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후 줄눈 콘크리트 포장 파손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인자

        이준혁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HPMS(Highway Pavement Management System) 자료를 사용하여 설계수명 20년이 지나 공용 중인 노후 콘크리트 포장 구간의 파손상태를 조사하였다. 파손에 미치는 환경인자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각 포장구간이 위치한 지역의 기상자료를 수집하고 각 포장구간 관리지사의 제설제 사용량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노후 줄눈 콘크리트 포장에 발생한 각종 파손과 환경인자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환경인자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된 콘크리트 패칭, 종방향 스폴링 두 종류의 파손에 대해서 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관할지사별 노후 콘크리트 포장구간의 파손량을 예측하고 실제 파손량과 비교하여 모형을 검증하였다. 실제 포장 파손이 많은 순서대로 관할지사의 순위를 매기고 예측된 순위와 비교하여 개발된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Experimental Study on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with R-404A/R-23

        이준혁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온 냉동은 식품 저장, 의료기기, 반도체 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저온 냉동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다단 압축 냉동시스템, 혼합냉매를 이용한 오토 캐스케이드 냉동시스템 등이 있다. 캐스케이드 냉동시스템의 경우 고온부(HTC, High temperature circuit)와 저온부(LTC, Low temperature circuit)로 독립된 2대의 독립된 냉동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은 크지만 안정적으로 저온영역에 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사용 온도 범위가 영하에서 높게는 영상 온도까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 면에서 이득이 있어 산업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캐스케이드 시스템에서 고온부는 주로 비등점이 높은 냉매를 사용하며, 저온부는 저온영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비등점이 낮은 냉매를 사용한다. 캐스케이드 냉동시스템의 장점 중 하나는 바로 비등점이 낮은 냉매의 응축 과정이다. 캐스케이드 냉동시스템은 고온부의 증발기와 저온부의 응축기 역할을 하는 캐스케이드 열교환기를 통해 상당히 낮은 온도에서 응축이 가능하다. 하지만 캐스케이드 열교환기 내에서의 열 유동은 고온부와 저온부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캐스케이드 열교환기에서 고온부의 증발온도 혹은 저온부의 응축온도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 캐스케이드 냉동시스템의 성능이 결정된다. 하지만 대부분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한 시스템 성능예측의 논문 [1-16] 이고 실제 장치를 설계하여 가동 시 여러 작동 변수에 대한 (ex. 압축기의 체적효율 및 압축효율 등)은 고려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최적의 운전조건을 모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404A/R-23 냉매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조건에서 캐스케이드 냉동시스템의 성능 특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고, 이에 대해 R-404A/R-23 냉매군에 대한 최적의 운전조건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온부의 응축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온부 사이클의 성능계수는 낮아지고, 저온부 사이클의 성능계수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총괄 COP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고온부 사이클에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저온부의 응축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온부 사이클의 성능계수는 큰 변화는 없었으나, 저온부 사이클의 성능계수는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총괄 COP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저온부 사이클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온부의 응축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온부 사이클의 성능계수는 낮아지고, 저온부 사이클의 성능계수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총괄 COP는 일정 저온부 응축온도까지 상승하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곧 최적의 총괄 COP를 갖는 저온부 응축온도가 존재한다는 점이고, 실험적 변수인 고온부 증발온도, 저온부 증발온도의 실험 결과와 종합하여 사용 목적 온도에 따른 캐스케이드 냉동시스템의 최적 저온부 캐스케이드 열교환기의 응축온도에 대해 제시하였다.

