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구선수의 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대처방식간의 관련성 연구

        김용남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실업팀 정구선수들의 정구운동과 관련하여 느끼는 스트레스 요인과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대처방식간의 관련성을 조사 분석하여, 실업팀 정구선수들의 올바른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강구하고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한정구협회에 등록된 정구실업팀을 대상으로 남자 11개, 여자 10개 총 21개팀(14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자료처리는 독립 t-test(independent t-test),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업팀 정구선수들의 스트레스 요인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실업팀 정구선수들의 스트레스 요인은 우수․ 비우수 선수 별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실업팀 정구선수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넷째, 실업팀 정구선수들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우수․비우수 선수 별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실업팀 정구선수들의 스트레스 요인에 따라 대처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정구선수의 스트레스 요인에 따라서 대처방식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업팀 정구선수의 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대처방식간의 관련성에 관해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나,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관해서는 접근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후속 연구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basic data for helping to enhance soft tennis-performance and seek for the proper stress coping methods of professional soft tennis players based on the analytic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stress coping methods and the stress factors which the professional soft tennis player feel in the soft tennis.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sisted of total 21 team(148 players) as 11 male team and 10 female team, targeting the professional soft tennis team registered in the Korea Soft Tennis Association. For the data treatment, this study conducted the t-test(independent t-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First, it had difference in the stress factors of professional soft tennis player according to the gender. Second, it had difference in the stress factors of professional soft tennis player according to the excellent- and non-excellent player. Third, it had difference in the stress coping method of professional soft tennis player according to the gender. Fourth, it had difference in the stress coping method of professional soft tennis player according to the excellent- and non-excellent player. Fifth, the stress coping method was influenced by the stress factors of professional soft tennis player. Summing up the above findings, it turned out that the stress coping method was influenced by the stress factors of soft tennis player.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 of stress coping method according to the stress factors of professional soft tennis player, but it had no approach to the active stress coping method. This problem should be studied in the follow-up studies.

      • 정구 지도자의 리더십에 따른 지도자의 신뢰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설진일 동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started with the selection of total 1,200 male and female middle and high school players registered at the Korea Soft Tennis Association as of 2007 as a population and used random sampling. The investigator along with three researchers who took training before the study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250 of them and asked them to fill them out in a self-administered manner. After excluding 21 questionnaires whose answers were not sincere or missing, a total of 240 questionnaires (96%) were used as valid samples. The gathered data were treated with the SPSS WIN 12.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estimated to test the questionnaire's validity. Thereafte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ategorize leadership styles,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eing followed by correlation analysis to se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was set at p<.05. Those research efforts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soft tennis instructor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players' trust in them. Second, the transactional leadership of the soft tennis instructor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players' trust in them. Third, the values leadership of the soft tennis instructors turned out to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 players' trust in them. Fourth, and last, the players' trust in the instructors turned to have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short, transformation leadership is more important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in increasing trus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instructors and players of soft tennis. Considering the huge influences of the charisma factor, it should be noted that charisma is made possible only through an instructor's intellectual capability and trustworthiness. Instructors should also make constant efforts to study further and be reliable, given that values leadership according to situations exercises significant influences. In conclusion, ongoing trusting relationships between an instructor and a player can help the latter increase his or 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eter him or her from quitting soft tennis.

