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패션 전문매장의 분포패턴과 전파속도 연구

        박영욱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한 뉴스 기사에서는 유행의 전파속도를 계산해보았다. 명품 브랜드가 서울 강남에서 강북까지 유행하는 속도는 시속 1.57m이다. 그리고 강남에서 320km떨어진 부산까지는 시속 36.5m가 걸렸다. 또한 대표적인 패스트 패션인 유니클로와 자라 역시 많은 젊은 층의 지지를 받으며 최근 전국 각지로 빠르게 전파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패션 전문매장들이 어떠한 패턴을 보이고 있을까? 이러한 의문점을 밝히기 위해 본 논문은 기존 입지론들에서 보여주는 정성적인 이론들과는 달리 패션 전문매장의 분포패턴과 전파속도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그 안의 동적 움직임과 분포패턴이 거점형으로 퍼지고 있는 지 확산형으로 퍼지고 있는 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패션의 전파속도를 구하는 것에 있어서 전파속도를 단순히 거리로서 계산을 하는 것이 의의가 있는 것인지, 아니면 지역에 따른 위계를 구분하여 살펴봐야 하는 것인지를 분석해보았다. 패션 전문매장의 분포패턴과 전파속도를 구하기 위해 국내 패션업계 매출액 순위 2위인 제일모직의 브랜드들과 최근 빠른 속도로 퍼지고 있는 자라와 유니클로를 포함하여 총 13개의 브랜드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각 브랜드별 패션 전문매장의 수도권과 전국 분포를 나누어서 살펴보았는데 그 이유는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입점일이 늦더라도 평균 전파속도가 빠른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렇게 GIS를 통해 각 브랜드의 시공간적인 분포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브랜드가 특정지역에 우선적으로 분포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그 지역을 본 논문에서 1차 전파지역이라고 명명하였다. 수도권의 1차 전파지역은 도심권, 강남권, 신촌권, 영드포권, 인천남부권, 경기도 남부권으로 볼 수 있었고, 전국의 1차 전파지역은 부산, 울산, 광주, 대구, 대전 등의 광역시와 경기도 남부권역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패션 전문매장의 분포패턴을 주요지점 거점형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패션 전문매장의 전파속도의 경우 각 브랜드의 최모 매장을 시초점으로 두고 그 매장을 기준으로 거리를 재었고, 각 매장의 입점일을 기준으로 최초 매장 입점일로부터의 시간을 계산하여 전파속도를 도출하였다. 그렇게 나온 각 브랜드의 전파속도를 수도권 구별 평균과 전국 시별 평균으로 계산하여 비교해보았다. 수도권에서는 중구가 5.451m/hour로 가장 빨랐고, 전국의 경우 울산시가 가장 빠른 17.753m/hour로 나타났으며 거리가 먼 경상남도 권역이 입점일 대비 거리가 멀기 때문에 전파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나온 전파속도를 수도권 내 구별과 전국 시별로 지역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앞서 살펴봤던 1차 전파지역 중 대표적인 것을 추출, 수도권 내 1차 전파지역과 수도권 내 구별을 비교분석하였고, 전국 1차 전파지역과 전국 시별 전파속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도권 내 1차 전파지역의 전파속도는 전산업 사업체수, 금융 및 보험업 사업체수와 종사자수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국의 1차 전파지역 전파속도는 구역면적과 금융 및 보험업 사업체수, 종사자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봤을 때 전파속도는 시초점에서 주요지역까지의 전파속도를 구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전체 지역을 전파속도로 보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없었다. 이것은 패션 전문매장의 1차적인 전파가 도시 공간적인 위계를 띄고 전파되고 있는 것이며 2차적으로 1차 전파지역으로부터 주변 지역으로 전파되고 있는 확산형 분포패턴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Study on the Spread of the Pattern and Speed of the Fashion Retail Store. This paper tried to disclose through the research about the Spread of Pattern of the Fashion Retail Store and propagation velocity unlike qualitative theories shown in the location theories whether it spreads to the diffusion type whether the dynamic movement and the spread pattern of within sat down plump as the base brother or not or not in order to clarify this interrogation. It had a meaning to calculate the propagation velocity as a distance just because the summer bud found the propagation velocity of a fashion, there was, whether we analyzed or the grade of rank according to a region had to be classified and examined or not. The total 13 brands were done by the subject to analysis including UNIQLO which spreads at the recently fast speed with the brands of the Cheil-Mojic ,that is the domestic fashion business world revenue rank 2 in Korea, in order to find the spread of the pattern. And there was the case it divided and examined the capital area and whole country distribution of each brand fashion special shop and the average propagation velocity is fast although the Ipjeom task is late as a distance a reason becomes distant. Like that, the temporal and the spread of pattern of each brand was compared and was analyzed through GIS. Consequently, there was the tendency that preferentially most of brands are distributed to the specific area. And the first spread-zone named region in this paper. The first spread-zone of the capital area could consider as the central area of a town, Gangnam area, Sinchon, Yeongdengpo, Inchon southern area, and Gyeonggi-do southern part. The first spread-zone of the whole country could look at the Metropolitan City and among whole cites, there are some fires spread cities like Gyeonggi-do southern region, including Busan, Ulsan, Daejun, Daegu and etc. Through this, the spread of pattern of the fashion retail store could be confirmed to be the principal point base. When looking at as a result of being like this, this can know implying the deceptive plan in which the spread pattern ,that is the primary of the fashion retail store, is the urban space and being propagated and showing the diffusion type spread pattern propagated to a vicinity from the first spread-zone as the second-order product. Keyword : Fashion Retail Store, Spread of Pattern, Spread of Speed, Location Characteristic

      • 대학의 기술이전기관 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특허경영 전문가 파견사업의 효과

        박영욱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대학 및 공공연구소에 투입 하는 R&D재원으로 창출 되는 논문, 특허 등의 지속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업화율은 선진 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대학 등 공공 연구기관의 연구 성과 제고와 지식 재산역량 강화를 위해 TLO의 역할이 주목 받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학들이 재원의 한계 등으로 TLO에 전문 인력의 유치가 어렵고, 출원 및 등록에 따른 행정적인 단위업무 정도만 수행하며 기술이전 및 출원 등록업무를 외부 기관에 의뢰하여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특허 창출과 기술이전 성과 제고를 위해 특허 청에서 “특허경영 전문가 파견사업”이 대학의 특허 및 기술이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공계관련 126개 대학을 선정하여본 사업을 경험한 대학과 경험 하지 않은 대학 간의 성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특허경영 전문가 파견 사업이 특허 출원 및등록건수, 기술이전 계약건수 및 수입액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대학의 연구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전문가 확보와 인력 양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Even though papers and patents generated by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ie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in Korea, commercialization of research output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developed countrie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echnology licensing offices(TLOs) of universities. In this study, we study effects of the patent manager dispatch program(PMDP) of the Korean Patent Office(KPO) on the performances of TLOs. From 2006 on, KPO has dispatched patent experts to selected TLOs under the PMSD. Based on data of 126 TLOs, we analysed whether the PMSD has improved the performances of beneficiary TLOs. We tested two related hypotheses: (1)Whether or not a TLO received the dispatch service had effects on its performance? (2)Were early beneficiaries more effective than late beneficiaries or non-beneficiaries because of cumulative learning effec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ast experience in itself did not improve performances of beneficiary TLOs. However, early beneficiaries were better than late beneficiaries or non-beneficiaries, that is, some learning effects might help the beneficiary TLOs improve their performances.

