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경영시스템 인증제도의 도입방안 연구 : ISO 37101:2016을 중심으로

        기호룡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1711

        2015년, UN은 2030년까지 전 세계 모든 국가가 달성해야 할 공동의 목표로서 ‘지속가능발전목표(UN-SDGs)’를 채택했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국제사회의 변화에 발맞추어 ‘한국형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를 수립하고, 관련법에 근거하여 5년 단위로 ‘지속가능발전계획’을 수립하여 실행해오고 있다. 그러나 도시 수준에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은 아직 일부 도시에서만 자율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ISO)는 도시를 지속가능발전의 가장 중요한 행위자로 보고 도시 차원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여 국제표준으로 발행하였다. ISO 37101은 그 중 대표적인 표준으로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한 시스템적 방법론을 제시한다. 국내에서는 이 표준을 2019년 12월 국가표준(KS)으로 제정하였으며,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표준의 확산을 위한 인증제도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내 현황과 ISO 37101 표준 제정의 취지를 고려하여 국내 도시를 대상으로 ISO 37101 인증제도의 효과적인 도입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아래 절차대로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로 문헌조사를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과 도시경영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경영시스템 국제표준 및 인증제도를 조사하였다. 이어서 ISO 37101 표준의 구조와 내용을 분석한 후, 선행연구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둘째로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고, 질적연구방법 중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을 적용하여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였다. 인터뷰에는 경영시스템 국제표준 및 인증제도 전문가 4명과 지속가능한 발전 관련 전문가 3명이 참여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근거이론 분석을 통해 구조화된 모형으로 도출되었고, 모형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도시의 지속가능발전 관리에 대한 국내·외 요구가 증가’하고(인과적 조건), ‘도시 관리의 패러다임도 도시행정에서 도시경영으로 변화’함에 따라(맥락적 조건) 도시의 지속가능발전 경영체계 구축을 지원하기 위한 대안으로 ‘ISO 37101 인증제도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었다(중심현상). 그러나 인증제도 도입 시 고려사항으로 ‘지방정부의 지속가능발전 관리 인프라 부실’, ‘ISO 인증제도의 부작용’, ‘지방정부 인증제도 도입 시 현실적 한계’, ‘법정 인증제도로 도입 시 고려사항’이 나타났다(중재적 조건). 이에 대한 대안으로 ‘ISO 37101 기반의 법정 인증제도 개발 및 운영체계 정립’,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 제고’가 제시되었고(전략), 전략 실행의 기대효과로 ‘지방정부의 지속가능발전 관리체계 고도화’, ‘도시경쟁력 강화’가 나타났다(결과). 마지막으로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제인 ISO 37101 인증제도의 도입방안에 대해 ISO 37101 기반의 법정 인증제도 신설, ISO 37101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 제고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영시스템 국제표준 및 인증제도라는 별개의 영역에서 연구되어온 주제를 하나로 연계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도시경영 인증제도를 도입할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In 2015, the UN adopte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UN-SDGs) as a common goal for all countries to achieve by 2030. In keeping with thes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Korea has also established ‘Korean-styl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K-SDGs)’ and has established and implemented ‘Sustainable Development Plans’ every five years based on related laws. Howeve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SDGs and plans at the city level is being done in an autonomous way only in some cities.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developed a methodology to support the achievement of the SDGs at the city level and published it as an international standard, considering cities as the most important actors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O 37101, as a flagship standard among them, presents a systematic methodology for establishing a ‘management system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In Korea, this standard was adopted as a Korean standard(KS) in December 2019, an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adopt a certification system to spread the stand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ective way to adopt the ISO 37101 certification system for domestic cities in consideration of the domestic situation and the purpose of the enactment of the ISO 37101 standard. For this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below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First, I summarized the concept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urban manage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e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s for management systems. And after analyzing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the ISO 37101 standar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as discussed based on the review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econd, I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relevant experts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amo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ur experts on international standards and certification systems for management systems and three experts on sustainable development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he interview results were derived as a structured model through grounded theory analysis, and the contents of the model are as follows. As domestic and foreign demands increasing for urban sustainable development management and the paradigm of urban management changes from urban administration to urban management, It has been raised that the need to adopt the ISO 37101 certification system as an alternative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urban sustainable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However, as considerations when adopting the ISO 37101 certification system, the local government's poor sustainable development management infrastructure, the side effects of the ISO certification system, practical limitations when adopting certification system for local government, and considerations when developing the statutory certification system were found. As an alternative to this, developing the ISO 37101-based statutory certification system and setting up the operating system, and raising awareness of the certification system were suggested. In conclus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effective introduction of the ISO 37101 certification system', was 'developing ISO 37101-based statutory certification system and setting up the operating system' and 'raising awareness of the certification system', which were presented as strategies i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the structured model of method to adopt the certification system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adopting the urban management certification system targeting local government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make a small contribution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research in the urban field, which is lacking in Korea.

