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건강사례관리자를 위한 웹 기반 만성정신질환자 신체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

        이중수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례관리자를 위한 웹 기반 만성정신질환자 신체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무자들이 실제 업무 수행에 직접적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신체건강관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교육프로그램은 신체건강관리의 필요성, 24개 항목 체크리스트를 잘 활용하기 위한 내용으로 각 항목의 필요성과 의미, 항목의 신체 사정 방법에 대한 교육으로 구성되었다. 2021년 5월 12일부터 5월 30일까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시설에서 근무하는 사례관리자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 26명,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 26명이었다. 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를 위하여 교육프로그램 제공 전, 후에 실무자들의 정신질환자 신체건강 사례관리 수행 정도, 신체건강관리 수행자신감, 신체건강 사례관리 태도(신체건강관리에 대한 태도, 신체건강관리를 이행하는데 대한 자신감, 신체건강관리 전달에 대한 인식장벽, 흡연태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무자들의 정신질환자 신체건강 사례관리 수행 정도, 신체건강관리 수행자신감, 신체건강 사례관리 태도, 신체건강관리를 이행하는데 대한 자신감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례관리자를 위한 웹 기반 만성정신질환자 신체건강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차후, 신체건강관리에 대한 다양한 교육의 개발과 함께 실제 만성정신질환자들의 신체건강상태가 개선되어 가는지에 대한 관심과 연구들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ment of a web-based physical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for mental health case managers can ready to use in their actual work performance. The program consists of the need for physical health management, the need and meaning of each item in the checklist, and education on how to assess the body. From 12 May to 30 May 2021,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research was conducted.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case managers working at community mental health promotion facilities. The 52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26 experimental groups and 26 control group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surveyed the participants’ current practice in physical health care(13 items), the confidence in performing physical health care(24 items), the attitudes to involvement in physical health care (9 items), the confidence in delivering physical health care (6 items), the perceived barriers to physical health care delivery (7 items), the attitudes to smoking (5 items)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program and written data.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current practice in physical health care, the confidence in performing physical health care, the attitudes to involvement in physical health care, the confidence in delivering physical health care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program was applied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o which the written data was appli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 to strengthen physical health care capabilities for community mental health case manager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Subsequently, various education on physical health care needs to be developed. In addition, attention and research will be needed on whether the physical health status of chronic mental patients is improving.

      • 사회복지 사례관리자의 개인적 특성이 사례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직무동기의 매개효과와 기관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대수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settlement of case management performance in mor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methods of social welfare practice in its field. For that purpose, the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with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ase managers(self-efficacy and professionalism) as independent variables, job motivation(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institutional supports, networks, and job guidelines) as moderating variables, and case management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thus identified a mechanism to influence case management performance by checking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moti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effects of case manager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ir case management performance. The subjects include social workers in charge of case management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around Gwangju Metropolitan City.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m based on a structured questionnaire. Total 30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m on May 6 ~ 27, 2016, and 244 were returned and 235 were used in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put to the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PASW Statistics 18 pro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ism,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ase manager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ir case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motivation and found that intrinsic motivation had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ism of case managers and their case management performance, whereas extrinsic motivation had no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m. Third, the study also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found that institutional supports had moderating effects only on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case management performance, between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intrinsic motivati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and case management performance. Networks had moderating effects only