      • 뇌졸중 환자의 엉덩관절 고유수용성감각과 균형 사이의 상관성 연구 : 환자-대조군 연구

        이준혁 동의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 뇌졸중 환자와 정상 성인의 엉덩관절 고유수용성감각과 시각차단 유무에 따른 정적 및 동적균형 사이의 상관성을 확인하고,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정형외과적 이상이 없는 만 40~80세 사이의 성인으로 총 37명이 참가하였고, 편마비 환자군 20명, 정상 성인 대조군 17명으로 나누었다. 연구대상자는 고유수용성감각을 정량화하기 위해 각도계를 사용하여 엉덩관절 돌림 능동설정-능동재현검사를 하였고, 균형측정은 BioRescue(RM Ingenierie, France)를 사용하였다. 정적균형은 롬버그검사(romberg's test)를 10초 간 3회 측정하였고, 동적균형은 제자리걷기를 20초간 3회 측정 하였다. 정적균형요소인 압력중심점의 이동면적(surface), 이동거리(length), 이동속도(speed)와 동적균형요소인 가로방향변위(lateral), 보행속도(speed)를 시각차단 유무에 따른 두 집단 사이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의 시각차단 유무에 따른 엉덩관절 고유수용성감각, 정적 및 동적균형 측정결과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d 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 두 집단 사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사용하였고, 엉덩관절 고유수용성감각과 균형 사이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의 상관분석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 사이의 엉덩관절 고유수용성감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두 집단 사이의 시각차단 유무에 따른 정적균형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동적균형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시각차단 유무에 따른 정적 및 동적균형 비교에서, 시각차단 시 정적균형의 압력중심점의 이동거리(EC/length)와 이동속도(EC/speed)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동적균형에서 시각허용 시 가로방향변위(EO/lateral)와 보행속도(EO/speed)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고유수용성감각과 정적균형 사이의 상관성분석은 환자군에서 시각허용 시 이동거리(EO/length)와 이동속도(EO/speed)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고유수용성감각과 동적균형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성인 뇌졸중 환자의 균형은 정적균형을 보상하기 위해 고유수용성감각 보다 시각의존도가 높았다. 그러므로 성인 뇌졸중 환자의 효과적인 균형향상을 위해 정적 및 동적균형에 필요한 시각, 고유수용성감각, 안뜰감각의 선택적 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hip proprioception of adult stroke patients and normal adults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e depending on whether the eyes are opened or closed,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balance of stroke patient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a total of 37 adults aged between 40 and 80 without any orthopedic abnormalities. 20 of them were in a patient group of hemiplegia, and 17 of them were in the normal control group. To quantify the proprioception, the participants were tested for hip rotation active setting-active reproduction test with a goniometer, and for balance measurements, BioRescue(RM Ingenierie, France) was used. For static balance, the romberg's test was used 3 times for 10 seconds, and for dynamic balance, participants were to walking on the spot 3 times for 20 second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could be identified depending on whether the eyes were opened or closed, and by static balance elements such as the travel surface of center of press, travel distance and speed, and by dynamic balance elements such as lateral displacement and walking speed. To observe the change in the results of the hip proprioception and static and dynamic balance depending on whether the eyes are opened or closed, the repeated measured ANOVA was used. The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patient and control group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hip proprioception and balance.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ip proprioception and static balance depending on whether the eyes are opened or closed between the two groups, but there were noticeable differences in dynamic balance. In the comparison of static and dynamic balance depending on whether the eyes are opened or clos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vel distance (EC/length) and speed (EC/speed) at the center of press of static balance with the eyes closed,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lateral displacement (EO/lateral) and walking speed (EO/speed) at the dynamic balance with the eyes opene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roprioception and static balanc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ravel distance (EO/length) and speed (EO/speed) in the patient group with their eyes opened. There was no correlation found between proprioception and dynamic balance.

