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고학년의 5요인 성격특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 성별의 조절효과

        박소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5요인 성격특성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칠 때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5요인 성격특성과 또래관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5요인 성격특성(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5요인 성격특성과 또래관계에서 성별이 조절효과를 보이는가? 본 연구대상은 C지역 초등학교 5~6학년 남·여학생 431명이다.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성격 5요인 검사를 위하여 유혜영(2014)이 기존의 Oliver, Avshalom, Richard, Terrie, Magda(1994)가 개발한 아동용 성격 5요인 척도(child Q-set)를 황춘선(2010)이 번역한 것을 재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황숙영(2007)이 Gullone과 Robinson(2005)의 IPPA-R(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척도를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dow 18.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Pearson적률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5요인 성격특성(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중 우호성이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고학년의 또래관계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5요인 성격특성 중에서 외향성, 우호성, 신경증 순으로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고학년의 5요인 성격특성이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별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발달적 과도기인 초기 청소년기에 속해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5요인 성격특성(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우호성, 성실성) 중에서 외향성, 우호성, 신경증이 또래관계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는 특성임을 밝혔으며, 성별은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보다는 성격특성에 따른 차이가 또래관계에 더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생들의 또래관계에 관련성이 높은 성격특성을 알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또래관계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의를 살려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증진 상담프로그램이나 구체적인 문제 해결 프로그램을 고안해보는 것도 학교 현장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교육대학원 교과과정과 교사임용고사와의 상관성 연구 : 중등 미술과를 중심으로

        박소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and the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is study considers strengths and problems, which the curriculums of fiv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and suggests an improvement plan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s of fiv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at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rt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and the third phase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from 2012 to 2015.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provide helpful data as a systematic foundation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The analysis result of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questions shows that the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enrich the substance,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not fragmentary knowledge. The classes, which integrate theory and practice, improve efficiency of understanding and education of each subject. Moreover, education with pre-service teachers and many professional art teachers provides a variety of educational experience. However, the major subjects included in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re not offered in the curriculums, the similar names of the subjects in the curriculums are little ambiguous, or the number of the subjects in the curriculums is small and they are concentrated in particular domains. For this reason, the choice of students is limited. On the basis of this finding, this study throws out the following suggestion to im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equal course organization, at least 1 to 2 subjects should be added to the major subjects included in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based on the current curriculum of each school. If there is a shortage of students attending new courses, there is a need to connect students to undergraduate lectures flexibly rather than developing new courses for keeping balance among the courses.