on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between professionalism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and case management performance. Job guidelines had moderating effects only on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and case management performance, between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and case management performance. Finally,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nstitutional environments and case managers' personal backgrounds on case management performance and found that such institutional environments as types of institution, organization of case management team, preparation of job manual, and number of case meetings had impacts on case management performance. As for the personal backgrounds of case managers, the grades of social worker qualification and experiences with case management education had impacts on case management performance. Based on tho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as for theoretical implications, it first empirically examined the level of case management performance in various areas of social welfare practice; secondly, it demonstrated once again that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case managers were important elements in efficient case management performance; and finally, it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motiv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n relations between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ase management performance of case managers. As for practical implications, it first raised a need for the standardization of case management fit for the situations of the nation; second, it raised a need to organize a devoted case management team; third, there is a need for a clear job manual for case management; fourth, case meetings should be held regularly; fifth, it is required to set qualification criteria for case managers and provide them with education and training; sixth, it is needed to support case managers so that they can exert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fully; and finally, there is a need for plans to reinforce the intrinsic motivation of case managers. Keywords: case manager, case management performance, self-efficacy, professionalism, job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extrinsic motivation, institutional characteristic, institutional support, network, job guideline

      • 선진사례 비교연구를 통한 친환경 주거단지 계획요소 및 기준 타당성 연구 : 개발도상국(몽골) 사례를 적용하여

        김성철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is a major global challenge. Due to the increase in greenhouse gase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temperature of earth is rising, which causes climate change and weather threat.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biggest global problems, each country is trying to prepare and implement mechanisms that can entangle itself, such as the Tokyo Protocol and the Paris Climate Agreement.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were also implemented as part of these efforts. In order to reduce the emission of houses and buildings, which account for 40% of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to provide a better environment for residents, a new residential concept called an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 was born. Unlike Europe, which studied and demonstrated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in the early 1990s according to the Tokyo Protocol, Korea started researching and demonstrating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in the late 2000s. However, Korea is demonstrating Korea's unique eco-friendly housing complex by combining various residential complexes and new town development experiences with excellent eco-friendly IT technology. Accordingly, the key planning factors were studied by type of major examples of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in Europe created during the Tokyo Protocol era, and the examples of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created or planned after the Paris Climate Agreement, centering on the Zero Energy Town, among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in Korea. want to derive And based on the derived core factors, we deduce the essential elements applicable to developing and underdeveloped countries that actually need eco-friendly housing complexes, and conduct a study to present the planning standards for the essential elements to determine the standards applicable to the under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anted to present. Accordingly, the essential introduction factors derived from the case study ar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nd cogeneration power generation, improved insulation and heat exchanger. Housing layout, community farm, etc.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derived plan elements, the feasibility was reviewed by applying it to the Ulaanbaatar Ger Region Redevelopment Project (AHURP) in Mongolia, which is implementing the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 project. It was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introduce eco-friendly residential complexes in under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only through the support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or policies. Accordingly, international support policies, national policies, and design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for development factors were suggested as policies. In-depth analysis was difficult due to the lack of data from case studies, but I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under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suffering from global warming and consequent climate change to reduce GHG emissions. 