      • 가시광 촉매 활성을 위한 산화구리 또는 황화구리가 첨가된 이산화타이타늄 나노 복합체 합성

        이준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 합성법을 통해 TiO2 나노입자를 포함하여 Cu, Cu2O, CuS, Cu2S와의 나노 복합체를 합성하여 자외선과 가시광 조건에서의 광촉매 활성의 변화를 확인했다. TiO2 나노입자와 CuxO/Cu/TiO2 복합체 나노입자들은 에탄올과 벤질알코올이 혼합된 용매에서 기타 첨가물 없이 마이크로웨이브 처리만으로 합성되었다. CuxS/TiO2 복합체 나노입자들은 중성 수용액 조건에서 L-cysteine을 첨가하거나 염기성의 NaOH 수용액 조건에서 Thiourea를 첨가하여 마이크로웨이브 처리를 통해 TiO2와 CuxS를 연결하도록 하는 두가지 방법으로 합성되었다. 입자의 모양은 TEM으로 확인했고, EDS 분석을 통해 각 복합체의 원소 조성(Ti, O, Cu, S)이 균일하게 분포함을 확인했다. 산화구리나 황화구리의 결정구조는 합성 전구체의 상대적 비율과 종류에 따라 달라졌고, Anatase 형태의 TiO2와 복합체를 형성한 구리종의 결정구조는 XRD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자외선 영역에서의 흡광만을 보이는 TiO2 단일입자와 달리 복합체 샘플들은 UV-Vis 스펙트럼에서 가시광 영역까지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흡광을 보였고 이를 통해 가시광 촉매 활성의 가능성을 확인했다. 각각의 복합체 샘플들의 광촉매 활성 평가는 자외선-가시광선 방사조건에서 Rhodamine B의 분해와 가시광선 방사조건에서 Methyl orange 염료 분해를 통해 확인하였다. UV-Vis 방사조건에서는 대부분의 복합체 샘플들이 낮은 효율을 보였다. 하지만 가시광선 방사조건에서 Cu2O/Cu/TiO2 복합체가 73%의 분해 효율을 보이며 산화구리와 구리 결정과의 복합체 형성이 TiO2의 가시광 촉매 활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In this paper, nanocomposites of Cu, Cu2O, CuS, and Cu2S including TiO2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through microwave synthesis, and the change in photocatalytic activity under ultraviolet and visible light conditions was confirmed. TiO2 nanoparticles and CuxO/Cu/TiO2 composite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only by microwave treatment without any other additives in a solvent mixed with ethanol and benzyl alcohol. The CuxS/TiO2 composite nanoparticles were synthesized in two ways to connect TiO2 and CuxS through microwave treatment by adding L-cysteine ​​in a neutral aqueous solution or Thiourea in a basic NaOH aqueous solution. The shape of the particles was confirmed by TEM, and the elemental composition (Ti, O, Cu, S) of each composite was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 EDS analysis. The crystal structure of copper oxide or copper sulfide was changed according to the relative ratio and type of the synthetic precursor, and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copper species complexed with TiO2 in the form of Anatase was confirmed through XRD analysis. Unlike TiO2 single particles that show only absorption in the ultraviolet region, the composite samples showed absorption in a wide range from the UV-Vis spectrum to the visible region, and through this, the possibility of visible light catalytic activity was confirmed. The photocatalytic activity evaluation of each composite sample was confirmed by decomposition of Rhodamine B under UV-visible radiation conditions and methyl orange dye decomposition under visible radiation conditions. In the UV-Vis radiation condition, most of the composite samples showed low efficiency.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Cu2O/Cu/TiO2 composite exhibited 73% decomposition efficiency under visible light irradiation conditions, and that the formation of the composite with copper oxide and copper crystals could improve the visible light catalytic activity of TiO2.

