원리를 수용하며 차별화된 경쟁전략을 수행해왔다. 또한 국내의 유수 대학들도 대학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고 이를 위해 각자의 전문화, 특성화된 분야를 확보하여 집중적으로 투자, 육성해 나가고 있다. 이화여대도 122년간 세계적인 전문 여성 교육의 본체로서 국가사회 발전에 기여해 왔으며 최고 여성 지도자 배출을 위해 혁신과 도전을 추구해왔다. 이화여대가 당면한, 그리고 현재 목표로 하고 있는 글로벌 명문대학을 행한 행보를 위해 글로벌 기준과 시장 상황에 부합하여 통합적이고 전문적인 ‘이화’브랜드를 관리하는 체계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또한 글로벌 시대의 국내 핵심 거점으로서 파주 캠퍼스 교육 연구 복합단지 조성 준비에 맞춰 통일되고 체계적인 '이화'브랜드 정립을 시급히 마련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화여대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을 세우기 위해 먼저 브랜드의 정의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지 도출하였고, 또한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파워브랜드를 구축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핵심적 구성 요소 중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요인들에 대해 다른 국내외의 대학들은 어떻게 관리를 하고 있는지 실제 사례를 조사하여 비교 검토 했으며, 이를 통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UBID)의 관리 방법을 도출해 보았다. 또한 이화여대의 현재의 UBID 운용실태를 살펴보고 비교해 봄으로써 글로벌 최고 최대 명문 대학으로 나아가기 위한 UBID 정립의 필요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이화여대를 위한 전용 서체 개발 및 고유 컬러 지정 등 UBID 전략을 제언하였다. 대학 브랜드로서 경쟁력을 발휘하여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일관성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수립 및 지속적인 유지, 보완과 긍정적인 이미지를 얻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한다. 또한 브랜드 경쟁력의 제고에 경영 역량을 집중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우리의 대학도 자랑스러운 세계 최고 브랜드로서 세계 속에 이름이 널리 알려지고 각인되어 당당히 우리의 이화 브랜드를 자랑하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 We call the 21st century a knowledge-based infinite competitive society and the integration of cognition and emotion has risen to the kernel of competitive advantage. Also, it is a century of brand. Brand, an essential factor of company’s value formation is being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tangible asset of enterprises. Every company around the world focuses on brand business strategy ultimately for building up desirable images in the heart of their consumers. In this era, universities are to maintain active correspondence in ever changing environment under industrial view that meets market’s needs. “Tower of Ivory“ or academic elitism is not an appropriate term for colleges anymore and they should deviate from traditional educational disciplinary and teaching methods. They are in a situation where they should meet values and demands of diverse interest groups such as students, companies, governments and local communities and accomplish sustainable development. World’s prominent universities have already accepted international market principle that regards competitiveness and autonomy as core concepts. In the same way, national top universities allocate chief notions in enhancing university’s brand values and in order to do so, they procure specialized fields and concentrate investing and fostering them. Ewha Womans University, world’s body of professional women’s education, has contributed in the country’s development and pursuit challenge and innovation for creating supreme women leaders for 122 years. To reach the current goal of being global leading university, Ewha is in need of integrated and specialized “Ewha” brand management system by global standards and market situation. And in a preparation of Paju Education and Research Campus Complex, nation’s hub base in global era, building integrated and organized “Ewha” brand is essential. This paper aims for developing specific university brand identity strategies for Ewha Womans University. First of all, it covers the different theoretical backgrounds of brand definition and brand identity. This brings out brand identity constituents, effective brand management methods, and power brand construction techniques. Next, it compares and examines actual native and foreign university management cases of visual factors of brand identity constituents to deduce university brand identity design (UBID) rational and systematic management methods. After that, we look at the present condition of Ewha UBID and compare it for the necessity of UBID settlement of accomplishing global top leading university. And finally, it proposes UBID strategies for Ewha Womans University. In order to display competitive and spirited university brand, construction of concrete and consistent brand identity, constant preservation and complement, restless efforts to gain positive images are required. Focusing management capacities on brand competitive power is another prerequisite. Through these courses, Ewha will be identified and remembered as one of the best brand name. I expect to take great pride in watching Ewha brand stretch around the world soon.

      • 대학의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브랜드숍에 관한 연구 : 이화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전우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university is facing an extreme change in social, cultural environment, which represents globalized, information-oriented and generalized education society, and is experiencing double pains in existence and competition. Due to the changes in the society’s viewing and understanding on the university and the criticisms on a property of the university and the role itself expands, the necessity that exists as culture of a society and other multi-valued university in a comprehensive meaning has been required. The educational market changed from the seller's market to the buyer's market, the width of selections to the students; who are educational consumers, can select a desired university in a wide selection. In addition, as the consumption paradigm transfers from functional consumption to emotional consumption, consumers try to satisfy their own desires in their personal dimensions and show the trend that selects products in dependence on the corporate image. The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tool integrally managing the identity and image of a university is necessary to communication the significance of existence and the identity of a university to the persons