      • 생활체육 정구동호인의 참여특성과 여가만족의 관계

        백관수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provide basic data for participation opportunities for tennis as a living sport and its revitaliza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those enjoying tennis as a living sport and leisure satisfaction for a total of 343 subjects who participate regularly in a tennis club in the city of Gwangjoo and Jeonla Nam Do (Mokpo, Suncheon, Yeosoo, Koksung, and so on) in 2009.Forbreakingdown data, X2(Chi-square)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and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cheffetest was conducted in post verification.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by analyzing th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and leisure satisfaction of people enjoying tennis as a living spor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and relations among each variable. First, in terms of the differences of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t was shown that in terms of participation frequency,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ex, age, monthly income and occupation, in terms of participation time,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ex, age, monthly income, occupation, and health level, in terms of participation perio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ex, age, monthly income, occupation and health level, in terms of participation era,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ex, 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health level, in terms of participation partne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ex, age, occupation, and health level, and in terms of participation aim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ex, age, monthly income, occupation, and health level. Second, it was revealed that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 was partly a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ex, 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and health level, in term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ex, age, and education level, in terms of social satisfac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ex, age, education level, in terms of leisure satisfac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ex, age, education level, occupation, health level, in terms of physical satisfac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ex, age,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occupation and health level, and in terms of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sex, age,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leisur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enjoy tennis, there was partly a meaningful difference. In terms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time, participation period, participation era, participation partner, and participation aims, in terms of educational satisfac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time, participation period, participation partner, and participation aims, in terms of social satisfac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participation time, participation career, participation partner, and participation aims, in terms of leisure satisfac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time, participation period, participation era, participation partner, and participation aims, in terms of physical satisfac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time, participation period, participation era, participation partner, and participation aims, and in terms of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time, participation period, participation era, participation partner, and participation aims. <국문초록> 본 연구는 2009년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목포, 순천, 여수, 곡성, 등)에서 동호회 활동을 하고 있는 동호인을 총 343명 대상으로 생활체육 정구동호인의 참여특성과 여가만족의 관계를 분석하여 생활체육 정구의 참여기회와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 분석 에서는 개인적 특성에 따른 참여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X2 (Chi-square)를 실시하였으며,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여가만족과 참여특성에 따른 여가만족을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 을 실시하고, 사후검증에서는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생활체육 정구동호인의 참여특성과 여가만족의 관계를 각 변인 간 차이 및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 되었다. 첫째, 정구 동호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참여특성의 차이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빈도에서는 성별, 연령 월 소득 직업에는 유의한 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시간에서는 성별, 연령, 월 소득, 직업, 건강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참여기간 성별, 연령, 월 소득 직업, 건강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참여 시기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건강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참여 동반자 에서는 성별, 연령, 직업, 건강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참여 목적에서는 성별, 연령, 월 소득, 직업, 건강정도에서 유의한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정구 동호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여가 만족의 차이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만족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건강정도에서 유의한차이가 나타났고,, 교육적 만족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회적 만족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휴식적 만족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건강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신체적 만족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월 소득, 직업, 건강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환경적 만족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정구 동호인의 참여특성에 따른 여가만족의 차이에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만족에서는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 참여시기, 참여 동반자, 참여목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교육적 만족에서는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 참여 동반자, 참여목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회적 만족에서는 참여시간, 참여경력, 참여 동반자, 참여목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휴식적 만족에서는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 참여시기, 참여 동반자, 참여목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신체적 만족에서는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 참여시기, 참여 동반자, 참여목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환경적 만족에서는 참여시간, 참여기간, 참여시기, 참여 동반자, 참여목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 정구선수가 인식한 자기관리행동의 상대적 중요도

        성상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정구선수가 인식한 자기관리행동의 상대적 중요도 성 상 훈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 본 연구는 정구선수들의 자기관리행동과 자기관리행동에 대한 인식과 상대적 중요도에 대하여 전국 남녀 전체 20개 팀(남: 15개 팀, 여: 5개 팀)에 소속된 약 200여명의 선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응답한 103명의 응답 결과를 성, 선수급, 포지션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자기관리행동’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김병준(2003)의 질문지를 사용하였고, 이원비교 분석에 윤영길(2004)의 상대적 중요도 질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기초통계치 분석과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정구선수들의 실제 생활에서 나타나는 자기관리행동과 정구선수가 인식하고 있는 자기관리행동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관리행동 요인 중 정구선수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은 훈련관리, 몸관리, 정신력관리, 생활관리, 대인관계관리, 고유행동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생활에서는 대인관계, 정신력관리, 몸관리, 훈련관리, 생활관리, 고유행동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정구선수의 자기관리행동은 성, 선수급, 포지션 배경변인의 특성에 따른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각각의 변인 간 상호작용은 없었다. 단, 통계적인 차이는 없으나 평균값에서 실업팀 선수 집단이 대학팀 선수 집단 보다 전체적으로 약간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 남자 고등학교 정구 선수의 전위형 서브와 후위형 서브 동작에 대한 운동역학적 비교 분석