온실가스 감축은 전 지구적인 숙제이다. 산업혁명 이후 온실 가스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증가하는 온실가스로 인해 지구의 온도는 상승하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해 다양한 기후변화와 기상이변들이 발생하고 있다. 그에 따라 각국은 지구적인 위협에서 벗어나고자 도쿄 의정서와 파리기후협약 등 스스로를 얽맬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고 이를 실행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친환경 주거단지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온실가스 배출량의 40%를 차지하는 주택 및 빌딩의 배출량을 감소시키고 주민들에게 더 좋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친환경 주거단지라는 새로운 주거개념이 생겨났다. 유럽지역은 도쿄 의정서에서 따라 1990년대 초반에 친환경 주거단지를 연구하고 실증하였지만 한국은 2000년대 후반부터 친환경 주거단지를 연구하고 이를 실증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한국은 다양한 주거단지, 신도시 개발경험과 우수한 친환경 IT기술 등을 접목하여 한국만의 친환경 주거단지를 실증해 나가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주거단지의 주요 요소들을 도출하기 위해 도쿄 의정서 시대에 조성된 유럽의 친환경 주거단지 주요 사례들을 종류별로 연구하고 파리기후협약 이후에 조성되거나 계획된 한국의 친환경 주거단지 중 제로에너지 타운을 중심으로 친환경 주거단지의 사례를 연구하여 친환경 주거단지의 핵심 계획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앞서 도출된 핵심 요소들을 기반으로 친환경 주거단지가 실질적으로 필요한 개발도상국에 적용 가능한 필수 요소들을 도출하고 필수 요소들에 대한 계획기준을 제시하는 연구를 시행하여 개발도상국에 적용 가능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해낸 필수 도입요소는 태양광발전과 열병합발전, 향상된 단열제와 열교환기이며, 지역에 따라 바뀌는 계획요소는 보차분리, 상향된 밀도계획, 일조 및 바람길을 고려한 주택배치, 커뮤니티 팜 등이 산출되었다. 도출된 계획 요소들은 친환경 주거단지 사업을 시행중인 몽골 울란바토르 게르(Ger) 지역 재개발사업(AHURP)에 적용하여 재무적 타당성을 검토하여 보았다. 그러나 이자율 및 장기화된 주택비용 등의 문제로 재무적인 타당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발도상국에 친환경 주거단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정책 또는 국제기관의 지원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결론으로 국제적인 지원정책이나 국가정책, 그리고 개발요소들에 대한 국제표준 지정 등의 정책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의 자료의 부족으로 친환경 주거단지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어려웠던 점이 연구의 한계이다. 그리고 재무적 타당성 분석이외에 친환경 주거단지에 대한 환경오염 저감효과 및 그에 따른 사회비용감소, 신규 일자리 창출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다양한 사회, 환경 인자를 도입한 경제성 분석을 통해 개발도상국에 친환경 주거단지를 건설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가 지구온난화와 그에 따른 기후변화로 고통 받고 있는 개발도상국 온실가스 감축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사례기반추론(Case-based reasoning)을 활용한 운동처방지원시스템의 구축

        허제연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운동처방지원시스템구축을 위한 사례기반추론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실험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기반추론기법의 운동처방에의 적용은 타 분야에서와 마차가지로 연구의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사례기반추론을 통해 추출된 사례베이스 추출결과를 전문가(운동처방사)의 판단을 통해 검증한 결과, 본 실험에서 76 개의 사례 중 6 개의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사례는 다른 검증사례의 환자에게 처방을 내려도 지장이 없거나 정확한 처방으로서, 92.11%의 적중률을 보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표본의 구축 시, 개개인의 운동처방을 중심으로 축적되었기 때문에 전문가(운동처방사)가 직접처방을 내린 결과와 똑 같은 세밀한 처방을 도출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넷째, 사례베이스의 양과 유사한 사례 뿐만이 아닌 유의한 사례의 도출을 위해서 양질의 사례들을 축적하고 다듬어 나갈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검사수치는 비슷하나 자각증세에서 느끼는 요인으로 인해, 운동처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직접 처방과 같이 처방할 수 있는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A. 연구의 한계점 최근 여러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어지는 사례기반추론방법을 운동처방분야에 접목하여 보았다. 그러나 결과로 나타내어지는 사례의 수가 많고 다양하게 실험에 적용함에 있어 어려움을 보였다. 따라서 훨씬 많은 양의 사례가 축적되어야 신뢰할 만한 결과가 도출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베이스구축을 위한 자료수집에 있어 전문가(운동처방사)와 환자가 일대일 방식으로 진단하고 처방한 사례로써, 일반적 운동처방이 아닌 개개인을 위한 운동처방을 중심으로 작성되어 운동처방사례가 매우 다양하였다. 둘째, 환자 개개인과 일대일 방식으로 작성된 본 자료의 운동처방을 처방사의 처방과 같이, 모두 정확하게 도출하기란 어려우며 적중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정확한 검사와 처방의 사례를 계속적으로 축적 시키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사례베이스에 축적되어 있는 사례의 수가 검증자료에 비해 충분치 않으며 충분한 사례베이스로서 사례기반추론을 적용한다면 더 높은 적중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사례기반추론기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가장 어렵고 중요한 문제는 어떻게 문제해결에 유용한 과거사례를 추출하느냐 하는 것으로 단순히 유사한 사례가 아니라 유용한 사례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적용분야의 일반화된 지식이 사례의 인덱싱(indexing)과 추출과정(Retrieve)에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B. 향후 연구방향 본 연구는 연구시작단계라고 할 수 있는 자료의 수집과 입력에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작업이므로, 사례베이스로부터의 유용한 결과도출을 위해 장기적인 계획으로 사례베이스의 축적을 계속적으로 진행하고, 양질의 베이스를 구축함이 우선 요구된다. 그리고 날로 증가하는 성인병과 같은 질병으로 인해 운동처방이 더욱 필요하게 될 것이 예상되므로, 일반적 운동처방뿐 아니라 각종 질병에 대한 운동처방을 사례기반추론기법을 통해 시스템을 구축해 본다면 좀 더 실용적인 연구결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운동처방은 앞으로 치료의학적 의미에서나 예방의학적 차원에서 계속해서 발전 될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로서, 운동처방의 일반화, 보편화를 위해 사례기반추론기법을 이용하여 기타 인공지능기법을 이용한 운동처방지원시스템 구축을 시도해 본다면 보다 정확하고 실용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Case-Based Reasoning is a problem solving technique with re-using past cases and experiences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s. The central task that CBR methods have to deal with are to identify the current problem situation, find a past case similar to the new one, use that case to suggest a solution to the current problem, evaluate the proposed solution, and update the system by learning from this experience. Several successful CBR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nd researched in Clinical field in abroad. This paper presents CBR application to Exercise Prescription and investigates the hit ratio of Exercise Prescription support system by accumulated the case-base of Exercise Prescription cases.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shows 92.11% hit ratio from the test. The applications of case-based reasoning to Exercise prescription field and future research issues are identified.

