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의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원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is the first qualitative study on students who majored in the Korean language at Chinese universities and went to Korean graduate schools for master programs after gradu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is study explores what they experience in Korea, what challenges they face, and how those challenges can be addressed, so as to find ways for improving their adaptation to their life in Korea. To that end, this study asks the following: What experiences and challenges do they face as Korean language majors from Chinese universities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How do they cope with the challenges? What are their expectations about their graduate school life in Korea?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1 students at 10 graduate schools in Seoul who majored in the Korean language in China and graduated from, or are currently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as masters or master candidat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presents its findings in five categories: the differentiation of Korean language graduates at Chinese universities from ordinary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s of adapting to graduate school life in Korea; the methods for coping with the challenges arising from the adaptation; and the rewarding aspects of living in Korea as graduate student. As for the first categor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have three differentiation from ordinary international students: they boast higher proficiency in the Korean language than other international students; they received formal Korean language training before coming to Korea; and they researched about life in Korea before coming to the country. Secondly, as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their motivations for studying at Korean graduate schools can be broken down into several categories: the goal of improving their Korean and achieving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the revitalization of joint programs between Chinese and Korean universities; difficulties faced by university graduates in the Chinese job market; the language environment in Korea; and the interest in majoring in new areas. Thirdl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face various academic, socio-cultural, and personal/affective challenges in the course of adapting to their life at Korean graduate schools. Fourthl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cope with the challenges by seeking help from people around them, taking time to make up for their shortcomings, and accepting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ociety. The interviewees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ir language skills. Fifthly, the rewarding aspects of living in Korea reported by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included the changes brought on by their life in Korea as graduate students, and the realization of the expectations they had for their life in Kore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ursued deep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Korean language graduates from Chinese universities as graduate students in Korea, at least partially fill the gap in previous literature, and proposes advices to student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t Chinese universities. 본 연구는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한 후 한국 대학원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질적 연구로서 심층 면담을 통해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한 전공자로서 한국 대학원을 다니면서 어떤 경험이 있고 어떤 어려움을 겪을 것인지, 이 어려움을 어떻게 대처해 해결할 수 있는지를 탐색함으로써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 효과를 향상하게 시키려는 방법들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그리고 어떠한 어려움은 겪는가? 둘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가? 셋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에 와서 대학원 유학생활을 통해 갖는 기대는 무엇인가? 이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국대학 한국어과를 졸업하고 한국으로 유학 온 대학원 석사 과정에 졸업하거나 재학하고 있는 서울시 소재 10개 대학의 대학원생 11명을 선정하여 연구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대학 한국어과 졸업생의 일반 유학생과의 차별성,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 적응 문제, 적응 경험에서 겪는 어려움 대처방식,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의 보람이라는 총 5가지의 연구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졸업생은 일반 유학생과의 차별성이 있는데 그 차별성이 다른 유학생에 비해 뛰어난 한국어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받았고 한국에 오기 전에 이미 한국에 대한 대학원 수업에 대비해서 한국 문화를 사전 수강한 차별성이 나타났다. 둘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전공자로서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한국어 실력 및 학력 향상, 중한 대학 간의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 중국 내 대학졸업생 취업난 현황 및 한국에서의 언어 환경 그리고 새로운 전공 학습요구 증가함으로 한국 대학원에 진학 동기가 되었다. 셋째, 중국대학 한국어과 학생들이 한국 대학원에 겪는 유학생활의 적응 문제로 크게 학업적, 사회 문화적, 개인-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눌 수 있었다. 넷째, 한국어과 전공자들은 한국 대학원에 유학생활은 적응하면서 여러 가지 적응 문제들을 겪지만 나름대로 대처방식으로는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거나 시간을 들여 적극적으로 노력하여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고, 한국 사회의 특징들에 대해 받음과 이해하며 언어 향상에 대해 강조하고 있었다. 다섯째, 한국어과 전공자들이 가장 보람 있다고 느끼는 것은 크게 한국 대학원 유학생활을 통해서 나타난 변화와 유학생활을 통한 기대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대학 한국어과에 졸업한 후 한국 대학원에 진학한 전공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대학원 유학생활 경력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연구결함을 다소나마 보완하고 중국대학에서 한국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조언을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재한 중국인 대학생의 한국 대학원 진학계획 영향요인 분석