      • 재개발사업과의 비교를 통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주거환경 개선 효과 분석 : 성남시 2010 1단계 도시정비사업을 중심으로

        주재성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51695

        In Korea, “Urban improvement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as a "Redevelopment project“ and ”Reconstruction project" that completely demolishes residential areas and builds large-scale apartment houses, and a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that improve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y maintaining and improving existing infrastructure and public facilities. Until now, in Korea, “Redevelopment projec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which are believed to have a high effect on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real estate profits generated through urban improvement projects, have been mainly carried out as “Urban improvement project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hanges in the physical residential environment made through public-le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to improve residents' housing stability by preserving existing dwellings, and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is less economically burdensome. To this end, "Eunhaeng 2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Dandae-dong Redevelopment Project" in Eunhaeng 2-dong, Jungwon-gu and Dandae-dong, Sujeong-gu were established as research targets. Through three areas of safety, convenience, and comfort that can affect the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11 calculation indicators for each area, changes in the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urban renovation project were studied. As a resul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showed a clear improvement effect on the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the urban maintenance project in all areas of safety, convenience, and comfort, like the “Redevelopment project”. In addition, considering the project cost, eco-friendliness, and housing stability for low-income families,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was a meaningful project as an urban maintenance project. Therefore, if public support for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is strengthened to stabilize housing for residents such as low-income families, and residents' perception of an economic and effective urban improvement project spreads as suggested in this study,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s expected to become a sustainable urban improvement project while preserv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maintaining the home of indigenous people. 대한민국에서의 노후 주거지 정비사업은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에 따라, 주거지를 전면 철거하고 대규모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환지방식의 재개발․재건축사업방식과 기존의 기반시설∙공공이용시설에 대한 확충․ 정비․개량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현지개량방식의 주거환경개선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동안 대한민국에서는 도시정비사업을 통해 발생하는 부동산 수익과 주거환경 개선효과가 높을것이라 여겨지는 재개발‧재건축 방식의 사업이 주거지 도시정비사업으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들어 재 개발‧재건축 사업의 사업성이 줄어들어, 이러한 도시정비사업들을 통한 부동산 수익 발생을 기대하기 어려워졌고, 오히려 주거민들의 경제적 담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달리 주거환경개선사업은 도시정비사업중 추진 비중은 낮지만, 기존 주거지를 보존하여 주민들의 주거 안정성이 높고, 공공 주도로 진행 되어 주거민들의 경제적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다. 본 연구는 주거환경개선사업을 통해 이루어진 물리적 주거환경 변화가 주거환경 개선에 끼친 효과를 재개발사업과의 비교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성남시 2010 1단계 도시정비사업으로 비슷한 시기에 추진되어 시간적, 공간적 변수 등 외적 영향이 적은 “은행2주거환경개선사업”과 “단대동재개발사업”이 실시된 성남시 중원구 은행2동과 수정구 단대동을 연구대상지로 설정하였고, 선행연구를 통하여 주거환경의 질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3개의 영역과 영역별 산출지표 11개를 통하여, 도시정비사업 전∙후의 주거환경 질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안전성, 편리성, 쾌적성 모든 영역에서 주거환경개선사업은 재개발사업과 마찬가지로 도시정비사업 전․후의 주거환경의 질에 대한 개선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아울러, 사업비 및 친환경성, 저소득층 주거 안정성을 고려한다면, 도시정비사업으로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의미 있는 사업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저소득층 등 거주민의 주거 안정을 위해 주거환경개선사업에 대 한 공공의 지원이 강화되고,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도시정비사업이라는 주민들의 인식이 확산된다면, 주거환경개선사업은 지역적 특성을 보존하고 원주민의 삶의 터전을 유지하면서 지속 가능한 도시정비사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 국제기구 활용 방안 탐색 : APEC을 중심으로

