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개인화된 예측추론 특성 및 추론촉진과제의 영향

        이진숙 단국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언어장애 아동이 개인화된 예측추론을 수행하는데서 나타내는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그리고 추론촉진과제가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추론촉진과제인 일반지식 과제와 전제회상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수행이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만6세에서 8세 사이의 단순언어장애 아동 22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아동 22명,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아동 22명으로 총66명이다. 연구자가 아동에게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이하 예측추론과제1: 추론촉진과제를 실시하기 전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 15문항을 실시한 다음 그 결과와 언어연령, 생활연령, 지능검사 결과를 토대로 단순언어장애 아동, 언어연령일치 아동 및 생활연령일치 아동을 각각 두 집단(총6집단, 각11명)으로 나누었다. 각 두 집단 중에 한 집단은 추론촉진과제 중에 하나인 일반지식 과제를 실시한 다음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이하 예측추론과제2: 추론촉진과제를 실시 후의 개인화된 예측추론과제)를 실시하였다. 나머지 한 집단은 추론촉진과제 중 나머지 하나인 전제회상 과제를 실시하고 예측추론과제2를 실시하였다. 세 집단 아동들의 예측추론과제1의 수행 결과를 집단간 분산 분석하였고, 오류유형별 오류빈도를 분석하였다. 추론촉진과제의 두 가지 종류인 일반지식 과제와 전제회상 과제를 실시한 후의 예측추론과제2의 수행점수를 추론촉진과제를 실시하기 전 예측추론과제1의 수행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추론촉진과제 수행결과를 세 집단간 분산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추론촉진과제를 실시하기 전 예측추론과제1의 수행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생활연령일치 아동에 비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예측추론과제1의 수행은 언어연령일치 아동의 예측추론과제1의 수행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추론촉진과제 종류에 따라서 예측추론과제1의 수행에 비교하여 예측추론과제2의 수행을 분석한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언어연령일치 아동은 추론촉진과제를 실시하기 전의 예측추론과제1에 비해서 추론촉진과제 실시 후의 예측추론과제2를 유의미하게 더 잘 수행하였다. 생활연령일치 아동의 경우는 추론촉진과제 실시 전의 예측추론과제1의 수행에서 이미 천정효과를 보였기 때문에 예측추론과제수행1에 비해서 예측추론과제2의 수행에 큰 변화가 없었다. 두 가지 추론촉진과제 종류가 아동의 예측추론수행에 주는 효과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추론촉진과제인 일반지식 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생활연령일치 아동에 비해서만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을 나타냈다. 그러나 추론촉진 과제인 전제회상 과제 수행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생활연령일치 아동 및 언어연령일치 아동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오류 분석결과를 보면,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오류반응 빈도가 일반아동에 비해 높았다. 단순언어장애 아동 집단이 언어연령일치 아동 집단이나 생활연령일치 아동 집단에 비해서 ‘엉뚱한/빗나간 응답’의 오류유형 빈도가 특징적으로 높았다. 다섯째, 추론촉진과제를 실시한 다음 예측추론과제2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엉뚱한/빗나간 응답’의 오류유형 빈도는 예측추론과제1의 수행에서의 오류유형 빈도와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단순언어장애 집단의 개인화된 예측추론수행 능력은 생활연령일치 집단에 비해 부족하지만, 언어연령일치 집단의 예측추론능력과는 유사하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개인화된 예측추론능력은 추론촉진과제 실시 이 후 언어연령일치 아동의 수행 수준 정도로 향상되었다는 점을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ized predictive-inference i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2)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wo inference facilitating tasks, and (3) to investigate children's personalized predictive-inference depending on two inference facilitating tasks, a general knowledge task and a premises recalling task. Sixty-six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1) 22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group) whose chronological-age were 6-8 years, (2) 22 normal children who were of the same language age as the SLI children (LA controls), and (3) 22 normal children who were of the same chronological-age as the SLI children (CA controls).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with the first personalized predictive-inference task.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irst task, the intelligence test and the language test,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Two subgroups then had same quality in intelligence, language age, and first task performance. One of the two subgroups was applied the general knowledge task, and another was applied the premises recalling task. Then,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with the second personalized predictive-inference task. For data analysis, one-way ANOVA and repeated measure ANOVA were used. Analysis of error responses in the personalized predictive-inference tasks of the groups was don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roup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the groups, that is, the SLI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sonalized predictive-inference performance than that of the CA equivalent group. Second, in the general knowledge task, the SLI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than that of the CA equivalent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mises recalling task. Thir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task processing and after, that is, after task processing the SLI and LA children's personalized predictive-inference performance appeared higher than before.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personalized predictive-inference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asks. Fifth, error analysis suggested that the SLI group produced more errors than others compared to normal controls. In error pattern, the SLI group demonstrated higher frequency of the odd error type.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in which the children with SLI had difficulties in tasks requiring inference.