        이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육국제화가 심화되고 고등교육의 국제적인 교류활동이 다양해지면서 유학생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 대학 학력의 보편화로 인해 석사와 석사 이상 학력의 사람은 직장에서 우대를 받을 수 있고, 실업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그래서 대학원 졸업한 후에 대학원 입학을 선택하는 학생들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중국 내에서 '대학원 진학 열' 현상이 나타나고 있고, 한국으로 온 대학원 지망생 수도 늘어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도 정책을 통해 학생들의 대학원 진학 결정에 기여하고 있다. 그래서 대학원 진학은 사회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하지만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계획에 대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 대학원 진학계획에 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다니고 있는 2학년 이상의 중국인 학부생들이 한국 대학원으로 진학할 계획을 살펴본다. 진학 계획이 있는지, 영향요인이 어떻게 되는지, 각 요인의 영향력이 어떻게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의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 여부에 따른 독립변인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서울 4년제 대학교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서울 4년제 대학교의 학부과정 중인 중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대학원 진학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의 영향 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6개의 4년제 종합 대학 학부 과정에 재학 중인 대학교 2학년 이상의 중국인 학부생들이다. 설문지를 만들어 셀프조사연구 소프트웨어 “問卷星”( www.wjx.cn) 을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9년 10월 18일~11월 16일까지 총 474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에 응답을 완성하지 않은 경우와 표 집단에서 벗어나는 경우를 제외하고, 총 460부의 유효응답을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전공, 부모의 기대와 학교생활 만족도는 진학 계획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체능, 사범계열 등 계열의 중국인 대학생들이 인문사회 계열과 자연이공 계열의 학생보다 한국 대학원 진학을 선호하지 않는 편이다. 부모의 자녀가 대학원에 진학할 것을 기대하는 것은 학생들의 대학원 진학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중국인 가정에서 부모의 의견은 여전히 자녀에게 큰 영향을 준다. 학교생활의 만족도도 중국인 대학생들이 한국 대학원 진학계획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 진학 계획이 있는 학생과 진학 계획이 없는 학생 간에 교수영역의 만족도, 교육내용의 만족도, 학생활동의 만족도, 학교환경의 만족도에서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deepening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 and international exchange activities of higher education, more and more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foreign students. In recent years, people with master's and higher degrees can get better treatment at work, and their unemployment rate is lower. Therefore, the proportion of students choosing to enter graduate school is growing. Against this backdrop, there is a "postgraduate fever” phenomenon in China leading more Chinese students to study in Korea. Chinese government releases the beneficial policies aiming that more students are willing to enter graduate schools. Therefore, gaining a postgraduate degree has become a social issue. However,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the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This study aims at researching the plans for Chinese undergraduates at Seoul-based four-year universities about going to graduate schools in Korea. Trying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postgraduate study plan, and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Three research problems have been set up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First, what the difference between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a four-year university who have postgraduate study plans in Korea, and those who don't postgraduate study plans in Korea are. Second, what the Influence Factors in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overseas students studying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of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are. Third, in which degree these factors influence the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the undergraduate program of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To solve these questio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via the self-researching software 問卷星(www.wjx.c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Chinese undergraduates who are sophomore and above in six four-year general universities in Seoul. 460 effective responses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18, 2019, and November 16, 2019.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students who major in the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prefer to have a postgraduate study plan in Korea than those major in the arts, physical education, and education. Parents' expectations of children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postgraduate study plans. The opinions of parents in Chinese families still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ir children.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fe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postgraduate study plans.

