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기혼여성 대학원생의 학습욕구,갈등 및 만족도에 대한 인식 연구
세계적인 흐름에 따라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고학력 여성의 인력개발 및 활용,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지원, 평생학습지원 등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고등교육의 확대, 남녀 평등의식의 확산으로 인해 ‘직업인’ 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 온 여성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과거 소수 엘리트를 대상으로 교육을 담당하고 수월성을 목적으로 하던 한국의 대학원생은 2000년대 94,079명에서 2015년 129,201명(한국교육통계자료)으로 계속적인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인구의 고령화와 고학력화를 겪고 있는 선진국의 경우 ‘대학교의 성인화(adult ification)’와 ‘대학의 상업화’는 대표적인 대학환경의 변화로 한국의 대학문화와 같은 맥락이다(박성정, 2005). 한국의 석사과정 학생 수는 2000년대 초반에 이미 10만 명을 넘었고, 2014년에는 260,897명으로, 1980년에 비해 학생 수가 9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성별로 보면 1980년에 남학생은 23,485명, 여학생은 5,416명으로 전체 석사과정 학생 중 여학생의 비중이 20%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여학생 비중이 꾸준히 늘어나면서 2010년에는 여학생 비중이 50%를 넘었다. 2014년 석사과정 남학생은 127,733명, 여학생은 133,164명으로 전체 학생 중 여학생의 비중은 51%이었다. 교육의 대상은 대학교육 인구수에 해당하는 전통적인 고등교육 학령기 학습자를 넘어서 비전통적인 학습자인 성인학습자로 나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이 학생 수 확보를 통해 대학의 존립을 유지하는 수단으로 다루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혼여성의 가사생활 만으로도 충분히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현실에서 학습 준비에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쏟아야하는 대학원학업 과정에 있는 기혼여성 학습자가 느끼는 내적갈등과 외적갈등을 구체적으로 서술하여 기혼여성 대학원생들의 학업생활에 대한 인식을 연구 하는데 필요성을 느꼈다. 신미식(2002)은 교육기회가 적을 때 교육받지 못했던 여성들이 부족한 학력을 높이려는 목적에서 정규 대학과정이나 대학원과정을 평생학습으로 선택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기혼여성 학습자들은 제각기 다른 경험을 통해 삶의 패턴을 형성하고 있기에 그만큼 다양하고 복합적인 학습욕구를 소유하고 있을 것이다. 현대 사회는 정규교육을 받는 연한이 장기화되고 사회 전반적으로 학력이 높아지면서 성인학습자들, 특히 여성성인 학습자들의 평생학습 요구가 다양해지고 전문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기혼여성의 대학원 교육 시기는 여성의 생애주기에서 결혼, 임신, 출산, 양육을 비롯한 가정생활을 고려하여야 할 연령대에 속한다. 따라서 기혼여성은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성역할 분업이 요구하는 가정생활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다해야 하며, 한편으로는 대학원생활을 통해 사회활동에서의 자신의 자리를 찾으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는 기혼여성 대학원생들의 다중역할에 대한 부담으로 작용한다. 그래서 대학원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혼여성 학습자들이 다중역할 수행자라는 심리적, 육체적, 경제적 부담을 감수하면서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는 욕구는 무엇이며, 학습을 하면서 발생하는 외적·내적 갈등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기혼여성 대학원생들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 특성이 학습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인식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대학원 석사교육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기혼여성 학습자의 학습욕구유형과 갈등요인을 분석하고, 기혼여성 대학원생의 학업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학업생활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기혼여성 대학원생의 개인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기혼여성 대학원생의 학습욕구유형을 분석하였다. 셋째, 학습참여시 느끼는 갈등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넷째, 기혼여성 대학원생의 특성에 따른 학업에 대한 만족도와는 학습자에게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ODA 초청연수사업의 성과지표와 현업적용도 측정 개선방향 연구 : KOICA-부경대 석사학위 연수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cases of KOICA scholarship program currently operated b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analyzed its effect and performance idicators through participation research methods and literature studies. In ODA fellowship program, achievement is a significant result when trainees apply their learning to their jobs after graduation, and the actual effects of the work and society have been shown. An case analysis of KOICA's scholarship program showe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individual competency, but the training process was