      • 통합사례관리의 개념도 연구에 의한 성공요인 분석

        김창희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Care management has been emerging as a main issue in the social welfare circle. Lately,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holistic care management system at the local government’ s level since 2010. Proper policies and measures concerned, however, are still at the embryonic stage and only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care management are emphasized without consented understandings among experts and practitioners alike This study aims to explore practicability in implementation of holistic care management and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cvaluation system by investigating the care managers’ framework on successful concept of it and corrclations between its factors to success and implementability in field It inductively comes to formulate and frame practice wisdom in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holistic care management by utiliz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on care managers who led a pilot project for Households in 2009. In order to structuralize the success factors, 342 statements were collected after brainstorming among the 31 participants. And then 12 managers of welfare offices, whose in-field working experiences are longer than three years, in regions concerned narrow down those statement to society-wise statements by performing the sorting and rating through the idographic approach and detect the success factors by analysing the collected data for each statement through nomothetie approach. That is‘ data for specific success factors to the holistic care management were drawn from the care managers' first hand experience, and were statistically analysed and classified. The resulted success factors include ’ the degree of care managers' capability and support(4.20) ’, ’construction of care management system(4.14) ,'the dynamic of network and budget(4.08)', ’training and treatment of care managers(4.08)’, ’promotion and sponsor( 4.00)‘, ’client card(3.99)’, and ’job-related assignment for care managers’ in the order of significance Noticeably, the direct and indirect factors, such as the assignment, support, treatment given to them as well as on their qualifications, serve as the important variables and, consequently, the care manager playes the biggest role in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Meanwhile, the implementability rates at relatively low, which implies that the care managers are not content with their own capabilities for implementation and faced with the limitation to it. It also suggests that it is urgent to provide the care managers with professional and various education programmes and to build institutionalized measure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managerial system, for example, Super Vision, consulting and advisory agency,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inc1uding an employment stability,and the organization of task-force. The empowerment of the care managers and well-organized system can foster favorable physical environments for the rest of factors, such as the dynamic of network budget, promotion, sponsor and so on, to function well to attain successful performance In spite of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roles of both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in the client management, the client management has not been effectively and efficiently conducted. To overcome this problem‘ both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should understand cooperate each other and, if possible and favorably, come up with a concrete guideline to their roles respectively In sum, at the time of complication and chaos in care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it is worth examining the success factors to implementation in holistic care management based on practice wisdom and discussing the way ahead. 사례관리는 사회복지실천의 핵심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정부는 2010년부터 전국지자체에서 통합사례관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정책적 제도마련과 현장은 아직 기초수준에 있으며 사례관리에 대한 통일된 이해가 없이 사례관리의 필요성만 강조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천현장의 사례관리자들이 이러한 상황 속에서 사례관리에 대한 어떤 공통된 개념의 틀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 볼 필요성을 가졌으며 그 활용가능성과 더 나아가 평가체계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통합사례관리실천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요인은 무엇이며 통합사례관리실천의 성공요인은 어떻게 구조화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 위기가구 시범 사례관리사업 지구 사례관리자들을 대상으로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여 통합사례관리의 성공 실천지혜를 귀납적으로 구조화 시키고자 하였다. 성공요인을 구조화하기 위해 31명의 사례관리자들이 브레인스토밍을 한 후 표현 진술문(장) 342개를 진술문 60문항을 만들었다. 다시 12명(3년 이상의 사회복지 관련 경력자들, 수범 사례발표 지역)이 60문항에 대한 분류(sorting)와 등급(rating)평정을 하는 개별 기술적 접근(idographic approach)을 통해 한국 사회에 맞는 구성체를 탐구 하였으며, 구조화된 집락의 문항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법칙인 정립적 접근(nomothetic approach)을 통해 성공요인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이들의 성공요인은 다음의 7가지로 구성되었다. ‘사례관리자 자질과 지원(4.20)’, ‘사례관리 전문 체계구축(4.14)’, ‘네트워크와 예산(4.08)’, ‘사례관리자 양성 및 처우(4.08)’, ‘홍보와 후원(4.00)’, ‘클라이언트 관리(3.99)’, ‘사례관리자 업무(3.89)’ 등의 순이었다. 성공요인으로는 주로 사례관리자의 업무․지원․처우개선․양성․자질 등에 대한 직․간접적 요인이 사례관리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 요인들은 모두 ‘사례관리자’에 관련한 부분이 가장 중요함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실천현장에서의 실현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평정되었는데 이는 사례관리자들이 자신들의 실천 능력에 대한 만족감이 낮으며 그 한계를 경험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전문적이고 다양한 교육과 슈퍼비전, 솔루션 위원회, 통합사례회의, 고문․ 조정기구 등의 전문사례관리체계 구축, 사례관리 전담업무 등의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로 된다. 네트워크 활성화와 예산지원, 홍보, 후원 등은 이들의 활동이 지원되고 보장되는 구조 등의 물리적 환경요소를 마련할 때 통합사례관리의 성과에 가속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 관리에 대한 민․관 역할의 중요성은 높았으나 실현가능성은 낮게 되어 현장 속에서 양자 간의 역할에 대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며 정확한 업무분담이 어려운 현실에서 다각도의 이해와 협력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모든 것은 사례관리자 혼자의 임상적 능력 혹은 서비스 조정 능력만으로 달성 할 수 없는 통합모델이기 때문이다(한국사례관리학회, 2010). 결론적으로 전문적 교육체계마련, 사례관리자의 처우개선, 질적 사례관리 필요성, 재원확보, 민․관 협치 등에 대하여 논의 하였으며, 공공기관의 사례관리 전담부서(과)설치, 안정적이고 실용적인 통합전산망구축, 홍보, 사례관리의 다양성 인정과 지원 등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사례관리 실천현장은 그 어느때보다 다양성과 혼돈을 경험하고 있다.