      • ANOVA에서 이분산 처리를 위한 통계적 방법의 성능비교

        박영욱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분산분석은 세 집단 이상의 평균 간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방법이다. 분산분석에서 각각의 모집단은 정규분포를 따르고 분산은 동일한 값을 가진다는 등분산성을 가정하는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우리가 접하는 대부분의 자료들은 분산이 다르거나 같은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등분산성 가정이 위배된 경우의 이분산 분산분석을 위한 방법으로는 Welch 검정, James 검정, 일반화 검정 그리고 모수적 붓스트랩 검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분산 분산분석을 위한 비모수적 붓스트랩 방법과 커널밀도함수 추정법을 이용한 비모수적 붓스트랩 방법을 제안하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제 1종 오류율과 검정력을 추정하여 그 성능을 비교하였다. 모집단의 분포가 정규분포인 경우에는 모수적 가정이 잘 맞는 모수적 붓스트랩 검정의 성능이 우수하였고, 모집단의 분포가 균등분포, 이중지수분포인 경우에는 Sheather와 Jones에 의해 제안된 평활량을 사용한 커널밀도함수 추정법에 의한 비모수적 붓스트랩의 성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종사자의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 경험에 관한 연구

        박영욱 경기대학교 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로서 주간보호시설의 종사자가 발달장애인을 지원함에 있어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 경험의 실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의 현주소를 심층적으로 파악하여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의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에 대한 사회복지학적인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일반적인 시각에서부터 전문가들의 해석까지 다양한 관점들을 개관하고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에 관한 전반적인 맥락을 논하였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둘러싼 사회적 담론의 제 양상을 긍정적, 부정적 관점에서 고찰하였으며,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지원함에 있어서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역할과 기능, 종사자의 정체성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내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발달장애인을 지원하고 있는 종사자 6명으로 이들은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을 수행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연구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로 진행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21년 10월부터 2022년 8월까지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와의 인터뷰는 시설로 직접 방문하여 실시하였으며, 1인당 80분에서 120분이 소요되었다. 연구 결과, 6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 개념들을 통합하여 23개의 하위범주와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8개의 범주는 ‘자기결정권 지원을 통한 종사자의 긍정적 변화’, ‘자기결정권 지원 촉진을 위한 노력’, ‘종사자 측면의 저해요인’, ‘보호자 측면의 저해요인’, ‘기관 측면의 저해요인’, ‘환경적 측면의 저해요인’, ‘이용인 측면의 긍정적 변화’, ‘이용인 측면의 저해요인’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이라는 시설유형에서는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지원에 관한 새로운 시도를 도모하고 있었다. 이 경우,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은 당사자의 당연히 권리라는 측면으로 이해하고 받아들이고 있지만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프로그램 지원과 활동하는 삶의 현장에서는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지원이 종사자, 보호자, 기관의 안전규정 등에 의해 통제되거나 무시되고 있는 현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발달장애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자기결정권 지원을 위한 체계적인 제도화된 지원방침이나 실제적인 지원매뉴얼이 부재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은 종사자 개인의 의지나 노력에 의해 존중되거나 무시될 우려가 매우 컸다. 사회복지의 가치로서 이용인의 자기결정권 존중은 기본적인 가치임에도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는 발달장애인 이용인의 자기결정권이 존중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었으며, 자기결정권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딜레마 상황들에 대해서도 지원에 관한 기준점이 없어 개별 종사자의 판단에 맡겨진 상황이었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의 발달장애인도 사회복지서비스의 이용자로서 자신의 권리로서 자기결정권을 행사하며 자기결정권 행사에 대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요구되었으며, 이는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정체성을 고민하는 지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한다. 첫째, 실천현장에서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 존중의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은 당사자의 당연한 권리라는 관점이 사회적으로 인식되고 수용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를 위한 전제로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자기결정권 존중이 첫 번째 지원원칙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이는 발달장애인 자기결정권을 지원하는 종사자들은 자기결정권 지원에 있어서 발달장애인의 당연한 권리라는 인식으로 서비스에 임해야 할 것을 요구한다. 두 번째, 발달장애의 특성에 관한 전문 교육시스템의 제도화가 필요하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종사자들은 발달장애인에 대한 기초지식이 거의 부재한 실정이다. 발달장애인 이용인의 자기결정권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발달장애인의 특성에 관한 이해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 전문 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장애인복지시설의 종사자들이 발달장애인을 만나기 전에 교육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여 비전문적인 서비스가 아닌 전문적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발달장애 전문 교육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세 번째, 자기결정권 지원매뉴얼같은 교육자료의 필요성이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종사자들이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지원 시 참고할 수 있는 지침이 필요하다. 현 시점에서는 시설의 규정이나 시설장의 의지 그리고 종사자의 개인적인 판단에 의해 자기결정권 지원이 좌우되고 있다. 그러기에 체계적인 지원매뉴얼이 갖춰진다면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 행사가 종사자의 권력에 의해 통제되지 않고 자기결정권 행사의 권리를 확보하는데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네 번째, 보호자 대상의 자기결정권 인식개선 교육을 제안한다.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권에는 보호자가 깊이 관여하고 있다. 보호자의 인식변화 없이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자기결정권 증진은 현실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보호자 교육을 통해 장애자녀의 자기결정권을 바라보는 관점이 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 번째, 보완대체의사소통(AAC)의 환경구축, AAC 지원센터를 제안한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을 이용하는 발달장애인은 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가진 이용인들이 많다. 