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단기간 조영제 노출에 따른 ioxithalamate와 iopromide의 담낭 상피 세포의 독성 비교

        주영민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방사선 조영제는 크게 저삼투압의 비이온성 조영제와 고삼투압의 이온성조영제로 나누어진다. 대부분의 방사선학적 영역에서는 부작용이 적은 저삼투압의 비이온성 조영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에서는 여전히 고삼투압의 이온성 조영제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48 시간의 장기간 조영제노출 시에 고삼투압의 이온성 조영제가 저삼투압의 비이온성 조영제보다 담도상피 세포 독성이 더 심하다는 것은 이미 보고 된 바 있다. 그러나 실제 ERCP검사에서는 담도 상피 세포의 조영제 노출 시간이 짧아서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의 조영제 노출에 따른 담도 상피 세포 독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개의 담낭 상피 세포를 배양하여 고삼투압의 이온성 조영제인 ioxithalamate (1,500 mOsm/kg H_(2)O)와 저삼투압의 비이온성 조영제인 iopromide (586 mOsm/kg H_(2)O)을 처리하였다. 담낭 상피 세포를 2배, 3배, 4배로 희석된 각각의 조영제 혼합액에 30 분간 노출시키고 조영제 노출 이후 세포 수의 변화, triton X-100 처리 전후의 세포 상층액의 LDH 활성도의 차이를 확인하고 flow cytometry을 이용하여 aneuploidy의 출현을 확인하였다. 결과: 세포 수의 변화에 있어서 iopromide 364 mOsm/kg H_(2)O 세포군을 제외하고 모든 세포군에서 정상 대조 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수준의 감소를 보였으나 동일한 요오드 함량을 가진 ioxithalmate와 iopromide의 세포군의 비교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세포 배양 상층액의 LDH 활성도로 확인한 cell detachment의 결과에서도 iopromide 364 mOsm/kg H_(2)O 세포군을 제외하고 모든 세포군에서 유의한 수준의 cell detachment가 발생하였으나 동일한 요오드 함량을 가진 ioxithalamate와 iopromide의 세포군의 비교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염색체 손상의 지표로 확인한 aneuploidy는 어떤 세포군에서도 발현되지 않았다. 결론: 이전 연구 결과에서 장기간의 조영제 노출 시에 고삼투압의 이온성 조영제가 저삼투압의 비이온성 조영제보다 더 심한 담도 상피 세포 독성을 유발한다는 것이 보고 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에서는 실제 임상에서와 같이 단기간의 조영제 노출 시에 두 조영제 간의 담도 상피 세포 독성에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이에 대한 임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며 ERCP 검사 시에 담즙 배액에 장애가 없는 경우에는 조영제 선택이 자유로우나 담즙 배액에 장애가 있고 단기간 내 배액술이 어려운 경우에는 저삼투압의 비이온성 조영제의 사용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All x-ray contrast media currently available or in clinical trials can be classified into one of four groups according to ionic property and osmolality: ionic monomer, ionic dimmer, nonionic monomer and nonionic dimmer. High-osmolar ionic contrast media still used in ERCP over the world even though low-osmolar nonionic contrast media are mainly selected for intravascular enhancement due to lower incidence of side effects. The reason is that no definite difference in post-ERCP pancreatitis between two contrast media and low price of high-osmolar ionic contrast media. However, the biliary epithelial cells are also exposed to contrast media during ERCP and acute cholangitis is also a serious complication of ERCP. In previous study with long-term exposure to contrast media, high-osmolar ionic contrast media are more cytotoxic than low-osmolar nonionic contrast media to gallbladder epithelial cells. The clinical situation was somewhat different comparing with in vitro study. The biliary epithelial cells are rarely exposed to contrast media for such long period in clinical practice. Aims: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cytotoxicity of gallbladder epithelial cells between two contrast media with short-term exposure. Methods: A high-osmolar ionic contrast agent(meglumine ioxithalamate) and a low-osmolar nonionic contrast agent(iopromide) were tested. Monolayer cell cultures of dog gallbladder epithelial cells were used. The cells were exposed to the two contrast agents with increasing iodine concentration and osmolality for 30 minutes. Cell number, aneuploidy and supernatant LDH activities were measured each day. Results: The growth of cells exposed to two contrast media was significantly reduc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contrast media with the same iodine concentration. The significant cell detachment was detected in all groups except one group exposed to iopromide mixture with osmolaity, 364 mOsm/kg H_(2)O. The cell lysis measured by supernatant LDH activities before triton X-100 treament did not differ between two contrast media. Any aneuploidy fraction was not detected in all cell groups treated with two contrast media for 5 days after exposure. Conclusion: In previous study with long-term exposure to contrast agents, high-osmolar ionic contrast media was more cytotoxic to biliary epithelial cells than low-osmolar nonionic contrast media. In contrast to previou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cytotoxicity in biliary epithelial cells between two contrast media with short-term exposure. The use of lowosmolar ionic contrast media should be considered for ERCP if the patient had mechanical or functional disturbance of bile drainage.