      • 이중언어 구사능력과 습득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어ㆍ일본어 이중언어 환경 자녀를 중심으로

        주현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identify the capability of bilingual and the influence of main factors to children who grew under Korean and Japanese bilingual environment. In order to check children’s language capability, tested their OBC conversational skill and surveyed their mothers for related factors. The tested or surveyed family holds are Korean families that live in Tokyo and Korean-Japanese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in Seoul. The number of Korean family participants is 14, and the number of children is 27 who attend elementary school. The number of Korean-Japanese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participants who live in Seoul is 30 and the number of children is 44 who are aged from 6 to 9th grade. The analysis explained below. The result of Korean families’ analysis that lives in Japan. First of all, approximately 55% of children reach academic conversation level and 41% reach ordinary conversation level in Japanese communication competence, as a local language. About 33.3% of children reach academic conversation level and 33.3% reach ordinary conversation level in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e, as a mother tongue. Second, by analyzing assumed factors which influence Japanese skill are period of stay, age of arrival, grades, and Korean skill, the result shows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Korean skill. Also by analyzing Korean related assumed factors which period of stay, age of arrival, and efforts for maintaining the Korean language,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efforts for maintaining the Korean language. The efforts for maintaining the Korean language’ means language input based on family. Although the children are disadvantaged to maintain Korean when age of arrival is younger and period of stay is longer, if the family provides any sort of language input, the children can learn Korean to academic conversation level. Third, there is Cummins' language interdependence between Japanese and Korean which mean children who have high Korean skill also have high Japanese skill. This proves that the high Japanese skill’s main factor is Korean. Fourth, the most effective methods to maintain Korean as minority language are speaking Korean in family, reading Korean books to child, and study in Korean before attend elementary school. The result of Korean-Japanese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analysis that lives in Seoul is written below. First, approximately 54% of children reach academic conversation level and 37% ordinary conversation level in Korean communication competence. Approximately 12% of children reach academic conversation level and 16% ordinary conversation skill in Japanese communication competence. Second, by analyzing assumed factors which influence Korean are grades, parental factors, and study in Korean,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grades and the next important factor is study in Korean. Also by analyzing Japanese related assumed factors which grades, parental factors, and efforts for maintaining the Japanese language,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efforts for maintaining the Japanese language. Third, there is language interdependence between father’s mother tongue(Korean) and mother’s mother tongue(Japanese) which proves that if the children’s level of mother’s mother tongue language skill is high, the Korean skill is also high. Fourth, compared to children who failed to heritage Japanese as minority language, the succeeded children experienced more usage of Japanese in early childhood and parents read many Japanese books to child. The similarity between two families is the same level of majority language and the difference level of minority language. As a result, whether the family arrived to other country or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the factor that decide the children can become bilingual or not is minority language skill. Therefore, if the child is attend to local school then it will be one method to focus on teaching minority language in order to make the child to become addictive bilingual.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일본어의 이중언어 환경에서 성장하는 자녀의 이중언어 능력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자녀의 언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OBC 회화테스트를 실시하고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가정은 도쿄에 거주하는 한국인가정과 서울에 거주하는 한일 국제결혼가정이다. 조사에 참여한 한국인가정은 총 14가정이며, 자녀수는 초등학교 1학년-6학년의 27명이다. 한일 국제결혼가정은 총 30가정이며 자녀수는 6세-중학교 3학년의 44명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인가정을 분석한 결과이다. 첫째, 현지어로서의 일본어 회화능력은 자녀의 약 55%가 학습회화능력, 41%가 일상회화능력이 있었다. 모어로서의 한국어 회화능력은 자녀의 약 33.3%가 학습회화능력을, 33.3%가 일상회화능력이 있었다. 둘째, 일본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체재기간, 이주연령, 학년, 한국어능력을 상정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한국어능력이었다. 또 한국어의 관련요인으로 체재기간, 이주연령, 한국어 유지노력을 상정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한국어 유지노력이었다. 한국어 유지노력이란 가정을 중심으로 한 접촉양을 의미한다. 즉 이주연령이 어리고 체재기간이 길수록 한국어를 유지하기에 불리하지만 가정에서 여러 형태로 한국어 접촉양을 확보하면 한국어를 학습회화 수준으로 습득할 수 있었다. 셋째, 일본어와 한국어 사이에도 상호의존관계가 성립하여 한국어능력이 높은 자녀가 일본어능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일본어의 주요요인이 한국어임을 뒷받침하였다. 넷째, 소수언어로서의 한국어를 유지하는 효과적인 방법은 5세미만에 이주한 가정이라면 가정에서 한국어로 이야기하기, 한국 책을 많이 읽어주기, 초등학교 입학 전에 한글 익히기로 나타났다. 한일 국제결혼가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자녀 자신의 모국어인 한국어 회화능력은 자녀의 약 54%가 학습회화능력을, 37%가 일상회화능력이 있었다. 계승어로서의 일본어 회화능력은 자녀의 약 12%가 학습회화능력을, 16%가 일상회화능력이 있었다. 둘째, 한국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년, 부모요인, 한국어 학습을 상정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중요한 요인은 학년이었으며 다음은 일본어능력이었다. 또 일본어 관련요인으로 학년, 부모요인, 일본어 유지노력을 상정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일본어 유지노력이었다. 셋째, 아버지 모어(한국어)와 어머니 모어(일본어) 사이에도 상호의존관계가 성립하여 어머니 모어가 우수한 자녀일수록 한국어능력도 높았다. 넷째, 소수언어로서의 일본어를 계승하는데 성공한 자녀는 실패한 자녀에 비해 유아기에 가정에서 일본어를 많이 사용하고 부모가 일본어책을 많이 읽어준 경우였다. 두 가정의 가장 큰 공통점과 차이점은 다수언어능력이 비슷한 수준이고 소수언어능력에 차이가 있다는 것이었다. 결과적으로 해외로 이주한 가정이든 국제결혼가정이든 그 자녀가 이중언어 화자가 되느냐 되지 못하느냐를 결정하는 관건은 소수언어능력이었다. 따라서 거주하고 있는 국가의 현지학교에 재학하는 자녀라면 다수언어보다 소수언어를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것이 소수언어는 물론 다수언어에도 도움이 됨으로써 두 언어가 모두 능숙한 가산적 이중언어 화자가 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김민옥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verbal control styles, ego-resil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specially, the focus of the study is in how parents' verbal control styles affect the ego-resil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of children. Participants were 430 students (203 male and 227 female 5th and 6th graders) from 4 elementary schools in Ulsan-city. Parents' verbal control styles was measured by the revised parents' verbal control styles scale(Lee, 2000) and ego-resiliency was measured by the ego-resiliency scale(Park, 1997). Subjective happiness was assessed by the Korean versions of the Seligman's scale(Seligman, 2004/2006).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Overall, students whose both parents had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style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of ego-resil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In contrast, students whose both parents had imperative verbal control style showed relatively low levels of ego-resil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In addition,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y and subjective happiness revealed that high ego-resiliency students experienced high levels of subjective happines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과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 대하여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검증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에 따라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주관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에 따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울산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 남학생 203명, 여학생 227명, 총 430명이며 사용된 측정 도구는 다음과 같다.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이종헌(2000)의 질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알아보기 위해 박은희(1997)의 질문지, 주관적 행복감을 알아보기 위해 Seligman(2004/2006)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8.01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에 따른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é 사후검증 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자아탄력성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은 아동의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의 5가지 요인 중 대부분의 요인에서 부-모가 인성적-인성적 유형을 사용하는 집단이 전반적으로 가장 높은 자아탄력성을 나타냈고, 5가지 모든 요인에서 명령적-명령적 통제유형을 사용하는 집단이 가장 낮은 자아탄력성을 보여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탄력성이 높은 학생들이 주관적 행복감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소인 활력성과 낙관성이 높은 아동일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에 따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언어통제유형 조합이 인성적-인성적일 경우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이 가장 높고 명령적-명령적일 경우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이 가장 낮았다. 특히, 주관적 행복감의 경우 어머니의 영향을 크게 받는데 아버지의 언어통제 유형에 관계없이 어머니가 명령적 언어통제를 사용하는 가정의 아동은 그렇지 않은 가정의 아동들에 비해 주관적 행복감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은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자아탄력성 또한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모가 아동에게 역할재량권을 많이 부여하는 인성적 언어통제를 주로 사용하여 아동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며 그 결과에 책임지는 경험을 자주 할수록, 아동은 수많은 변화와 문제 상황 속에서도 능동적이고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높은 자아탄력성과 주관적 행복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부모가 자녀에게 명령적 언어통제를 주로 사용하여 수동적인 삶을 살아온 아동은 문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적절하게 대처하는 자아탄력성을 갖지 못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주관적 행복감이 낮아질 수 있을 것이다.