        유미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726

        이 연구의 목적은 남자 고등학교 정구 선수의 전위형 서브와 후위형 서브 동작을 비교한다. 이 서브 동작을 3차원 영상분석하고 지면반력기를 이용하여 운동역학적 변인을 산출하여 전위형 서브와 후위형 서브 동작의 원리와 현상을 이해함은 물론, 이를 통해 일선에서 정구를 지도하는 지도자나 코치, 선수들에게 정확한 서브 동작을 유도하여 서브의 정확성과 기술 향상 및 경기력 향상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가. 운동학적 변인, 첫째, 시간변인인 구간별 소요시간에서 전위 선수와 후위 선수 모두 임팩트가 된 시점에서 폴로스루가 일어나는 시점(P3국면), 라켓 헤드가 최고점에 세워진 순간에서 볼이 라켓 면에 부딪히는 시점(P2국면), 라켓 헤드가 최저점에서 수직 방향으로 올라가는 순간에서 라켓 헤드가 최고점에 세워진 시점(P1국면) 순으로 빠르게 나타났으며, 임팩트가 이루어지는 구간에서의 라켓스윙시간이 가장 빨랐고 전위 선수와 후위 선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거리변인인 신체중심변위와 라켓헤드변위 모두에서 전위 선수가 후위 선수 보다 전 방향으로 더 많이 이동되었고, 신체 중심 변위에서는 임팩트 구간과 팔로스로 구간에서, 라켓헤드변위 역시 임팩트 구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속도변인에서는 신체 무게 중심의 합성속도에서 전 구간에 걸쳐 전위 선수가 후위 선수 보다 빠르게 나타남으로써 두 서브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폴로스루 구간에서 전위 선수가 후위 선수보다 0.56m/sec 더 빠르게 나타나 신체 무게 중심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속도변인인 정구 서브 동작에 대한 구간별 오른 어깨, 팔꿈치, 손목, 라켓의 합성속도에서 전위 선수는 서브 동작 시 상지관절 즉, 어깨, 팔꿈치, 손목 관절의 원활한 협응 동작에 의한 효과적인 스윙으로 인하여 임팩트 시 후위 선수보다 더 빠른 속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각도변인인 정구 서브 동작에 대한 상체 전경각에서 라켓 헤드면이 최저점에서 올라가는 구간과 폴로스루 구간은 전위 선수가, 백스윙 전 구간과 임팩트 구간은 후위 선수가 더 크게 나타났고, 각 구간별 오른 어깨, 팔꿈치, 손목의 관절 각도에서는 전위 선수와 후위 선수 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각속도변인에서는 정구 동작에 대한 오른 상완, 전완, 손목의 각속도에서는 전위 선수와 후위 선수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오른 상지 분절의 각속도 크기는 전위 선수와 후위 선수 모두 상완, 전완, 손목의 순으로 점증적인 각속도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다. 나. 운동역학적 변인, 첫째, 지면반력 변인에서 오른 지면반력의 경우 모든 방향에서 전위 선수는 E1구간에서 지면반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오른발이 왼발쪽으로 이동하는 E2구간과 공중에서 임팩트가 일어나는 E3구간까지는 오른 지면반력에 그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위 선수는 전후 방향과 수직 방향에서 E1구간에서의 지면반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E2구간, E3구간, E4구간 순으로 지면반력에 작용하는 힘이 점증적인 감소 추세를 나타내었다. 둘째, 전위 선수의 경우 좌우, 전후, 수직의 모든 방향에서 공중에서 임팩트가 이루어지는 E3구간은 지면 반력이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위 선수의 경우에는 서브 동작 시 오른발이 왼발 쪽으로 이동하여 왼발에 모든 힘이 실리는 것을 알 수 있고, 전위 선수와 달리 임팩트가 공중이 아닌 지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 결과 준비자세로부터 폴로스루까지 연속적으로 동작이 이루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뒤쪽 발을 앞쪽 발로 끌어당기면서 서브 동작을 실시하는 풋업 스타일(foot up style)과 어깨정도의 넓이로 스탠스를 취하고 그대로 서브를 실시하는 풋백 스타일(foot back style)의 경향이 있는 것을 알았다. 전위 선수들은 전자에 속하며, 후위 선수들은 후자에 속하는 스타일이었다. 이는 포지션별에 따른 특징으로 전위 선수는 서브 후 네트 앞으로 뛰어 들어가 발리를 하는 네트플레이형, 후위 선수는 주로 서브 후 네트로 전진하지 않고 베이스 라이너 플레이를 해주는 기술 발휘 상의 특징으로 사료된다.