concerned and the general public with a meaning of existence amid social change in an aspect of the history of civilization, and the brand shop of a university could play such a role. The brand shop in the university’s identity is an induction of strategic system which can communicate and enhance the university’s image by guaranteeing and differentiating the personality of a university. The brand shop of a university,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university’s image, can show function as multi-fields of connected device and unity the process from idea to the educational market by using as ways and means to fix and maintain a university’s identity corresponds with a university’s principle and vision, and can enhance value and quality of a university through visual or figure media. As there is the necessity that should understand the brand shop of a university comprehensively and multi-dimensionally, the present research has a purpose in suggesting the value and possibility of the brand shop of a university as a part of basic activities for preparing a method to communicate a university’s definite identity. For this purpose, a general concept of identity and imag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and image was considered, and the university’s identity in the dimension of the corporate identity was established. Also, the brand shop of a university through a general concept, identity and distinguished strategy of the brand shop were investigated and the importance of the brand shop of a university in establishing the university's identity was found out through a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s identity and brand shop. And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Ewha Womans University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close analysis on its theoretical basis. The identity of Ewha Womans University and a direction that the brand shop should move forward in the future were searched for amid competition. The proposed management strategies to operate the brand shop of university in a dimension of the identity are as follows. First, a dedicated organization is necessary. Second, visual guidelines should be reestablished. Third, the brand shop should more actively cope with development of products matched with desire of buyers. Fourth, the consistent university image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the independent brand shop. Fifth,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products quality and acquisition effect of human resources should be obtained through linkage with students. Sixth, the redesign of a sale process through construction of an online shop and the integrated on-off-line service design should be achieved. The research results could propose a long-term development strategy and a method approaching management of the brand shop for the image enhancement and identity establish of university on the future. Most of all, Because the environment of the university is largely changing due to the university culture that is becoming globalized, infomationized and characterized, it is thought that the brand shop will have a value as a revitalizing strategy of the total university that spiritual, behavioral and visual aspects are comprehensively managed in a point that a separate response of the university also become to bump into its limit easily. 세계화, 지식 정보화와 교육보편화로 대변되는 사회·문화 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대학은 대내·외적으로 큰 변혁기를 맞고 있으며, 생존과 경쟁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대학에 대한 사회의 시선과 인식의 변화, 대학의 특성과 역할 자체에 대한 비판이 확대되어 포괄적인 의미에서 사회의 문화, 기타 다가치적인 대학으로 존재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교육 시장은 생산자 중심의 시장(Seller's Market)에서 소비자 중심의 시장(Buyer's Market)으로 변화되어 교육 소비자인 학생들이 주도권을 갖고 마음에 드는 대학을 고를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더불어 기능소비에서 감성소비로 소비 패러다임이 이전되면서 소비자들은 감성적이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자신들의 욕구를 충족시키려 하며 기업의 이미지에 의존하여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명사적 사회 변화 속에서 대학의 존재의 의미와 아이덴티티를 이해관계자 및 일반대중에게 소구하기 위해서는 대학의 정체성과 이미지를 통합 관리할 차별화·특성화된 도구가 필요하며, 대학 브랜드숍이 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의 아이덴티티에 있어서 브랜드숍은 대학의 개성을 확보하고 차별화하여 대학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전달할 수 있는 전략적 시스템의 도입이다. 대학의 이미지와 관련하여 대학 브랜드숍이 대학의 이념과 비전에 부합되는 정체성을 확립하고 유지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활용됨으로써 다분야적 연결 장치로서 기능을 발휘하고 개념에서 시장에 이르는 과정을 통합할 수 있으며 시각적 또는 문자적 매체를 통해 대학의 가치와 품질을 고양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학 브랜드숍을 총체적이고 다차원적으로 이해해야할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의 아이덴티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적 활동의 일환으로 대학 브랜드숍의 가치와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 측면의 문헌연구에서는 아이덴티티와 이미지의 일반적인 개념 및 관계를 고찰하고 기업의 아이덴티티 차원에서 대학의 아이덴티티를 정립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브랜드숍의 개념과 아이덴티티, 차별화 전략을 통해 대학의 브랜드숍의 개념을 살펴보고, 대학의 아이덴티티와 브랜드숍 간의 관계를 통해 대학의 아이덴티티 확립에 있어 대학 브랜드숍의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론적 근거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토대로 이화여자대학교에 대한 실증분석이 이루어졌다. 이화여자대학교의 외부 상황과 내부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경쟁 속에서 이화여자대학교의 정체성과 앞으로 브랜드숍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탐색하였다. 아이덴티티 차원의 대학 브랜드숍을 운영하기 위해 제안된 전략은 첫째, 전담 조직이 필요하며 둘째, 시각적 가이드라인이 재정립되어야 하며 셋째, 구매자들의 욕구에 부합하는 제품 개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하며 넷째, 독립된 브랜드숍을 통해 일관된 대학 이미지를 강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며 다섯째, 학생 연계를 통해 제품의 디자인과 품질의 질적 향상, 인적 자원의 획득 효과를 얻어야 하며 여섯째, 온라인 매장 구축을 통한 판매 프로세스의 재설계 및 온·오프라인의 통합된 서비스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향후 대학의 이미지 제고와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브랜드숍 운영의 장기적인 플랜으로 접근하는 방법으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도 세계화, 정보화, 특성화되어가는 대학 문화에 대학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대학의 개별적 대응도 쉽게 그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는 점에서, 정신과 행동 그리고 시각적 측면이 총체적으로 관리되는 대학 전체의 활성화 전략으로써 가치를 가질 것이라고 사료된다.