      • 대통령의 평판요인에 관한 연구 : 이해관계자의 일체감과 충성도를 중심으로

        심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47

        In 2009, the reliability and leadership of the supreme leaders among USA, Germany, Great Britain, France, Russia, China, UN, and Iran were measured in 20 nation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about 61% responded President Obama was the most trustworthy of all the leaders from the previously mentioned countries. As first African-American President, President Obama, whose dedication for the values of mutual cooperation and respect is renown, has come up to the surface as the center of world leadership. This demonstrates 'soft power' thatdraws people's voluntary adaption and approval is more effective than 'hard power' which has to do withmilitary and/or economic strength. This is the reason that many of the leading countries are jumping into the soft power growth competition, and the abstract values such as global reliability and reputation of the leaders are becoming more crucial. To this day, reputation study has been conducted mainly towards corporate organizations, or individuals which mostly included CEO’s and celebrities. Reputation studies towards presidents that represent a whole nation are seldom conducted, and studies that do regard presidents are usually about their leadership. As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reputation is constantly increasing, wedecided to apply this general idea of reputation to the presidents. First, composition factors to measure the president’s reputation were drawn, and through this, reputations for the past presidents were measured among various groups of stakeholders (i.e. common citizens, academia, civic group, the press, economic community). Furthermore, relationship between presidential composition factors, sense of unity, and loyalty was analyzed among each stakeholder. Presidents that were analyzedare former presidents Park Chung-Hee, Chun Doo-Hwan, Kim Young-Sam, Kim Dae-Jung and Roh Moo-Hyu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RQ1】 What are the composition factors of a president’s reputation? 【RQ2】How are the perception levels towards the president’s reputation different among each stakeholder (common citizens, the press, academia, and the civic group)? 【RQ3】How does the president’s reputation affect each stakeholder’s (common citizens, the press, academia, and the civic group) sense of unity? 【RQ4】How do the president’s reputation and sense of unity affect each stakeholder’s (common citizens, the press, academia, and the civic group) loyalty? 【RQ5】How does relationship among the president’s reputation (President Park Chung-Hee, Chun Doo-Hwan, Kim Young-Sam, Kim Dae-Jung, and Roh Moo-Hyun), sense of unity, and loyalty appear? To examine the result of 【Research Question 1】, 5 factors -<morality> factor, <economic management> factor, <communication ability> factor, <government administration management> factor, and <global competence> factor- were drawn as the composition factors for the president’s reputation. The result of【Research Question 2】 shows that difference in each stakeholder’s perception levels in the president’s reputation is partially appearing except in President Park Chung-Hee. In particular, there partially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stakeholder such as citizens, academia, civic group, the press, and the economic community. Third, when we examined among five groups of stakeholders the causal relation between past presidents’ reputation and the sense of unity for 【Research Question 3】, the result showed it has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the composition factors for the president’s reputation that affectall five groups of stakeholders’ sense of unity in common did not appear. Fourth,【Research Question 4】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 of each president’s reputation, sense of unity, and loyalty among the stakeholder groups. To do th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hich inputsindependent variables in order, was carried out. Result of <Model 1> confirmed that composition factors of the president’s reputations do have influence on loyalty. Although the result of <Model 2> drew differentiated results for each president and stakeholder, it shows the president’s reputation and sense of unity do affect loyalty. Finally, the result of 【Research Question 5】confirms that the president’s reputation, sense of unity, and loyalty do have partial causality. Albeit the difference in result of each president, it can be said that, to some extent, there exists causal relation among them. Morality, global competence, and capability to communicate and operate government administrationand economy, are the most obvious and necessary aspects needed in building the president's reputation. When one that holds all these aspects becomes the chief leader of a nation, he/she will be able to effectively cope during crisis, and also uplift the national strength and stature of Korea. One may question if there ever is a prepared leader from the beginning. However, someone who plans to run for the president and dreams of leading a nation, the largest organization, should face the fact that, in assessing the president’s reputation, there are more factors to consider tha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a general corpor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references in which areas to manage, train and complement for those who wish to become president. 2009년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러시아, 중국, 유엔, 이란의 최고지도자를 대상으로 20개국에서 이들에 대한 신뢰도와 리더십을 측정했다. 조사결과, 61%가 세계지도자로서 오바마 대통령을 신뢰한다고 답했다. 최초의 흑인 대통령, 다자협력과 존중의 가치로 상징되는 오바마 대통령이 일약 세계 리더십의 중심으로 떠오른 것이다. 이는 과거의 군사력, 경제력과 같은 하드파워 대신 국민들의 자발적인 순응과 동의를 이끌어내는 소프트파워가 작용했다는 추론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리고 세계 주요강국이 소프트파워 경쟁에 뛰어들고 있는 이유이며, 각 국 지도자의 국제적 신뢰와 평판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가치가 점점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지금까지 평판 연구는 주로 기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져왔으며, 개인에 대한 평판 연구는 CEO와 연예인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국가를 대표하는 대통령을 대상으로 한 평판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주로 대통령의 리더십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평판 개념을 대통령에게 적용해 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대통령 평판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그룹(일반시민, 학계, 시민단체, 언론계, 경제계)을 대상으로 실제 전직 대통령을 대상으로 평판을 측정하고자 했다. 또한 대통령 구성요인과 일체감 그리고 충성도와의 관계를 각 이해관계자별로 분석해 보았다. 분석대상 대통령은 전직 대통령 중 박정희, 전두환,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이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를 설정했으며,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대통령 평판 구성요인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문제 2】이해관계자별(일반시민, 언론인, 학계, 시민단체)로 대통령 평판을 인식하는 정도에는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가? 【연구문제 3】이해관계자별(일반시민, 언론인, 학계, 시민단체)로 대통령 평판은 일체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이해관계자별(일반시민, 언론인, 학계, 시민단체)로 대통령 평판과 일체감이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5】 대통령(박정희 대통령, 전두환 대통령, 김영삼 대통령, 김대중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 평판과 일체감 그리고 충성도와의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결과에 대해 살펴보면, 우선 【연구문제 1】의 결과는 대통령 평판을 구성하는 요인으로 <도덕성>요인, <경제운영>요인, <소통력>요인, <국정능력>요인, <글로벌 역량>요인 총 5가지가 도출되었다. 둘째, 【연구문제 2】의 결과는 5명의 대통령의 대통령 평판 구성요인에 대한 5개 이해관계자 집단의 인식 차이는 박정희 대통령을 제외하고 부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일반시민과 학계, 시민단체, 언론계, 경제계 등 각 이해관계자별로 부분적으로나마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문제 3】의 결과는 5개 이해관계자 집단별로 5명의 역대 대통령의 대통령 평판과 일체감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한 결과,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5개 이해관계자 그룹이 공통으로 일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대통령 평판 구성요인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연구문제 4】는 이해관계자 집단별로 각 대통령의 평판, 일체감과 충성도와의 인과관계를 알아보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독립변인을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모델 1>의 결과는 대통령 평판 구성요인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모델 2>의 결과는 대통령별, 이해관계자별 차별화된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대통령 평판과 일체감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문제 5】의 결과는 대통령 평판과 일체감 그리고 충성도와의 관계가 부분적으로 서로 인과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비록 대통령별로 그 결과에 차이가 나타나지만, 이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영향관계는 어느 정도 있다고 볼 수 있다. 대통령의 평판을 구축하기 위한 덕목으로 도덕성, 경제운영능력, 소통력, 국정운영능력, 글로벌 역량 등은 누가 보아도 바람직한 사항이며, 이러한 요인을 모두 갖춘 인물이 지도자가 되어 국가의 책임자가 된다면 위기 상황에 대한 효율적 대처와 우리나라의 국력과 위상을 한층 고양시키는 것에 있어 큰 역할을 할 것이다. 준비된 대통령이 과연 있겠는가라는 의문 속에서도 자신이 나라를 책임지고 이끌 지도자로서의 꿈을 꾸는 사람이라면 국가라는 가장 큰 조직을 운영하는데 있어 일반 기업과는 다른 평판 요인이 있음을 직시하고 이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과 자기 성찰이 필요할 것이다. 향후 자신이 대통령으로 나서고자 한다면 그리고 대통령의 꿈을 꾸고 있는 사람이라면 어떠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수련, 보완해야 하는지 본 연구가 참고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Mortality projection, ratemaking, and insurer's return