자기결정권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완할 수단이 필요하다. AAC의 환경구축을 통해 의사소통장애의 어려움은 일정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지역이나 권역별 AAC 지원센터를 구축하여 의사소통장애가 있는 이용인의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고 적합한 AAC를 만들어서 시설에 보급하여 주고 활용방법을 안내해준다면 이용장애인의 자기결정권을 증진시키는 데 크게 일조할 것이다. 여섯 번째, 자기결정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한다. 자기결정은 경험이 필요하다. 경험을 통해 자기결정이 확대된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자기결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용장애인들이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훈련지원 사업으로 편성하여 자기결정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중증의 발달장애인도 학습을 통해 더 많은 경험을 하면 자기결정권의 발휘가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일곱 번째, 시설 서비스 규정의 보완을 제안한다.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과 보건복지부의 사업안내에는 구체적인 시설 서비스의 규정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이용장애인의 위험 감수에 대한 기관의 판단이나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선택권의 보장 등 자기결정권 지원과 관련된 내용이 추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관련 법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먼저는 의사소통 환경구축으로 ‘장애인ㆍ노인ㆍ임산부 등의 편의증진 보장에 관한 법률’에서의 발달장애인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위한 법규 신설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의 간판, 표지판, 게시판, 안내문, 상점의 메뉴 등이 보완대체의사소통의 방식으로 표기되어야 하며, 보완대체의사소통으로 소통하는 것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되어야 한다. 또 하나는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자기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인력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 [별표 5]의 개정이 필요하다. 현재 종사자 ‘3명 이상’의 규정에서 직책과 직급을 구분하여 시설장, 중간관리자, 사회복지사, 사무직, 기능직(운전, 조리)으로 편성된 구체적인 종사자 배치기준을 담아 변경되어야 한다. 사회복지사(사회재활교사)의 경우에는 장애인 3명당 1명의 획일적인 배치가 아니라 이용장애인의 지원정도에 따라 1대 1, 2대 1, 3대 1 배치를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변경되는 것이 필요하다. 장애인주간보호시설에서 발달장애인 당사자가 서비스의 고객이라는 관점으로 변화되어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권리가 존중되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제언을 하였지만 향후 충분한 논의를 통해 정책적으로 실천 현장에 적용되어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지역적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점이다. 후속 연구로 전국의 장애인주간보호시설 종사자를 포괄한 연구가 진행되거나 장애인주간보호시설의 시설장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연구를 진행하는 것도 필요하다. 발달장애인 당사자를 대상으로 당사자 관점에서의 자기결정권 지원 실체를 연구하는 것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grasp the reality of the experience of supporting self-determination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is considered important for social workers at the day care center as a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y for the disabled. Through this, the current status of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eeply apprehended, and the social welfare meaning of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was identified. To this end, This study described the overall context by examining various perspectives from the general perspective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e interpretation of experts. In addition, the posi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of social discourse surround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examined. And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ole and function of disabled day care center necessary to support the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isabled day care center, and the identity of work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ix social workers who suppor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a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Gyeonggi-do. The research method for these was carried out as a qualitative case study,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21 to August 2022.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nducted by visiting the facility directly, and it took 80 to 120 minutes per person. As a result of the study, 66 concepts were derived, and 23 subcategories and 8 categories were derived by integrating these concepts. The 8 categories are 'Positive change in social workers through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Efforts to promote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Hindering factors from the social worker's side', 'Hindering factors from the guardian's side', and 'Hindering factors from the day care center side' ', 'Hindering factors from environmental side', 'Positive changes in users', and 'Hindering factors from users' appeared. The discussion and policy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type of facility called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a new attempt was being made to suppor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is case, Social workers at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understood and accepte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natural right of the person concerned. However, in the field of support and activities of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the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controlled or ignored by the workers, guardians, and institutional regulation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merged as a serious problem, and there was no systematic institutionalized support policy or practical support manual to suppor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Although respec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users as a value of social welfare is a basic value, the reality is tha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us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not respected at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and support for various dilemma situations that arise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is also provided. There was no reference point for this, so it was left to the judgment of individual social workers. Social awareness needs to be changed so tha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use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can also receive the support necessary for exercising their right to self-determination as users. This may be a point to consider the identity of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following policy suggestions are presented. First, a