        김지영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한국이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APEC이라는 국제적 플랫폼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탐구한다. 이를 위해 APEC 내 교통실무그룹인 TPTWG에서 논의된 의제들을 키워드 분석하여 주요 동향을 파악하였으며, APEC 내 스마트 모빌리티 관련 주요 프로젝트들을 인과적 과정추적(Causal Process Tracing) 방법을 통해 발전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TPTWG의 주요 의제는 지속 가능한 교통 시스템 구축, 환경 보호, 스마트 모빌리티와 같은 혁신적 기술 도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언급된 의제들은 회원국 간의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프로젝트로 발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은 TPTWG 내에서 논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요 의제를 제안함으로써 스마트 모빌리티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APEC을 활용한 한국의 참여는 향후 국제적인 스마트 모빌리티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한국의 기술력과 정책 방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how Korea can effectively utilize the international platform of APEC to enhance it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smart mobility and promote sustainable projects. To do so, we conducted a keyword analysis of the agendas discussed in the Transportation Working Group (TPTWG) of APEC to identify key trends, and analyzed the development of major projects related to smart mobility in APEC through the Causal Process Tracing method. The study found that the TPTWG's main agenda focuses on building sustainable transportation systems, protecting the environment, and adopting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smart mobility, and that the consistently mentioned agenda items are being developed into concrete projects through consultations among member economies. This suggests that Korea can actively participate in discussions within the TPTWG and propose key agenda items, creating a significant opportunity to enhance its competitiveness in the smart mobility sector. Korea's engagement with APEC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future international smart mobility projects, which w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s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policy direction.

      • 신도시 경관디자인 형성을 위한 개발기법 적용방안 연구 : 행정중심복합도시 토지공급방식 사례를 중심으로

        박현옥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Many developing countries running rapid urbanization have studied Korean new towns characterized by public leading, planed city, speedy construction period, high density and so on. Recent trends of Korean new town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 and compact city have a strong influence on landscape of the city. Elements of building such as mass, height, elevation, and access represent a huge part of forming city landscape, and these elements are contained district unit plan. As most buildings for living and commerce are constructed by private sector, however, it is hard to expect that the view intended by urban design plan blend with the real landscape. Private construct considering only business profit have hindered the city landscape and even have dropped the whole image of the new town. To minimize adverse effect to the city landscape by private sector construction, this study would show that land supply method affect city landscape. Korea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s used an example that has been attempted a various land supply method to study the urban landscape design. To research, land supply method are classified into 8 sectors as "the way of plan + the way of land sale" - 1) land replotting 2) urban unit plan + competitive bidding 3) design competition of block + contract with the winner 4) design competition of neighborhood + direct construction of project owner 5) master plan of neighborhood + design competition(and the winner has the right) 6) master plan + competitive bidding 7) guideline by block architect and competitive bidding 8) design competition and competitive bidding of individual lot(for detached housing site). Analysis indicators to measure differences of 8 land supply methods are building landscape, residential landscape, city landscape, specialized landscape, economic feasibility, planning period, action means. Expert survey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ity landscape in differences to the land supply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make the better use of the developing counties caused mass housing provision under rapid urbanization. It would suggest varied land supply method to create surpassing landscape, not standardized. Moreover, this research would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Korean new town model competitiveness in the business of developing new town. 한국형 신도시는 공공주도의 계획도시, 빠른 건설기간, 높은 인구밀도 등이 특징이며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는 개발도상국들의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대중교통중심도시와 컴팩트시티를 지향하는 최근 한국형 신도시의 트렌드는 도시의 경관에도 큰 영향을 끼친다. 도시경관을 형성하는데 있어 공동주택 등의 건축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여 건축물의 높이, 매스, 입면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도시경관을 조절한다. 하지만, 주거와 상업 등 도시를 이루는 대부분의 건축물은 민간이 건설하기 때문에 계획이 의도하는 대로 도시경관을 창출하기가 어렵다. 사업성을 중시하는 민간건축물들은 오히려 도시경관을 저해하고, 신도시 전체 이미지를 하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간건축영역의 도시경관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토지공급방식에서 적용하는 다양한 개발기법을 통하여 도시경관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다양한 토지공급방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의 토지공급사례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토지공급방식을 1)환지 방식, 2)지구단위계획 수립 후 일반공급, 3)블록별 설계공모 4)생활권별 설계공모 후 사업시행자 직접건설, 5)생활권별 마스터플랜 수립 후 설계공모, 6)생활권별 마스터플랜 수립 후 일반공급, 7)BA 가이드라인 수립 후 일반공급, 8)설계공모 후 개별필지 일반공급(단독주택)의 8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토지공급방식에 따라 도시경관디자인이 어떻게 다른가에 대한 분석지표로는 건축경관, 단지경관, 도시경관, 특화경관과 경제성, 계획기간, 실행수단 등으로 분류하여 행정중심복합도시 토지공급 실증사례를 중심으로 조사하고 장단점을 분석하였으며 상대적 비교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전문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토지공급방식의 다양한 개발기법에 대한 분석결과는 신도시의 개발환경에 따라 획일적인 도시경관이 아닌 우수한 도시경관디자인을 창출 할 수 있는 다양한 토지공급방식 적용을 제안할 수 있다. 급격한 도시화로 주택의 대량공급이 예상되는 고밀도의 개발환경 등에서 활용 가능할 것이며 향후 신도시개발 사업에 있어서 한국형 신도시개발 모델의 경쟁력을 제고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The relationships between urban development and informal settlement for the case of Yeka subcity in Addis Ababa, Ethiopia