not always linked to positive results because various factors such as the trainee's current application and the cul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 and country to which the trainee belongs, but also the effect derived in developing countries can be involved. There are several problems with performance indicators set by KOICA to manage the performance of the scholarship program. First, focusing on quantitative assessments, makes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outcomes that cannot be quantified such as trainees’ personal competency. The second is simplifying assessment factors, excluding various factors that may intervene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exposure, such as economic and social situations, culture, and organizational culture by country. Third, the long-term tracking system after the graduation is not established as an indicator. In order to impro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survey to colleagues and direct supervisors within the organization to track the trainee's performance in the long term and assess the trainee's competence and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 Moreover, the indicators should be diversified considering various situation in developing countires.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its understanding of the performance development process and seek ways to continue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project. 이 연구는 현재 부경대학교가 운영하고 있는 KOICA 석사학위 연수사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헌연구와 참여연구를 통해 KOICA 연수사업의 효과성과 성과관리체계를 분석했다. ODA 초청연수사업은 개발도상국의 내생적 발전을 도모하고 원조사업의 효과성과 지속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연수생이 연수내용을 업무 현장에 적용하여 개발도상국 사회에 긍정적인 변화를 야기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이 연수를 통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연수생의 자국에 적용하는 개념을 “현업적용”이라 하며, 연수사업의 성패여부를 결정하는 성과로 볼 수 있다. 학위연수사업은 특히 개발도상국의 분야별 전문성 향상을 위해 핵심 전문인력의 학위취득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연수사업에서 가장 규모가 크지만,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여전히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부경대학교에서 운영하고 있는 KOICA 석사학위 연수사업의 성과를 설문조사, 에세이, 심층면담을 통해 다각도로 분석한 결과, 연수사업은 연수생 개인역량과 연수생이 속한 조직역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현재 성과관리 체계는 연수사업 성과를 단기적 관점에서 정량적 수치에 집중하고 있으며, 성과도출에 개입되는 다양한 영향요인들을 배제한 채 평가요소를 단순화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기 때문에, 연수사업의 성과를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연수사업 환류를 위한 개선방안 도출에도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연수사업의 향후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고 ODA 사업으로서의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성과관리체계에 질적조사 방법을 확대하여 연수생 개별사례를 수집하고, 졸업한 연수생을 관리할 수 있는 통합적인 플랫폼과 성과관리 전담부서신설이 필요하다.
Studies of bioethanol production and heavymetal adsorption using macroalgae
선우인영 부경대학교 과학기술융합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해양거대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생산 및 중금속 흡착 선 우 인 영 부경대학교 과학기술융합전문대학원 해양바이오융합과학전공 요 약 본 연구에서는 G. amansii, S. japonica 그리고 E. intestinalis를 이용하여 열 산 가수분해, 효소당화 그리고 3종의 균주로부터 바이오에탄올 생산의 최적조건을 확립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에탄올 생산 후 폐기되는 해조류를 재사용하여 도금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의 중금속을 흡착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바이오에탄올 생산의 최적 조건은 G. amansii의 경우 8% (w/v) 슬러리와 0.1 N의 황산을 이용하여 121℃에서 90분간 열처리 후 Celluclast 1.5L과 Viscozyme L을 섞은 혼합효소를 이용한 조건에서, S. japonica와 E. intestinalis의 경우 8% (w/v) 슬러리와 0.18 N의 황산을 이용하여 121℃에서 60분간 열처리 후 S. japonica의 경우 Celluclast 1.5L과 Spirizyme Fuel의 혼합효소에서, 또한 E. intestinalis의 경우 Celluclast 1.5L과 Viscozyme L을 섞은 혼합효소를 이용하여 효소당화 한 결과 각 각 36.4 g/L, 29.9 g/L 그리고 20.6 g/L 의 monosaccharide를 얻었다. 