      • 언어폭력 예방상담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친구관계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소유진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폭력 예방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친구관계와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런 연구 목적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정한 문제는 첫째, 언어폭력 예방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의 친구관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언어폭력 예방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의 공격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이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가설은 첫째, 언어폭력 예방상담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친구관계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언어폭력 예방상담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공격성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A군에 소재하는 2개 초등학교 2학년 학생 중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12명과 12명으로 모두 24명으로 선정하였고 실험집단에 언어폭력 예방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친구관계 검사지와 공격성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검사를 하였으며, 실험집단의 학생들에게 총 10회기 동안(주 2회 회기당 40분씩)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두 집단의 학생들에게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17.0)에서의 일원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한 통계적 분석을 하였고, 양적 결과가 갖는 신뢰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 여,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지에서 프로그램 효과와 관련된 표현을 정리하여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질적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폭력 예방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친구관계에서 p<.05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관계 하위영역 분석 결과에서는 실험집단의 도움제공, 친밀감, 신뢰, 갈등, 경쟁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동반감, 인정, 정서적 안정, 전반적 만족감 영역에서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언어폭력 예방상담 프로그램이 친구들 간의 관계에 일정부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언어폭력 예방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공격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성 하위 영역 분석 결과에서 간접적 공격성, 부정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신체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흥분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폭력 예방상담 프로그램은 친구관계 뿐만 아니라 공격성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질적 분석에 나타난 학생의 활동지 내용과 연구자의 관찰내용,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관심이 높아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학생들이 프로그램에 만족도를 가지고 있었기에 프로그램의 결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 비대면 채널에서의 언어폭력 유형별 감정소진 및 이직의도 관계성 연구

        김종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IT(information technology) and change in social phenomena have caused an increase in communication via non-facing channels among individuals and in workplaces and a decrease in communication via face-to-face channels consequently. From a customer’s perspective, an increase of non-facing channels in the service industry saved time and related costs. From the company’s perspective, there were economic benefits and improvements in customer service agility with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It is considered the efficiency of non-electronic customer services(e.g. call center) is higher than electronic service systems(e.g. ATM: Automatic Teller Machine, ARS: Automatic Response Service, Homepage) in the non-facing channel due to human interaction, which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service. Evidently, the non-facing channel worker’s role is becoming more significant in a company’s business strategy, but there has been little discussion on the topic in the past. Moreover, social issues in non-facing channels, such as ‘Gabjil’, which is an expression referring to authoritarian and offensive behavior by people who have power over others,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to ignore. It is known that verbal violence occurs in various situations and forms of emotions and expressions. Notably, that verbal violence in non-facing channels is distinctively different from face-to-face channels. It occurs in more wide forms and expressions in non-facing communications, as means of communication heavily relies on spoken language, with restrictive communication elements, such as visual and auditory signals. This research follows a case study design, with an in-depth analysis of verbal violence in a non-facing channel. The research composes of two parts: 1. To categorize types and forms of vocabulary used in verbal violence 2. To address the impact of each type of verbal violence on workers in a non-facing channel. In the first part of the research,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understanding of the vocabulary used in the everyday operation in a call center. Consultation between customers and call center agents was recorded in real-time and was analyzed using SA(Speech Analysis) based on big data technology to prevent result distortion and human error. In summary, verbal violence occurring during the consultation in the non-facing channel can be categorized into 5 types: insult, abusive language, unreasonable demand, sexual harassment, and threat/intimidation. The results from the expert in-depth interview and the SA showed consistency in the outcome, which confirms the verbal violence types occurring in non-facing channels. The research to date has addressed how stress caused by verbal violence affects the workers, but prior investigation dealt with verbal violence in general rather than specifying types of verbal violence. Moreover, there has been little attention paid to the expertise level and gender of workers; and it was not consider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second part of the research further explores the 5 types of verbal violence, with examination based on expertise level and gender. Moreover, this research extended from prior studies by providing an analysis of emotional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caused by verbal violence of each type. The results illustrated that the following types of verbal violence: insult, unreasonable demand, and sexual harassment, have an impact on emotional exhaustion, while abusive language and threat/intimidation do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The data suggested workers who are emotionally exhausted by verbal violence, experience a decline in job satisfaction and negative effect on physical health. It was evident that the decline in job satisfaction triggered turnover intention, while the negative effect on physical health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Furthermore, it was proved workers suffered from emotional exhaustion when exposed to verbal violence regardless of expertise level. This investigation proves that verbal violence and anger ventilation in the non-facing channel with characteristics of anonymity and invisibility have a serious impact on emotional workers, and it is causing extensive damage. Such characteristics are also exhibited in cyberspace.