        SHIFERAW, Esayase Teshome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695

        It is known and raising high that urbanization is an unavoidable phenomenon. Urbanization has appears as a result of the natural increase (birth of the population) and an extraordinary amount of migration from rural to urban. The fast speed of urbanization and unplanned expansion of Settlement have caused in numerous damaging consequences, mainly in developing countries which is one of them is Ethiopia. Most cities in developing countries are expanding horizontally and the population is moving to unplanned settlements on the River Side, Mountain bed and peripheries at the expense of house holed life, environment , agriculture lands and areas of natural beauty. Some of the Settlement are totally in central (Urban core) areas and others found in the periphery of Addis Ababa city. The general objective of the study is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cause and trained of informal settlement and advice the possible solution or recommendation. With the Method a community based cross-section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in Addis Ababa city, yeka sub city with the specific area from September 01 to February 31, 2020 on informal settlements. the Stratified sampling method was the best choice for the population embraces a number of a distinct informal settlement categories for the researcher Stratified sampling method is better because settlers or anyone who is responsible are distributed in a specific area to gather the data that I want. So, I will took 118 respondents for the data collection from the candidate sites of the informal settlement. In the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category informal settlements in the study area are mainly located in the, along the rivers, hilly areas, and city peripheries of the city, where they are various, and irregular in shape. In most cases they are characterized by large plot sizes and have greatly contributed to the unplanned and rapid horizontal expansion of the built-up area of the city with the lack of infrastructure and services. And I recommend that it is better to keep them and give them an appropriate status to live with serviced land rather than demolishing their homes, Use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available serviced land in the city, follow the instruments to facilitate the release of underutilized land, which was occupied by the individuals, the local government should develop clear and transparent administrative procedures, regulations standards and make awareness what an informal settlement impacts are to the city. Keywords: Urban development, Informal settlement, urban regeneration, urban relocation, relationship 도시화는 불가피한 현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실제로 심화되고 있다. 도시화는 출산율 증가와 농촌에서 도시로의 폭발적인 인구 유입의 결과로 발생한다. 급속한 도시화와 무계획적인 거주지 확대는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수많은 파괴적인 결과를 초래해 왔으며, 에티오피아도 예외는 아니다. 개발도상국 도시 대부분은 강가, 산기슭 및 경계를 따른 무계획적인 거주지의 수평적 확대와 이를 향한 인구 이동으로 인해 열악한 가정 생활, 환경 피해, 농지 황폐화 및 자연 경관 훼손과 같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아디스아바바(Addis Ababa)의 경우 거주지 일부는 도심에 위치해 있으며, 또 다른 일부는 도시 경계를 따라 주변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임시 거주지의 분포 및 원인을 식별하여 가능한 해법과 권고를 제시하고자 한다. 그 방법의 일환으로 2019년 9월 1일부터 2020년 2월 29일까지 아디스아바바 예카(Yeka)의 특정 구역에 위치한 임시 거주지)를 대상으로 지역 공동체 기반 단면 연구법(정성적 및 정량적)을 실시하였다. 다수의 임시 거주지에 분포되어 있는 많은 인구에 대해 원하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조사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층화 표본 추출이 최선의 방법이었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을 위해 임시 거주지의 후보 구역에 거주하는 118명의 응답자를 선정하였다. 조사 대상 임시 거주지는 주로 강가, 언덕 및 도시 외곽 지역에 위치하며, 그 형태도 다양하고 불규칙하다. 대부분의 경우 임시 거주지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며, 인프라 및 서비스의 부족과 함께 도시의 무분별하고 급속한 수평적 확대의 주 원인이 된다. 결론에서는 단순한 철거보다는 정착지를 유지하고 가용 부지를 제공함으로써 적절한 생활 수준을 보장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도시의 가용 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개인 소유의 저활용 부지 개발을 촉진하는 정책을 채택하는 한편, 명확하고 투명한 행정 절차, 규정 및 표준을 수립하고, 임시 거주지가 도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도시 개발, 임시 거주지, 도시 재생, 도시 재배치, 관계

      • 도시공원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계층적 분석 연구 : 타슈켄트시를 대상으로