        주효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47

        보험회사의 손익은 보험영업과 리스크관리, 자산운용 등 보험사의 모든 총체적 업무활동의 결과로 보험소비자인 계약자, 보험공급자인 보험사 그리고 투자자인 주주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보험사의 손익을 보험영업과 투자영업에 내재되어 있는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반대급부로 인식하여 보험료의 결정, 보험부채의 평가 그리고 보험상품 구성에 따른 리스크관리 등 보험영업과 관련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리스크 관리를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는 보험사 투자수익의 배분 문제를 통해 리스크 부담에 대한 보험사의 적정 수익을 살펴보는 것 역시 포함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단기수출보험의 보험가입금액 대비 보험금 지급비율 추정, 보험부채의 평가에 미치는 장수리스크의 영향, 단기수출보험의 최적 포트폴리오 구성, 그리고 손해보험사 투자수익의 종목별 배분을 각 사례로 살펴본다. 보험료는 보험자에게 적정한 수익을 제공하는 한편 경쟁에서 생존할 수 있도록 합리적이고 적절한 방법에 의해 결정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기수출보험을 사례로 보험가입금액 대비 보험금 지급비율을 산출하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화선형모형을 이용, 사고빈도와 사고심도를 각각 음이항분포와 로그노말분포로 적합한 후 지급비율을 산출한다. 지급비율은 보험요율 자체는 아니지만 여기에 안전할증을 감안하여 보험요율을 결정한다는 측면에서 보험료 결정의 핵심 요소라 할 수 있다. 보험부채인 책임준비금의 변화는 보험사의 당기 손익에 직접 반영된다. 그러므로 어떠한 계리적 가정에 기반하여 책임준비금을 계산하는지에 따라 보험사의 부채, 따라서 손익이 크게 변동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사례로 사망률의 감소가 책임준비금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Lee-Carter 모형을 사용하여 사망률 개선을 반영한 미래 사망률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종신보험 및 거치 종신연금의 책임준비금을 계산한다. 기존의 생명표에 기반하여 계산된 책임준비금과의 비교를 통해 사망률의 개선 효과가 생명보험사의 부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리스크관리는 보험사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유지에 핵심적인 요소로 본 논문에서는 보험영업과 관련한 리스크관리의 한 방안으로 보험상품의 구성을 통한 위험분산을 살펴본다. 단기수출보험을 사례로 수출기업의 규모, 수출대상지역, 수출업종, 수출보험의 판매형태에 따라 손익의 변동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출보험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마지막으로 보험사의 투자영업익과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손해보험사 투자수익의 보험종목별 배분방안을 살펴본다. 우리나라의 경우 손해보험사는 일반, 자동차, 장기손해보험의 3가지 보험종목을 다루고 있으나 투자손익은 보험사 단위로 평가된다. 따라서 보험종목별 수익 또는 손실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전체 투자손익을 보험종목별로 구분해야 한다. 또한 각 종목별 투자손익은 다시 보험사 자본계정으로부터 손익과 보험계약으로부터의 손익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산운용과 관련한 모든 리스크는 보험사가 부담하고 있음을 감안한 투자수익 배분방안을 고려한다. 특히 보험금 지급시점과 투자가능기간의 불일치, 즉 유동성 리스크를 감안한 투자수익의 배분에 초점을 맞춘다.