      • 연식정구 여고생들의 경기 시 스트로크(stroke) 성패요인 분석에 관한 조사연구

        홍영미 群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711

        본 연구는 연식정구경기의 가장 중요한 타구 기술과 스트로크의 성패요인을 분석하고 스트로크의 득실점에 미치는 경향을 조사 분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2004년도 제 85회 전국체육대회에 출전한 여자고등부 선수 90명을 대상으로 제반 스트로크 동작에 따른 성패요인을 분석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결 론 1) 전체적으로 부족한 기술종목 순위는 Service, Receive, Forehand Stroke, Backhand Stroke의 순으로 나타났다. 2) 득점을 많이 한 Stroke는 Forehand Volley, Smash, Backhand Volley, Passing으로 나타났으며, 득점 율은 Smash, Passing, Backhand Volley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실점을 많이 한 Stroke의 경우는 Forehand Stroke으로 나타났으며, 실점 율은 Forehand Stroke, Backhand Stroke, Passing의 순으로 나타났다. 4) Play중 실점이 가장 많은 Error는 Ball이 Out가 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체의 19.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제 언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토대로 앞으로 일선지도자들이 여고선수들의 연식정구를 지도 할 때 유의해야 할 점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1) Stroke 기술에 대한 기본적인 지도가 필요하며, 특히 이를 위해서 유소년 때부터 정확한 스트로크의 폼을 익혀야 한다. 2) Error에 의하여 승패가 결정되는 경향이 많으므로 게임에서 승자가 되기 위해서는 서비스, 리시브에 대한 Error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연습이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on the ratio of success and failure with regard to repeatedly used technique such as service, receiving service, volley, smash, lob and passer In the matches of the 85th Annual Association chief's All-Korea Soft Tennis Tournament. I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1) Due to the lack of proficiency in techniques such as the service, forehand stroke, backhand stroke, service return, and lob, neither the winner nor the loser dominantly scored decisive points in either the girls' high school division or women's division matches. 2) The greatest difference between girls' high school and women's division matches with regard to the techniques mist frequently used is found in the use of the forehand volley. Most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assumed a defensive position, while the more experienced women's division athletes have scored through active volley offense. 3) Most of the errors resulting in lost points were due to shots that fell out of bounds ; there were the case in both girls' high school and women's matches. The success accuracy of the winning teams were twice that of their opponents.