paradigm of respec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ust be converted. The view tha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a natural right of the person concerned should be established as the first support principle in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nstitutionalize a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cial workers at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do not have basic knowledge about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rder to promot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so that people can receive systematic education through professional education courses and be put into service sites. Third, it is suggested to produce a manual to suppor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There is a need for guidelines that social workers at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can refer to when supporting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ight to exercis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must be secured through the production of systematic support manuals. Fourth, propose education to improve awareness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or guardian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deeply related to the involvement of guardians. It is difficult to promote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out changing the perception of guardians. The perspective of looking at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ust change. Fifth, the establishment of an environment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the AAC support center is proposed. Many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use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have difficulties in verbal communicati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should be premised on communication, but a means to supplement verbal communication is needed. It is necessary to make up for communication difficultie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n AAC environment. Sixth, the development of a self-determination program is suggested. Self-determination requires experience. Self-determination is expanded through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elf-determination program at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to support people with disabilities to learn. Seventh, supplementation of day care center service regulations is proposed.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day care center service regulations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and the business guide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ntents on support for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such as the agency's scope of judgment on risk taking and the guarantee of the right to choose when operating the program, should be added. Finally, Legal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needed to guarantee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law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Act on the Guarantee of Convenience Promo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enior Citizens,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s’ to establish a communication environment. Signboards, bulletin boards, notices, and shop menus in the community should be marked as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methods. In the local community, the notation, explanation (guidance), and communication method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hould be secured legally. It is also necessary to secure manpower to support self-determination at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Through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Rules of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Appendix 5], specific social worker placement criteria should be created by distinguishing the position and rank from the regulation of ‘more than 3 social workers’. In the case of social workers, it should be changed to provide additional support for one-to-one, two-to-one, and three-to-one place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support for the disabled, rather than one uniform assignment for every three disabled people. In the day care center for the disabled, it is expected that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ill be changed from the point of view of being a customer of the service, and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ill be respected. Although various suggestions were made for this purpose, it is hoped that they will be applied to the actual field in terms of policy through sufficient discussion in the future.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did not break away from regional limitations. As a follow-up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that includes social workers at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nationwide. It is also necessary to carry out research that targets the facility manager. It should also be done to study the self-determination support 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so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Membership 피트니스센터와 Public 피트니스센터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구매의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박영욱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Membership 피트니스센터와 Public 피트니스센터의 서비스품질의 측정과 고객만족 및 구매 후 행동(재구매 의도, 구전효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08년 7월 현재 서울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피트니스센터에 이용 중인 회원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현재 운동을 참여하고 있는 학생 330명을 유층집략무선표집(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법을 이용하여 유효표본을 추출 하였다. 