      • 통합환경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교사와 발달지체유아 및 일반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김경윤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47

        The Effect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on Teachers and Children with and without Delayed Development in the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Kyung Yoon, Kim Dept. of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With a view to assessing the success and adoptability of inclusive education for intervening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a powerful "interventional" approach, on teachers and children with and without delayed development in the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using the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BS in the inclusive settings on the level of instructional intervention of instructors and the consequent changes in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and in the perception of children with typical development about those with delayed development in same class by coaching PBS instructional strategies to the teachers .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three public,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those with initials of U, M and D, located in the same district in Seoul. The former two served as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latter, the control group. Three delayed development children (aged 3, 4 and 5) who strongly needed instructional intervention for their behavioral problems were sele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t U and M. PBS training was offered to each instructor particularly assigned to each children. We observed the changes both in the level of instructional intervention from instructors and in the frequency of problem and engagement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general children about ones with developmental delay, peer acceptance tests were delivered to 42 children, each from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PBS.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ed level of instructional intervention from PBS-trained instructors and a decreased rate of problem behaviors while a greater increased rate of engagement behaviors from delayed developmental children.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 were found between instructional intervention and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 negative relation between instructional intervention and problem behaviors and a positive relation between instructional intervention and engagement ones. In sum, the greater instructional intervention instructors provided, the fewer behavioral problems and the more engagement behaviors, the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showed. Peer acceptance tests exhibite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the perception of general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ir counterparts in control group, regarding those with delayed development. Experimental group with the intervention of PBS showed the improved perception about those with developmental delay, while control group, a somewhat worse than before. Although this study found that PBS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approach and proved close relations between instructional intervention and problem/engagement behaviors of children with delayed development, it had limitations of the sample - small sample size, exclusion of general children and their instructors - and the ignored factors including the roles of home. Based in these, the implementation of interventional instruction for general children with challenging behaviors, the class and school-wide PBS implementation, the support system building for instructors assigned for developmentally delayed children, the collaboration system organiza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instructors, and the further investigation for effects of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al setting and family were suggested. Keywords : inclusive education setting, positive behavior support,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behavior problem, engagement behavior, instructional intervention, peer acceptance. 통합환경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이 교사와 발달지체유아 및 일반유아에게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성공과 발달지체일반유아의 문제행동지도에 관한 적용 가능성 탐색에 의의를 두고 통합환경의 발달지체유아와 장애전담 교사, 그리고 일반유아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중재전략인 긍정적 행동지원의 효과를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통해 탐색하였다. 통합환경에서 긍정적 행동지원에 따른 교사의 교수행동 변화와 그에 따른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의 변화, 그리고 일반유아의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서울 동일지역에 위치하고 통합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국공립 어린이집 세 기관(U, M 그리고 D어린이집)을 선정하였다. 이들 기관 중 U와 M어린이집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나머지 D어린이집을 통제집단으로 정한 후, 실험집단인 기관에서 문제행동 중재가 시급히 요청되는 발달지체유아를 연령별(만3, 4, 5세)로 각 1명씩 총 3명을 선정하였다. 그런 다음 U어린이집 만 3세, 만 5세반의 장애전담교사, M어린이집 만 4세반의 장애전담 교사에게 긍정적 행동지원 훈련을 실시한 후, 교사의 교수행동의 변화와 그에 따른 각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과 참여행동의 변화를 관찰, 기록하였다. 그리고 일반유아의 인식의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서 U와 M어린이집의 일반유아들 42명과 D어린이집의 일반유아들 42명을 대상으로 또래수용도 검사를 긍정적 행동지원 실행 사전과 사후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행동지원 교사훈련을 받은 장애전담 교사의 교수행동이 증가하였고,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참여행동이 증가하였다. 교사의 교수행동과 발달지체유아의 행동 간의 관계는 매우 밀접한 상관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교수행동과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은 부적관계를, 교사의 교수행동과 발달지체유아의 참여행동은 정적관계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교수행동이 증가할수록 발달지체유아의 문제행동이 감소하고 참여행동이 증가하는 관계성이 확인되었다. 또래수용도 검사를 통해 확인한 일반유아의 인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가 이루어진 실험집단에서는 발달지체유아들에 대한 일반유아들의 인식이 개선된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오히려 다소 나빠진 결과를 얻었다. 이는 물리적 통합이 아닌 최소 교수 활동적 통합이 시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긍정적 행동지원이 효율적인 중재전략이었음을 확인하고, 교사의 교수행동과 발달지체유아의 문제, 참여행동 간의 관계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한 본 연구는 소수의 연구대상으로 인한 일반화의 어려움이 따른다. 이 외에도 일반유아와 일반보육교사 배제, 그리고 가정과의 비연계라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일반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중재전략의 수행, 개별차원뿐 아닌 학급차원과 학교차원에서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행, 장애전담 교사에 대한 체계적인 훈련 지원, 장애전담 교사와 일반보육교사와의 협력체제 구축, 가정과의 연계 연구를 제언한다. 주제어 : 통합환경(inclusive education setting) , 긍정적 행동지원(positive behavior support),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설계(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문제행동(behavior problem), 참여행동(engagement behavior), 교수행동(instructional intervention), 또래수용도(peer acceptance)