에탄올 발효를 한 결과 G. amansii를 S. cerevisiae로 발효하여 14.8 g/L의 에탄올을 얻었으며, 생산수율(YEtOH)은 0.41로 나타났고, S. japonica를 P. angophorae로 발효하여 11.6 g/L의 에탄올을 얻었으며, YEtOH은 0.34를 나타났다. E. intestinalis를 C. lusitaniae로 발효하여 9.9 g/L의 에탄올을 얻었으며 YEtOH은 0.48을 얻었다. 이 결과로 홍조류에서 가장 높은 농도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이 후 Cr(Ⅲ), Ni(Ⅱ) 그리고 Cu(Ⅱ)가 함유된 폐수에 폐기되는 슬러리를 10에서 130 g/L로 조절하여 흡착 실험한 결과 세종의 해조류 모두 슬러리양을 증가시킬수록 흡착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u(Ⅱ)의 경우 10 g/L의 G. amansii 폐 해조류 슬러리를 첨가하여도 85.2%의 흡착률을 보이며 가장 높은 친화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 종의 폐 해조류 중 홍조류가 가장 높은 흡착능을 나타내었다. 이결과로서 홍조류가 바이오에탄올 및 바이오흡착에 가장 적합한 바이오매스라고 판단된다. 이전 실험에서 가장 많은 에탄올을 생산했던 홍조류 4종 (Gelidium amansii, Gracilaria verrucosa, Kappaphycus alvarezii 그리고 Eucheuma denticulatum)을 이용하여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열 산 가수분해와 효소당화과정 이후, G. amansii, G. verrucosa, K. alvarezii 그리고 E. denticulatum로 부터 각 각 38.5 g/L, 39.9 g/L, 31.0 g/L 그리고 27.5 g/L의 단당을 얻었다. 에탄올 발효에는 고 농도의 galactose에 순치한 Saccharomyces cerevisiae KCCM 1129를 사용하였다. G. amansii, G. verrucosa, K. alvarezii 그리고 E. denticulatum을 통한 최종 에탄올 생산양은 각 각 18.8 g/L (YEtOH=0.49), 19.1 g/L(YEtOH=0.48), 14.5 g/L(YEtOH=0.47), 13.0 g/L(YEtOH=0.47)의 에탄올을 얻었다. 에탄올 생산 이후 남은 폐 해조류 슬러리를 이용 하여 Cd(II), Pb(II) 그리고 Cu(II)에 생물 흡착실험을 진행하였다. Langmuir 평형 모델을 이용하여 흡착능을 평가한 결과, Cu(II)가 세 종의 중금속 중 가장 높은 qmax 값과 전기음성도를 나타내며 폐해조류와 가장 높은 친화도를 보였다.
캠퍼스형 산학연클러스터 조성에 따른 효과 : 부경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cademic-Industrial Research Complex project from 2015 to 2018. The analytical method was based on four years of performance, surveys, and best practice interviews. Through analyzing the results common to each data, we analyzed the effect on the company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
A Study on Secret Key Generation Using Biosignals
헬스케어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개인 생체정보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인슐린 펌프와 같은 임플란트 디바이스가 외부에서 공격당할 경우 사용자의 생명에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디바이스가 안전하게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 비밀키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사전에 키 공유 없이 임플란트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해 생체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중 PPG 신호는 신체 내외부에서 측정할 수 있고 개개인마다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PPG 신호를 이용해 비밀키를 생성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fuzzy vault와 fuzzy commitment가 있다. 그러나 fuzzy vault는 상관관계 공격에 취약하고 fuzzy commitment는 항시 PPG 신호를 측정하고 있어야 비밀키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fuzzy commitment의 시드 조각풀을 도입하여 기존에 측정된 PPG 신호를 이용해 비밀키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토대로. 제안한 방법을 토대로 생성된 생체 비밀키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엔트로피 테스트 및 생성 시간 테스트 등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안성윤 부경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카메라에서 입력받은 컬러 영상을 흑백으로 변환하여 영상에서 밝기에 따라 군집을 이루는 영역을 층으로 설정했다. 각 평면의 누적개수를 분석하는 다층탐색으로 이진화의 임계치를 찾아 영상을 이진화했다. 레이블링을 사용해서 문자 후보를 선별하고 패널링을 통해 문자영역 후보를 생성했다. 패널병합은 행간병합, 열간병합, 그리고 층간병합으로 수행해서 문자영역의 후보를 줄인다. 문자영역에서 개별문자의 분리를 위해서 다시 히스토그램분석을 수행해서 이진화의 임계치를 구한다. 앞서 수행했던 다층탐색의 각 층에서의 정보를 활용하여 방향성을 결정하며 문자영역의 이진화 영상을 생성한다. 이 영상에서 레이블링을 수행하였고 레이블간의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기울어짐을 보정했다. 이러한 전처리 과정으로 정확한 문자영역의 검출과 개별문자의 분리율을 높여 인식률을 향상시켰다. 분리한 개별문자의 인식에 인공신경망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의 상용제품에서 인식에서 실패한 영상들에 대해서도 80%를 인식할 수 있었다. 직접 촬영한 영상에서는 100%의 인식률을 보였다. 향후 부적절한 조명, 문자의 멸실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영상들을 대상으로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필요하다.
