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혜진의 졸업 작품 「The Songs of Universe」해설

        김혜진 동덕여대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3개의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각 작품들의 창작배경을 설명하고 곡의 형식과 선율 구조 및 화성구조를 분석하여 작곡자의 작곡 의도와 음악적인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작품의 주제는 「The Songs of Universe」이다. 작곡자가 생각하는 가장 중요하고 진솔한 이야기를 담고자 가족에 대한 곡을 작곡하였고 그 중 아버지와 남편, 아들 세 남자를 주제로 곡을 창작하였다. 창작한 3곡은 Rhythm Section 편성인 피아노(Piano), 기타(Guitar), 콘트라베이스(Contrabass) 그리고 드럼(Drum) Quartet 편성이며, 각 작품별로 주제와 이미지에 맞는 장르를 선정하고 편곡하였다. 첫 번째 작품은 16Beat Jazz Ballad곡으로 Phrygian에서 Major Scale로 분위기의 반전이 보이는 작품이며, 두 번째 작품은 Intro부터 시작 된 Motif를 통한 Sequence의 변화, 발전으로 곡 전체를 이끌어가며 Non Diatonic한 코드의 병행적 배치와 그에 따른 Voicing이 특징인 작품이다. 세 번째 작품은 동요 「작은 별」에서 가져온 선율을 7박으로 표현하고 전체적인 코드를 Dominant7th로 배치하여 Funk Style을 바탕으로 Blues적인 요소를 반영하였다. 본론을 통하여 각 작품들의 창작 배경과 음악적 특징을 분석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 木幡狐の作意に関する考察