      • 보건소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에 관한 연구

        박소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건소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공공부문에 종사하고 있는 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건강문제를 조기관리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7년 3월 5일부터 2007년 6월 15일 사이에 경기도 A병원에서 암관리사업을 담당하는 6급~9급 보건소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189명 이었고,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1.52세 였고, 결혼상태는 기혼인 사람이 82.5% 였으며 학력은 전문대졸과 대졸의 구성비가 거의 비슷하였으며 보건소 평균 근무기간은 15년이었다. 2) 직무스트레스 보건소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점수는 100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47.43점이었다.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급7급, 연봉 4500만원 이상, 기혼, 한달근무일수 순으로 나타났다. 3) 프리젠티즘 업무성과손실의 전체 총점은 100점 만점 중 28.27점이었다. 현재 경험하고 있으며 가장 신경이 쓰이는 건강문제로 ‘어깨결림이나 요통’이 25.9%, ‘위장장애’ 16.9%가 가장 많았고,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94.7%였으나, 현재 치료중인 사람은 15.3%, 방치 중인 사람은 84.7%였다. 건강문제를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강문제로 인한 지각, 조퇴, 결근, 휴가 등을 한 번도 경험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보건소 공무원이 전체의 89.4% 였으며, 보건소 공무원이 지각하는 생산성을 100점 만점으로 보았을 때, 평균 87.5점 발휘했다고 응답하였다. 업무성과손실은 지각된 생산성과 피어슨 상관관계계수 -.404의 역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지각된 생산성은 결근관련경험과 피어슨 상관관계계수 -.241의 역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업무성과손실이 증가하면 지각된 생산성은 감소하며 지각된 생산성이 증가하면 결근관련경험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4) 직무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과의 관계 보건소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프리젠티즘 변수인 업무성과손실, 건강문제, 결근관련경험, 지각된 생산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보건소 공무원은 일종의 사무직 근로자 이므로 사무직 근로자의 프리젠티즘에 관한 후속연구를 통하여 직무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국민의 공복인 보건소 공무원은 직무에 대한 책임감으로 건강문제를 가진 사람이 94.7% 임에도 불구하고 직무스트레스와 건강문제를 조절하고 생산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 공무원들의 프리젠티즘과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administration plan on the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officials in public sector and to develop the program managing the health problems early. Through the study on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public officials in public health center. From March 5 2007 to June 15 2007, this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of 189 persons who was 6th to 9th grade public officials on cancer control program in public health center,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officials in public health center. The average age was 41.5 and 82.5% was married. In education status, college graduated and more than university graduated was similar and the working period was 15 years. 2. Job stress Job stress of officials in public health center was 47.4 point out of 100. 7th grade, 45million or more a year, the married, and the number of duty day a month were associated with job stress. 3. Presenteeism A total score of work impairment was 28.3 points out of 100. The current health problems were the 'shoulder & back pain' and 'stomach & bowel disorder'. Those who had health problems were 94.7%. For those, however, 15.3% were undergoing medical treatment, 84.7% were not treated. Regardless of these health problem, most participants in this study (89.4%) reported that they didn’t take any late, leave, absence or holiday due to health problems. Pceived productivity Among study subjects was 87.5 in scale of 100. The relation between working impairment and perceived productivi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of -.404. In additio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productivity and experience of absence was negative correlation of -.241. 4.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s and presenteeism Job stress of was not assoiciated with presenteeism variables, such as work impairment, health problem, experience of absence and perceived productivity. In conclusio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resenteeism should be explored in detail through future studies on presenteeism of officials. Although most of officials in Public health center have a lot of health problems as a result of responsibility for their job, they contribute to controlling their job stress and health problems, and maintain the productivity. Therefore, social support and the program which can control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public officials in Public health center are needed.

      • 초등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박소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연계성에 대한 활발한 연구의 촉진과, 최종적으로 중학교 교사의 보다 향상된 교수 활동을 위해, 현행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간 연계성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내 제시되어 있는 학습과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의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수와 연산’ 영역의 학습과제 간 연계성은 어떠한가? 2.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문자와 식’ 영역의 학습과제 간 연계성은 어떠한가? 3.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함수’ 영역의 학습과제 간 연계성은 어떠한가? 4.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기하’ 영역의 학습과제 간 연계성은 어떠한가? 5.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확률과 통계’ 영역의 학습과제 간 연계성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영역을 기준으로, 각 영역의 내용에 연계되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내용을 살펴본 후, 그 연계형태를 분석하여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교과서의 각 영역에서 발견된 학습과제 연계형태의 종합적인 결과와 통계를 나타내었다.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나타났다. 첫째, ‘수와 연산’ 영역에서 10종의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모두 연계 100%, 역연계 0%, 비연계 0%의 결과를 나타내어, 높은 연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자와 식’ 영역에서 10종의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모두 연계, 비연계, 역연계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연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연계인 것으로 판단되는 학습과제가 존재하였다. 셋째, ‘함수’ 영역에서 10종의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모두 연계 100%, 역연계 0%, 비연계 0%의 결과를 나타내어, 높은 연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하’ 영역에서 10종의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모두 연계 100%, 역연계 0%, 비연계 0%의 결과를 나타내어, 높은 연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10종의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모두 연계 100%, 역연계 0%, 비연계 0%의 결과를 나타내어, 높은 연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중학교 1학년 교과서와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학습과제 간 연계성의 정도는 ‘높다’ 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문자와 식’ 영역에서는 비연계인 것으로 판단되는 연계형태가 발견되었다. 이렇게 비연계인 것으로 판단되는 학습과제들은 학습자의 연령, 시기에 따라서 의도적으로 결정되어 배치된 것일 수도 있지만, 연계성 측면에서 관심을 가지고 형식적인 체계화에 대해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집