      • 정구경기의 서비스 수행 실태 분석

        이석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95

        본 연구는 서비스의 형태가 성공률과 실패율 및 득·실점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경기력 향상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제34회 대통령기 전국 정구대회, 제42회 전국 도시대항 정구대회와 제3회 아시아 정구 선수권대회 한국대표선수 최종 선발전에 출전한 대표선수 남자 12명, 여자 14명 총 26명을 대상으로 서비스 수행실적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3개 대회에서 서비스 수행 실적을 기록용지에 의한 관찰법으로 오버핸드 서비스와 커트 서비스를 후위와 전위, 남자와 여자로 구분하여 성공률과 실패율 및 득·실점을 기록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오버핸드 서비스의 성공률은 후위 선수는 남·여 공히 높게 나타났고, 전위 선수는 남자는 낮은 반면, 여자는 높게 나타났다. 2. 오버핸드 서비스에 의한 득점은 후위 선수는 남·여 공히 높게 나타났고, 전위 선수는 남·여 공히 낮게 나타났다. 3. 오버핸드 서비스의 성공률은 남자의 경우 후위와 전위간에는 유의한 차가 있으며, 여자의 경우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서비스에 의한 득점에서는 남·여 공히 후위와 전위간에는 유의한 차가 있다. 4. 커트 서비스의 성공률은 후위 선수는 남·여 공히 높게 나타났고, 전위 선수도 남·여 공히 높게 나타났다. 5. 커트 서비스에 의한 득점은 후위 선수는 남자는 낮은 반면, 여자는 높게 나타났고, 전위 선수는 남·여 공히 높게 나타났다. 6. 커트 서비스의 성공률은 남·여 공히 후위와 전위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으며, 서비스에 의한 득점에서는 남자는 후위와 전위간에 유의한 차가 있으며, 여자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이상에서 후위의 경우에는 남·여 모두 커트 서비스보다는 성공률 및 득점이 높은 오버핸드 서비스를 넣는 것이 효과적이라 사료되며, 전위의 경우에는 남·여 모두 커트 서비스를 행함으로써 서비스 후 네트 플레이를 할 수 있고, 또한 득점력이 높은 커트 서비스를 넣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하며, 서비스의 기술개발 및 서비스 유형에 따른 전술에 향후 계속적인 연구가 요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ive data base improved ability of game as types of service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influence success rate, failure rate, marks obtained and marks missed. The subject consists of 12 members of male player, 14 members of female player who are national, total 26 members to using observation method by recorded paper. The study was divided forward and backward, male and female by cut service and over service and was analyzed success rate, marks obtained and missed. The results and conclusion were follows ; 1. Sucess rate of over hand service, backward player was high male and female, forward player, man's was low, woman's was high. 2. Marks obtained of over hand service, backward player was high male and female, forward player was low male and female. 3. Sucess rate of over hand service, man's backward player was different from forward player, but woman's was not different. Marks obtained of service male and female, backward player was different from forward player. 4. Sucess rate of cut service, backward player was high male and female, forward player was high male and female. 5. Marks obtained of cut service, backward player was man's low, but woman's high., forward player was high male and female. 6. Sucess rate of cut service, man's and woman's backward player was not different from forward player. Marks obtained of service, man's backward player was different from forward player, woman's backward player was not different from forward player. Males and Females of backward are better over service, forward is better cut service. because success rate of forward was high than over service and they gained marks obtained as they can net play enough, so we hope continual study about developing of new technology and strategy from type of service.

      • 정구지도자 리더십행동 유형이 선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정훈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styles of soft tennis instructors perceived by college and business team player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enhancement of the teaching ability of instructors and on the improvement of the pride and athletic performance of athlet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0 male and female athletes of college and business teams who registered with Korea Soft Tennis Association as of 2011.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190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the answer sheets from 181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nine ones that seemed to include unfaithful answers.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the leadership behavior styles of the instructor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athlete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test and ANOVA were utilized, and Scheffe post-hoc analysis was made. After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behavior style of the instructor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athlet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in awareness of leadership behavior styl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female athletes were more significantly affected than the male ones by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and the male athletes were under the more significant influence of democratic behavior and authoritarian behavior than the female ones. The type of team to which they belonged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influence of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positive compensation behavior. The college team players were more affected by the instructors than the business team players in terms of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and positive compensation behavio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rize-winning experience, but the athletes who won more prizes were under the larger influence of their instructors. Second,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among the athletes in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s to the type of team they belonged to, the college team players found the leadership behavior of their instructors to be more satisfactory than the business team players, and the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By prize- winning experience, the athletes who won six or more prizes were more satisfied with social interac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 Third, how the leadership behavior styles of the instructors an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fected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analyzed, and satisfaction level with task performance was positively affected by training, directive and democratic behaviors. Satisfaction level with social interaction was under the positive influence of training, directive and positive compensation behaviors. Satisfaction level with leadership behavior was positively affected by democratic behavior, and authoritarian behavior exerted a negative influence on that.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gender of male and more prize-winning experience had a more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level with social interacti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mplied that in order to boost the satisfaction level of athletes, soft tennis instructors should have a full communication with them to train them in a way to suit their level and characteristics. Besides, the kind of tasks that are appropriate at their level should be assigned, and proper compensation should be provided. Thus, soft tennis instructors should teach and behave in a manner to improve the athletic performance, ment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of athle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