        金慧珍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고와타기쓰네(木幡狐)』의 작의에 관한 고찰 『고와타기쓰네(木幡狐)』는 이수인 암 여우「기슈고젠(きしゆ御前)」과 인간 남자와의 이수 혼인담, 즉 <여우부인담>의 계통을 잇는 작품이다. 여우는 ‘신’과 ‘요괴’라는 두 가지 성격을 지닌 동물이다. 본고에서는 『고와타기쓰네(木幡狐)』에서 예로부터의 신과 요괴의 잔영이 있으면서 새로운 성격을 지닌 여우의 요소, 다시 말해 기슈고젠(きしゆ御前)이 지닌 다양성과 작품의 테마를 찾고자 옛날이야기 여우부인담의 화형에 나타난 만남-결혼-아이의 탄생-정체탄로(결혼생활의 파탄)-실종(이별)의 각 화소에서 여우 묘사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고찰하는 데 있어 최고(最古) 여우부인담으로 평가되는『일본국현보선악영이기(日本国現報善悪霊異記)』(이하 『영이기(霊異記)』라 칭함)의 상권「여우를 부인으로 삼아 아이를 낳게 한 이야기 제 2(狐を妻として子を生ましめし縁 第2)」, 고조루리(古浄瑠璃)의 시노다즈마쓰리기쓰네 아베노세이메이 출생담(しのだづまつりぎつね付あべノ清明出生, 이하 시노다즈마(信太妻)라 칭함) 및 『여우이야기(狐の草子)』의 해당 화소와의 비교방법을 취하였다. 제 1장에서는 먼저 남녀의 외모를 대조함으로써 해학을 강조한 『여우이야기(狐の草子)』와 달리 『고와타기쓰네(木幡狐)』는 닮은 사람끼리인 남녀를 묘사함으로써 만남의 필연성을 강조하였다. 첫 만남(見初め)의 형태에 대해서는, 동시・동일공간의 성격을 지닌 『영이기(霊異記)』 상권 제2화에 비해, 『고와타기쓰네(木幡狐)』에서는 이중경계라는 장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이수가 상대를 처음 인식함으로써 여우가 주체가 되어 이야기가 전개됨을 알 수 있었다. 사랑의 성취과정은 즉흥적인 『영이기(霊異記)』상권 제2화의 사랑에 비해, 『고와타기쓰네(木幡狐)』는 치밀하면서도 신중한 여우의 성격 때문에 시간이 걸렸음을 알 수 있었다. 제 2장에서는 먼저 이수에서 아이로 계승되는 영적 능력이나 보물의 형태가 묘사된 시노다즈마(信太妻),『영이기(霊異記)』상권 제 2화에 비해, 『고와타기쓰네(木幡狐)』는 인간에게 인정받기 위한‘완전한 형태의 행복’의 조건으로서 아이의 탄생을 그리고 있었다. 결혼생활의 파탄을 초래한 정체탄로에 대해서는 개가 짖는 것에 놀라 정체를 드러낸 『영이기(霊異記)』 상권 제2화의 여우와는 대조적으로 『고와타기쓰네(木幡狐)』에서는 개와 직접 대면하는 장면이 없었으며 정체탄로의 불완전함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시노다즈마(信太妻)의 아이에 의한 정체 탄로, 『여우이야기(狐の草子)』의 동승(童僧) 등장에 놀라 이리저리 도망다니는 여우의 모습을 그린 정체탄로 장면의 효과에 비해, 『고와타기쓰네(木幡狐)』는 그 효과가 매우 적다고 생각되었다. 이별 노래에서는 여우부인을 그리워하는 『영이기(霊異記)』상권 제2화의 남자의 노래, 재회를 바라는 시노다즈마(信太妻)의 노래에 비해, 『고와타기쓰네(木幡狐)』의 노래에는 영원한 이별을 각오하는 여우의 모습에서 강한 의지를 느낄 수 있었다. 또한 이별할 때 정체를 암시하지 않는 태도에서 남편과 아이에게 부인이자 엄마라는 한 사람의 ‘여성’이고 싶은 기슈고젠(きしゆ御前)의 강한 바램을 볼 수 있었다. 제 3장에서는, 『고와타기쓰네(木幡狐)』의 여우는 신이나 요괴로서의 성격이 매우 약하고, 잠시나마 이상적인 가정과 행복을 손에 넣은 한 사람의 여성으로서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불교를 바탕으로 한 행동과 사고방식이 나타났으며, 이야기 마지막에 출가・은둔하는 모습에서 불도권화역할로서의 여우를 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고와타기쓰네(木幡狐)』는 사랑, 결혼, 종교 등 인생의 모든 면에서 자신의 신념을 고수한, 강한 의지를 지닌 기슈고젠을 그리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정체탄로에서 여우 출가라는 결말에 이르기까지, 그러한 기슈고젠의 모습이 강하게 나타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불교신앙이라는 작품 전체의 테마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 방사선사 초음파검사 업무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김혜진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사 초음파검사업무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방사선사 425명 (초음파사: 203명, 일반방사선사 22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내용은 인구학적 특성, 자기효능감 4문항, 직무역량 8문항, 외적보상 7문항, 직무만족도 7문항으로 리커트 5점 척도로 조사하였고, 모두 크론바하 알파 값이 0.6 이상으로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통계분석은 인구학적 특성의 기술적 통계와 두 그룹의 변수 간 평균차이 비교를 위한 독립표본 T-test, 변수 간 상관관계분석은 스피어만 상관계수와 피어슨 상관계수로 검정하였다. 그룹별로 변수 간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은 초음파사는 4.057점 일반방사선사는 4.086점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무만족도는 초음파사가 4.151점 일반방사선사는 3.359점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자기효능감과 직무역량은 초음파사(r=.509, p<0.01)와 일반방사선사(r=.537, p<0.01)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가졌다. 직무만족도는 초음파사는 직무역량(r=464, p<0.01)과 일반방사선사는 외적보상(r=587, p<0.01)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에서 초음파사는 직무역량과 외적보상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일반방사선사는 외적보상이 직무만족도에 가장 크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방사선사가 초음파사로 진로를 탐색할 때 의미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ultrasound examination field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survey of 425 radiological technologists (Ultrasound examination field of sonographers : 203, radiographic images examination field of general radiological technologists : 222) who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and obtained a radiological technologists licens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4 questions, job competency 8 questions, extrinsic reward 7 questions, and job satisfaction 7 questions.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for comparison of mean difference between variables of two groups were tested with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for each group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As a result, self-efficac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mean difference of 4.057 for the sonographers and 4.086 for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s, and the job satisfaction showed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rate of 4.151 for the sonographers and 3.359 for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s. Both groups had a high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competency (r=.509, p<0.01) and (r=.537, p<0.01), and job satisfaction (r=387, p<0.01), and (r=344, p<0.01) respective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in the sonographers, job competency (Estimate=.382) and extrinsic compensation (Estimate=0.259) significantly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in the radiological technologists, extrinsic compensation (Estimate=.582) had the greates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career exploration of radiological technologists as sonographers, and will be used for successful career transition as a radiological techoologists.