        박소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치료에서 음악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 방법, 치료로서(as therapy) 그리고 치료에서(in therapy)로 사용되어진다. 본 음악치료 활동에서도 음악은 치료로서(as therapy)도 사용되었고, 주로 치료에서(in therapy) 사용되었다. 이러한 음악은 연주나 노래부르기, 또는 노래가사나 내용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를 공감해주는 도구로써, 클라이언트를 표현해 주는 기회로써, 동료들과 서로 교류하고 의사소통하며 자신을 탐색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등(최병철, 2004)의 기능을 하였다. 본 과제는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집으로 행동적, 인지적, 인지행동적인 방법들을 활용하여 구성하였으며, 급증하는 음주나 중독환자들에게 자신 및 주변의 생활을 파괴하는 문제행동으로부터 벗어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음악치료 활동은 총 8회기의 그룹활동으로 되어 있으며, 재창조연주, 악기연주, 노래만들기, 노래부르며 연주하기, 즉흥연주, 노래토의, 음악극, 노래부르며 연주의 내용을 담고 있다. 각각의 활동마다 어떻게 음악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지에 대한 설명과 활동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비교

        박소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탄력성 요인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청소년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경기, 인천, 강원, 충청, 경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일반청소년 112부(남성 43명, 여성 69명)와 다문화청소년 88부(남성 43명, 여성 45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에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진로탄력성, 각 변인의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진로탄력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확인하며, 셋째, 진로장벽, 진로탄력성이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최종 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t검증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은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보다 높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진로탄력성의 경우,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탄력성이 일반청소년보다 낮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진로탄력성 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은 진로탄력성과 통계적으로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장벽이 높을수록 진로탄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은 진로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어 진로장벽이 높을수록 진로탄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청소년과는 다른 결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 중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청소년의 경우에는 진로장벽에서 성역할 갈등 및 성차별, 진로 및 직업정보의 부족, 경제적 어려움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탄력성의 경우에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자립과 변화대처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청소년의 경우에는 진로자립과 관계활용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일반청소년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진로장벽과 진로탄력성에 대한 적절한 개입의 필요성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과의 건강한 진로발달을 위해 진로상담의 진로탄력성을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resilience facto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compared with nonmulticultral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of 112 nonmulticultral adolescents (43 men, 69 women) and 88 multicultural adolescents (43 men, 45 women) located in Seoul, Gyeonggi, Gyeonggi, Incheon, Gangwon, Chungcheong and Gyeongsang areas were analyzed.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areer resilience, and each level of variables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nonmulticultral adolescents, seco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resilienc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nonmulticultral adolescents is confirmed, and third,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resili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ral adolescents are examined.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verific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ral adolescents. However, career barri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higher than career barriers of nonmulticultral adolescent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career resilience, career resilienc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as lower than that of general adolescent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resilienc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nonmulticultral adolescents, career barri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statistical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resilience, indicating that the higher career barriers, the lower career resilience. Next,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Finally,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e career barriers of nonmulticultral adolesc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resilience, and the higher the career barriers, the lower the career resilience. Next,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onmulticultral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inally,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resilienc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nonmulticultral adolescen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of career barri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case of nonmulticultral adolescents, gender role conflict and gender discrimination, lack of career and job information, and economic difficulties in career barri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case of career resilience, career independence and coping with chang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case of nonmulticultral adolescents, career independence and relationship utiliz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necessity of proper intervention on career barriers and career resilience by comparing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nonmulticultral adolesc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intervention plan of career resilience of career counseling for healthy career development with multicultural adolescents. Keywords : Multicultural Adolescents, Career Barriers, Career Resili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한국과 미국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 통계단원 비교 연구

        박소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xternal and content systems of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 a bid to look for differences between the two. It's basically meant to make some contribution to enhancing the quality of mathematics textbooks in our country. As for external system, the unit structure of the two different kinds of textbooks was analyzed, and it's found that the development and arrangement of units were based on mathematical concepts in the Korean textbooks, whereas the American textbooks focused on mathematical activities in that regard. Regarding an introduction to major units, the Korean textbooks just gave a simple introduction on the history of mathematics, while the American ones included questions linked to each unit and relevant real life to foster the interest and comprehension of learners. Concerning the degree of difficulty in statistics, the American textbooks were easy yet diverse in content, and their diversity was beyond comparison with that of the Korean ones. As to graph, a wide variety of graphs were utilized in the former to show how to use statistics in real life. In the future, textbooks should be prepared by playing up the merits of existing textbooks and the American ones to provide students with motivation, to stir up their learning attitude and ultimately to bolster their mathematical learning cap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