      • 컨버젼스(convergence) 시대의 디자인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산업디자인학과 교과과정 중심으로

        장은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사람들은 대부분 디자인을 겉 포장 정도로 생각한다. 하지만 이는 디자인의 진정한 의미와 거리가 멀다. 디자인은 인간이 만든 창조물의 중심에 있는 영혼이다.” (Steve Jobs, APPLE CEO) 이 글은 디자인의 복합적인 기능과 문화적 가치를 대변한다. 사회와 기업은 디자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경영의 키워드로 디자인을 언급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디자인 분야의 현황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환경을 수용하기 위하여 산업초기 교육시스템의 발전 방향에 대해 뚜렷한 해답을 찾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시장의 트랜드 중심으로 부분적 개편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은 전문 인력을 수용할 시장상황을 파악하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디자인 인력을 양산하여 매해 미 취업 인력이 적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업에 진출하더라도 일부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기업에서는 그 업무의 전문성이 희박하여 기업 내 디자인 인력의 만족도는 대체로 높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업디자인 인력의 균형적 배출을 위하여 현 시점에서 국내 대학의 디자인 교육체제와 디자인 교과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국내•외 교과과정의 비교 분석을 바탕으로 디자인학부제의 미래 디자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대학의 디자인 관련 교육체제 및 교과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교과목 구성의 아이덴티티 부재이다. 학과와 전공으로 분류되어있던 학문영역이 학부제 도입에 의해 관련학부로 개편되면서 통합적인 교과과정을 진행하는 대학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뚜렷한 특성 없는 통합으로 인하여 각 대학들마다 디자인학부 전공 통합의 단위영역이 모호하고, 해당 교과목의 구성 또한 성격이 명확하지 못하다. 관련 학문 간의 융합을 통한 신 영역•신기술에 대한 새로운 영역 구축을 고려하지 못한 체, 단지 행정상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통합함으로써 학과 내 교과의 세분화가 아닌 디자인교과목의 교과구성의 아이덴티티 부재 현상을 보이고 있다. 둘째, 디자이너의 자질과 능력 개발에 관한 문제점을 꼽을 수 있다. 학교에서는 창조성을 강조하는 교육을 하고 있지만 사회에서는 지시 받는 업무, 멀티플레이어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다양한 분야의 복합적 형태인 디자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무능력 함양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국제화 시대로 대변되는 21세기에는 세계시장에서 수용 가능 한 글로벌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 또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기업과 디자이너들의 수요와 공급은 불가결한 것이다. 디자인관련 인력의 균형 잡힌 배출과 예비 디자이너의 자질 및 능력개발의 제도적인 육성은 더 이상 미루어서는 안 되는 문제이다. 관련학문 간의 융합과 다양한 교육방법론의 실행으로 디자이너의 창의적 활동을 활성화하고 교과의 실무 기여도를 높이며, 나아가 국제화 시대에 맞는 글로벌 디자이너로서의 육성을 위하여 디자인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Most people are thinking about packaging design surface. However, this design is far from the true meaning. The design of the creations of the human heart is the soul. "(Steve Jobs, APPLE CEO) Steve Jobs of Apple is the writing. The paper design and the cultural values of the complex function is represented. Societ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rporate design and design management of the key words are mentioned. Therefore, a technological leap forward in the 21st century's culture of innovation and creativity in the design and the design of time reflecting on the meaning and value should be recognized. But look at the current design status of the rapidly changing field of the environment behind the times in terms of quantitative human body seems to dwell on emissions. Each year the Department of Design at the University of emissions is an increasing trend of graduates, but businesses that do not cover labor, and diarrhea were joining the workforce, even if failure to actively use the high satisfaction of the workforce in the enterprise have not been designed. Workforce each year, advanced to the discharge of the workforce does not work if the cause of my university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can be said. Advanced personnel to deter excessive emissions at the present time, local universities, educational systems and the design of the curriculum design, identify problems and find solution for you may need to devise an alternative. Therefore, the design of the current university education system and curriculum, look at the issue of cleaning up of three things can be. First, the design of the curriculum is broken down. Departments and major universities that were classified as major systematization reorganized into the implementation of design-related undergraduate courses as an ongoing comprehensive universities is increasing. But not by indiscriminate because of integration with a range of Design, In addition, the integration of academic and non academic simply one of many majors as a comprehensive undergraduate education through the integration of various academic subjects rather than the existing design is a refinement of such phenomena has shown tens of thousands of subjects. Second, the team and proceed unilaterally and temporarily join the group teaching method is the way to class projects. Classes were conducted individually, the current design of the teaching method, unlike the past, teams or groups are now being conducted. Several people working together urge the exchange of diverse opinions and knowledge to expand the horizons of cooperation can be kept, but the progress of the class received instruction in conjunction to perform a one-sided teaching method is taking the form of. In addition, the design-related industries due to the activation policy, but the type of project taught that the problem is a temporary considerate. Third, the designers of the training can be counted on the issue. Government as a tool for the design industry was cooking, but lacked political support. In schools with an education that emphasizes creativity, but the instructions to receive social services, multi-Players will perform the role. Complex form of various fields of desig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nature of design education in the government's institutional support will be needed. Supply and demand of companies and designers that will be indispensable.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culture have increased knowledge of the consumer's perspective and the role of the designer, now think even more important. Before advancing to the community-based pre-institutional development of the designer's words, the issue should not be postponed any more, I think. Policies to support creative activities based on the activation of their own design, let alone to have a high self-help education system are needed.

      • 의료용 어플리케이션 GUI디자인 전략연구 : 불안심리상태 사용자를 중심으로