연구대상 330명 중 설문지에 응한 인원은 총 315명이었으며, 회수된 자료 중에서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조사내용 중 일부가 누락된 자료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따라서 실제 분석에서 사용된 자료는 총 303명이었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피트니스센터의 유형에 따른 변인간의 차이에서 서비스품질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품질간의 차이에서는 연령, 성별, 학력, 직업, 월 이용빈도별로 부분적으로 차이를 나타냈으나 전체적으로는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으며, 개인적 특성에 따른 고객만족의 차이에서는 연령, 이용빈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개인적 특성에 따른 재구매의도, 구전효과의 차이에서는 연령, 학력에서는 재구매의도에서 차이를 나타냈고, 월이용빈도에서는 재구매의도와 구전효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재구매의도, 구전효과 간의 상관수준을 살펴본 결과 모든 변인 간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반응성, 신뢰성, 공감성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품질이 재구매의도,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반응성, 공감성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고객만족이 재구매의도,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고객만족이 재구매의도와 구전효과에 형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lity of services provided by members-only and public fitness centers and the relationship of service quality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post-purchase behavior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effec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0 students who were selected by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from a population that used fitness centers in Seoul as of July 2008.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315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303 answer sheets were analyzed except for unfaithful or incomplete on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3.0 program to verify hypotheses formulat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for connections between the type of fitness center and the variables, the type of fitness center made a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quality of service only. 2. Concerning links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service, age, gender, education, occupation and monthly frequency of use made differences to that in part. Overall, however, the differences weren't significant. As to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satisfaction varied with age and the frequency of use.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o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effect, repurchase intention differed with age and education, and monthly frequency of use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both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3. In regard to correlation among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effect, there was correlation among all the variables. 4. As to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exerted an influence on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empathy. Regarding the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n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effect, that affected responsiveness and empathy. 5. In relation to the impact of customer satisfaction on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effect, customer satisfaction impacted on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effec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members-only fitness center users were more satisfied with reliability and conviction, which were two of service quality element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exercised a firsthand or secondhand influence on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effect, and service quality affected the relationship among customer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effect. The goal of fitness centers will be to make the best profit. The survey results on the members-only fitness center customers justified the importance of service quality as a means to create prof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at and customer satisfaction level was accentuated as well. There was a very close relationship among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effect,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effect may hinge on satisfaction level. Currently, people in general have lots of difficulties in our country due to worsening economic condition, soaring exchange rate and a rise in prices. In order to prevent the defection of customers who have used fitness centers to make good use of leisure time, the quality of service should be taken into another level, and successful marketing strategies should be prepared to boost customer satisfaction. Employers and employees should make concerted efforts to take prompt innovative actions to bolster business performance. A leading fitness center C was dishonored in 2008 because of incompetent management, and the fact is a wake-up call for every business in that field.

      • 해양미생물로 부터 Eicosapentaenoic acid 생성균주의 분리 및 생성최적조건의 확립

        박영욱 단국대학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연근 해역에서 서식하는 해양동물의 장내에서 EPA 생산균주를 탐색하여 우수균주를 선발하고 이의 EPA 생산 최적조건을 수립하여 보았다. 1. 1991년 가을부터 1992년까지 약 일년반에 걸처 고등어, 멸치, 꽁치, 청어 등 어류와 해삼, 가리비, 조개 등 저서생물 100여종의 내장에서 약 3,000여종의 장내세균을 분리배양하였다. 2. 이들로부터 지방산을 추출하여 methly ester 형태로 전환한후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일차 검정한 후 선별된 120여종을 대상으로하여 Gas Chromatography로 Eicosapentaenoic acid 존재유무와 그 함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20종의 Eicosapentaenoic acid 생산 해양미생물을 발견하였다. 3. 이들중 strain 1513과 strain 2100을 대상으로 Eicosapentaenoic acid 생산의 최적조건을 수립하였다. 약 50 %의 숙성해수를 포함한 heart infusion 배지에서 균체 성장과 Eicosapentaenoic acid 생산이 최적이었고 원할한 산소 공급이 균체 성장과 Eicosapentaenoic acid 생산에 필수적이었다. 실험실 내에서의 최적 배양 조건에서는 처음 5 ∼ 7 %의 Eicosapentaenoic acid함량이 20 ∼ 22 %까지 약 4 배 증가되었고 균체의 희수량도 2 배이상 증가하였다. To follow this trend actively, high EPA producing bacteria must be obtained first and the optimal cultivating condi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eventual industrialization of microbial EPA production. 1. About 3,000 strains of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intestine of 100 kinds of marine animals including sardine, mackerel, sea cucumber. 2. 20 strains of EPA producing bacteria were obtained after screening with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gas chromatography and stored. 3. Optimal conditions for the growth and EPA production were established for strain 1513 and strain2100. Heart infusion media containg about 50 % aged sea water and incubation temperature of 18 ℃, pH 7.5, and high oxygen supply should be employed for the best growth and EPA production, At optimal condition in laboratory scale, about 2 fold increase of cell mass and 4 fold increase of EPA were obtained.