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s are advancing rapidly; however, it is likely verbal violence in the workplace will also continue to evolve in different shapes, which suggests continuous research on the impact of verbal violence. 현대사회는 IT(Information Technology) 발달과 사회현상의 급격한 변화로 개인이나 기업 현장에서 대면(對面) 커뮤니케이션이 감소하고 비대면(非對面) 채널을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서비스산업의 비대면 채널 증가는 고객 입장에서는 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익함이 있으며, 기업 입장에서도 전자식 시스템으로 대체하여 고객서비스를 신속하게 응대할 수 있음으로 경제적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비대면 채널에서 고객만족 지향의 서비스 활동은 전자식 서비스 시스템(ATM: Automatic Teller Machine, ARS: Automatic Response Service, Homepage 등)보다는 비전자식 서비스 시스템(콜센터 전화)의 효율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즉 사람과 사람이 상호 소통하며 응대하는 서비스 활동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비대면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이 기업의 경영 및 서비스 전략에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시점이지만 비대면 서비스 제공자의 감정노동에 대하여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실정이며, 최근 비대면 서비스 조직에서 발생하는 고객공격행동, 소위 ‘갑질행동’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언어폭력은 다양한 상황에서 여러 가지 형태와 감정 및 표현이 포함된 상태로 발생한다. 특히, 비대면 채널에서 발생하는 언어폭력의 형태는 대면 채널에서 일어나는 형태와는 사뭇 다르다. 언어적 요소인 입말(spoken language)로만 소통하기에 준언어적 요소인 시각적신호와 청각적신호의 작용이 제한되는 대화의 제약적 요소로 인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와 표현으로 언어폭력이 이루어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 논문은 크게 두 가지 주제를 가지고 진행을 하였다. 먼저, 언어폭력으로 행사되어지는 단어별 및 형태별로 조사를 하여 언어폭력 유형 분류를 제시한 후, 다음으로 유형별로 분류된 언어폭력이 각각 어떤 영향을 끼치게 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언어폭력이라는 주제를 연구하기 위해 비대면 채널의 업무 처리 상황에서 발생하는 실제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언어 특성상 맥락과 감정 및 경험 등에 의하여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간으로 기록된 녹취 파일을 사용하여 음성분석(SA: Speech Analysis)이라는 새로운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비대면 채널을 통해 일어나는 통화에서 언어폭력은 인격모독, 폭언/욕설, 무리한요구, (성)희롱과 위협/협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가심층면접(FGI: Focus Group Interview)에서 조사된 내용과 음성분석시스템 분석 결과가 상호 매핑이 가능하며, 비대면 채널 환경에서의 언어폭력 유형을 분류 할 수 있는 기준점이 될 수 있다. 감정근로자들에게 있어서 언어폭력에 의한 스트레스가 직무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조사는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언어폭력이라는 큰 범주만을 기준으로 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서 언어폭력에 수반되어 지는 다양한 유형과 표현에 의한 영향을 측정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 있었다. 또한 상담원 경력과 성별에 따른 영향 측정에 관한 조사가 충분치 않아 경력자 간의 차이점 분석에 관한 연구도 충분하지 않았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비대면 채널에서 발생하고 있는 언어폭력을 5개의 상위범주에 속한 유형그룹 기준으로 영향도를 측정하였고, 아울러 경력별 및 성별 구분에 따른 언어폭력의 영향을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이 연구는 언어폭력 유형그룹별로 언어적 스트레스가 감정소진과 직무만족 및 이직 의도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점이 있다고 할 것이다. 연구 결과를 정리해 보면, 언어폭력 유형 중 ‘인격모독’과 ‘무리한요구’ 그리고 ‘(성)희롱’은 감정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폭언/욕설’이나 ‘위협/협박’의 경우에는 감정소진에 영향을 그다지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감정소진의 영향을 받는 경우에는 직무만족도를 저하시키고 신체적으로 부정적인 증상이 발현된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직무만족도 저하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신체적으로 부정적인 증상이 나타난 경우라 할지라도 이직 의도에는 그다지 영향이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담사들은 경력이 적고 많음과는 상관없이 언어폭력에 노출될 경우에는 모두가 감정소진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을 통하여 비대면 채널에서의 익명성과 비가시성이라는 환경적인 특성에 기대어 자신의 분노를 언어폭력이라는 형태로 표출하는 것 때문에 감정근로자에게는 여러 형태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피해또한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비대면 채널과 사이버 공간이 유사하다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관리제도의 융합적인 도입이 될지라도 업무환경의 변화에 따라 언어폭력 또한 변화된 형태를 띠면서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될 것이므로, 언어폭력의 영향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밝혀 둔다.

      • 시각언어에 나타난 모호성(ambiguity)에 관한 연구 : 윌리엄 엠슨의 모호성 유형을 중심으로

        서정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요구되는 효과적인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이란 단순한 의미의 전달이 아니라 수용자가 적극적인 해석자의 역할을 맡을 때 가능하다. 최근 디자인 분야에서는 의사소통의 전 과정에 관계되는 의미작용에 관한 이론적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이에 따라 이 문제에 관해 새로운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다의적 쿠트가 지닌 '모호성'이란 개념을 중심으로 시각 언어의 의미작용에 관한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모호성'이란 개념에는 기존의 일방적 정보전달 표현과는 달리 해석큐트의 탄력성과 그 표현에 따른 새로운 방법론적인 형태에 대한 가능성이 존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특히 시적 언어와 시각 언어의 공통적 표현형식인 의미생산 의 내포적 특성과 의미의 확장적 개념을 연계점으로 삼고 발전적인 시각어휘로 '모호성'의 생산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시적 언어와 시각 언어의 연계점은 두 영역의 공통적 표현 형식인 의미생산의 내포적 특성에 있으며 이러한 특성은 각각의 함축적 의미를 갖게 되어 '모호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 '모호성'이란 말은 신비평의 선구자라 할 수 있는 월리엄 엠슨(William Empson)이 시적 언어가 지니는 풍부한 의미를 확장시키기 위해 제시한 개념으로 시적 언어가 갖고 있는 언어의 다의성을 뜻한다. 이 개념을 토대로 본 논문은 시각 언어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의사 전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언어적 의미를 연구에 연계시켜 의미생산이라는 관점에서 이 두 영역 사이의 상호연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전제로는, 첫 시적 언어와 시각 언어에서 발생히는 모든 커뮤니케이션은 인간의 인식과 모든 정신적 작용의 근간이므로, 공통된 의미의 영역은 '언어적'인 것으로 모델을 삼을 수 있다는 것이고, 둘째 시적 언어와 시각 언어의 공통적 표현 형식인 의미생산의 함축성(내포적 특성)이라는 연결 고리를 함께 가지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며, 셋째 의미 생산의 함축성과 다의성을 내포하고 있는 '모호성'의 뛰어난 의미의 확장성 때문이다. 위와 같은 전제 아래 제I장에서는 '모호성'의 일반적 의미에 대해 논의한 후 시적 언어가 갖는 '모호성'을 검토한다. 제II장에서는 시적 언어와 시각 언어의 상호 연계성을 찾아본다. 제III장에서는 시적 언어의 풍부한 의미의 다양성을 통합시키는 언어적 힘에 대해 분류한 윌리엄 엠슨(William Empson)의 「일곱 가지 유형의 모호성」(Seven Types Ambiguity)을 시각적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제IV장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모호성' 활용에 있어서의 문제��의의를 제시한다. 본 연구의 성과로는 간접적 표현 방식이라 할 수 있는 '모호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주로 직접적인 표현 방식으로 받아들여졌던 시각 언어의 영역을 확장하여 현실의 구체적인 대상이나 사건에 대한 반영과 묘사는 물론 추상적인 개념이나 복잡한 내용, 경험으로 인식되지 않는 새로운 사실 등에 대한 표현을 포함할 수 있게 하였다. 더 나아가 '모호성'에 대한 연구는 시각적 표현에 있어서도 의미를 확장하거나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는 방법으 받아들여 표현의 발전적 방법론을 가능하게 한다는 긍정적 측면 을 지닌다. 