        노은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current industrial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an age of convergence. The convergence technology to organically graft different fields is already the core keyword for the IT industry in concert with the demand of customers who have constantly longed for new things. The integration of medicine and IT technology, one of the convergence technology, is rapidly growing by the change into an aging society and the increase of population. After the global economic crisis, the consumers in advanced countries value their health because of the global aging and others factors, and it causes the great increase of medical and health expenditures. Though Korea is also rapidly entering into the aging society,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nd health care is predicted to be accelerated. According to this social changes, the combination of medicine and smart phone is an opportunity to create a new market in the medical application industry. However, the study on GUI(Graphic User Interface) design is insignificant even though it is the first thing the users should meet. GUI design is a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and closely related with human visual perception. The visual perception is known to be influenced by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s based on many precedent studies. This is the reason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GUI design strategy for medical applications to consider the mental condition of users. The ‘anxiety’ is selected as the requisite for mental condition in this study based on a precedent study showed that 75.8% of 1,000 male and female respondents felt anxiety in their everyday life. The precedent studies about visual perception and mental condition have been actively performed for art therapy and cognitive treatment with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stress, depression, ADHD, and learning disability as the requirements. The studies on the application for emotional stability and psychotherapy are also increasing lately; however, they are limited to contents and visual details. In other words, the study on GUI design is still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suggests a design strategy effective for information realization when each components of GUI design are generally organized. Also, it establishes the foundation of GUI design to be applied to users with various mental conditions as well as users with unstable mental condition. Before this study, the understanding of this study is improved by the overall consideration for visual perception, GUI design, and anxiety based on the documentary research, and the favorite requirements of users with anxiety by STAI-1 for measuring the anxiety of research subjects and preference survey for each components of GUI design. The test screen for GUI is created based on the result, and the visualized content and the Use Flow is the result of reconstructing the IA design from one of the Ewha Global Top 5 Projects,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for cognitive education/treatment of NCCP’ in 2013. Based on the result of STAI-1, the study separates the group with anxiety and the group without anxiety, and both groups perform the user experience assessment for the test screen of GUI design. There is no big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two groups, but both groups show certain level of affirmative responses. In other words, the components of GUI design in this study are effectively expressed and designed. There is another noticeable result; the group with anxiety shows higher ‘response to the idea of thinker’, one of the details of understanding, one of the design standard of GUI design, and ‘brevity’, one of the detail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one of the considerations for GUI design than the group without anxiety. In other words, the expression and design in this study more affective to the group with anxiety for recognizing information of GUI. This result is relevant to suggest that the components of GUI are easily and simply expressed to accord with idea, knowledge, and experience of users and lead users to easily recognize information with less cognitive resources. The final part of user experience assessment is the intention to use of participants for future commercialization. Most of participants from both groups answer to use it and show affirmative response to GUI design; therefore, the components of GUI design are considered to positively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of participants. The medical GUI design strategies based on the user experience assess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layout should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to provide stability for visual components, and the emotion should be expressed by visual amusement for visual icon. It is necessary to use green, blue, and navy for affective recognition. The gothic font is good for information delivery, and handwriting fonts are good for speaking contents. The colloquial style should be properly utilized for making comfortable sentences. The use of patterns and stimulating colors are better to be refrained. It is necessary to use actual images or characters similar to actual people for maximizing the confidence. Second, for icon of functional components, the direct icon should be utilized when it is possible to express the direct meaning of a word, and the cognitive icon should be utilized when the direct expression becomes useless for multiple meanings. Last, it is necessary to use a compound menu with both icons and texts to increase the information recognition; the text is affective to recognition and the icon plays a supportive role to decrease the time to understand meanings. This study is expected to lead the systematic GUI design to consider the mental condition of users, the continuous future researches, and the consideration for users with various mental conditions. 현대 산업 사회는 빠르게 융 복합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다. 서로 다른 분야를 유기적으로 접목하는 기술인 융합기술은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원하는 소비자의 요구와 맞물려 이미 IT산업의 핵심 키워드가 되었으며, 이러한 융합기술 중 하나인 의료분야와 IT기술의 결합은 고령화 사회로의 변화 및 인구의 증가로 인해 더욱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삼성경제연구소(2013)에 따르면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선진국 소비자들의 건강중시 성향과 급격한 노령화 현상은 의료 및 보건에 대한 지출 비중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고 하였다. 우리나라 또한 급격하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 중임을 생각해 볼 때 앞으로 의료 및 보건분야의 발달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측된다. 최근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따라 의료분야와 스마트 폰의 결합은 의료용 어플리케이션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시장을 창출하는 기회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접점인 GUI(Graphic User Interface)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GUI디자인은 정보를 시각화하는 것으로써 인간의 시지각과 관련이 깊으며, 시지각은 이미 다수의 선행연구들을 통해 인간의 심리에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고려한 의료용 어플리케이션 GUI디자인의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남, 녀 1,000명 중 전체 응답자의 75.8%가 일상적으로 불안감을 느끼며 살아가는 것으로 조사된 선행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연구의 심리상태 요건을 ‘불안’으로 선정하였다. 