      • 대학 내부요인과 개인동기가 기술이전사업화 의욕에 미치는 영향 : TLO 역량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영욱 호서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대학의 내부요인과 개인동기 가 기술이전사업화 의욕에 미치는 영향 : TLO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요 약 본연구의 목적은 첫째, 대학의 인센티브, 평가제도, 인적자원등과 같은 대학내부요인 과 자아실현, 재정적 성공, 역할·책임 등과 같은 개인동기요인이 기술이전 사업화 활동에 종사하는 관계자들의 기술이전 사업화 의욕에 영향요인 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둘째 이러한 내부 요인 및 개인동기 요인과 기술이전사업화 의욕과의 인과관계에서 TLO역량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고자 하였다. 위 연구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전국 62개 대학의 기술이전 사업화 조직에서 해당업무에 종사하는 산학교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총230부를 배부하여 210부를 회수하고 결측 및 중복자료를 제외한 207부를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내부요인인 인센티브, 평가제도 그리고 개인동기 요인인 재정적 성공, 역할·책임은 기술이전사업화 의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TLO역량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TLO역량과 인센티브의 상호작용은 기술이전사업화 의욕과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의 사람중심의 기술이전 사업화 지원정책수립에 시사점을 제공 하고자 한다.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internal support factors of university such as incentive, evaluation system and human resources of universities and personal motives such as self-realization, financial success, role and responsibility are factors that influencing the motivation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mong those engaged in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activities. Second, verified the regulation effect of TLO from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of technology transfer commercialization and the said internal factors. In order to analyze the above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rofessors and employees engaged in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organization of 62 universities in Korea. The total of 230 copies was collected and 210 copies were recovered and analyzed for 207 copies except for missing and redundant data.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2.0 are as follows. First, all internal factors of university such as incentive, and evaluation system of universities and personal motives such as self-realization, financial success, role and responsibilit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otivation for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gulation effect of competence of TLO, competence of TLO showed quasi regulation effect in relation to incentive on motivation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can be founded for establishing a support policy for those who are engaged in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in universities. keywords : competence in TLO, evaluation system, human resources, incentive, self-realization, financial success, role and responsibility, motivation for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 권역별 e-learning 지원센터를 통한 중소기업 학습조직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영욱 인하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 기반 경제에서 국가 경쟁력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쟁력 제고 방안으로 주목받는 것이 바로 인적자원개발(HRD)이다. 반면,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양분화 되어 있는 국내 경제 구조에서 인적자원개발 분야에 대한 격차 또한 현격히 드러나고 있다. 자체적인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는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은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나, 구현에 대한 현실적인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노동부는 중소기업의 인적자원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고는 권역별 대학 e-learning 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중소기업 학습조직화 사업’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중소기업의 현실적인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이 없는 e-learning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학습조직의 구축을 지원센터 platform 하에서 구축함으로써 기업내 학습조직뿐만 아니라 권역내 기업간 학습조직 구축까지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을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점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고는 각 참여 주체에 부합되는 인센티브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단편적인 제안이 아닌 실효성 있는 시스템으로 운영이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It is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at is noticed as a way to raise the competitiveness of not only a nation, but also