      • Military leadership experience for labor market success : a selection correction approach

        주영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병역이 미래노동시장성과에 미치는 결과에 대한 연구가 많은 흥미를 가져오고 있었지만 단순히 병역이행만을 놓고 분석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Wisconsin Longitudinal Study 1957-2008 (WLS)자료를 이용하여 단순한 병역이행만이 아닌 계급을 고려하여 군 복무시절의 계급이 미래임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연구해 볼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단순한 병역이행 여부보다는 계급에 초점을 뒀다. 계급이 군대에서 획득하는 인적자본에 대한 효과를 좀 더 정확히 반영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되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발생할 수 있는 두 가지의 선택편향(selection bias)를 보면 "군대를 갔다 왔는가?"와 "어떠한 계급에 있었는가?"가 될 수 있겠다. 여기서는 두 가지의 추정방법인 수정된 2단계 모수적표본선택(modified two-stage parametric sample selection)방법과 성향점수대응(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사용하여 계급의 효과를 추정할 것이다. 이러한 2가지 방법을 사용한 결과 단순한 병역이행 여부만으로는 효과가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고 계급으로 상세히 분류해 보았을 때 계급의 상승은 높은 미래임금과 상당히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군 복무기간의 고려로 인해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었다. 군 복무기간은 길수록 임금에 음의 효과를 미쳤다.

      • xMRA : MDR의 개념간 관계성을 고려한 MRA확장

        주영민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Metadata Registry, MDR)는 데이터베이스 간 데이터 교환 및 공유를 위해 ISO/IEC에서 개발한 국제 표준이며, 의료 서비스, 서지, 환경 등 다양한 도메인에서 데이터 공유 및 통합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MDR 표준은 메타데이터 등록 및 저장을 위한 메타모델만을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시스템들은 서로 다른 물리적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로 인해 MDR 시스템 간 불일치가 발생하고 메타데이터의 상호운용을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SO/IEC 13249-8 Metadata Registry Access (MRA)가 개발 중에 있으며, MRA는 상이한 MDR 시스템에 일관된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는 표준 인터페이스이다. 그러나 MRA는 MDR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개념 즉, 클래스 간 관계성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는 부정확한 결과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각 MDR 시스템의 물리적 구조를 고려하여 질의를 모델링하고 재작성하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 이 논문에서는 클래스 간 관계성을 고려한 확장된 인터페이스 xMRA(Extened MRA)를 제안하며, 비교 평가를 통해 확장 인터페이스의 장점을 기술한다. xMRA는 MDR의 개념간 관계성을 정의하여 질의 모델링과 시스템의 참조무결성 측면에서 MRA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진다.