      • 다중 소스 도메인 환경에서 연합 도메인 일반화 성능 향상 연구

        강용훈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연합학습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서버로 공유하지 않고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하게 되면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는 보호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연합학습으로 훈련된 모델은 각각의 기기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기에 도메인이 다르게 되는데, 이와 같이 학습을 하면 보지 못한 도메인에서는 성능 저하를 겪을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도메인 일반화을 하게 되면, 연합학습 상황에서는 소스 도메인의 성능이 떨어 질 수도 있다. 그렇기에 본 논문에서 우리는 보지 못한 도메인과 소스 도메인의 성능을 둘 다 올릴 수 있게 일반화 할 수 있는 연합학습 문제를 해결하는 연합학습에서의 다중 소스 도메인 일반화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한다. FedDE라는 새로운 방법을 통해, 서버에서는 데이터에 접근 하지 않고 도메인 정보가 담긴 데이터를 general하게 학습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FedDE는 각 레이어별 vector를 추가하여 Domain Information Weights를 생성 한 후, Domain Information Weights에는 도메인 정보를 학습 시키고 기존의 weight에는 general한 정보를 학습 시키도록 유도한다. 또한 적대적 학습의 판별 기능을 이용하여 판별자를 통해 각 클라이언트의 feature extractor를 글로벌 모델의 도메인을 따라갈 수 있게 일반화 한 후, 일반화된 모델을 앙상블을 적용하여 소스 도메인과 보지 못한 도메인을 둘 다 잘할 수 있는 연합 다중 소스 도메인 일반화를 하게 된다. 다양한 데이터셋에 대한 광범위한 실험을 통해 FedDE가 소스 도메인과 보지 못한 도메인에서 기존의 기법에 비해 월등한 성능과 효율성을 보여주었다. Federated learning (FL) allows AI models to be trained without sharing the client's data to the central server. Most federated learning approaches were developed with an assumption that all clients have similar data distributions. However, the assumption is not generally acceptable. Most clients collect data samples in different environments, which means that each client may have a dataset from different domain. Since clients do not share their data, it is hard to build up the central model which can generate multi-source domains by previous FL approaches. We try to solve this problem by separate learning of common features of all clients from local features of clients. We propose Federated Discriminative Ensemble (FedDE) to generalize multi-source domains in federated learning. The framework of our approach is similar to federated averaging. However, client models are composed of two parts: a common model and a local modifier. The common model parts are sent to the server and averaged. Each client has their own local modifier which are combined with the common model in each client, but is not sent to the server. Clients train both parts using their own datasets with adversarial training, so that their common part is not much updated. Through this mechanism, we can effectively separate common features from client dependent feature, and generate the model which can increase the performance of both unseen domains and each source domains. Through extensive experiments on various datasets, FedDE shows superior performance and efficiency compared to previous methods in the unseen and source domains.