      • 사례관리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공공과 민간영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숙경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dividual factors (self-esteem, professional ability), organizational climate, and case management social workers in the private secto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rivate social workers) and integrated case managers in the public domain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integrated case manag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factors (autonomy, organizational structure flexibility, compensation level, supervisor's consideration) and job factors (skill diversity, task importance, and task identity) on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153 of the nationwide integrated case managers and 171 private social workers working in Busan. The integrated case manager used the Internet Google questionnaire for the survey method, and the private social worker conducted the survey in person or through mail.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mainly perform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fessional ability of integrated case managers and private social welfare workers among the individual factors for t-test was high. In th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limate factors, autonomy, flexibility of organizational structure, compensation level, and supervisor's consideration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the autonomy score of the integrated case manager was high, but the private social worker showed high scores in all aspect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flexibility, compensation level, and supervisor's consideration. In terms of job factors, integrated case managers showed higher scores than private social workers in both skill diversity and task importance. Second, it is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urvey subjects. Among the organizational climate factors of all survey subjects, the elasticity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level of compensation, and the consideration of supervisors were found to affect job satisfaction. In detail, the supervisor's consideration among the organizational climate factors of integrated case managers was found to affect job satisfaction. Also, among the organizational climate factors of private social workers, the flexibility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level of compensation, and the consideration of supervisors were found to affect job satisfaction. However, individual and job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job satisfaction of integrated case managers and private social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of integrated case managers and private social workers are as follows. First, the practical suggestions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of private social workers are: First,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tructure itself must be flexible because the goal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s abstract and fluid as human welfare. In order to make the structure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more flexible, it is necessary to make various efforts within the organization, such as the appropriateness of the workload and working hours of the members, communication between upper and lower employees, and clarity of responsibility and authority. Second, appropriate compens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he heavy work of private social workers and work such as weekend and overtime work. Since appropriate compensation for the amount of effort one has made is a human desire and right, continuous improvement efforts will be required. Third, through a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for supervisors, that is, not only will high-quality supervision be provided, but also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will be improved. The following is a suggestion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of the integrated case manager, and the consideration of supervisors is mentioned. Since the integrated case manager is a non-public official belonging to a public institution,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middle manager or supervisor who is in a position to supervise their social worker work. Although there is a manual for case management, the efforts of the integrated case manager may be limited to respond to various situations that occur frequently during case management. In orde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integrated case managers who experience these limitation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to create an organizational climate in which supervisor consideration is sought.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영역의 통합사례관리사(이하 통합사례관리사로 통칭)와 민간영역의 사례관리 사회복지사(이하 민간사회복지사로 통칭)를 대상으로 개인요인(자아존중감, 전문적 능력), 조직풍토요인(자율성, 조직구조의 탄력성, 보상수준, 감독자의 배려), 직무요인(기술다양성, 과업중요성, 과업정체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통합사례관리사 중 153명과, 부산에서 근무하는 민간사회복지사 1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합사례관리사의 설문방법은 인터넷 구글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민간사회복지사는 직접 방문 혹은 우편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요하게 t-검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사례관리사와 민간사회복지사의 주요변수에 대한 t-검증에 대한 개인요인 중 전문적인 능력은 통합사례관리사의 점수가 높았다. 조직풍토요인의 차이에서는 자율성, 조직구조의 탄력성, 보상수준, 감독자의 배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자율성만 통합사례관리사의 점수가 높았을 뿐, 조직구조의 탄력성, 보상수준, 감독자의 배려에서는 모두 민간사회복지사가 높은 점수를 보였다. 직무요인에서는 기술 다양성과 과업 중요성 모두에서 통합사례관리사가 민간사회복지사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조사 대상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이다. 조사 대상자의 조직풍토요인 중 조직구조의 탄력성, 보상수준, 감독자의 배려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통합사례관리사의 조직풍토요인 중 감독자의 배려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간사회복지사의 조직풍토요인 중 조직구조의 탄력성, 보상수준, 감독자의 배려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인요인과 직무요인은 통합사례관리사와 민간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통합사례관리사와 민간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먼저, 민간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제언은 첫째, 사회복지조직의 목표가 인간의 복지로서 추상적이고 유동적이기 때문에 사회복지조직구조 자체는 탄력적이어야 한다. 사회복지 조직의 구조가 더욱 탄력적일 수 있도록 조직 내에서 구성원의 업무량과 근무시간의 적절성, 직원 상하간의 의사소통, 책임과 권한의 명확성 등 다양한 노력을 해나갈 필요가 있겠다. 둘째, 민간사회복지사의 과중한 업무와 주말, 야근 근무 등에 대해서는 적절한 보상이 주어져야 한다. 자신이 노력한 만큼에 대한 적절한 보상은 인간의 욕구이자 권리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겠다. 셋째, 감독자의 배려를 통해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감독자의 역할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고려해야겠다. 다음은 통합사례관리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제언으로 감독자의 배려를 들 수 있다. 통합사례관리사는 공공기관 소속의 비공무원 신분이기 때문에 이들의 사회복지사 업무를 감독하는 위치에 있는 중간관리자나 혹은 감독자의 배려가 매우 중요하다. 사례관리의 매뉴얼이 있지만, 사례관리 중 수시로 발생하는 여러 상황에 대응하기에는 통합사례관리사 개인의 노력 또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한계를 경험하는 통합사례관리사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해 감독자의 배려가 추구되는 조직풍토를 조성해 나가려는 조직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하겠다.