      •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한 양생제 시공 평가 방법

        주영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콘크리트 포장 시방서상의 양생제 살포량은 0.4~0.5ℓ/㎡ 를 종횡 방향 2회 나누어 살포하라고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시공자에 의한 임의적인 양생제 살포를 할 뿐만 아니라, 그 살포량은 약 0.2ℓ/㎡ 이하로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정확한 양이 살포되었는지 평가할 정량적인 방법이 없다. 현장에서도 감독자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살포 시공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품질관리에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양생제 시공에 관해 국내 현장 기술자가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실험 단면은 균등 및 불균등으로 나누어 이미지를 촬영하였고, 균등살포 구간은 양생제 살포량을 0 ~ 0.6ℓ/㎡로 살포하였다. 이미지는 S사의 G스마트폰과 C사의 DSLR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이미지는 매트랩에서 RGB값을 추출하였고, 엑셀에서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양생제 살포에 대한 불균등 및 균등 살포 여부 평가 방법은 매트랩을 이용하여 이미지의 RGB 평균값을 추출한 것을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내어 평가를 하였으며, 단봉구조로 나타날 경우 균등 살포, 다봉구조 및 RGB 평균값이 전체적으로 나타날 경우 불균등 살포로 판단한다. 이를 정량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불균등 및 균등 살포에 대한 각각의 변동계수를 나타낸 결과, 0.22이상은 불균등, 0.18이하는 균등 살포로 구분을 지을수 있다. 스마트폰으로 이미지를 촬영하게 되면 비슷한 밝기값을 가지기 위해 셔터스피드를 자동적으로 조절을 하게 된다. 따라서 각 양생제 살포량별 이미지가 비슷한 RGB 평균값을 가지게 되므로 구분이 되지 않는다. 이를 구분하기위해 셔터스피드 변화에 따른 RGB 평균값의 보정 회귀식을 만들었고, 이를 통해 현장 실험에서 촬영한 이미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미살포와 양생제를 살포한 구간은 명확히 구분이 되었고, 그 차이가 35%이상이 나면 정량 살포, 25%이하로 나타나면 미살포라 판단하여 추가적으로 더 살포하여야 한다. 25 ~ 35%로 나타나게 되면 정량살포가 아니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양생제를 살포하여야 한다고 판단한다. Application rates of curing compound in the concrete pavement specifications is within the range of 0.4 ~ 0.5 ℓ/㎡. No quantitative method for assessment of exact rate of curing compound application has been developed, however an amount of approximately 0.2 ℓ/㎡ has been applied by contractors. Subjective judgment of supervisors in the field spraying construction is needed in order to prevent occurrence of problem regarding quality control. In order to quantify the amount of curing agents for the construction in domestic case, the technician developed a quantitative method. Different curing agent application rates from 0 ~ 0.6ℓ/㎡ was sprayed to concrete specimens, in which divided into evenly sprayed or uniformly sprayed within the cross section of the specimen and the unevenly sprayed where some part of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specimen were sprayed. After each application, image was taken for each specimen through S's G smartphone and C's DSLR. Extracting the RGB values ​​of each image from MATLAB, the pictures were analyzed using a histogram from Excel. Unimodal structures appear evenly sprayed, D'structure and RGB average values ​​appear in their entirety. If the curing compound was sprayed evenly, the graph that appears in histogram is asingle curve, otherwise when the curingcompound was sprayed unevenly, multiple curves appeared. These histogram data was evaluated to extract the average value of RGB images using MATLAB softwar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btained for unevenand evenly sprayed was 0.22 or more and 0.18 or less respectively. The images taken from smartphone have similar brightness values when the shutter speed is automatically adjusted. Each curing agents with similar application will have an average value of RGB in the image. No distinction was made according to changes in shutter speed in order to distinguish them from RGB mean value of the calibration. Regression equation was applied to images taken from a field experiment. As a result of quantitative spraying, it was found out that the amount of 35% and above are sufficient amount of application rate for curing compound, and the amount of 25% and below are not sufficient application rate for curing compound. Additionally, the Curing compound applied within the range of 25-35% needs more curing compound.