이렇듯 시각 언어의 실험성과 사고의 확장을 위해 인접학문에서 연계한 '모호성'이란 개념을 새로운 시각적 어휘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Efficient design communication in the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is possible not when a definitive meaning is passed around but when the receiver of the meaning can work as its positive interpreter. It is for this reason that recently, the importance of the researches on sipiitication - that is, how meaning takes place - in relation to the entire communication process, have been much realized and new approaches to this issue have been made. As one of the approaches of this nature, this thesis proposes to broaden the horizon of the signification process of visual language focusing on the notion "ambiguity" which contains within itself the possibility of multiple meaning in literary texts. In other words, this study propose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poetic language and visual language share when they serve as an expressing. The meeting point between poetic language and visual language lies in implications which refer to intentional nieanings of the two areas of poetir language and visual language and which therefore admit of "ambiguity" and plurality. In terms of the notion of "ambiguity" which is borrowed from William Empson who wanted to expand the area of plural sipiification of poetic language, this study relates poetic language and visual language based on the belief that an examination of literary language will give clu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tion process of visual languag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assumptions: First, since all communications through poetic language and visual language are the origin of human perception and mental action, the linguistic elements can be taken as a model for their common area. Secondly, both poetic language and visual language can have implications as their common expressive form when they produce meaning. Finally, through "ambiguity" both poetic language and visual language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multiple implication.

      • 인지부조화 감소반응과 시각언어의 상관관계 : 이동통신 TV CM을 중심으로

        이수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시각언어는 정보를 구성하는 기본적 단위의 하나로서 비언어적 요소이나 언어의 한계를 넘어 보편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정보는 다양한 감각기관을 통해 수용되는데 그 중 시각은 지각되는 정보의 양과 우세성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겨져 오랫동안 다각도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시각 정보는 사람의 기본적인 지각 시스템과 각 개인의 경험·지식 등의 연합과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개인적 성향에 의해 각각 다르게 수용된다. 정보가 가지고 있는 시각적 요인은 심상을 구성하는 중요한 변수가 되는데, 시각언어를 구사하여 결과물을 제작하는 디자인의 속성 심미성, 기능성, 사회성 등-은 정보의 ‘긍정적 심상’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 점은 정보의 많은 부분이 시각에 의존하고 있는 것, 시각적 요인만으로도 인간을 설득하거나 태도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연구결과 등에서도 보여지고 있다. 인간에 노출되는 일련의 새로운 정보는 호기심, 정보로서의 유용성 및 가치, 긍정적인 심리적 평가 등의 정도에 따라 수용자의 감성을 자극하게 된다. 인간은 인지는 정보수용시 일관성을 유지하려 하는 반면 인지 상의 유연성 역시 가지고 있다. 이는 곧 기본적으로 심리적 균형을 깨트리지 않는 상태에서 새로운 정보를 수용하고자 한다 말할 수 있겠다. 사회구성원의 일원으로서 인간은 자신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유지하고자 한다. 이는 자신이 합리적인 사람이며 옳은 판단과 선택을 하는 ‘좋은good’ 사람이라고 믿고 싶어하는 점에서 기인한다. 개인마다 형성되어 온 가치관 및 태도와 자신의 긍정적 이미지를 유지하고자 하는 일관성과 새로운 정보가 일치할 때는 갈등 없이 수용되나 여기서 벗어날 경우 크고 작은 긴장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인지부조화라 하는데, 반드시 거창한 일이나 의사결정 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생활에서도 빈번히 경험하게 된다. 인지부조화집단은 불쾌한 심리적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인지요소에 대한 행위 변화, 인지요소의 변화, 새로운 인지요소의 추가, 정보의 회피 등의 감소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인지부조화 감소반응과 시각언어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이동통신서비스 회사의 TV CM을 사례로 실증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의 다수가 인지부조화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구체적으로는 첫째, 인지부조화집단은 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시각언어에 대해 인지조화집단보다 낮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지부조화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자신의 심리적 불쾌감을 유발하는 정보의 시각적인 부분을 낮게 평가하려는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된다. 둘째, 인지내용이라 할 수 있는 조형언어에 대해서는 호의적인 평가를 하였고, 인지과정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는 의미작용과 시각적 인상 부분에서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부적인 평가도 높았다. 인지부조화집단은 정보수용 여부의 결정단계에서 인지조화집단보다 거부(혹은 회피)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인지의 내용과 과정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마지막 수용 결정 단계에서 인지부조화를 일으키는 정보를 거부하거나 회피하려 하는 성향이 높다고 말할 수 있겠다.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정보는 인간에게 노출되기는 하지만 수용자에게 완전히 내재화되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새로운 정보는 기존 인지와 연합하기 전 다소간의 부조화를 일으켜 수용자에 따라 여과된다. 인지부조화 후 형성되는 태도는 자신의 긍정적 이미지를 유지하기 위해 이후의 정보처리와 행동의 일관성이 보다 강하게 형성된다. 디자인은 전달 대상에게 의도한 바를 정확하게 전하고 수용하게끔 해야하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바 먼저 그 정보가 인간에게 노출되었을 때 어떠한 상태로 수용되는 지 정교한 분석과 기획이 필요하다 하겠다. 또한 디자인의 심미성, 기능성, 사회성 등의 속성은 인간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시각언어를 구사하므로 시각언어가 얼마나 그 사람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유지시킬 수 있는지의 정도에 따라 정보의 수용가능성은 높아진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본 연구가 정보 제작자와 수용자간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과 시각언어의 활용에 초석이 되기를 바란다. The Visual language - one of the basic units composing a information - is a nonverbal elements, but it is a universal language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mmunicate beyond the limit of a language in lots of cases. Information can be perceived through many kinds of sensory organs. From among those ones, vision has been regarded as being greatest importance both in the amount and the predominance of information perceived and consequently the studies on these matters have been gone on for a long time in many aspects. The visual factors of the information are accepted after the transformation by (1)the human basic perception system, (2)the combination of individual experience and knowledge, (3)the social communication and (4)the each one's tendency. The visual factors of information become a important variables composing the imagery. And the major attributes of design - aesthetic, functionality, sociality - which create designed products by visual language become the important factors in forming 'positive imagery' of information. This is also shown in such studies that many parts of information depend on vision and only the visual factors can change and persuade one's attitude. A series of new information exposed to human comes to stimulate accepters' sensibility according to the degrees of curiosity for it, by the impression of usefulness and the value of it as information and by the positive, psychological evaluation about it. Human not only has the tendency to maintain consistency when he or she accepts information, but also has flexibility on cognition, and these are the results from that a person basically wants to obtain new information in the condition of not destroying the balance in mind. A person, as one of the social members, wants to maintain his or her own positive image. This is resulted from the psychological state that one wants to believe oneself a rational and good person who makes right choice and judgement. New information can be accepted to every individual without any conflict when corresponding to it positively, but in the case of the loss of its consistency of some information, it can cause some sense of tension to him or her. This is called 'cognitive dissonance'. Such a tension or a psychological discomfort does not happen necessarily in the great matters or some decisions, but frequently in everyday lives. 