      • 공개사례발표에 대한 주수퍼바이저와 부수퍼바이저의 인식과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이수정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합의적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방법을 사용하여 주수퍼바이저와 부수퍼바이저의 관점에서 공개사례발표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주수퍼바이저들과 부수퍼바이저들이 지닌 공개사례발표에 대한 인식을 각각 탐색하고, 공개사례발표 지도 감독 과정에서 공동 수퍼비전 경험은 어떠하였는지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두 수퍼바이저 집단의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전문가 중 10인의 주수퍼바이저와 10인의 부수퍼바이저를 대상으로 각 수퍼바이저 집단의 관점을 탐색하는 인터뷰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수퍼바이저 집단별로 5개의 영역 및 6개의 하위 영역이 도출되었다. 주수퍼바이저 관점에서는 42개의 범주와 6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고, 부수퍼바이저 관점에서는 36개의 범주와 6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수퍼바이저와 부수퍼바이저 관점에서 영역은 동일하게 도출되었는데, 5개의 영역은 ‘공개사례발표에 대한 인식과 관점’, ‘효과적인 지도 감독을 위한 요소’, ‘공개사례발표에서의 수퍼바이저 역할’, ‘공동 수퍼비전 관점에서 공개사례발표 지도 감독 경험’, ‘공개사례발표 발전 방향에 대한 제언’이었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영역별로 수퍼바이저 집단 간 상호 유사한 범주들과 상이한 범주들이 각각 도출되었는데, 우선 주수퍼바이저와 부수퍼바이저의 공개사례발표에 대한 인식과 관점 영역에서는 공개사례발표의 목적과 2인이 공동으로 지도 감독하는 관점에 대한 다양한 인식이 도출되었다. 또한 수퍼바이저의 역할 영역에서는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기대하고 선호하는 공동 수퍼바이저의 역할이 각각 도출되었다. 아울러 공동 수퍼비전 과정에서 각 수퍼바이저 집단별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과, 수퍼바이저들이 어려움에 어떻게 대처하고 있는지 다양하게 도출되었다. 공개사례발표에서 주수퍼바이저와 부수퍼바이저는 공개사례발표의 목적과 수퍼바이저의 역할이 불분명함에 따른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주수퍼바이저와 부수퍼바이저의 위계적 관계에 따라 각 입장에서 다양한 경험을 하고 있었고, 이에 따른 어려움을 보고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수퍼바이저 집단은 상호 보완적인 공동 수퍼비전이 되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고, 향후 공개사례발표의 발전 방향을 제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역별로 두 수퍼바이저 집단의 관점을 논의하였고, 종합 논의와 함께 연구의 의의와 실천적 제언,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case presen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upervisor and co-supervisor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Specifically, it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held by supervisors and co-supervisors in case presentation settings, respectively, as well as to explore in-depth the experiences of co-supervision during the process of case presentation supervis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upervisors and 10 co-supervisors from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y Association to explore the perspectives of each supervisor group, and data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5 domains and 6 sub-domains were derived for each supervisor group. The analysis yielded 42 categories and 6 subcategories from the supervisors' perspectives, and 36 categories and 6 subcategories from the co-supervisors' perspectives. The domains derived from both groups included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on Case Presentations", "Factors for Effective Supervision", "Roles of Supervisors in Case Presentations", "Experiences in Co-Supervision during Case Presentations", and "Suggestions for Case Presentation Development". The key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both similar and distinct categories were identified among the supervisor groups within each domain. Firstly, various perspectives on the purpose and co-supervision involving two supervisors were derived within the domain of perceptions and perspectives of case presentation. Additionally, within the domain of supervisor roles, perceptions of their own roles and the roles that supervisors expect from and prefer for the co-supervisor were derived for each. Moreover, we found various challenges experienced during co-supervision and the coping strategies employed by supervisors. During the process of co-supervision, both supervisors and co-supervisors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he unclear purpose of the case presentation and the role of the supervisor. Furthermore, depending on the 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 and the co-supervisor, diverse experiences were reported from each perspective, alongside the challenges they encountered. Despite these challenges, both groups of supervisors made efforts towards complementary collaborative supervision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ase presentat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perspectives of the two supervisor groups were discussed by domain, and along with the comprehensive discussion, research implications, practical recommend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 조기정신증 대상자를 위한 지역사회기반 사례관리 경험

        신소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전 세계적으로 정신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기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11년 서울시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는 지역사회 기반의 조기정신증 사례관리 프로그램(Social Treatment for Early Psychosis Program:이하 STEP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조기정신증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STEP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사례관리자의 경험을 질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여, 지역사회에서 조기정신증 대상자를 위한 사례관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 실무적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6년 7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서울시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1년 이상 조기정신증 사례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정신보건전문요원 1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면담 질문은 조기정신증 사례관리에 영향을 주는 사례관리자 요인, 대상자 요인, 구조적 요인, 네트워크 요인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고 인터뷰 내용은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되고 필사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STEP 실무자 교육을 통해 조기개입의 중요성을 인식한 사례관리자는 STEP 프로그램을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 전문적인 역량을 개발하고 대상자와 라포를 형성하기 위해 정상화(Normalization) 기법을 적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사례관리자의 노력이 소진이 아닌 열정으로 이어지면, 사례관리자는 대상자의 빠른 회복을 통해 보람을 느꼈고 대상자와 함께 사례관리자도 성장하는 경험을 하였다. 