      • 중국어 말하기 읽기 교수법 연구 :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김혜진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중국어 말하기·읽기 지도 방안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 교육전공 김혜진 중국은 넓은 국토와 많은 인구,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국제 사회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오래전부터 우리와 인적·물적 왕래가 잦은 이웃 국가로서 우리나라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또한 중국어는 세계적으로 사용 인구가 가장 많은 언어이며, 국제 연합에서 사용되는 국제 공용어 중 하나이다. 더욱이 중국의 세계무역기구 가입과 2008년 하계 베이징 올림픽으로 인해 국제무대에서 중국어 구사는 필수가 되고 있고, 중국과 중국인의 잠재력을 고려할 때 장차 중국어가 영어를 뛰어넘어 세계 공용어의 자리에 오를 것이라고 추측해보며, 우리 사회가 정보화, 세계화되어 감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중국어가 차지하는 비중도 커지고 있으며, 정치, 경제, 문화, 예술, 학술 등 사회 각 분야에서 중국어에 대한 수요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전 세계에 중국어 배우기 열풍이 불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도 중등 교육과정에서 제2외국어로 중국어 수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입시라는 현실에 부딪혀 그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고등학교보다 중학교나 초등학교에서 중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조기 언어 교육의 이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외국어 습득 능력이 좋은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중국어 말하기·읽기 지도 방안을 연구해야할 필요성을 느꼈다. 저학년만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루하지 않고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지도 방안과, 그들의 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학습 의욕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언어 형태 학습이 아니라, 의사소통 기능 학습이 되도록 언어의 4기능 중 말하기와 읽기의 기능을 연계시켜 지도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논문들을 비교 분석하여 중국어 지도 방안의 미흡한 점을 보완하고 개발한 중국어 지도 방안을 제시하여 기초적인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에 기여함과 동시에 중국의 다양한 정보와 지식, 문화를 객관적으로 수용하여 세계인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본(本)살풀이 구성 원리 연구

        김혜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살풀이는 살풀이의 기본이 되는 춤으로서 조선조 말 한성준(1874-1942)에 의하여 정립되었다. 본살풀이에 담긴 춤의 기본성과 전통의 토대를 지닌 면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찾게 되었다. 본 논문은 현재 전승되고 있는 본살풀이의 내용을 분석․정리하여 춤사위의 구성 원리를 탐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08년 9월부터 한국전통춤회를 연구 단체로 삼아 수련장 및 활동 현장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참여관찰 및 전문가와의 면담을 자료수집 방법으로 채택하고 본 연구자가 직접 춤을 추기도 하면서 참여와 관찰을 병행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춤사위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마루를 단위로 분석하고 춤사위를 글로 풀어내었으며, 춤이 추어질 때 마루바닥에 그려지는 선(線)인 춤길을 오방(五方) 개념 안에서 파악하여 도해하였다. 본살풀이의 전승 내용을 정리한 결과, 본살풀이는 57가지 춤사위가 열 마루로 엮여 있으며, 장단수는 굿거리장단이 56장단, 자진모리장단이 34장단으로서 한 판의 소요시간은 약 7분이다. 춤을 관찰하여 본살풀이 구성 내용을 정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춤사위의 구성 원리를 발견하였다. 중심잡기, 맺고 풀기, 삼진삼퇴(三進三退), 소삼대삼(小三大三), 연결사위로 이어가기, 춤사위의 반복, 기운 누르기, 회전, 전서후속(前徐後速; 느림에서 빠름으로) 또한, 춤길 구성에 있어서는 회귀(回歸)의 원리, 구조반복의 원리, 오방(五方)의 원리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본살풀이 구성 원리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상적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첫째, 본살풀이는 반복과 변화라는 특징을 지닌다. 둘째, 소삼대삼(小三大三), 삼진삼퇴(三進三退)를 비롯하여 춤사위가 반복됨에 있어서도 세 번씩 회전하고 세 번씩 같은 춤사위를 이어 추는 등, 춤사위 구성 원리 안에는 삼(三)사상이 담겨있다. 셋째, 춤의 시․공간적 구성에서 자연의 성격을 찾아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정리된 본살풀이 구성 내용은 춤의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하여 교본(敎本)으로 활용될 가능성을 탐색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살풀이에 관한 논의는 타 연구자의 새로운 착안과 논의가 따를 수 있으리라 사려 된다. 뿐만 아니라 본살풀이를 비롯한 여타의 춤에 대한 분석 연구를 통하여 향후 춤 구성 원리의 귀납적 일반화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Bon-Salpuri is the basic dance of Salpuri, which is established by Seongjoon Han(1874-1942) who is an artist at the end of Chosun Dynasty.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found at the adequateness of it's fundamentality and the basis of tradi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constructive principles by analysis and arrangement of Bon-Salpuri. The researcher has adopted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unstructured interview as the methods of research and participate in the training at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Group(KTDG) from September, 2008, so the whole stage of KTDG has been this study's field. The researcher has had 'chumsawi' as a target of the analysis, which is a piece of dance, 'maru' as the analyzing unit, has explained chumsawi in plain terms, and has presented chumgil that is the way of dance by a diagram which means obang(五方; five directions) concept. The result of the arrangement of the transmission of the Bon-Salpuri's contents is that ten maru with 57 chumsawi compose Bon-Salpuri, and the time of rhythm is 56 times of Gutgeori rhythm, and so is 34 times of Jajinmori rhythm. Bon-Salpuri requires about 7 minutes to dance one time. The constructive principles of Bon-Salpuri chumsawi are like as below. Keeping balance, Tie and untie, Samjinsamtoi(三進三退; three times go straight and then three times come back), Sosamdaesam(小三大三; three times move smallar and then three times do bigger), Connection to the next step with connecting-sawi, Repetition of the same chumsawi, Press the qi-moving, Turn, Jeonseohusok(前徐後速; slow first and then fast). Also, it is found that Hoigui(回歸; Return), Repetition of the structure, Obang(五方; five directions) as constructive principles of chumgil.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the constructive principles of Bon-Salpuri has thoughtful characteristics which is change and repetition. Second, there is Sam(三; three) thought in chumsawi's constructive principles. Third, it could be found naturalness in the structure of dance in time and space. Bon-Salpuri contents in this thesis could be used as basic research materials of dance, and through follow-up research, it could be explored that the possibility to use as a textbook exists. And the debate concerning Bon-Salpuri's essential characteristics could be followed by other researchers new observation and discussion. Furthermore, through analyzing not only Bon-Salpuri but also other dance, it could be possible to work on inductive generalization about constructive principles of dance.