      • 뮤지컬 관객의 관람 후 행동에 관한 연구 : 일반 관객과 마니아 관객 비교를 중심으로

        김설화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With the increase in importance of performing arts and the activation of the musical industry, the importance of discussion on development of musical performance is rising. Especially, audience is a key element of musical performance. Therefore, a large number of studies predicting consumption behavior of musical audiences have been conducted, but there is a lack of studies focusing on post-viewing behavior of audiences. It is obvious that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at this study introduces will make a huge contribution to enhancing the power of prediction of consumers’ behavior, although this contains several limits. In particular, it is anticipated that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will be more effective in analyzing post-viewing behavior of musical audiences by remedying the limit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rough application of new variables. In this study, work factor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perceived value and commitment were set as parameters. Also, audiences were divided into musical mania audiences and general audiences, and the influences of musical work factors on perceived value and commitment of audiences were 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factors and perceived valu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works positively influenced perceived value of musical mania audiences, and only external factors of works positively influenced perceived value of general audienc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work factors and commitment, all of work factors positively influenced commitment of musical mania audiences. However, work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commitment of general audiences. Third, in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value, post-viewing behavioral intention and behavior, perceived valu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re-viewing intention and behavior in both groups of musical mania and general audiences. But perceived valu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behavior in both groups of musical mania and general audiences. Fourth, in the relationship among commitment, post-viewing behavioral intention and behavior, commitment had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 on re-viewing intention and behavior in both groups of musical mania and general audiences. On the contrary, commitment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behavior in both groups of mania and general audiences. Fifth, in the relationship among work factors, post-viewing behavioral intention and behavior, internal factors of work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ost-viewing behavior of musical mania audiences, whereas these did not positively affect post-viewing behavior of general audiences. Also, external factors of works positively influenced post-viewing behavioral intention of mania audiences and did not positively influence recommendation intention of general audiences, although these positively influenced re-viewing intention of general audiences. Six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viewing behavioral intention and behavior, post-viewing behavioral intention influenced post-viewing behavior of musical mania audiences, but post-viewing behavioral intention did not influence post-viewing behavior of general audiences. Seventh,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value and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 variables are as below. Perceived valu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among work factors, re-viewing intention and behavior, and commit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among internal factors of works, re-viewing intention and behavior. In addition, perceived valu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among work factors, re-viewing intention and behavior. But commitment did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among work factors, recommendation and behavior. As stated above,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individual factors, which influence post-viewing behavior of audiences, based on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by extending the previous studies through verification of the correlation among individual variables and providing theoretical practical implications. 공연예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뮤지컬 산업이 활성화 되면서, 뮤지컬 관객에 대한 논의는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뮤지컬을 관람하는 관객의 소비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다수의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관객의 관람 후 행동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 도입하고자 하는 계획적 행동이론의 경우 몇 가지 한계점은 분명하지만, 소비자의 행동에 대한 예측력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 자명하다. 특히 확장된 계획적 행동이론은 계획적 행동이론의 한계점을 새로운 변수 적용을 통해 보완함으로써 뮤지컬 관객의 관람 후 행동을 분석하는 데에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 관객을 마니아 관객과 일반 관객으로 구분하고, 독립변수로 작품요인을 설정하고, 지각된 가치, 몰입을 매개 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컬 요인과 지각된 가치와의 관계에서 뮤지컬 마니아 관객의 경우 작품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이 지각된 가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 관객의 경우 작품 외적인 요인만이 지각된 가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뮤지컬 작품요인과 몰입과의 관계에서 뮤지컬 마니아 관객의 경우 작품 요인이 모두 다 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반 관객 집단에서 작품요인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지각된 가치와 관람 후 행동의도 및 행동 간의 관계에서 뮤지컬 마니아 관객 집단과 일반 관객 집단에서 모두 다 지각된 가치는 재관람 의도 및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두 집단에서 모두 다 지각된 가치는 추천의도 및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넷째, 몰입과 관람 후 행동의도 및 행동의 관계에서 뮤지컬 마니아 관객집단과 일반 관객 집단에서 모두 다 몰입은 재관람 의도 및 행동에 통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추천의도 및 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작품요인과 관람 후 행동의도 및 행동의 관계에서 뮤지컬 마니아 관객 집단에서 작품요인은 관람 후 행동의도 및 행동에 통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관객 집단에서는 작품요인은 관람 후 행동의도 및 행동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관람 후 행동의도 및 행동의 관계에서 뮤지컬 마니아 관객 집단의 경우 관람 후 행동 의도는 관람 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일반 관객 집단은 관람 후 행동 의도는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째, 각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에 대해 분석한 결과, 작품요인과 재관람 의도 및 행동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와 몰입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작품요인과 추천의도 및 행동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는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나, 몰입은 매개효과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본 연구는 관객의 관람 후 행동에 영향을 주는 각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각 변인 간의 관계성에 대한 검증을 통해 선행연구를 확장하였으며,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의 그림책 이해에 관한 비교

        손우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논문요약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의 그림책 이해에 관한 비교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 간의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있다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만 6세 일반 아동 10명과 동일한 연령의 고기능 자폐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림책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글 없는 그림책과 글 있는 그림책 용 이야기 이해도 검사를 각각 시행하였고, 상호텍스트성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야기 구조, 내용, 주인공 캐릭터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메인 텍스트와 연관되어 있으며 명백히 드러나는 유사점과 차이점이 있는 두 텍스트 간의 적절한 유사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글 없는 그림책의 경우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 간의 차이가 있는가? 2. 글자 텍스트가 있는 그림책의 경우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 간의 차이가 있는가? 3. 그림책의 상호텍스트성 이해에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 아동 간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글 없는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그림책 초기탐색과 다시 말하기, 명시적 이야기 이해력에서는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암시적 이야기 이해력에서는 고기능 자폐아동군이 일반 아동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행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글자 텍스트가 있는 그림책을 이해하는데 이야기 구조 이해에서는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이야기 추론 이해에서는 고기능 자폐아동군이 일반 아동군에 비해 현저하게 낮은 수행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그림책들 간의 상호텍스트성을 이해하는데 고기능 자폐아동군이 일반 아동군에 비해 낮은 수행률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의 그림책 이해에 관한 차이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글 있는 그림책과 글 없는 그림책, 상호텍스트성 이해도를 두 집단 간 비교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는 현장에서 일반 아동과 고기능 자폐아동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을 시행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주제어 : 글 없는 그림책 , 글 있는 그림책 , 상호텍스트성 , 고기능 자폐아동 , 이야기 이해력 ABSTRACT Comparison of picturebook comprehension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Sohn, Woo Young Child Psychology and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icturebook comprehension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or not. Respectively 10 persons of 6-year-old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measure picturebook comprehension, I tried to test the comprehension for the picturebook without text and with text respectively, to measure comprehension of intertextuality, I investigated point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at they have found in structure of story, contents, character of protagonists in relative main text. The topics following this study as below: 1. In case of picturebook without tex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picturebook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2. In case of picturebook with tex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picturebook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3. In intertextuality understanding of picturebook,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picturebook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regarding understanding picturebook without text, there are no differences in picturewalk, retelling, denotational picturebook comprehension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But, in suggestive picturebook comprehension,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group showed lower fulfillment than non-disabled children group noticeably, so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Second, regarding understanding picturebooks with text, excepting for picturebook structure comprehension, non-disabled children group had a high level of achievement of picturebook reasoning comprehension in comparison with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group. Thir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group showed lower fulfillment than non-disabled children group in understanding intertextuality among picturebooks. Thes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picturebook between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dealt with comparison of understanding about picturebook without text, picturebook with text, intertextuality of two groups, and these results can be used for education materials in classroom when teachers educate non-disabled and high functioning autistic children by picturebook.