companies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On the other hand, in the local economic structure that is divided into large companies and SMEs the gap in the field of HRD is remarkable. Unlike the large companies that proceed to construct their own systems, SMEs recognize the necessity for HRD, but they face actual limitations in the realization of it. The Ministry of Labor promotes various policies to speed up HRD of SMEs. This paper proposes the way to activate 'the project of organizing the learning for SMEs', centering on e-learning supporting centers of universities in a domain. By approaching it from the actual aspect of SMEs, it will offer e-learning-based educational programs that have no restriction in terms of time and space. By constructing a learning organization under the platform of the supporting centers, it will actively use the advantage of expanding the learning organization not only in companies, but also among companies in a domain. As a way of maximizing the advantage, this paper will propose the incentives suitable for each participating subject, through which it will seek after effective system operation, not just a single proposal.

      • 학교폭력으로 인한 심각한 피해 발생 이후의 대응 체계에 관한 연구

        박영욱 단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협상학의 관점에서 학교폭력 행위로 인한 `심각한 피해(critical damage)'가 발생한 이후의 대응 체계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학교폭력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여러가지 갈등을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근절을 위한 다양한 대책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심각한 피해'가 발생한 이후의 상황을 별도로 분리하여, 연구된 적은 없다.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였다는 것은, 폭력이라는 방식으로 갈등이 표면화된 상태에 도달하였음을 의미한다. 반면, `심각한 피해' 발생 이전의 시점에서는 설사 갈등이 존재한다 하더라도, 잠재해 있거나 비교적 해결이 용이한 상태였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일단 갈등이 표면화되면, 해소를 위해 불가피하게 개입을 하게 된다. 개입은 강제력을 사용할 것을 전제한다. 지금까지 발표된 여러 대책들은 강제력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를 미리 정해 놓은 계획이다. 학교폭력 사안을 대상으로 놓고, 갈등의 발생 경과를 단계별로 추적하면 갈등의 발생단계, 갈등의 확산단계, 갈등의 처리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는 곳에는 필연적으로 갈등이 존재한다. 하지만 갈등이 존재한다고 해서, 모두 `심각한 피해'로 표면화되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갈등이 폭력으로 표출된 근저에 있는 `권력'의 속성에 주목한다. 즉, 학교폭력의 내면에 존재하는 `사적 권력'의 남용과 이로 인한 `공적 권력'의 부재가 외부로 표출되는 양상이 바로 `심각한 피해'의 발생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갈등이 확산단계로 전환되는 지점을 주목하여 살펴보면, 기존의 대응 체계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였는지 의문을 가지게 된다. 학교가 본격적으로 개입하는 단계에 돌입하면서, 오히려 갈등이 증폭되고 확산되는 아이러니한 현상에 대한 진단이 필요하다. 우선 대응 체계가 가지고 있는 흠결부터 규명하는 것이 출발점이다. 현재의 대응 체계는 `사회적 기제'에 의해 갈등 해결이 모색되는 것이 아니라, 갈등 당사자인 `학교'가 갈등 해결을 주도하고 있다. 그런데 갈등 상황에서 해결의 주체인 교사가 직면하는 이중적 정체성의 문제, 가•피해 측 욕구의 양립불가능성 (incompatibility)의 측면에서 볼 때, 교사는 갈등의 당사자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현재의 대응 체계는 갈등의 당사자가 스스로를 공명정대한 중간자로 오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명백한 흠결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사리에 부합하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공정하거나 객관적이지도 않다. 본 연구를 통해, 갈등의 관점에서 대응 체계 고유의 논리적 흠결을 규명함으로써, 갈등 양상에 부합하는 새로운 대응 체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갈등의 확산단계는 `심각한 피해'가 발생한 이후이므로, 개입을 통해 대처해야 하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처를 위한 새로운 대응 체계 구성의 일반원칙으로 `공정성과 객관성의 확보'와 `결과의 예측 가능성 확보'를 제시하였다. 특히 `결과의 예측 가능성'이란 갈등 대응에 있어 임의적이고 주관적 관용의 개입이 배제되고 처리의 기준이 일관되게 적용될 때 성취 가능한 원칙이다. 한편, 대응 체계의 실행전략으로 우선 “수습”이 목표로 설정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각 당사자는 `데미지컨트롤(damage control)'의 관점을 견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데미지컨트롤'의 관점이란, 당사자들에게 즉각적으로 발생하거나, 발생할 수 있는 `피해의 최소화'를 목표로, 작동 가능한 모든 수단을 집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일차적으로 평화 유지(peace keeping) 단계를 확보하고, 이후 법령 등 객관적 기준을 통해 `공적 권력'의 통제력을 회복시킴으로써 질서를 회복하는 것이 목표이다. `공적 권력'의 통제력이 회복된 이후에야, 비로소 다양한 갈등해결방식이 모색될 수 있다. 최종 단계인 `갈등의 처리단계'에서 기존의 대응 체계가 근거 하고 있는 형벌 이론 및 이에 대한 반대의 입장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정당성의 관점에서 이론을 재정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을 `법'을 부정하는 행위로 규정하고, 이를 다시 부정함으로써, 피해자의 침해된 권리가 `정당성'을 회복하게 된다는 처벌이론을 대처 단계의 이론적 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위 이론을 토대로 `갈등의 처리단계'에서 작동될 수 있는 `사회적 기제'로서 운용 체계를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이는 본 연구가 궁극적으로 학교폭력으로 인한 갈등의 올바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데서 나아가, 실무적 운용의 영역에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는 취지이다. 