        정지운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시의 도시공원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계층화 분석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활용하여 주요 관리 요인의 중요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타슈켄트시는 급격한 도시화와 기후변화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 지역으로, 이에 따라 도시공원은 환경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추진 중인 「Green Space」 프로그램은 2026년까지 국가 전역의 녹지 면적 30%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어, 도시공원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운영관리, 유지관리, 이용관리의 세 가지 관리 범주를 중심으로 각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지관리’가 40.1%로 가장 높은 가중치를 보였으며, ‘운영관리’는 31.6%의 가중치를 기록하였고, 제도적 기반과 조직 체계의 수립이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었다. ‘이용관리’는 28.3%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었으나, 공원의 안전과 주민 참여를 증진하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운영관리 부문에서는 ‘제도 및 계획 수립’이 38.2%로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으며, ‘체계적인 조직 수립(33.8%)’과 ‘예산 및 재산 관리(28.0%)’가 뒤를 이었다. 유지관리 부문에서는 ‘환경관리’와 ‘나무관리’가 각각 23.6%와 23.1%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시설물 및 건축물 관리(20.2%)’, ‘생태관리(19.3%)’, ‘식물관리(13.7%)’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관리 부문에서는 ‘안전관리’가 43.2%로 가장 높은 가중치를 기록했으며, ‘교육 및 프로그램 운영(30.3%)’, ‘주민참여 유도(23.8%)’가 뒤를 이었다. 본 연구는 타슈켄트시 도시공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전략적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실질적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 타슈켄트시 도시공원의 체계적 운영 한계는 법적 기반과 관리 기준 부재에서 기인하며,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할 도시공원 관리법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타 국가의 도시공원 관리 요소와 달리 타슈켄트시 도시공원이 갖는 독특한 특징은 대륙성 기후를 지닌 지리적 측면 및 국가 프로그램을 반영하여 나무 관리가 생태적·환경적 가치를 위해 도시공원 관리의 핵심 요소로 포함된다는 점이다. 아울러 도시공원 관리 요소로 도출된 11개를 동일하게 중요한 대상으로 간주하고, 특정하게 도출된 요소의 관리에 집중하되 나머지 요소 간 균형 잡힌 운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타슈켄트시를 넘어 우즈베키스탄 전역의 도시공원 관리에 적용 가능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공하며, 향후 지역 간 비교 연구를 통해 보다 정교한 정책적 제언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ystematic management framework for urban parks in Tashkent, Uzbekistan, by emplo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identify and prioritize key management factors. Tashkent, a city experiencing the dual pressures of rapid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increasingly recognizes urban parks as essential infrastructure for addressing environmental and social challenges. Particularly, Uzbekistan's "Green Space" program, which targets a 30% increase in green coverage nationwide by 2026, underscores the urgent need for efficient and systematic urban park management. Against this backdrop, this research categorizes urban park management into three domains—operational management, maintenance management, and utilization management—and analyz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lements within each domain. The analysis reveals that ‘Maintenance Management’ holds the highest priority with a weight of 40.1%, followed by ‘Operational Management’ at 31.6%, where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frameworks is emphasized as crucial. ‘Utilization Management’ ranks relatively lower at 28.3%, but efforts to enhance park safety and promote community engagement remain pivotal. A closer examination shows that in the operational management domain, ‘Institutional Planning and Strategy Development’ emerges as the most critical factor with a weight of 38.2%, followed by ‘Systematic Organizational Structure(33.8%)’ and ‘Budget and Resource Management(28.0%)’. In the maintenance management domain,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Tree Maintenance’ dominate with weights of 23.6% and 23.1%, respectively, followed by ‘Facility and Infrastructure Management(20.2%)’, ‘Ecological Management(19.3%)’, and ‘Plant Management(13.7%)’. Within the utilization management domain, ‘Safety Management’ holds the highest weight at 43.2%, followed by ‘Education and Program Operations(30.3%)’ and ‘Community Engagement(23.8%)’. This study provides strategic guideline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urban parks in Tashkent and offers an evidence-based foundation for practical policymaking. The findings emphasize ‘Safety Management’ as the top priority, suggesting the need to focus on optimizing physical structures, enhancing the visibility of pathways and entrances, and expanding the installation of night lighting and surveillance cameras, particularly in peripheral parks. Additionally, the study highlights that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urban parks in Tashkent is hindered by the absence of legal frameworks and management standards, thereby advocating for the introduction of urban park management legislation. Unlike urban park management factors in other nation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ashkent’s urban parks reflect their geographic and climatic conditions, such as a continental climate, as well as the objectives of national programs. Notably, tree maintenance is identified as a critical element, reflecting its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significance in urban park management. While all 11 management fac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hold equal importance, balanced management across these elements is essential, even as specific factors are priorit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not only provide policy direction for urban park management in Tashkent but also hold broader implications for urban park management across Uzbekistan. Future comparative studies across regions may further refine these policy recommendations and contribute to more sophisticated urban park strategies.