      • 통신망의 가용도 계정에 관한 연구

        이준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fundamental issue for evaluating availability in communication networks is calculating the probability value which makes connection between the sender node and receiver node possible. As communication network structures are getting more complicated and the necessary functions are becoming more diverse, a high availability of networks is required not only by system providers but also by user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subscribers to wireless networks has been increasing 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mobile network technology. At the same time, these users are expecting the same level of service and capacity as they received with traditional wired networks. This level of service can be difficult to provide as availabil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es not only malfunctions of software and hardware as in wired networks, but also the challenge of diverse environments, such as the movement of users, and the loss of access due to weak transmission power, terrain, and interference. These challenges are compounded as mobility in the terminal causes the stat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nodes and engaged components to change frequently. Especially, mobility in the terminal causes the state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nodes and engaged components to change frequently. As a result, the availability of wireless networks cannot be calculated with the availability evaluation formula for wired network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valuation algorithm and availability evaluation formula for use in communication networks under two conditions, one considering the mobility of terminals and the other not considering mobility, when evaluating availability in communication networks. First of all, in order to evaluate availability, while considering its mobility in the terminal device, we classify the communication structure that can be constructed between two nodes as being MS scheme, SM scheme, and MM scheme. In these notations, the former capital letter denotes the type of the source node and the latter denotes the type of the sink node. M stands for Mobile Host and S stands for Static Host. Furthermore, we classify the communication structure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handover process and location query process. To begin, the MS scheme is divided into two states: the normal communication state, in which the source node as a mobile terminal is not moving, and the handover state in which the source node is moving. The SM scheme is classified into three kinds of states: location query state which checks the mobile terminal's location as a destination node, normal state which is connected with the communication between two nodes, and handover state where the source node is moving. Finally, the MM scheme is divided into four states: the normal state where the communication nodes are connected, the handover state where one of the terminals is moving, and the handover state where both terminals are moving. We then check the necessary components and their quantities comprised in each detailed state, and calculate the state probability and availability and apply them to the availability evaluation formula that we propose. We then use a mixed network, which combines WCDMA networks and PSTN networks, as our test of the availability evaluation formula when mobility is considered. Second, to evaluate availability while not considering mobility in the terminal device, we classify the structure between two nodes as SS scheme. After the communication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static hosts is set, the SS scheme does not show a change in the communication state but becomes a complicated structure. In order to analyze the above result, we classify the minimum path sets between two nodes by using the path tracing method. Expressing the minimum path sets as a structure function, we then apply it to the availability evaluation formula that we propose. As an example of the calculation of the availability evaluation, the bridge structure network is used. The evaluation algorithm and availability evaluation formula can be applied to the mobile networks, such