시지각과 심리상태 관련 선행연구들이 스트레스, 우울, ADHD, 학습장애 등의 정서적, 심리적 상태를 요건으로 하여 미술치료와 인지치료 분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치유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연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연구의 범위가 주로 콘텐츠와 부분적 시각요소로 국한되어 있어 GUI디자인 전반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미흡한 것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GUI디자인 전반의 구성요소를 대상으로 하며, 각각의 요소들이 전체적으로 구성되었을 시에도 정보인지에 효과적일 수 있는 디자인전략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불안심리상태 사용자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심리상태의 사용자까지도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GUI디자인의 기초를 잡는 것이 연구의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문헌연구를 통해 GUI디자인 및 시지각, 불안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실시하여 연구의 이해도를 높였으며, 조사대상자의 불안 측정을 위한 STAI-1검사와 GUI디자인 구성요소 별 선호도조사를 통해 불안심리상태의 사용자가 선호한 요소를 추출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테스트용 GUI화면을 제작하였으며, 시각화 될 콘텐츠와 Use Flow는 이화여자대학교 global Top5 연구결과(2013년)인 ‘NCCP(비심인성 흉통)인지교육/치료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IA설계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였다. STAI-1검사결과를 바탕으로 불안심리상태집단과 비 불안심리상태집단을 구분하여 두 집단에게 테스트용 GUI디자인 화면으로 사용경험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집단 간 차이는 크지 않았지만 두 집단 모두 전체적으로 일정수준 이상의 긍정적인 사용경험을 나타내어 본 연구의 GUI디자인 구성요소가 효과적으로 표현되고 설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눈에 띄는 결과로 GUI디자인 설계기준 중 ‘이해도’의 ‘적합한 정보제시’와‘사고자의 사고에 대응’, 그리고 GUI디자인 고려사항 중‘정보의 가시화’의 ‘간결성’, 마지막으로 아이콘의‘이해의 용이함’에서 불안심리집단이 비 불안심리상태집단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인 점은 본 연구의 GUI디자인의 표현과 설계가 불안심리상태집단에게 효율적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GUI의 구성요소들이 사용자가 이미 지니고 있던 사고와 지식, 경험과 최대한 부합되도록 쉽고 간결하게 표현되어, 사용자가 인지적 자원을 덜 투입하고도 쉽게 정보인지를 가능케 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어 유의미하다 하겠다. 사용경험평가의 마지막으로 추후 상용화 되었을 시, 사용의사여부와 그 이유에 대해 불안심리상태집단과 비 불안심리상태집단 대부분이 사용의사가 있다고 답하였으며, 그 이유로 GUI디자인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답변을 한 것으로 보아 GUI디자인의 구성요소가 사용의사 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용경험평가의 결과를 종합하여 도출된 의료용 GUI디자인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구성요소에서 레이아웃은 안정감을 주는 상측형 레이아웃 활용을 제안하며, 시각적 아이콘은 시각적 유희를 통해 정서를 표현하는 방법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색상은 인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진 초록색, 파란색, 남색 계열을 사용하며, 텍스트는 정보전달 표현에는 고딕체, 감정 및 말하기 표현에는 손글씨체를 사용하고, 구어체의 편안한 문장을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배경은 패턴과 자극적인 색상을 자제하며, 이미지는 신뢰감을 극대화 시키는 실제 사진 또는 실제와 흡사한 캐릭터를 활용하도록 한다. 둘째, 기능적 구성요소에서 아이콘은 단어의 의미가 직접적으로 표현이 가능한 경우 직접적 아이콘을 사용하며, 직접적 표현이 어려우며 다중의 의미를 표현해야 할 경우 인지적 아이콘의 사용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메뉴는 아이콘과 텍스트를 결합한 복합형의 사용을 제안하는데, 이는 텍스트가 인지에 효과적이며 아이콘은 의미파악의 검출시간을 단축시키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여 정보인지에 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사용자의 심리상태를 고려한 GUI디자인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후속 연구 또한 꾸준히 이어져 다양한 요인의 심리상태 사용자 모두를 고려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 TV교육프로그램의 내용별 분류에 따른 방송디자인 연구 : 방송대학TV를 중심으로

        박소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An economic revolution necessarily drives almost all facets of fundamental change in the way we are living and working as human beings. As a result of the revolution, today’s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becomes free from limitation of time and physical location, so that information can be shared any time, any place. One of the key drivers of the communication innovation in the 21st century is the advent of digital innovation, which brings with the information society and increases the importance of the continuous acquisition and us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lifelong learning. Increasing demand for the lifelong learning makes television become one of the core educational media. Television is differentiated itself from any other learning media mainly because multimedia-rich information can easily be accessed any time, any place. Therefore, as an educational medium, television is powerful to the public and quite influential to the information society. It is also a productive tool in the educational context because learning effect can be maximized in case video- and video-rich medium like television is leveraged. In this light, taking full advantage of television for educational purpose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easily and quickly communicate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in the information society. Broadcasting design is critical in making educational programs effective and easily understandable to the TV audience. It makes subtitles work for basic information of a program and various graphics and animations available for better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contents, which triggers motivation for learning and results in high achievement of learners. If applied to educational programs, broadcasting design can have significant impact, but to much regret, very few researches have been done on the role of broadcasting design for educational programs. In the era where educational methodologies are changing and the concept of lifelong education is gaining ground, it is essential to research broadcasting design in a way to improve educational effects of television educational programs by making the most of television's properties as image media. This paper adopted a survey method to identify television viewers' opinions on educational programs. It also analyzed 43 educational programs to figure out the impact of each factor of broadcasting design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on the productivity of the educational programs. The research went on to set broadcasting design's production directions based on the categories and the contents, and classify issues revealed in the survey. Finally, the paper presents ways to improve such issues and applies to cases in a way to revise or complement today's broadcasting design. The paper has uncovered the following facts. By their nature, educational programs are heavily laden with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a side effect, they have shown the highest proportion of texts in all design elements. There is a huge gap between texts and other elements. Colors are used without consideration of an overall concept of the programs. The same screen lasts long without any changes. Programs become a pure lecture without consideration for learners' learning capabilities. There are also cases where texts are too small-fonted or in inappropriate colors or graphs are too thin-lined. It is easy to find tables too crammed to read. Such cases have dampened learners' enthusiasm and lowered program quality. Departmental analysis shows that the proportion of graphics in the total airtime is high in natural science and liberal arts department, between which the former demonstrates a bit higher proportion. In liberal arts department whose programs are language-oriented, the proportion of texts is the highest, while natural science department demonstrates the highest proportion of normal. Natural science department, in particular, makes the best use of design elements in each category to make difficult, formal lectures easier to explain and understand. Educational science department uses more pictures/photos to describe various theories and historical figures in its programs. Educational science department ranks lowest in utilization of design