      • 공공공간으로서의 도시하천공간의 공간특성 및 이용자행태 연구 : 성북천을 중심으로

        김희섭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도시의 공공공간은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동시에 시민의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역사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현대 도시에서의 공공공간은 양적 증가와 그 형태의 다양화에도 불구하고 질적·기능적인 면에서 쇠퇴하고 있다. 한편, 도시 공공공간의 한 유형인 하천공간은 도시의 환경과 생태를 개선하는 동시에 이용자를 위한 어메니티를 제공하는 등 많은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나, 공공공간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와 그 활용 및 관리에 있어서는 소극적인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시 공공공간의 의미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하천공간이 도시 공공공간으로서 지니는 역할 및 기능을 살펴보고, 시민들의 공공공간으로서 존재하는 도시 하천공간의 효과적인 이용과 관리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성북천의 성북구 관할 구간 2.6km를 대상으로 하천공간이 공공공간으로서 지니는 공간 특성 및 이용자의 행태를 직접관찰법을 통하여 조사하고 공간 특성과 이용자 행태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하천공간의 이용자 수는 공간으로의 접근성 보다는 주변의 토지이용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고, 운동기구와 벤치 등 이용시설의 이용률은 시설의 수가 아닌 시설의 배치 형태에 큰 영향을 받으며, 하천의 환경·생태 특성을 활용하는 이용자의 행위는 공간의 환경·생태적 양호함 보다는 다양한 행위를 유발하는 넓은 공간의 존재 여부에 영향을 받는다는 등의 의미 있는 발견을 하였다. The urban public spac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the city, while also affecting the daily life of the citizens. However, public spaces in modern cities are declining in both qualitative and functional terms despite the quantitative increase and diversification of its forms. On the other hand, the urban stream space, which is a type of urban public space, is considered to have many potential such as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ecology of the city and providing amenity for users. However, the debate on its identity as a public space and its utilization and management are still pass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and function of stream space as a public space in the city along with the discussion on the meaning of urban public space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effective use and management of urban stream space. For this purpos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space as a public space and the behavior of the user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direct observ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user behavior was analyzed for the 2.6km region of Seongbukcheon, Seou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users depends more on the land use characteristics than the accessability to the space, and the utilization rate of exercise facilities and benches is more dependent on the arrangement type than the number of facili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user's behavior that utilizes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stream depends on the existence of wide squares that cause various actions rather than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onditions of the space.

      • Implement car free zone to the pub street in Siem Reap

        Chouchhan, Pakrigna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전 세계 곳곳의 도시들이 자동차 운행 금지 및 보행 전용 구역(카 프리 존)의 이행 경험을 보다 더 잘 파악하는 데 관심을 표명해 왔다. 카 프리 존(car free zone)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하는 도시 계획의 개념 중 하나이다. 카 프리 존을 도입하고 공공 공간을 확대함으로써 도시를 보다 활기차고 생동감 있게 만들 수 있다. 정부는 도시의 보행 편의성을 강화하는 다수의 의욕적인 프로젝트를 이행해 왔다. 그와 같은 프로젝트는 도시를 더욱 매력적이고 살기 좋게 만들기도 한다. 최근 몇 년 간 전 세계적으로 보행 편의성의 중요성이 커졌다. 시민, 지역 사회 및 정부가 그와 같은 활동적인 이동(도보, 자전거 등)의 환경적, 사회적 및 경제적 이점을 점점 더 깊이 인식하게 되고 더 많은 보행 가능 장소를 요구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에서 도시로의 인구 이동으로 인해 씨엠립의 인구가 점차 증가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씨엠립의 펍 스트리트(Pub Street)에 카 프리 존을 설치하는 정책 및 기준을 마련했다. 씨엠립은 다수의 관광지 및 유적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도시 환경이 조밀하다. 그리고 승용차 의존도를 줄임으로써 보다 지속 가능한 도시를 만든다는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카 프리 존은 공공 구역에 레크리에이션, 쇼핑 및 보행 기능을 제공하는 개념이지만 도시 계획에는 부분적으로 채택되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 개념에 중점을 두고 카 프리 존 선정 및 설계를 위한 기준을 모색하는 동시에 카 프리 존에 대한 인식 제고를 강조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보행자 친화적인 카 프리 존을 통해 사람들의 행동 및 태도 변화 촉진 2. 카 프리 존에서의 관광객 만족도에 대한 기준 평가, 개발 및 설계 3. 카 프리 존 개선을 위한 지속 가능한 개발 방안 모색 카 프리 존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네 이해 당사자(정부, 도시 계획 전문가, 관련 기관 및 시민)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따라서 두 가지 연구 방법론(정량적 연구 방법과 정성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시 계획 전문가를 포함한 70명의 사람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했다. 결론적으로, 씨엠립의 카 프리 존은 중심 업무 지구(CBD)이자 역동적이고 인기 있는 레저 공간으로 자리잡을 것이다. 카 프리 존은 승용차 대신 대중 교통을 이용하도록 장려하고 보행자 중심의 도시로 탈바꿈시킴으로써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홍보하는 장이 될 것이다. 정부가 도시를 보다 매력적이고 활기차게 만들기 위한 새로운 도시 계획 체계를 수립하는 한 가지 방법이기도 하다. Cities in other part of the world have expressed interest in bette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implementing car free zone and pedestrian policy. Car free zone is one of the concepts in the city planning for promoting sustainable growth. Introducing car free zone and expanding public spaces, we can make the city more lively and vibrant. Government has completed multiple ambitious projects to enhance the walkability of the city. It is also about making the city more attractive and liveable. Walkability has gained greater prominence in cities throughout the world in recent years. People, communities and governments are increasingly aware of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of such active mobility, and have begun to demand more walkable places. In this research is created policy and criteria of the car free zone to Pub Street in the Siem Reap because of Siem Reap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migration from rural areas to the city. City has many tourists’ attraction sites and it has origins and history high-density urban environments and a common goal to make this city more sustainable by reducing reliance on private vehicle. Car free zone is the concept which provides public area for recreation, shopping, and walking, but this concept is partially adopted in the city plan, so this research will focus on this concept and find the criteria for choosing and designing the car free zone with emphasize on increasing the public awareness towards car free zones. This thesis aims to 1. promote pedestrian-friendly in car free zone on walkable for changing people behaviors and characteristics 2. assess and develop design criteria for tourist satisfaction in car free zone 3. find the solu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improve the car free zone There are 4 stakeholders are participated in this car free zone such as government, experts and urban planner, authority, and people to be successful in this project. So, we use two kinds of research methodology i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 selected 70 people in this research’s target, one expert, and one urban planner. In conclusion, car free zone in Siem Reap will become the CBD (central business district), vibrant and popular leisure spot. Car free zone will be a part of promo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city with encouraging people for using public transport instead of private vehicle and improve walkable city. Only one way that government has conducted a new system of urban planning for making this city more attractive and liveable.