as MS scheme, SM scheme, and MM scheme that consider mobility of the terminals. The mobile networks are in some cases changeable at the communication states and the quantity of the component, even after the connection of the two nodes. They also can be applied to the fixed networks, which have complicated structures, by analyzing the structure function using the minimum path sets derived from the stochastic graph. In addition, they can be applied to mixed networks, which are comprised of fixed networks and mobile networks. The evaluation algorithm and availability evaluation formula we propose in this thesis can be useful not only for system providers but for network administrators. By using the availability evaluation formula, system providers can enhance the availability of their components by maximizing the gap between failure rate and repair rates with increasing work time and decreasing repair time for malfunction. Network administrators can also take advantage of using the formulas for a quantitative measure of the availability of a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y can make plans for the maintenance of important components, This will raise the standard of the quality of service for the network users, and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통신망의 가용도를 계정하는데 있어서 근본 문제는 송신국을 뜻하는 특정한 노드로 부터 수신국을 뜻하는 또 다른 하나의 노드 사이에 통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확률 값을 구하는 것이다. 통신망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기능면에서 요구가 다양해질수록 시스템을 제공하는 공급자뿐만 아니라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도 통신망에 대한 높은 가용도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무선 통신망의 가입자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기존의 유선 통신망에서와 동일한 서비스 품질과 성능이 제공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무선 통신망에서는 유선 통신망에서의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등의 고장뿐만 아니라 가입자의 이동, 접속 손실, 전송 전력, 지형, 간섭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Environment)이 통신망의 가용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단말의 이동성에 의해 두 노드간의 통신 상태와 포함되는 구성품이 수시로 변한다. 따라서 무선 통신망의 가용도는 기존의 유선 통신망에서 사용되었던 가용도 계정식을 더 이상 이용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통신망의 가용도를 계정하기 위한 가용도 계정 알고리즘과 계정식을 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하는 경우와 이동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첫째, 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하는 경우의 가용도를 계정하기 위하여 두 노드 간 구성될 수 있는 통신 구조를 MS(Mobile-Static), SM(Static-Mobile), MM(Mobile-Mobile) 구조로 분류한다. 이 표기법에서 앞의 문자는 소스 노드(Source Node)를 뒤의 문자는 목적지 노드(Sink Node)를 말하며, M은 이동 단말, S는 고정 단말을 의미한다. 그리고 통신 구조를 핸드오버 과정과 위치문의 과정 등에 따라 세부 상태로 분류한다. 즉, MS 구조는 소스 노드인 이동 단말이 이동하지 않은 정상 상태와 단말의 이동에 의한 핸드오버 상태 등 두 가지 상태로 분류한다. SM 구조는 목적지 노드인 이동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 문의 상태와 확인이 된 이후 통신이 연결된 정상 상태 그리고 단말의 이동에 의한 핸드오버 상태 등 세 가지 상태로 분류한다. MM 구조는 두 이동 단말 간의 통신이 연결된 정상 상태와 한 단말의 이동에 의한 핸드오버 상태 그리고 두 단말 모두 이동에 의한 핸드오버 상태 등 네 가지 상태로 분류한다. 세부 상태별 포함되는 장비와 수량을 확인하고, 상태 확률과 상태 가용도를 계산하여 제안한 가용도 계정식에 적용하였다. 가용도 계정의 계산 예를 위해 WCDMA 망과 PSTN 망이 결합된 복합 구조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였다. 둘째, 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두 노드 간 통신 구조를 SS(Static-Static) 구조로 분류한다. SS 구조는 두 고정 단말 간의 통신이 연결된 이후에는 통신 상태의 변화는 없는 반면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경로 추적법을 이용하여 두 노드 간 최소 경로 집합을 분류하였다. 최소 경로 집합을 구조 함수로 표현하여 제안한 가용도 계정식에 적용하였다. 가용도 계정의 계산 예를 위해 브리지 구조를 갖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였다. 제안한 가용도 알고리즘과 계정식은 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하는 MS 구조, SM 구조 그리고 MM 구조와 같이 두 노드 간 통신이 이루어진 후에도 수시로 통신 상태와 장비의 수량이 변화하는 이동 통신망에 적용할 수 있고, 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에는 확률적 그래프에서 최소 경로 집합을 이용하여 통신망의 구조 함수를 구하였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를 갖는 고정 통신망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통신망과 이동 통신망이 결합된 복합 구조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제안한 가용도 알고리즘과 계정식을 이용하여 시스템 공급자는 장비의 동작 시간은 길게 하고, 고장 시 수리 시간은 짧게 하여, 고장률과 수리율의 차이를 최대한 크게 함으로서 장비의 가용도를 높이기 위한 대책을 강구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망을 운영하는 관리자는 통신망의 가용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함으로서 통신망의 중요 구성 장비에 대한 보전 대책과 통신망 이용자에 대한 서비스 품질의 신뢰 수준을 높이고 통신망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수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핵발전소에 관한 생태신학적 고찰