수입 수산물과 국내산 수산물 가격의 유통단계별 인과성 분석
차영기 부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Abstract This study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prices between imported fisheries and domestic fisheries in distribution channel and applies the cointegration theory to analyse the causality focused on the prices of import, wholesale and retail about the frozen Alaska pollack, hairtail and croaker which take up high portion and are popular among most of the consumers. In process of analysis, the unit root test was adopted to find the stability of time series data prior to the cointegration test. If the time series data were found as stable in unit root test, the VAR model was adopted in analysis. If unstable, the cointegratioin test was adopeted to find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the data. When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was found among the price of the import, wholesale and retail price, the VECM model was adoped. If not, the differenced VAR model was adop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VAR model, time series data of frozen Alaska pollack were found as stable and had causality relationship and close effect existed among the import, wholesale and retail prices. Second, the data of frozen hairtail were found as unstable in unit root test and the result of cointegration test showed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at lag 1. From the results of VECM model, I could find that all of the coefficient in error correction is effective, and the sign is negative(-). It suggests existence of adjustment tendency to long-run equilibrium after a short-run deviation. But the short-run causality between the prices were not found except for the price of wholesal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ifferenced VAR model, data from frozen croaker don't have the stability and long-run equilibrium. Moreover, it was found that the import price has a weak causality on the retail price. Because of the difficulties in collecting data, the result of this paper could not explain perfectly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ices of import, wholesale and retail. However, it more or less contributed to a long-lasted debate on the direction of causality of price-setting in academic research and provided a useful guide for the policy makers in charge of the price-setting of fisheries products as well.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의 경쟁력 제고 방안-북컨테이너 배후단지의 효율성 측정을 토대로
A Scheme on the Competitive Improvement of Port Hinterland in Busan Newport – Based on the Measurement of Efficiency on North Container Hinterland Gil Young Park Department of International Commerce & Logistics, The Graduate School,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first conducted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on logistics centers using financial statements from DART(http://dart.fss.or.kr) of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The study secondly acquired competence factors and its order of hierarchy through factor analysis. These data then were analyzed using Analytic Hierarch Process(AHP) to further categorize them in the order of importance in improving competitiveness of logistics centers. Last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direction to improve competitivenes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port hinterland which was developed as the part of major national projects. To test efficiency of logistics centers in North Container Hinterland, using non-parametric DEA method, the study utilized financial statements of 19 logistic centers for the last three years. Efficiency level of annual average for logistics centers increased year by year. However, among the 19 logistics centers tested, 7 logistic centers are in need of improving their efficiency. Logistics centers which showed high level of efficiency in profitability index had better results in the DEA analysis as well. Among the 19 logistics centers tested, 40% needed to improve their efficiency. Revenue, profitability and net income peaked in year 2012 and hasn’t recovered until year 2014. This study implies to improve efficiency of port hinterland, pursuing economies scale through raising size of land and logistics facilities is necessary. As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North Container Hinterland,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or management and decision makers of logistic centers, marketing factor proved to b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first tier factors. Secondly, partnership with global company, which can provides cargo to logistics centers was ranked first place among the second tier importance order. Other factors such as port’s cargo volume, alliance with other logistics companies, and well-established infrastructure followed accordingly. Even for second tier, factors contributing to increase in cargo volume were ranked higher place. Third, considering the fact that “vicious cycle of insufficient cargo volume → fierce competition → drop tariff rate → financial difficulties” faced by logistics centers persists although considerable time elapsed. From above mentioned study, following counter measures to improve competitiveness could be drawn. First, there is need to improve sales efforts as well as quality of service to ensure logistics centers are supplied with sustainable cargoes. In addition, there is need to seek long term partnership with customers. Second, strategic ties with related government organizations are crucial to induce global and big customers with large volume of cargoes utilizing governmental policy. Third, governmental policy should guide customers to frequently use port hinterland area. Fourth, there is a need to adjust supply plan of logistics centers by accurately forecasting goods being processed in port hinterland area to prevent fierce competition and sharp drop in rate. There also is a need for relaxed evaluation system on land rental fee and contract commitments failure which system is putting a strain on management of logistics center. Lastly, there is need to flexible policy for management of port hinterland area such as merging small logistics companies to create scale economies, acceptance of returning land lease, and change of business style etc. World’s major logistics hubs are concentrating their competitiveness through combining production and logistics pursuing the goal of becoming green logistics clusters with the aid of large ports and airports. Turning port hinterland into the port clusters to add value, increase quantity of cargo volume in improving Busan New Port Hinterland’s competitiveness. Furthermore it also is an effective way to support nation’s plan of becoming hub for logistics hub in Northeast A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