'Cognitive dissonance' groups show reductive responses such as the changes of accepters' reacts, the changes of cognitive elements, the addition of new cognitive elements, and the avoidance from information to dissolve the discomfort state in those mind. I made a positive survey with TV CM of mobile communications service companies to 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reductive reponses to cognitive dissonance and visual language. This survey shows that the majority of those surveyed were experiencing the cognitive dissonance. Firstly, the 'cognitive dissonance' groups downgraded visual language consisting of information more than the 'cognitive consonance' groups evaluations. This means that one who experiences cognitive dissonance has the potential to evaluate lowly the visual part of information that cause one's own psychological discomfort. Secondly, favorable evaluation was made with the response to a plastic language which can be said to be cognitive contents. And negative responses were also high with positive ones with regard to the operation of meanings and visually impressive parts which can be said to cognitive processes. The 'cognitive dissonance' groups have a higher tendency to rejection (or avoidance) of information than the 'cognitive consonance' ones in the stage of determining whether to accept it. It means that they have high tendency to reject or avoid the information causing cognitive dissonance in the final stage for the acceptance even though the positive evaluation was made in the aspects of cognitive contents and processes. The information exposed to a person is ceaselessly reproduced, but it is not completely internalized to accepters. Most of these information gives rise to more or less dissonance to a person prior to being associated with the existing cognition with some accepters filtering it. After experiencing cognitive dissonance, the accepters' attitude becomes more strong about the consistency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actions to maintain their own positive images. It is said that design has the specific purpose to conveying the intended information to people more accurately and have them accept it. So, A designer first needs to analysis and plan to know that in what condition the information is accepted when exposed to a person. You can easily point out that the three major attributes - aesthetic, functionality, sociality dose have a good command of visual language that stimulate human sensibility. In this regards, it can be also said that the possibility of accepting information depends on the degrees how visual language can maintain the positive image of a person. I hope that this study of all the above will be a foundation for the application of visual language and th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manufacturers and accepters of information.

      • 만 4세 유아반의 유아-유아와 유아-교사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

        김민경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in-depth what changes occur in language interaction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children and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in a 4-year-old children class.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is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rocess of change in children-children language interaction at a 4-year-old children class? 2. What is the process of change in languag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teacher at a 4-year-old children class? The study was conducted in class 1 (pink class) for 4-year-olds at P Kindergarten in D Metropolitan City.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2 children (15 boys, 7 girls) from the pink class. The average age was 57 months. Teacher A had 6 years of experience, and Teacher B had 2 years of experience. The study consisted of participant observation more than twice a week for a total of 7 months from April 2023 to October 2023. Recordings were recorded during participant observation, and the recording files were transcribed to create a participant observation log. Additionally, the researcher created a reflective journal and used it when analyzing this recor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by dividing them into two categories: the change process of language interaction between 4-year-old children and children and the change process of language interaction between 4-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The process of change in language interaction between 4-year-old children and children is as follows: First, when counting something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4-year-old children use unit words that express weight when they want to count or say length, no matter what the unit is. There was difficulty in selecting and using appropriate unit nouns. However, children gradually showed the ability to select and use the corresponding classifier according to the noun. Second, a lot of cartoon-related themed play among children took place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but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children showed more interest in play themes rather than cartoons and changed to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play. Third, when talking about what they have or know, they tend to exaggerate and show off by adding imagination. However, when the teacher talked with the children about exaggerating, showing off, and teasing their peers and gave them feedback to use considerate words, the children changed to be more considerate and able to share with each other. Fourth, 4-year-old children used interesting words or onomatopoeia to attract the attention and interest of their friends. As time pass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became more intimate, they showed the use of words and onomatopoeia for realistic and vivid expressions rather than just for fun. Fifth, when it comes to the concept of time and date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4-year-old children expressed events from long ago as if they were recent events. Afterwards, the children were seen repeatedly talking and learning about dates with their teachers, gaining the concepts of time and date, and changing to using them. The process of change in language interaction between 4-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is as follows: First,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children are shy and find it difficult to share and present their experiences and stories in front of their peers, but they gradually become more confident in sharing their stories, thoughts, and emotions. It has changed into what it represents. Second, when a child has a conflict with another child, he or she seeks help from the teacher as a way to resolve the problem, fights break out among the children, and he or she is seen shedding tears. However, the child gradually showed a change toward trying to resolve conflict situations in a positive direction, such as talking with a friend facing a conflict, listening