        이준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Questions were raised about the pros and cons of continuous use of the nuclear power plant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limate change crisis, within the contemporary social context, where the residents of Wolseong, having suffered from the nuclear power plant, appealed against its use. This paper examines accidents and controversies related to nuclear power plants. From the point of creation order and applying the teachings of the Church and the churches, the nuclear power plant is an energy that should be avoided. Certainly, there are positive factors of the nuclear power plant, if it’s considered that it’s made for peaceful use and that there are some economic benefits it can bring. However, its negative factors also cannot be ignored. Particularly, in three severe accidents nuclear power plants caused an enormous damage to mankind which is continuous even today, and nobody knows when it will be repaired. For this reason, there are arguments about the denuclearization that we must not use nuclear power plants, but the dispute about pros and cons of nuclear energy is still current because its economic benefits cannot be renounced easily. With the perspective of creation order, it is the conflict of priorities between the responsible stewardship for the management of the creatures, and the human desire that considers the nature as merely an object of exploitation. In this confrontation, the position of the Church and churches is that all creatures are connected one another, and that if the nuclear power plant cuts off this harmonious relationship, humans, the stewards of God, should not use nuclear power plants anymore and find other alternative energy sources. Therefore, the denuclearization policy must be implemented and it needs the efforts of the experts to study alternative energy technologies, of the politicians to promote it, and of the citizens to conserve the electricity in daily life. Only this such integrated approach can make the denuclearization policy successful. 핵발전소로 인해 피해를 본 월성 주민들의 호소에도 불구하고 기후변화 위기극복을 위한 대안으로 핵발전소를 계속해서 사용해야 한다는 찬반논쟁에 대해 의문이 들었다. 그래서 본 논문은 핵발전소에 대해 알아보고 핵발전소와 관련된 사고 및 찬반논쟁을 살펴봤다. 그리고 핵발전소를 창조질서 관점에서 고찰하고 핵발전소와 관련된 보편교회와 개별교회의 가르침에 대해 살펴봤다. 연구결과로 창조질서 관점에서 고찰하고 보편교회와 개별교회의 가르침에 대입해볼 때, 핵발전소는 지양해야 하는 에너지임을 알 수 있다. 핵발전소가 평화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탄생했고 핵발전소가 가져다주는 경제적인 이익이 있음을 볼 때 분명 긍정적인 요소가 있다. 그러나 핵발전소로 인한 부정적인 요소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세 번의 중대사고는 핵발전소가 인류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었고, 그 피해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으며 언제 끝날지 모르는 상황이다. 그리하여 핵발전소를 사용하지 말자는 탈핵 주장이 나오고 있으나, 핵발전소가 가져다주는 경제적인 이익을 포기할 수 없어서 찬반논쟁이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이 대립을 창조질서 관점에서 본다면, 모든 피조물을 관리하는 책임이 있는 청지기의 직무가 우선인가 아니면 자연을 그저 착취의 대상으로서 보는 인간의 욕망이 우선인가의 대립이다. 이러한 대립에서 보편교회와 개별교회의 입장은 모든 피조물은 연결되어 있는데, 이 조화로운 관계를 핵발전소가 끊어버린다면 청지기인 인간은 핵발전소 사용을 지양해야 하며 다른 대체에너지를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탈핵 정책을 펼쳐야 하는데, 대체에너지 기술을 연구할 전문가, 탈핵 정책을 추진하는 정치가, 일상생활에서 전기를 절약하는 시민들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통합적인 접근이 있어야만 탈핵 정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白沙 李恒福 漢詩의 表現 樣相과 風格 硏究

        이준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expressions and characters of the Chinese poetries of Baeksa (White Sand) Lee Hang Bok (1556-1618) who worked during the era of wise rule of Mokryong, and to contemplate their importanc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rough such analysis. Baeksa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tendency of writing of that time and therefore he achieved numerous creations and writings of the poetry Jehwashi which pursued the humor, the poetry of Mujeshi which pursued the romance and the poetry of Akbushi (border poetry) which described the current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 He achieved his literary achievements by actively applying and utilizing the different styles of poetry. Accordingly, it may be deemed that, verifying the full story of the poetic world of Baeksa and his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therefore overviewing the literary world of the 16th century is more than essential. This study concentrated