대상자 요인에는 자녀의 질병을 인정하지 않는 부모가 장애요인이 되는 반면, 프로그램 내에서 만난 동료들이 정서적인 지지와 회복 모델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대상자의 욕구와 기능수준에 따른 차별적인 사례관리가 요구되었으며, 약물 중단으로 인한 잦은 재발과 높은 자살사고로 인해 정신과적인 위기가 자주 발생하고 있었다. 구조적 요인에는 상임팀장의 관심과 지원이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반면, 서울시 지역정신건강증진센터는 정신보건의료기관과의 협력관계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고, 지역사회 조기정신증 사업의 지속성과 체계성의 부족이 한계점으로 지적되었다. 네트워크 요인으로 서울시 광역정신건강증진센터는 사례관리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전문적인 매뉴얼과 교육을 제공하고 지역사회의 사례관리 기반을 마련하고 있었다. 정부차원으로는 사례관리자의 열악한 직무환경과 정신질환에 대한 대중의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조기정신증에 특화된 정신보건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조기정신증 사례관리자의 경험을 4가지 요인을 통해 확인하였고, 각 요인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 이는 지역사회에서 STEP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조기정신증 대상자를 위한 효과적인 사례관리를 제공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주요어: 사례관리, 조기정신증, 지역사회 학 번: 2012-20432

      • 자활사례관리의 네트워킹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윤주영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자활사례관리사업을 중심으로 자활사례관리의 네트워킹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네트워킹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ateway과정 전담관리자와 자산형성 사례관리자, 시범사업 사례관리자가 있는 전국 248개 지역자활센터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활사례관리의 네트워킹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직요인 중 지역적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농촌형이 도시형에 비해 네트워킹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활사례관리의 네트워킹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요인 중 지역사회문제 민감도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문제 민감도가 낮을수록 네트워킹 수준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결과 자활사례관리자의 네트워킹 수준은 1.76으로 중간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다른 복지관련 사례관리 네트워킹 수준과 비교해도 매우 낮은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음 3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농촌형일수록 네트워킹 수준이 높은 것은 지역적 특성에 따른 친밀한 인간관계를 통한 네트워킹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또한 기관 및 지역 내 자원의 희소성에 의해 더 많은 네트워킹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상황일수록 사례관리자의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고 효과적으로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네트워킹 수준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요인은 지역사회문제 민감도로 대체로 지역사회와의 연계·협력이 개인적 연결망에 의존하고 있어 지역사회협의체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자활사례관리를 비롯한 자활사업에 대한 협의·조정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욕구나 문제에 대하여 적절히 대응하고 지원할 수 있는 지역거점센터의 설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자활사례관리에서 사례관리 실천기법중심의 교육과 더불어 네트워킹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자활사례관리 네트워킹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관련 교육과 워크숍 등의 실시가 필요하다. 핵심어 : 자활사례관리, 네트워킹, 지역자활센터

      • 발주사례 분석을 통한 국내 CM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정창수 연세대학교 산업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1997년 7월에 건설사업관리 제도가 발효된 이래 공공부분에서는 서울 월드컵 주경기장 건설공사를 효시로 하여 남원원료공장 현대화 사업 등 여러 프로젝트가 CM(Construction Management)으로 발주되었고 해당 프로젝트에서 CM 업무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여건은 아직 국내의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 감리자, 컨설팅사 등을 비롯한 건설생산 주체들이 CM을 수행할 준비와 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CM 발주를 위한 제도 정비도 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건설사업관리 발주 및 시행 과정의 문제점을 사례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여 보고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발주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공공사업 건설사업관리의 발주자와 공급자에게 공사발주단계 및 수행단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건설사업관리의 활성화를 위하여서는 무엇보다도 현재 수행되고 있는 건설사업관리의 사례를 분석하여 현재 건설사업관리 시행 상에 나타나고 있는 장애 요인들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수행 중인 건설사업관리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건설사업관리의 업무범위가 해당사업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교과서적인 CM 업무만을 나열함으로서 발주청의 건설사업관리 실행 목적이 명확하지 않았다. 둘째, 건설사업 관리에 대한 적정대가 기준이 마련되지 않았으며 그 업무범위에 비해 저가의 용역비가 산정됨으로써 건설사업관리에 대한 품질저하가 우려되었다. 셋째, 건설사업관리 수행자의 선정에 있어 현재 이용되고 있는 기술, 가격 분리입찰에 있어, 용역비가 낙찰에 많은 영향을 미침에 따라 업체간의 경쟁으로 저가 낙찰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발주자가 제시한 기술제안서 평가 기준이 책임 감리제도와 유사하게 적용되어 건설사업관리 기술제안서에 대한 실질적인 평가가 어려운 점 등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건설사업관리의 업무범위와 대가기준, 그리고 건설사업관리자 선정 등에 있어서의 다음과 같은 제도개선이 반드시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첫째, 건설사업관리 업무범위는 건설사업의 전 단계를 포괄할 수 있도록 하며, 현행의 설계감리나 책임감리가 수행하고 있는 현장중심의 품질확보의 개념에서 탈퇴하여 사업비, 일정 등에 대한 종합관리기능을 보완하고 기존의 검토·확인 등 다소 소극적 자세에서 대안제시·조언 등의 적극적인 업무로 전환토록 하여야 하며, 또한 표준화 된 CM 업무범위(업무매뉴얼)를 제정하여 발주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건설사업관리 업무범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건설사업관리 대가 산정은 발주자가 예산상의 가이드라인을 손쉽게 산정할 수 있도록 정액적산방식을 지양하고 사업관리 수행업무별로 새로운 대가기준을 산정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건설사업관리자의 자격기준은 「건설산업기본법」제 26조 제 2항에 규정한 바와 같이 별도로 신설하지 않도록 하고, 건설사업관리자 선정방법은 가격경쟁에 의한 방법보다는 사업관리에 관한 기술능력과 전문지식을 보유한 업체를 대상으로 선정하는 철저한 기술평가를 중심으로 선정절차를 마련하여야 한다. 