      • Social and Economic Value of Urban Parks in Tashkent City, Uzbekistan

        Kodirov, Otabek Abdukhodievich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1695

        Urban parks play a crucial role in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in cities by providing essential green spaces, recreational opportunities, and environmental benefits.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socio-economic value of urban parks in Tashkent city, Uzbekistan. Existing literature highlights the multifaceted value of urban parks. Studies demonstrate their contribution to human health and well-being through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tress reduction, and social interaction facilitation (B.A. Revich, 2023). Urban green spaces help contribute to improved air quality and improve overall community health. Trees in urban parks remove up to 711,000 tons of air pollutants from the air annually at a value of $3.8 billion to cities. Urban forests also facilitate stormwater management, reducing water pollution, protecting drinking water, and decreasing the rates of waterborne diseases. These spaces in cities also help cool our cities, reducing the heat-island effect (R. Paden, 2022). Tashkent boasts a significant amount of urban greenery, particularly evident within its central districts. Many of the city's parks are established and date back to the Soviet era. However, recent development has seen the incorporation of new green spaces alongside these existing areas. While a substantial portion of Tashkent's greenery lies within private courtyards, the city nonetheless offers an abundance of public parks and gardens for exploration by both tourists and resident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easure the positive effects that city parks in Tashkent, Uzbekistan have on society and the economy. This will probably involve putting a dollar amount on the different advantages parks bring, like: better health for the public because parks encourage people to be active and spend time in nature, which can lead to fewer people being obese, having heart disease, and other long-term health problems. Higher property values since research has shown that houses and buildings near parks tend to be worth more money. Lower crime rates because parks can be safe places for people to relax and connect with their community, which can help to bring down crime. In methodology part, a mixed-methods approach was employed. Hedonic model was implemented to estimate the impact of parks on property values and to compare the property values in specific non park or park access neighborhoods. Field surveys and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the specific park users to understand usage patterns and preferences. This thesi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socio-economic value of urban parks in Tashkent city. The findings inform urban planning and park management strategies to optimize the benefits derived from these green spaces. The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prioritization of park maintenance and investment decisions,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improve park accessibility and usability, and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urban parks for public health and well-being in policy discussions. This study finds that urban parks in Tashkent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community engagement by attracting residents for leisure activities. Additionally, these parks play a crucial role in fostering business prosperity, creating new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increasing property values. 도시 공원은 필수적인 녹색 공간, 여가 활동 기회 및 환경적 편익을 제공함으로써 도시인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내 도시 공권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조사한다. 기존 자료에서는 도시 공원의 다면적 가치를 조명하였다. 이들 연구에서는 도시 공원이 신체 활동 촉진, 스트레스 감소, 사회적 상호작용 강화를 통해 인간의 건강과 웰빙에 기여한다고 밝혔다(B.A. Revich, 2023). 도시 녹색 공간은 대기질 개선에 기여하고 지역 사회 주민의 전반적인 건강을 향상해 준다. 도시 공원 내 나무는 매년 대기로부터 최대 711,000톤의 대기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데, 이를 경제적 가치로 환산할 경우 미화 38억 달러에 달한다. 도시 삼림은 우수 관리, 물 오염 완화, 음용수 보호, 수인성 질병 발병률 축소에도 기여한다. 도시의 녹색 공간은 열섬 효과를 줄여 도시를 시원하게 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R. Paden, 2022). 타슈켄트는 상당한 수준의 도시 녹지를 자랑하는데, 중심 지구의 녹화가 특히 인상적이다. 시내 공원 중 다수는 소비에트 연방 시절에 조성된 것이다. 하지만 최근에도 새 녹색 공간을 기존 녹지에 통합하는 등과 같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타슈켄트의 녹지 중 상당 부분은 민간 부문 소유지 안에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타슈켄트는 관광객 및 거주민이 즐길 수 있는 풍부한 시민 공원과 정원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내 도시 공원이 사회 및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 같은 측정에는 시민들이 자연 속에서 활동하며 여가를 보내도록 장려하여 비만, 심장병 및 기타 만성적인 건강 문제를 겪는 사람의 수 줄임으로써 시민들의 건강을 개선하는 등 공원이 가져다주는 다양한 이점을 금액으로 환산하는 작업이 포함될 것이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공원 근처에 있는 주택 및 건물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향을 보여 재산 가치 또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은 사람들이 휴식을 취하고 지역 사회와 연결되는 안전한 장소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범죄율 하락에도 기여한다. 조사 방법론 측면에서는 복합적인 접근법을 채택하였다. 헤도닉 모형(Hedonic model)을 통해 공원이 부동산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추산하고 공원 접근성이 좋지 못한 지역과 양호한 지역 간에 부동산 가치를 비교하였다. 특정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용 패턴과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본 논문은 타슈켄트 내 도시 공권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소중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조사 결과에서는 도시 녹색 공간에서 비롯되는 편익을 최적화하는 도시 계획 및 공원 관리 전략들을 소개한다. 본 연구는 공원 유지 관리 및 투자 결정을 우선순위화하고, 공원 접근성 및 효용성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며, 공중 보건 및 복지 관련 정책에서 도시 공원이 가지는 중요성을 조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타슈켄트 내 도시 공원은 거주민의 여가 활동을 유치함으로써 지역 사회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있어 크게 일조한다. 또한 도시 공원은 비즈니스를 촉진하고 새로운 고용 기회를 창출하며 재산 가치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도시개발사업의 계획특성이 사업지구 도로율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민간도시개발사업을 중심으로