and focused on the expressions and character of the Chinese poetries of Baeksa among all his literary works. In the chapter II there were contemplated the expressive aspects of the poetries as Jehwashi, Mujeshi, Akbushi and Chireoncheolgu which the expressive techniques of Baeksa are clearly remarkable. In the poetry of Jehwashi, Baeksa embodied the principal theme by actively using the background spaces and expressed the lyricism as a poetic subject by applying and interfering his emotions and ideas. In the poetry of Mujeshi, Baeksa used the rhyming word to present the title and therefore he achieved the organic connection and deepening of lyricism through the composition of serial poems. In the poetry of Akbushi, Baeksa focused on the acoustic effects of the four tones and formed the rhyme, and he fluently organized the extension metho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n the tones. In the poetry of Chireoncheolgu, Baeksa expressed both the narrativity and lyricism through the contents of the long title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poem, and moreover, he showed a new method of expression by using the irregularity. In the chapter Ⅲ there were contemplated the Hobang (magnanimous) character and the Cheonggi (fresh) character of the Chinese poetries of Baeksa through structurist critical mode. The external logic of the Hobang (magnanimous) character was related to the internal logic of Baeksa which perceived the world as a subject to overcome. The external logic of the Cheonggi (fresh) character was related to the internal logic of Baeksa which perceived the world as a space of reasonableness. In the chapter IV there was examined the literary value and status of the Chinese poetries of Baeks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He participated in the tendency of the lecture hall of the 16th century but at the same time, attempted new expression methods and therefore established his own world of poem. Especially his achievement was even more special in the poetry of Mujeshi. Also,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haracters were deeply connected to the world outlook of the author. This study consisted in investigating and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s of the Chinese poetries of Baeksa which were almost not considered or examined in the past to contribute for the further studies on the literary circles of the 16th century. This study might have numerous flaws as it is a study which was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But the researcher hereby considers that the literary circles of the 16th century will be clearly examined and verified by the accumulation of such well-intended attempts.

      • 슬랙스 패턴의 바지 중심선 위치이동에 따른 형태 변화 연구

        이준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바지 중심선의 이동에 따른 바지의 실루엣 변형 실험을 통해 바지 착의 시 문제가 되는 군주름을 최소화하며, 패턴 제작에 있어 예측 효과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바지 중심선 이동을 위한 기본 바지를 착의실험을 거쳐 선정한 후 4가지 방법 안솔기쪽으로 평행이동, 옆솔기쪽으로 평행이동, 안솔기쪽으로 대각선이동, 옆솔기쪽으로 대각선이동으로 바지 중심선을 이동시켜 형태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바지 중심선 안솔기쪽으로 평행이동' 한 결과 안솔기선의 경사도가 사선 형태에서 90°에 가까운 직선 형태로 변형되고 옆솔기선의 경사가 완만해짐으로써 바지 앞판의 ‘안솔기 허벅지 부위에 당기는 주름’과 뒷판의 ‘허벅지에서 무릎까지의 당기는 주름’이 나타났으며, 안솔기와 옆솔기가 인체 다리 각도와 달리 안쪽으로 집중됨으로써 크러치점(crotch)을 기준으로 솔기선 당김이 힙과 밑위부분에 영향을 주어 힙과 밑위부위에 가로 방향 군주름이 생기는 현상이 나타났다. 바지 보정 시 중심선을 옆솔기쪽으로 평행이동 시켜 이와 같은 현상을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2. ‘바지 중심선 옆솔기쪽으로 평행이동’한 결과 앞판에서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뒷판에서 ‘허벅지 부위의 늘어짐 및 엉덩이선에서 무릎선 사이의 불규칙한 늘어짐’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 경우 중심선을 안솔기쪽으로 이동시켜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3.‘바지 중심선 안솔기 쪽으로 대각선 이동’한 결과 크러치점을 기준으로 전체적인 앞·뒤 바지의 중심선 기울기가 사선에서 직선에 가까운 형태로 변경되면서 ‘앞중심 허리에서 힙부위에 옆선을 향해 가로 방향 군주름’이 나타났으며 ‘바지 중심선 안솔기쪽으로 평행이동’한 실험과 유사하게 ‘허리에서 무릎까지 크러치점을 향한 사선방향의 군주름’이 나타났다. 이 경우 바지 중심선을 옆솔기 쪽으로 대각선 이동시켜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4.‘바지 중심선 옆솔기쪽으로 대각선 이동’한 결과 앞중심 기울기가 실제 인체의 허리에서 엉덩이까지의 경사각도보다 완만해짐으로 인해 앞판에서는 ‘힙에서 허벅지 사이에 사선 방향의 군주름’, ‘안솔기 밑위에서 허벅지 늘어짐’이 나타났으며 뒷판에서는 ‘허리에서 힙’사이에 여유 없이 fit하게, ‘안솔기 밑위에서 무릎사이에 늘어짐’이 나타났다. 