to each other's thoughts and opinions, making concessions, and finding appropriate alternatives together when it is difficult to make concessions. Thir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children were seen mixing polite and semi-honorific terms, but when the teacher repeatedly taught them how to use honorifics correctly, the children used the completed polite form. Fourth, the infant had difficulty knowing and using the predicate that matches the subject when creating a sentence, but when the child was told many sentences containing the corresponding subject and predicate in various fairy tales and continuous language interactions, the child began to write natural sentences according to the sentence structure. Fifth, in storytelling activities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children created stories by looking at only fragmentary pictures. Afterwards, the teacher prepared a fairy tale and provided appropriate questions and opportunities for continuous storytelling so that the children could tell the story by looking at several parts of the picture, not just one part of the picture. Then, we were able to see the children creating more specific stories with a larger flow. These results show that several change processes exist in the linguistic interactions between 4-year-old children and toddlers, and between toddlers and teachers. Furthermore,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is in depth, carefully noticing children's language use and changes, and responding appropriately. 본 연구는 만 4세 유아반의 유아와 유아, 유아와 교사 관계에서 언어 상호작용에 어떠한 변화 과정이 나타나는지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4세 유아반의 유아-유아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은 어떠한가? 2. 만 4세 유아반의 유아-교사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은 어떠한가? 연구는 D광역시에 있는 P유치원의 만 4세반 1학급(분홍반)에서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분홍반 유아 22명(남아 15명, 여아 7명)으로 평균연령은 57개월이며, A교사의 경력은 6년차, B교사의 경력은 2년차이다. 연구는 2023년 4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총 7개월간 주 2회 이상의 참여관찰로 이루어졌다. 참여관찰을 하는 동안 녹음하였으며 녹음파일을 전사하여 참여관찰일지를 만들었다. 또한 연구자가 반성적 저널을 작성하고 이 기록을 분석할 때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만 4세반 유아-유아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과 만 4세반 유아-교사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의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만 4세 유아와 유아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은 첫째, 만 4세 유아들은 학기 초 무언가를 셀 때 단위의 대상이 무엇이든지 ∼개라고 세거나 길이를 말하고 싶을 때 무게를 표현하는 단위어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알맞은 단위명사 선택과 사용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유아는 점차 명사에 따라서 대응되는 분류사를 선택해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둘째, 유아들 사이에서의 만화와 관련한 주제의 놀이는 상반기에 많이 이루어졌으나 하반기가 되면서 유아들은 만화보다는 놀이주제에 더 관심을 보이고 해당 놀이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으로 변화했다. 셋째,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이나 알고 있는 것에 대해 이야기할 때 상상을 가미해 과장하고 과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교사가 유아들과 과장, 과시하며 친구들을 놀리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며 배려하는 말들을 사용하도록 피드백을 주자 서로를 더욱 배려하고 나눌 줄 아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넷째, 만 4세 유아들은 친구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기 위해 재미난 단어나 의성어를 사용했다. 시간이 지나며 유아들 사이의 관계가 더 친밀해짐에 따라 단지 재미를 위해서라기보다 실감나고 생생한 표현을 위해 단어나 의성어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다섯째, 만 4세 유아들은 학기 초 시간과 날짜 개념에 있어 오래 전의 일도 근래의 일인 듯 표현했다. 이후 유아들은 교사와 날짜에 대해 반복적으로 이야기를 나누고 알아보며 시간과 날짜 개념을 얻고 이를 활용하는 쪽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만 4세 유아와 교사의 언어 상호작용 변화과정은 첫째, 학기 초 자신의 경험과 이야기를 친구들 앞에서 공유하고 발표하는 것을 부끄러워하고 어려워하는 모습에서 점차 자신감 있는 태도로 자신의 이야기와 생각, 감정 등을 나타내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유아가 다른 유아와의 갈등이 있을 경우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교사의 도움을 구하거나 유아들 사이에서 다툼이 일어나기도 했으며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유아는 점차 갈등을 마주한 친구와 이야기를 나누며 서로의 생각과 의견을 들어보고 양보하기도 하고 양보가 어려운 경우 적절한 대안을 함께 찾아보는 등 긍정적인 방향으로 갈등 상황을 해결하려는 쪽으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셋째, 학기 초 유아에게서 존대와 반 존대를 혼용하는 모습이 보였으나 교사가 존댓말을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반복적으로 알려주자 유아는 완성된 존댓말을 사용했다. 넷째, 유아는 하나의 문장을 만들 때 주어에 맞는 서술어가 무엇인지를 알고 사용하는 것을 힘들어했으나 다양한 동화와 지속적인 언어 상호작용 속 상응하는 주어와 서술어가 들어간 문장을 많이 들려주자 문장 구조에 맞게 자연스러운 문장을 구사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다섯째, 학기 초 스토리텔링 활동에서 유아들은 단편적인 그림만을 보고 이야기를 만들어 냈다. 이후에 교사가 동화를 준비해 한 부분의 그림만이 아니라 여러 부분의 그림과 같이 보며 이야기를 지을 수 있도록 적절한 질문과 연속적인 스토리텔링의 기회를 제공했다. 그러자 유아들이 큰 흐름이 있는 보다 더 구체적인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만 4세 유아와 유아, 유아와 교사의 언어 상호작용에 여러 변화과정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이를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유아의 언어 사용과 변화를 세심하게 알아차리고 적절히 반응해 주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제2언어 영어교육 연구 동향 메타 연구 : 영어교육지와 ELT 저널을 중심으로 비교분석

        이성희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제2언어 영어교육에 관한 주제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교육과 관련된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함을 통하여, 한국의 제2언어교육에 대해서 최근 10년간의 연구 방향과 현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토대로 국내 제2언어교육 연구자들에게 향후의 연구 동향에 대한 길잡이 역할을 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제까지 제2언어 영어교육에 있어 본 연구와 같은 문헌종합 연구가 국내에서도 어느 정도 있어 왔던 것은 사실이나 그 수가 상당히 부족하고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서만 연구되어 왔기에 다양성과 풍부함을 갖추지 못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을 통해 이러한 제2언어 영어교육 연구에 대한 방향을 파악할 수 있고, 국외 연구와 함께 비교하여 분석함으로써 세계적인 추이에 따른 국내 연구의 추후 진로를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언어 영어교육에 대한 문헌종합 연구를 하기 위해서 연구 기준을 세우는 것은 중요하여 현행 연구 중 가장 넓은 틀에서 연구방향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총 10년 동안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방법, 연구주제, 그리고 목표 언어기능을 연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정한 제2언어 영어교육에 관한 총 405편의 국내 학술지 영어교육(English Teaching) 논문과 총 320편의 국외 학술지 ELT journal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방법에 있어 국내 연구는 양적 연구는 총 163편(41%)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외 연구는 질적 연구가 총 140편(43.75%), 혼합 연구가 63편(19.6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연구주제를 살펴보면, 11가지 항목 가운데 ‘영어습득/학습’ 분야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주면서 국내에서는 148편(36.5%), 국외에서는 75편(23.4%)의 연구가 있다. 