        김지선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민간도시개발사업을 대상으로 사업지구의 도로율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적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도시개발사업에서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기반시설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를 대상으로 2004년부터 2024년까지 실시계획인가를 받은 53개 민간도시개발사업지구를 선정하고, 이들의 사업면적, 인구수, 공원 녹지율, 사업방식 등 주요 계획 특성을 수집·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피어슨 상관분석을 활용하여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 악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도로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토하였 다. 연구 결과, 도로율은 주거용지비율, 공원녹지율, 사업방식, 실시계획 인가연도, 사업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주거용지비율이 높거나 사업이 최근 연도에 시행될수록 도로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공원녹지율 또한 도로율과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사업비는 도로율에 정(+)의 영향을 미쳐, 도로율 산정에 대한 기준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한편, 사업방식 측면에서는 환지방식을 채택한 사업지구의 도로율이 수용·사용방식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나, 민간도시개발사업 추진 시 기반시설 설치비용 절감 및 공공성 확보를 위한 사업방식의 선택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도로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도시개발사업계획 수립시 도로율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거나 계획안을 검토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앞으로 도로율에 대한 지표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시사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and rational infrastructure planning in future urban development projects by analyzing the planned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road rate of the project districts, targeting private urban development projects conducted in Gyeonggi-do. To this end, 53 private urban development project districts that received approval for implementation plans from 2004 to 2024 were selected, and major planning characteristics such as business area, population number, park green area rate, and business method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earch metho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road rate were review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road rat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residential land ratio, park green area rate, project method, implementation plan approval year, and project cost.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residential land ratio or the more recent the project was implemented, the lower the road rate tended to be, and the park green area rate also showed a negative (-) correlation with the road rate. On the other hand, the project cost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road rate, suggesting the necessity of preparing standards for calculating the road rate.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the project method, the road rate of the project district adopting the ring area method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acceptance and use method, indicating that it is important to select a project method to reduce the cost of installing infrastructure and secure publicity when promoting private urban development project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road rat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setting standards for road rate when establishing urban development project plans or reviewing plans, suggesting the need for indicator research on road rat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