이 경우 중심선을 안솔기쪽으로 대각선 이동시켜 보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바지 제작 시 시행착오가 생기는 군주름이나 당기는 현상을 최소화하고 보정, 패턴 제작 시 예측이 가능하여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군 간부들의 건강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준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강수준의 결정인자로 건강행위 수행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건강행위와 건강수준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구체적인 7가지 건강행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군 의무병과 간부들을 대상으로 건강행위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0년 10월 23일부터 10월 27일까지 국군병원 3곳과 지휘통제 기구의 의무병과 장교, 하사관, 군무원 35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조사 방식으로 설문조사 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건강실천행위에는 ‘Alameda 7’ 즉 흡연, 음주, 운동, 체중, 수면, 아침식사 및 간식여부가 포함되어 있고, 행위와 관련된 인지와 감정 부분에 있어서 스트레스량의 측정은 BEPSI-K를, 자기-효능감은 Self-Efficacy Scale을, 사회적지지 척도는 대인관계지지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강실천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음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동거상태였고, 운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근무부서, 체력측정 부담여부, 자기-효능감이었다. 체중유지에서는 성별과 체력측정부담감이, 아침식사에는 성별, 연령, 결혼상태, 동거상태, 근무 부서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간식섭취에는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건강실천지수(HPI)에 대해서는 연령과 체력측정부담감, 자기-효능감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였다. 이상의 결과는 건강실천행위 수행에 개인적 특성과 자기-효능감 수준이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건강실천행위에 영향을 수는 요인으로 밟혀진 개인적 특성들은, 차후 군 간부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선정과 개발에 있어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적용할 것인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며, 군 간부들의 자기-효능감 고취를 위한 정책 또는 제도적 노력을 통해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군 간부들의 건강수준의 향상과 질병예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투병과, 전투지원병과, 전투근무지원병과 간부들을 대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은 연구를 기초로 하여 군 간부의 건강실천 행위 실천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건교육이나 홍보, 훈련 및 국군병원을 이용한 건강상담 등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투자가 정책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ing on health practice behaviors- of military officer and NCO's. Health practice behaviors were investigated about 'Alameda 7' such as smoking, alcohol drinking, exercise, duration of sleep, BMI(Body Mass Index), eating habits of breakfast and snack. Stress was measured by BEPSY-K, degree of Self-Efficacy was measured by Self-Efficacy Scale, degree of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The data consisted of 352 individuals in 3 military hospitals and command of med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difference of practices rate among 7 practice behavio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s factors related on the behavior. An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7 practices behavior and the dependent variables(individual characteristics,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amily structure was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in health behavior of alcohol drinking. 2. Dept, anxiety of physical-ability test,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f exercise. 3. Gender, anxiety of physical- ability test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in health behavior of BMI. 4. Gender, age, family structure, marriage, dept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in health behavior of eating habits of breakfast. 5.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f eating habits of snack. 6. Age, Anxiety of physical-ability test,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in level of Health Practices Index(HPI). Therefore, it is likely that there were association betwe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stres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7 health practice behaviors, Health Practices Index. These finding indicate t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might help to select develop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ilitary officer and NCO who will be the target and which program is applied, and appropriate management of stress, self-efficacy might bring a good life style and might be effective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ve. Prospective studies are needed to expanded in subject, such as whole of bran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