현행 제도와 같이, 학교에 모든 책임을 전가하고 비난하는 방식이 굳어질수록 학교와 교사는 방어적이 될 수 밖에 없다. 이를 외부의 시각으로 재단하여, 학교가 무능에 대한 변명 거리나 찾는 집단으로 매도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한 접근이 아니다. 이른바 갈등해결을 위한 `사회적 기제'란, `공적 권력'간의 공조를 통해 공동의 대처를 모색하는 것이다. 공개되고 감시되지 않는 권력은 내면화되고 공고해 진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사회적 기제'로서의 운용 체계는 새로운 권력 디자인을 통해 각자에 적절한 역할이 부여되고 서로 공개적으로 활동함으로써 객관성과 공정성을 담보하는 구조를 지향한 것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교육계에서 강조하고 있는 폭력예방환경의 조성이라는 목표에도 부합한다. 폭력이라는 양태로 표출되는 학교폭력의 문제는 그 후유증이 한 사람의 일생을 좌우할 수도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학교폭력에 대응할 수 있는 `사회적 기제'는 당사자가 미성년인 학생이라는 점에서 무엇보다 우선해서 수립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폭력으로 이미 `심각한 피해'가 발생한 상황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기제'를 제시하였다. 그동안 여러 정부에서 수많은 대책이 난무하였지만, 학생들은 여전히 고통스러워 하고 있으며, 학교는 아무런 성찰이 없다. 향후 다양한 관점에서 보다 진전된 연구가 지속되어, 학교폭력에 대응할 수 있는 보편적 갈등 해결기제가 수립되는데 본 연구가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각형 CFT 기둥과 보의 합성반강접 구조설계 적용 연구

        박영욱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CFT기둥과 보의 접합부를 합성반강접으로 적용한 구조물의 설계 적용에 관한 것이다. 합성반강접으로 기둥접합부의 강성비를 조절함으로서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경제적인 부재를 적용하고자 하였다. 횡력부분에서는 합성반강접 접합부 는 연성력이 증진되어 지진에도 안정된 이력 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접합부의 강성에 따른 회전각 크기를 실험을 통해 이론식으로 밝혀내는 것이 쉽지 않아 연구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CFT 기둥은 거푸집 및 철근 작업 공정이 없어 공정단축 및 시공단가 등이 절감되는 등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접합부의 내다이아프램 설치에 따른 제작의 난이성과 접합부의 복잡성으로 많은 적용이 되지않고 있다. 이러한 구조 시스템의 장점을 이용하고 단점을 개선하기위하여, 시공성이 좋은 접합부 개발을 함으로써 건물의 경제성 및 안정성을 고려한 설계의 적용성을 추구하였다. 우선 합성반강접 건물을 가새골조와 비가새 골조구조로 구성된 두 가지 건물을 선정하여 실제적으로 안정성과 경제성이 있는지 비교 연구를 하였다. 저층건물을 모멘트골조로 구조물의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합성작용으로 인하여 합성반강접을 이용하면 횡강성이 증대하여 저층건물의 경우 특별한 횡 보강재 없이 저항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가새골조인 고층건물의 경우 모멘트골조가 횡저항 분담이 10%정도 되었으며 반강접 비율은 60%정도가 적절하였다. 따라서, 건물의 경우 모멘트골조로 횡저항 성능을 확보하는 적절한 반강접 상태를 분석하여 설계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합성반강접 해석의 경우 아직은 해석연구 및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론식의 비교 분석에 대한 연구가 반강접에 비하여 미미한 실정이므로 비가새골조의 경우는 실무에 적용하는 경우는 보다 많은 해석연구가 도출 되어 신뢰성이 확보될 때까지 안정성 판정은 반강접으로 설계를 하고 부재설계는 합성반강접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경제적인 면에서 보 부재는 등분포하중이 작용하는 경우는 반강접 효과가 크나 집중하중이 작용하는 보는 반강접 효과가 크지 않았으며 등분포의 경우 60% 반강접이 단부 모멘트 저감에 따른 경제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부 모멘트는 약 25%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전체 물량은 저층건물의 경우 약 6%의 절감효과를 확인하여 합성반강접 적용이 경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결론으로 CFT 기둥과 보 접합부의 합성 반강접 형태를 볼트형태와 용접형태 두 가지로하여 경제성이 있으면서 시공성을 고려한 합성반강접 접합부를 개발 하였다. 개발된 상세는 반강접으로 설계한 후에 하부 접합상세를 변수로 하여 합성반강접 CFT 기둥-보 접합부의 단조 및 반복가력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에 의한 이론결과와 실험결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합성반강접 접합부 설계 시 강접합된 H형강보의 75% 강성을 확보하도록 계획하였으나, 약 80% 정도의 강성이 확보되었다. 이는 Eurocode 3의 접합부 성능평가 규준에 의한 반강접 접합의 강성범위 안에 속하였으며, 이를 통해 슬래브 보강철근만으로 충분한 강성이 확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합성반강접 접합부는 상․하부 모두 0.04rad.의 비탄성회전각에 도달하였을 때, 전소성모멘트에 상응하는 내력이 확보되면서 급격한 내력 저하 현상 없이 안정적인 연성적 거동을 나타내었다. 국내와 같은 중약진 지역에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접합상세를 충분히 설계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므로 AISC-LRFD PRCCs Design Guide 8의 설계와 실험 결과를 비교하여 설계에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방안을 마련하고 설계 예를 만들었다. AISC 규준의 경우 시공하중 시 단순보로 검토 후에 해당 보가 설계하중에 전소성모멘트에 저항 할 경우에는 강접으로 적용하고 저항하지 못할 경우에는 반강접 설계를 하고 있는데 이렇게 하면 각 부재별로 반강접 성능이 다르게 적용되어 접합부별 균질하지 않은 골조 성능의 예상된다. 따라서, 안정성과 경제성을 검토한 후에 적절한 반강접 비율을 정한 후에 해당 접합부에 해당비율의 반강접 성능을 발휘하는 상세를 적용하는 것이 보다 실무적인 접근이라 판단된다. 정모멘트의 발생의 경우에는 내력식과 실험값의 편차가 약 70%이상으로 본 연구의 값이 컸다. 그 이유는 CFT 기둥의 설치로 기존의 H-형강 기둥보다 강성이 커 기둥 회전이 거의 없는 것이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하단부의 접합성능이 정모멘트를 저항하는 능력이 부모멘트를 저항하는 능력이 1.7배 이상으로 크므로 최대 내력식을 수정하였다. 처짐 검토를 하기 위한 모멘트-회전각 식의 경우 부모멘트의 식은 AISC 규준을 그대로 준용하여도 좋을 것이나 정모멘트의 경우는 내력차이와 보플랜지 용접의 경우 초기 회전거동이 식보다 급격하므로 이에 대한 회전각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상세별로 수정식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슬래브 철근의 경우 기둥 폭 7배내에 존재하는 연속이 되어 있을 경우 슬래브 철근도 합성거동에 기여하므로 보강근과 함께 보합성 거동으로 고려하여도 내력이 발휘됨을 실험으로 확인하였으므로 이를 설계 시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