      • 북한의 갑오농민전쟁사 연구 -동학의 영향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주영민 북한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갑오농민전쟁에 대한 북한 역사학계의 연구에서 보이는 동학의 영향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갑오농민전쟁은 남북한 모두에게 큰 역사적 의의가 있는 사건으로 ‘농민대중이 동학 조직을 이용하여 일으킨 반침략, 반봉건적 성격의 농민전쟁’이라는 공통된 역사적 평가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북한의 갑오농민전쟁 관련 문헌을 시기별로 분석하는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시기는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 이전까지, 휴전 이후부터 주체사관 형성 이전까지, 주체사관 시기부터 ‘조선민족제일주의’ 정신의 등장 이전까지, 조선민족제일주의 시기부터 현재까지 총 네 시기로 구분하여 북한 역사학의 간략한 전개 과정과 갑오농민전쟁사 연구 경향, 동학의 영향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북한의 역사학은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의 발발 전까지는 소련의 영향을 받으며 식민사관 극복을 위한 민족주의적 연구와 함께 맑스-레닌주의에 입각한 유물사관적 연구가 시도되었다. 휴전 이후부터 주체사관 성립 이전 시기까지는 김일성 중심의 유일 지도체제 구축과 함께 기존의 사관이 ‘주체’적으로 변용되며 시대구분과 같은 문제가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수령제 확립 이후에는 주체사관이 형성되면서 주체사관이 유일한 역사관으로 작동되기 시작했고 1980년대에 대내외적 위기 고조로 ‘조선민족제일주의’ 정신이 강조되면서는 ‘우리식 사회주의’의 강조와 함께 민족적 요소의 우수성 강조 등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이러한 북한 역사학의 전개 과정에서도 갑오농민전쟁은 그 뚜렷한 역사적 성격 때문에 학계의 연구 경향이 크게 변하지는 않았다. 갑오농민전쟁사 자체에 대한 북한 학계의 인식변화는 없었지만, 동학의 영향에 대한 인식은 시기별로 미묘한 차이를 보였다. 해방 이후 초기 연구에서는 동학의 조직적 영향만을 인정하는 ‘종교 외피론’적 인식으로 농민대중의 투쟁이라는 사건의 본질적 성격을 강조하였다. 이후로도 동학의 조직적 영향에 대해서는 분산된 농민운동을 하나로 묶어 대규모 농민전쟁을 가능하게 했다는 인식이 현재까지 변함없이 이어지고 있다. 동학의 종교적 영향에 대해서는 그 미신적 성격으로 농민대중에 깊숙이 침투했지만, 종교적 한계성 때문에 농민전쟁을 더욱 혁명적 차원으로 이끌지 못했다는 지적이 이어지다가 조선민족제일주의 시기에 들어서 ‘민족종교’로서의 평가와 함께 부정적 인식이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동학의 영향 중 사상적 측면의 영향은 그 인식의 변화 폭이 비교적 크다. 초기의 연구에서는 진부한 사상으로 새로운 것 없는 유학의 아류로 치부하며 그 영향을 축소했지만, 휴전 이후 연구부터 점차 동학사상의 반침략, 반봉건적 성격을 평가하며 주체사관 시기에 정립되는 경향을 보였고 조선민족제일주의 시기에는 ‘애국애족’적 성격이 강조되기도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he influence of Donghak in the study of North Korean historians on the Gabo Peasant War. The Gabo Peasant War is a significant historical event for both the two Koreas, and has been evaluated as a ‘anti-invasion, anti-feudal peasant war caused by the peasant public using the Donghak organiz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Gabo Peasant War in North Korea and examined by time. From the liberation to the Korean War, from the armistice to the formation of the Juche view of history, from the formation of the Juche view of history to the emergence of the ‘Korean National Firstism’ spirit, from the period of ‘Korean National Firstism’ to the present, The four periods were divided into four periods to examine the brief development of North Korean history, the trend of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Gabo Peasant War, and the perception of the influence of Donghak. North Korea's history was influenced by the Soviet Union from liberation to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long with nationalist studies to overcome colonial historical views, historical studies based on Marxism and Leninism were attempted. From the armistice to the perio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Juche Historical View, along with the establishment of a unique leadership system centered on Kim Il-sung, existing history was transformed into a ‘Juche’ and issues such as the division of the times were actively discuss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dictatorship, the Juche view of history began to work as the only view of history, in the 1980s, the spirit of ‘Korean National Firstism’ was emphasized due to the heightened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and the emphasis on the excellence of ethnic elements was made along with the emphasis on ‘our style socialism.’ Even in the course of this development of North Korean history, the Gabo Peasant War did not change much in academic research due to its distinct historical nature. There has been no change in North Korean academic perception of the history of the Gabo Peasant War itself, the perception of the influence of Donghak differed from time to time. Early research after liberation emphasized the essential nature of the struggle of the peasant public with the ‘religious cladding’ perception that only recognized the organizational influence of Donghak. Since the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influence that the distributed peasant movement has been united to enable a large-scale peasant war has remained unchanged, and that religious influence of Donghak has not led the peasant war to a more revolutionary level due to religious limitations, during the period of ‘Korean National Firstism’ negative perceptions tended to be reduced along with evaluation as a ‘national religion.’ The ideological impact of the influence of the Donghak is relatively large in its perception. Early studies reduced the impact by dismissing it as a cliche of study abroad, but after the armistice, the study gradually assessed the anti-invasion and anti-feudal nature of Donghak ideology and tended to be established during the period of Juche Historical View, during the period of ‘Korean National Firstism,’ the ‘patriotic’ character was emphas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