elements among 4 departments, so is recommended to apply more design elements to its programs. Social science department uses all design elements equally, but the overall utilization rate is fairly low. Texts are utilized relatively more frequently than the other elements. The research demonstrates that broadcasting design shall take into account the following to enhance effects of television educational programs. Various methodologies and designs should be developed to motivate learners to have unwavering interest and attention to programs. Screen structure must be stable and consistent with planned and stable colors and controlled fonts. Texts and graphics should harmonize with each other to fit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Information display must be clear and legible with a proper volume of information in one screen shot. Application of design elements differs depending on contents and theme of educational programs, so designing should be done in a way to highlight programs' merits and reduce their demerits. When effectively utilized to fit theme and character of educational programs, broadcasting design will fulfill its due roles and functions as part of educational media. 경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모든 사회 구조의 변화를 동반한다. 그 결과로 과거와 달리 인류사회는 이미 시간과 장소의 물리적 제약에 국한되지 않는 새로운 방식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를 구축했으며 이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지 필요한 정보들을 자유로이 교환할 수 있는 기반 시설을 갖추기 시작하고 있다. 21세기 변화의 중심인 디지털을 바탕으로 정보가 곧 힘이 되는 정보화 사회로 변화되었고, 정보화 사회의 전개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지식과 정보의 지속적인 습득이 필요하게 되었다. 정보화 사회의 전개에 따라 늘어나는 평생교육에 대한 욕구는 교육 매체로서의 TV방송교육에 대한 요구와 기대를 크게 한다. 시, 공간을 초월하여 풍부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평생학습의 기회를 확장한다는 의미에서 매체이용을 위한 학습이 선행되어야 하는 다른 매체와 달리 TV는 여타의 매체들이 가질 수 없는 강력한 위력을 가진다 하겠다. 텔레비전은 보편적이고 대중적이며 사회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막강한 매체이다. 학습자들은 시각 및 청각을 동반한 매체에 더 빠르고 자연스럽게 반응하기 때문에 영상 매체라는 특성을 갖고 있는 텔레비전은 학습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지식과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렇듯 텔레비전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정보화 사회에서 많은 정보를 필요로 하는 대중들에게 쉽고 빠르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이다. 방송 디자인은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손쉽고 효과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 가장 강력한 도구이다.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자막에서부터 학습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그래픽과 애니메이션은 학습자의 이해를 돕고 학습 의지를 돋우는 역할을 한다. 교육 프로그램에서 방송 디자인은 매우 큰 교육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데 지금까지 방송 디자인의 이러한 역할에 대해서 연구되고 논의된 경우는 거의 없었다. 교육 방법이 변화하고 평생교육의 개념이 확대되는 시대에 텔레비전 교육 프로그램에서 영상매체의 특성을 살려 교육적 기능을 증진할 수 있는 방송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43개 교육 프로그램을 방송디자인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고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른 차이점이 있는 지 알아 보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방송디자인의 제작 방향을 설정하고, 시청자 조사에서 도출 된 방송디자인의 문제점을 항목별로 분류하여, 그 개선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조사와 연구를 통해 나타난 문제점을 개선방향에 따라 수정, 보완하는 작업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상 모든 디자인 요소 중 텍스트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그 차이가 매우 컸다. 조사 결과 전반적인 프로그램 컨셉을 고려하지 않은 색채가 사용되고, 화면의 변화 없이 지속시간이 길어지거나 학습자의 이해를 고려한 어떠한 장치도 없이, 강의만 하고 끝나는 프로그램도 있었다. 지나치게 작거나 TV화면에 적절하지 않은 컬러의 텍스트와 가는 선으로 이루어진 그래프, 학습자의 충분한 가독시간을 배려하지 않은 많은 분량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표 등 가독성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런 모든 경우들이 학습자들의 학습 의욕을 저하하고 프로그램의 질을 낮추는 결과를 가져온다. 단과대별 분석결과 총 방송시간 당 그래픽시간의 비율은 자연과학부와 인문과학부가 높았는데, 자연과학부가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어학 위주의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인문과학부는 텍스트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자연과학부는 노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특히 자연과학부는 어렵고 딱딱한 강의 내용을 좀 더 쉽고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디자인 요소의 항목별 활용도가 가장 높았다. 교육과학부는 다양한 이론과 역사적 인물을 설명하는 프로그램이 많아 사진/그림의 비율이 높았다. 교육과학부는 디자인 요소들의 활용에서 4개 단과대학 중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내 좀 더 적극적인 디자인 요소의 활용이 요구된다. 사회과학부는 모든 디자인 항목을 고루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긴 했으나 그 활용 비율은 매우 낮았다. 텍스트의 활용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TV 교육 프로그램의 디자인 작업 시 학습 효과 증대를 위해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하여 디자인 하여야 한다. 학습자의 관심과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디자인을 개발해야 하고 일관되고 안정적인 화면 구조를 유지해야한다. 계획되고 안정된 색채와 절제된 서체의 사용이 필요하다. 학습 내용에 따라 텍스트와 그래픽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하며 제시되는 이미지는 선명하게 하고 한 화면에 들어가는 정보의 양을 제한해야 한다. 가독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주제에 따라 디자인 요소별 적용형태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프로그램의 특성은 살리고 문제점과 취약점은 보완하는 디자인을 해야 한다. 교육 프로그램의 주제와 성격에 따라 디자인 요소의 항목들을 적절하게 적용할 때, 방송디자인은 교육 매체의 한 영역으로서 제 기능과 역할을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 융합형 화훼디자인 교육과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나미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developing a high quality and systematical education program to adapt to the diversifying environment, to fulfill the goal of the floral design, and to establish a academic system. The world has witnessed a drastic change in economic and cultural areas in the 21st century.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cultural art as a tool to meet the sensitivity and needs of human. In Korea, floral design has been started as culture and hobby in th 1960s. By the end of the 1970s, regular programs on the floral designs have been established in post-graduate course. At present, more than 20 programs are open in junior college, college, and post-graduate level. Thus, floral design is recognized as a regular discipline, several researches are carried out to strengthen academic foundation, and many professionals have been graduated from the programs. To adapt to the diversifying environment, it is needed to develop a high quality education program in the area of the floral design. To do that, an educational plan that meet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floral design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floral design should enlarge its area by applying transdisciplinary research approach which can aid to maximize the diversity and openness of the study. To accomplish it,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To understand the necessity and concept of floral design education, research works from the books (both domestic and abroad), theses, conference proceedings, and journal articles from related fields are studied. Also, to identify the curricular and educational goals of academic institutions, information from the world wide web are searched. Based on these materials, it is found that to further develop floral design it is essential to reestablish its theoretical background, enlarge the realm of floral design by transdisciplinary connection with other basic design