발주자는 건설사업관리자의 사업수행 조직, 수행실적, 사업관리수행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아직도 걸음마 단계에 있는 건설사업관리 제도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수행중인 각 CM프로젝트의 문제점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고, 건설사업의 참여 주체인 발주자, 건설사업관리자들이 제도개선을 통해 문제점을 보완해 나가려고 노력할 때 국내 건설사업관리 제도가 조속히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잠시 언급한 발주자와 건설사업관리자가 모두 공유할 수 있는 건설사업관리 업무의 표준화와 대가기준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재 수행중인 CM프로젝트가 완료된 후 그 성과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실시하여 문제점 및 대안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는 프로젝트 각 참여주체들의 입장을 서로 대비하여 발주자, CM사, 시공사별 갈등의 구도를 해소하고 공동의 가치를 수립할 수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Since construction business management system was put in force in July, 1997, various kinds of projects including modernization project for Namwon Green Leaf Processing Factory have been placed an order in CM(Construction Management) with the first instance of construction project for Seoul World-cup Main Stadium, and thus CM duties have been carried out in those projects. Considering the domestic conditions, however, major parties of construction including owners, designers, contractors, inspectors and consultants have not been equipped with suitable preparation and capabilities of performing CM,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have not been ready for order in CM. In light of this, it is required to prevent the problems, which might be occurring during the process of placing orders and construction for orderers and suppliers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by analyzing problems in the process of placing orders and construction fo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in case studies and presenting reasonable procurement model based on this. For the purpose of activating CM,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obstacle factors that occur while executing CM by analyzing cases of CM performed at present. The result of this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 of applying CM by orderer was not clear as which the work scope of CM did not fully consider the features of the appropriate project, and presented formal CM duties only. Second, as proper standard fee for CM was not prepared and low budget was assigned for the duties, it was suspected of lowering the quality in CM. Third, it showed the trend that project was accepted with low price due to competition, since the bidding amount had much influence on award when selecting CM company. It was also found to have difficulty in practically evaluating technical proposal for CM since the evaluation standard for technical proposal presented by owner was similarly applied to the Korean liability site-control system. Accordingly, it is inevitable to improve institutional conditions shown below in terms of selection of CM contractor, standard and work scope of CM, in order to improve problems specified above. First, work scope of CM should cover all stage of construction management. Breaking from the concept of obtaining quality focusing on site where present design inspection and supervision, it should complement total management functions for project budgeting and scheduling, and convert to aggressive works such as presentation of alternative and advice, from the passive attitude such as checking and examination. In addition, by enacting standardized CM work scope(work manual), it should allow the orderer to adjust the work scopes of CM at their own discretion, depending on the need of orderer. Second, estimation of CM fee should avoid fixed amount price method and establish new standard fee for CM per each work to allow easy assessment of guideline in budget. Third, the qualification of CM should not be defined specially as required in provision 2 of Article 26 of 「Construction Industry Basic Act」. Procedure of selection should be prepared focussing on thorough the evaluation technology which selects company with technical ability and expertise on CM, rather than selecting price competition. Orderer should consider and evaluate whole range of conditions including organization of CM contractor, performance, executing plan. As shown abov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problems of CM project under its way in order to activate CM institution which is in immature stage at present. The principle participant of CM including orderer and CM contractor should make every efforts to complement problems through institutional improvement. With this effort, domestic construction management can be activated on earliest time preferred. More study should be actively launched to standardization of CM work scope and fee both orderers and CM contractors can share as mentioned briefly earlier in this study. It is also necessary to continue to study successful case of construction management project, to analyze the successful factors and to promote widely to the public sector. Study on role model of CM at Risk should be also continued to activate the construction management in private construction se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