      • 인터넷 중독 유발 요인별 영향력 분석 연구

        한옥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tial factors of internet addiction; more specifically,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used two methodologi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parameters of internet addiction that are stated in existing literature,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experts and laymen. For the SEM approach,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designated as the second order confirmatory factors, and the first order factors were decided based on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For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defin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observed variables were defined based on the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final questionnaires for this study were given to two different groups of people: adults and adolescents. The adult participants were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nationwide, while the adolescent participants were high school students from generalized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high schools in the Seoul and Kyunggi Area. Three hundred and ninety-five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the adult participants, and three hundred and ninety-six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the adolescent participants. For the SEM approach, the questionnaires from the adults were analyzed, and AMOS 20.0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questionnaires from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nd SPSS 15.0 was used for the analysis. AMOS was used to process and analyze the collected data. Statistics analysis was process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tatistics, the degree of each factors, and the state of internet addiction. The second 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proposed model analysis and model modificat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internet addiction on personal factors, familial factors,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SPSS was used to identify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internet addic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factors in internet addiction. For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riable calculation, correlational relationship analysis were performed. This process verified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in internet addiction.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of internet addiction in SEM a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factor and familial factor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internet addiction as the second order factors with a significance level of 0.05. Second, self efficacy and self control were the first order factors for the personal factor. Third, parental rearing attitudes, family function, and family support were the first order factors for the familial factor. Fourth, the support of friends,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one’s surroundings were the first order factors for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f influential factors inducing internet addiction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questionnaires of all participants were analyzed, the personal factor,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familial facto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respectively. Second, when the questionnaires given to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the personal factor, and the familial facto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respectively. Third, when the questionnaires given to the generalized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the personal factor, the social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familial factor we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respectively.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factors that lead to internet addic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age and one’s surroundings. This means that depending on each internet user’s situation, a different and specific solution is needed for internet addiction. As this research proves, diverse and comprehensive solutions for internet addiction must be devised to solve the problem of internet addiction. 본 논문은 인터넷 중독을 유발하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의 영향력 분석을 통하여 인터넷 중독 유발 요인을 규명하였다. 인터넷 중독 유발 요인 영향력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가지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접근법은 구조 방정식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통한 영향력 분석이며, 두 번째 접근법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요인 간 영향력 중요도 분석이다. 각 접근법에서 사용할 변수 항목 선정을 위하여 선행 연구에서 도출된 항목에 대하여 전문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을 대상으로 검증 과정을 실시하였다. 구조 방정식 접근법에서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을 2차 확인 요인으로 정의한 후 검증 결과를 반영하여 각각의 2차 확인 요인에 대한 1차 확인 요인을 선정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접근법에서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을 독립변수로 정의한 후 검증 결과를 반영하여 각 독립변수의 관측변수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터넷 중독 유발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최종 설문지는 성인과 청소년으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성인을 위한 자료 수집은 전국 단위의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총 395건을 분석에 사용하였고, 청소년을 위한 자료 수집은 수도권에 위치한 일반고등학교와 특성화고등학교 각 2개교씩 총 4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총 396건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성인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의 처리와 결과분석은 구조 방정식 접근법을 적용하였으며, AMOS 20.0을 이용하여 인터넷 중독을 유발하는 2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SPSS를 이용하여 인터넷 중독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독립변수가 무엇인지와 다른 독립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를 파악하였다. 구조 방정식을 이용한 인터넷 중독 유발에 관여하는 요인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차 확인 요인에 해당하는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 환경적 요인 중 개인적 요인과 가족적 요인이 인터넷 중독 유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요인의 1차 확인 요인으로는 자기 통제력과 자기 효능감 2개 항목만이 잠재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적 요인의 1차 확인 요인으로는 부모의 양육태도, 가족 기능과 가족 내 정서지지 3개 항목만이 잠재변수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 환경적 요인의 1차 확인 요인으로는 친구지지, 사회 지지와 소속 집단 적응력 3개 항목만이 잠재변수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한 인터넷 중독 유발에 관여하는 요인별 관여도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한 분석과 일반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분석에서는 개인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 사회 환경적 요인, 가족적 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특성화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분석에서는 사회 환경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의 순으로 영향력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인터넷 중독을 유발하는 요인은 연령에 따라, 소속 집단의 구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것은 인터넷 중독에 대한 대응책이 인터넷 사용자의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다르게 제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다양하고 종합적인 인터넷 중독 예방책과 대응책의 제시가 인터넷 중독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