disciplines, and apply the newly enlarged concept of flower design to other areas of social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new education of floral design should take a holistic view while the present one is taking an education to highlight the attribute and characteristics of floral design. Generally, the major related field of floral design is thought to be horticulture. If we extend the related field, these are photography,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and marketing. However, with the holistic view, transdisciplinary education should be prepared that includes a part on marketing and distribution such as psychology, philosophy, ecology, cultural anthropology, and management, a part on design ethics, a par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and a part on environmentally conservation such as eco-friendly education, waste reduction and energy conservation during production and packing. Capacity building based on the transdisciplinary education will improve the status of the floral design program. There are several difficulties to achieve this goal. Some of these are too many classes and too short study period in the curriculum, and uniform education system. To solve these problems, a practical education based on an education-industry cooperation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The practical education can be accomplished by two step approach. First, the basic practical education can be carried out by private sector. By doing so, regular school can devote to more in-depth education. Second, by carrying out practical education in industrial sector, students can learn on-site experience, develop technical knowledge. In this way, regular academic program can devote for the students to develop the ability of logical thinking and creativit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floral design, modern education, and design trend, a transdisciplinary floral design education model is developed. 본 연구의 목적은 점차로 세분화, 다양화되어 가는 환경에 적응하면서 화훼디자인의 가치를 실현하고, 학문적 체제를 확립시키기 위한 질적이고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21세기에 들어서서 세계는 경제적. 문화적 측면에서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인간의 감성과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문화예술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1960년대부터 교양이나 취미활동으로 활발하게 보급되기 시작한 우리나라의 화훼디자인은 1970년대 말 정식으로 정규대학의 대학원에 화훼디자인 전공학과가 개설되었다. 현재 20개 이상의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 대학원에 화훼디자인관련 전공이 개설되어있다. 이를 통하여 화훼디자인이 학문의 한 분야로 인정받게 되었고, 학문적 정립을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 인력들이 배출되고 있다. 점차로 세분화되고 다양화되어 가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 질적이고 수준 높은 교육이 요구된다. 화훼디자인이 전문 영역으로 그 가치를 정립 하기 위해서는 화훼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에 맞는 교육 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뿐 만 아니라 빠른 속도로 다원적이고 다양하게 변화해 가는 현대와 미래의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적합한 인재양성을 위해서 융합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화훼디자인의 융합적 교육이 궁극적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 질적인 향상과 현대사회가 필요로 하는 효율적인 인재양성을 위해서는 반드시 체계적인 교육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국내•외 서적과 학위논문, 학회논문집, 정기간행물 등의 문헌 중심으로 발췌하고 인용하였으며, 국내•외 교육기관의 교과과정과 교육목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인터넷 검색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화훼디자인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론의 재확립이 이루어져야 하며, 타 기초디자인 분야들과의 연계를 통하여 화훼디자인의 영역을 확장하여 사회 각 분야에 새롭게 적용하려는 시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다. 지금까지의 교육이 기존의 화훼디자인의 속성과 특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교육이었다면 현재부터의 교육은 다양한 분야를 통한 총체적 접근을 시도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화훼디자인에 있어서 관련 학문이라고 하면 주로 원예학과의 연계를 떠올리게 된다. 좀 더 그 영역을 넓혀 가면 사진, 컴퓨터, 마케팅 정도이다. 그러나 이제는 심리학, 철학, 생태학, 문화인류학, 경영학 등 마케팅, 유통분야에 접근하는데 도움을 주고, 디자인 윤리와 환경친화교육, 사용하는 재료의 특성에 대한 연구 분야, 제품과 포장 등에서 파생되는 재료와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분야의 학문들이 융합된 교육을 준비해야 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한 다양성에 기반을 둔 지식역량의 확보가 화훼디자인의 위상을 결정하게 될 것이다. 사실 교육내용은 과도하고, 그 많은 양을 진행하기에 교육기간은 짧다. 더구나 획일적인 교과과정 운영으로는 질적 심화를 이루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산학협동실용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는데 이는 두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기초실기교육은 사교육에 위탁하여 이루어 짐으로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대학에서의 심화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산업체에서의 실용교육을 통해 현장 감각을 익히고 기술적인 능력을 숙달시킬 수 있으며 대학에서의 교육은 사고력과 창의력 중심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분석에 의거하여 화훼디자인의 특성과 현대의 교육, 디자인 분야의 흐름을 전제로 하여 융합적 시각으로 본 화훼디자인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각 학문 간의 총체적 접근을 통하여 화훼와 디자인, 교육이 서로 유기체적 통합을 이루게 함으로써 앞으로 화훼디자인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포괄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다음의 연구로는 화훼디자인의 특성을 실현시키고 현대와 미래사회를 수용 할 수 있는 각 교과과정에 대한 심도 있고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본 연구가 미래에 화훼디자이너가 되려는 많은 인재들을 위한 더욱 훌륭한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 프로선수를 위한 스포츠웨어 디자인 연구 : 여자테니스웨어를 중심으로

        박신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63

        인간이 생활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에 따라 그에 맞는 환경조건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그에 적합한 도구나 생활 양식이 필요하기 마련이다. 또한 이러한 환경은 인간의 역할 위치를 대변해주는 요소로 작용하며, 여러 가지 형태로 다른 환경 집단들과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의복생활에서도 이러한 환경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역할과 환경에 적합한 의복 생활은 개인의 사회생활에서 올바른 역할수행을 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사회 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스포츠는 우리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다. 1970년대 후반에 이르러 전세계적으로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여가시간이 확대됨에 따라 여가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테니스, 골프, 스키, 볼링의 인구가 늘어나 여러 분야에 비전문가들이 고도의 장비를 갖춘 스포츠매니아(sportsmania)로 기반을 잡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스포츠웨어시장은 낙후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사람들은 자신이 직접 즐기는 스포츠이외에 전문 선수들의 경기의 관람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 경기가 국가 대항전이 될 때는 그 관심도가 극적으로 높아진다. 스포츠경기에서 경기복은 선수의 컨디션이나 경기 능률을 향상 시키는 한가지 요소로 작용함과 동시에 경기를 관람하는 관객에게 더 많은 것을 보는 즐거움을 주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시대적인 요구 아래 프로 선수를 위한 스포츠웨어의 개발은 시기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의 기류에 뒤 떨어진 프로 스포츠선수를 위한 스포츠웨어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여러 종목 중 특히 여자테니스선수의 스포츠웨어를 기능성에 맞게 체계화하고 분류된 종류에 따라 선수들 선호하는 테니스웨어 디자인을 연구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로여자테니스선수를 위한 테니스웨어 디자인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제한 범위를 정한다. 첫째, ‘스포츠웨어’라는 단어는 전문 스포츠 선수용 의류로 국한 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의미의 스포티한 캐주얼이나 여가 활용을 위한 일반인의 운동복은 이 의미에서 제외된다. 둘째, 설문 조사 대상은 본 연구자가 연구하는 스포츠웨어가 프로여자테니스선수를 위한 테니스웨어임을 고려하여 여자 테니스 선수들로 한정하였다. 셋째, 설문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하여 설문의 대상자는 현재 활동하고 있는 국내 프로선수들과 국외 프로선수 그리고 국가대표 선수들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웨어의 일반적인 고찰과 더불어 테니스웨어의 역사와 발전에 대하여 이론적인 기반을 갖춘다. 