넷째, 목표 언어기능을 보면 기타 연구를 제외하고 국내에서는 쓰기 81편(20%), 문법 66편(16%), 말하기 42편(10.3%), 국외에서는 쓰기 45편(14%), 말하기 43편(13%), 화용 20편(6%)으로 비중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학술지를 비교해 보면 국내 학술지와 국외 학술지는 동일한 양상을 띠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국내외 통신의 기술이 발달하고 글로벌 세계로 나아가 국내외 많은 교류가 있으면서 국내외 학계에서 공통된 관심 분야로 상당히 많은 것을 공유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연구는 문헌종합 연구로서 현행 교육계의 제2언어 영어교육의 중심과 흐름을 정리하여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 학문적 방향을 고찰할 때 어떠한 부분에 대해서 더욱 관심을 가져 깊이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제2언어 영어학습에 있어서 문헌종합 연구가 국내외 연구자들이 더욱 견고하고 다양성을 겸비한 틀을 갖추어 연구할 것은 필요적이고 유의미하다. This article compares recent topical and methodological trends in L2 learning research published in one domestic (English Teaching) and one international journal (ELT journal) from 2008 to 2017. The journal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extent to which the area of L2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s given impact factors at the time of data collection in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during the period. A total of 725 articl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research themes and target languages skills. Results reveal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change in domestic research over the past ten years when compared to survey before 2008. The result show that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as higher than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 English Teaching while, in ELT journal, more than about 47 percent of the articles reli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along with a relatively larger proportion of mixed method research in English Teaching. As for research topic, article based on acquisition/learning theories have been published most both in English Teaching and ELT journal. In terms of target language skills, writing has been studied most in both English Teaching and ELT journal.

      • 경도 정신지체 아동의 상위언어능력

        최차숙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상위언어능력이란 “단순히 문장을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 그 자체를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그러나 정신지체 아동들은 언어발달상의 문제와 음운, 의미, 구문, 화용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이 어려움이 상위언어능력과 연결되어 의사소통 기술 부족, 적합한 화제 찾기, 어휘 선택하기, 유머 이해하기, 농담하기에서 이해를 못하거나 적절히 반응하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위언어능력을 정신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아동으로 정신지체 3급으로 진단받고, 생활연령이 8세인 아동,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5세 일반아동, 그리고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8세 일반아동 각각 15명씩 총 45명이었다. 상위언어능력 과제는 음운, 의미, 구문에 오류가 있는 문항을 제시하여 문장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여,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면 상위언어능력이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아동이 오류를 인식하지 못하거나 혹은 오류를 인식하였으나 수정하지 못할 경우 언어자극과 함께 그림 시각자극을 보여주었다. 세 집단의 상위언어능력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비교하였고, 언어자극과 시각자극을 함께 준 후의 향상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신지체 아동은 언어연령이 동일한 5세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상위언어능력이 유의하게 낮았고, 8세 일반아동집단은 5세 일반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상위언어능력 구성요소별로 보면 음운영역에서는 정신지체 아동집단이 8세 일반아동 집단, 5세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의미영역에서 정신지체 아동집단은 8세 일반아동집단, 5세 일반아동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구문영역에서 정신지체 아동집단, 5세 일반아동 집단이 취약한 영역이었고, 8세 일반아동 집단에 비해 점수가 낮았다. 맞는 문장에 대한 인식에서 세 집단 모두 맞는 문장이라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았다. 언어자극에 대한 오류 인식과 수정이 어려운 경우, 두 가지 자극에 대한 아동들의 오류인식과 수정에 관한 상위언어능력을 살펴보았다. 8세 정신지체 아동 집단, 8세 일반아동 집단, 5세 일반아동 집단 각각의 상위언어능력과, 각각의 구성요소인 음운영역, 의미영역, 구문영역에서 향상됨을 보였다. 상위언어능력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현 실정에서 본 연구를 통해 정신지체 아동집단을 대상으로 상위언어능력을 알아보았고, 이들이 언어연령이 동일한 집단에 비하여 상위언어능력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시각자극을 제시했을 때 상위언어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점, 각 집단의 상위언어능력에서의 차이점과 취약한 영역이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Metalinguistic ability does not mean the ability to use language to simply understand and express but the ability to 'think' the language itself. However, mentally retarded children suffer from development problems and in the aspect of phonological, semantic competence, syntactic structure and pragmatic competence. Since this difficulty is connected with the metalinguistic ability, it is possible to witness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misunderstanding of, or improper response to, finding suitable subjects, selecting vocabulary, and understanding humor. Therefore,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metalinguistic ability among mentally retarded children.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45 children who live in the Seoul and Gyeongi-do area, among which 15 were diagnosed with 3rd degree mental retardation and 8 years old, 15 were normal 5-year-old children with a similar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other normal 15 children were 8 years old with a coherent chronological age. To perform the metalinguistic ability test, it was regarded that a child possesses a metalinguistic ability if they can suggest a sentence, conclude whether the sentence is correct of incorrect, and correct errors. However, when a child neither noticed nor corrected errors, a picture visual condition was provided along with the language condition. The metalinguistic ability of the three groups were compared through a one-way ANOVA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ratio was determined after both a language and picture visual condition were provided. In conclusion, the metalinguistic abili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roup of normal 5-year-old children with a similar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while the metalinguistic ability of the normal 8-year-old childr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5-year-olds. When comparing the components of metalinguistic ability, the ability of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both groups of normal children in the phonological area. In the semantic area, the abili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both groups of normal children. In the area of syntactic structure, both the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the normal 5-year-old children had poor abilities and showed lower points than the normal 8-year-old children. The children in all three groups were able to recognize what sentences were correct. In case they had difficulty with recognition and correction of errors on language condition, the determination of the metalinguistic ability was focused on recognition of errors and correction. In conclusion, the group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both groups of normal children showed improvements in their metalinguistic ability and respective components - phonological area, semantic area and syntactic area. Currently,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metalinguistic abilit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the metalinguistic ability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and it was determined that their abilities were lower than the groups with a similar level of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the metalinguistic ability improves when a picture visual condition was given, and the differences and weak areas in the metalinguistic ability of each group were deter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