둘째, 이론적인 기반을 바탕으로 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프로 여자테니스 선수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셋째, 테니스웨어의 변천을 고찰하고 현재 시판되는 테니스웨어를 관찰하여 문제점과 수용점을 찾아내고 테니스에서 필요한 기능적인 테니스웨어의 종류를 찾아낸다. 넷째, 이러한 설문조사의 결과와 기능적인 분류를 바탕으로 선호 디자인을 찾아내고 선수들이 필요로 하는 테니스웨어 개발의 기초로 삼는다. 다섯째, 제작된 테니스웨어는 가봉 상태에서 2명의 국가대표선수(박성희, 최주현)와 1명의 국내 프로 선수에게 착장 실험을 하여 기능성에 맞는 디자인 수정과정을 거친다. 여섯째, 테니스웨어의 기능적인 분류는 연습복, 경기복. Wind - up & Moving Wear, Training Wear, Wind - breaker, Warm Wear로 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인 스포츠웨어는 눈으로 보이는 미적인 디자인요소와 그 종목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성이 조화 · 분리 되어야만 재구실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적 배경과 설문분석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둘째, 문헌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배경과 설문조사 및 현재 판매되고 있는 테니스웨어의 상황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자는 테니스에 필요한 기능성웨어의 종류를 6가지로 분류하였다. 기능성에 맞게 분류된 의상의 종류는 연습복, 경기복. Wind-up & Moving Wear, Training Wear, Wind - breaker, Warm Wear 이다. 셋째, 프로여자테니스 선수들에게 테니스웨어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한 결과, 선수들은 유채색 보다는 무채색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오래 동안 이어져온 테니스웨어의 의복 규율때문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현상은 개인 면담 결과 자신감이 없는 선수 일수록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성적이 좋은 선수 일수록 유채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선호하는 색상은 White와 Navy로 나타났으며 경기복의 경우 White를 주조색으로 Navy, Pink, Yellow의 색상을 선호하였다. 넷째, 선수들은 운동 시 불편함이 적은 라운드 네크라언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소매는 기본스타일을 하의의 경우는 고무줄형을 선호 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경기복의 스타일은 스커트를 기본으로 한 투피스형이며 투피스형 팬츠(10%)보다 원피스(18%)에 더욱 좋은 반응을 보여 팬츠보다는 경기복으로는 스커트의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기복 이외의 기능복의 경우 연습이나 이동을 위한 의상이므로 팬츠를 선호하였다. 다섯째, 여밈 방식의 경우 선수들이 선호하는 여밈 방식은 지퍼였으나 이는 보온을 위한 방안복에 만 적용하고 이를 제외한 다른 기능적 테니스웨어의 경우는 입고 벗기가 편리하고 금속성이 없어 피부에 자극이 없는 벌크로를 사용하여 마무리 하였다. 벌크로의 경우 기존의 테니스웨어에 전혀 사용 되고 있지 않으므로 선수들은 이 여밈 방식을 접해 볼 수 없었고 이 여밈방식의 기능성을 검증해 보기 위하여 3명의 선수들에게 벌크로로 여밈 한 테니스웨어를 가봉상태에서 착용 시켜 보았다. 그 결과 세 명의 선수 모두 지퍼보다 벌크로를 선호하였다. 여섯째,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기복. Wind-up & Moving Wear, Training Wear, Wind - breaker Wear, Warm Wear 등의 분류에 따라서 테니스웨어를 디자인 하였으며 경기복은 4벌, 그 외의 것은 2벌씩 제작하였다. 2벌씩 제작한 의상은 1벌은 기본 기능성을 고려하여 Simple하게 디자인하였고 나머지하나는 이를 바탕으로 미적 디자인요소를 가미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국내의 스포츠웨어 브랜드들이 종목별 의상제작에 관심을 기울인다면 선수들의 경기 능력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의 수준이 날로 높아짐에 따라 급증해가는 스포츠매니아의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브랜드 자체의 판매율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분야에 기존의 스포츠 브랜드들이 연구와 투자를 아끼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According to development of society and culture, sports have been a parts of our life. From the end of 1970s, all over the world, living condition has been getting better and better so people can have plenty of extra time. There was a movement which is that people wanted to use their spare time in usefully way. Now a days many sports (for example tennis, golf, ski, bowling and etc.) Have their own mania. The sport mania helps the sport grow up. By the way sportswear is also a part of sports. However our sportswear market is still in falling behind. These day people consider various sports(even they are not interested in them). Sportswear is an essential part which influences on player's condition or games' efficiency during the playing. In this point I recognized the problem of sportswear. I studied about women's tennis wear in this report. Classified into function and in the other of the division I categorized aesthetics, pleasantness and faculty. The goal of this study is production of functional clothes.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as follows. At first the word "sportswear" is only set limits to professional player's clothes, therefore amateurs' are exclude from it. The second the questionnaires is only for women's tennis players. Because I studied the sportswear of their clothes. The third women's tennis plays are only restricted professional players and members of the national team. The contents of this report are as follows. The first, this research refers to undeveloped sportswear market especially tennis wears. The second I tried to develop tennis wears which are aesthetic, pleasant and fimctional. The third, (for improvement of this research's quality) the category of this report is only professional and members of the national team. I considered the specialty of this report so inquired into general and special knowledge of tennis wear. The last combining the theory and practice (which is from the research), develop women's tennis wears, plan production of them and produce them. There are the methods of study. Firstly, I wrote general knowledg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ennis and tennis wears. Secondly, made questionnaires and asked professional tennis players and members of the national team. Thirdly, I studied the merits and problems of women's tennis wear, which are marketing, present time, and divided them by function. Fourthly, use the research and find out what players need. And develop tennis wears. Fifthly, samples of developed tennis wear were amended by putting them 2 members of the national team (park sung-hee and choi ju-hyun) and one professional player. Sixthly, separated into exercising wears, game wears, warn wears, wind up & moving wears, training wears and wind breaker wears. Produced 4 game wears and 2 others for each. One is made just simply by function and the other is made fashionably by design and function. Lastly developed productions were wore by professional playas and confirmed their preferen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showed that members of the national team are in better situation of sports clothes compare to another tennis players. Also preferences of colour, design and tennis wears' disconte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s. The second, functional sportswear should be considered its design and utility. The third, made 6 categories which are exercising wears, game wears, warm wears, wind up & moving wears, training wears and wind breaker wears. The fourth, after the research, produced tennis wears, which have aesthetics, pleasantness and facul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makes players mere aesthetic, pleasant and functional during the playing. In conclusion if our domestic sportswear companies consider more above research processes they might make players better situation, they could help them being in aesthetics, pleasantness and faculty. Also it satisfies the desire of sports mania, and it is good for their marketing. Sportswear is a part of high value added industry. Consequently our internal sportswear companies should investigate and study more and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