      • '富有'감의 苗木 生産性 향상에 관한 硏究

        김혜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토양 종류에 따른 부유 종자의 발아와 생장 상태, 품종별(사곡시, 평핵무, 대안단감) 接木 후 活着率과 생장 상태, 단감의 接木 시기 연장과 토양 깊이별 接木 후의 생장을 알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신초의 직경과 근의 무게는 vermiculite가 신초장, 엽수, 엽폭, 엽면적, 신초중, 근장은 perlite + peatmoss 의 혼합구가 양호하였다. 2. 돌감 대목에 부유의 접수를 접목한 결과 사곡시, 평핵무, 대안단감의 活着率은 좋았으나 그 후 생육 상태는 사곡시는 고사하는 것이 많았고 평핵무와 대안단감은 양호한 생육 상태를 나타내었다. 3. 臺木 싹은 接木 시기가 늦을수록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4. 接木 活着率은 시기별로 보아 5월 21일 까지는 차이가 없었고 5월 30일은 약간 (7%)정도 낮았다. 5. 接木日數와 接木 活着日의 차이는 接木 시기가 늦을 수록 단축되었다. 6. 接木 일자가 빠른 4월 25일, 5월 1일 접목구의 신초장은 上枝보다 下枝가 5.17 ㎝, 5.33 ㎝가 더 길었다. 그리고 그 외는 대부분 上枝가 下枝보다 좋은 현상을 나타내었다. 7. 시기별 接木에 관계하지 않고 근의 직경이 큰 구가 신초 신장이 큰 효과를 나타내었다. 8. 토양 깊이별 苗木 生長은 25 ㎝ 구가 신초의 직경이 크고 신초장이 가장 길었다. In order to asses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 Fuyu' seedling, germination. grafting, grafting time and soil test were examined in persimmon seedlings. 1. Germination test of ' Fuyu' seeds was taken in the six different soils. Germination rates were the highest result in the perlite & peatmoss(box) and shoot length and root weight in the vermiculite were higher than any other soils. Most of other factors were good in the mixed soil of perlite & peatmoss. 2. Three scion cultivars, Sagoksi, Hiratanenashi, and Daean dangam were grafted on the rootstock of Dolgam cv. Though graft-take rates of cv. Sakogsi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with two other cultivar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ogoksi cv. was not good. 3. The earlier grafting time was taken, the more shoots were got rid. 4. The cv. ' Fuyu ' was grafted on the rootstock of Kyungsan Bansi cv. After grafting, graft-take rates was not showed any defference until on may 21 however it was little bit low on may 30. 5. The later grafting time was taken, the more graft-take days were shortened. 6. Bottom shoot length of scion was 5.17cm longer than top's on April 25 and 5.33cm longer than top's on April 1. Top shoot length was longer than bottom shoot length most of other days. 7.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ersimmon seedling was related to root weight. 8.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ersimmon tree according to the soil depth showed better results in the 25cm treatment than any other treatments.

      • 과정평가형 자격증 비교분석 : 미용사(헤어, 피부, 네일, 메이크업)· 이용사

        김혜진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과정평가형 자격증 비교분석 -미용사(헤어, 피부, 네일, 메이크업)· 이용사- 김혜진 지도교수: 유민정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뷰티 서비스 산업 관련 미용사(헤어, 피부, 네일, 메이크업)와 이용사 국가기술자격제도는 서비스 산업의 규모가 확대되면서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적인 기능과 기술 입문의 단계로 국가기술자격증의 취득이라 볼 수 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도입 이전에는 검정형평가로 국가 기술자격증을 취득하였지만,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취득할 수 있는 과정형평가 국가기술자격증의 제도가 도입되었다. 본 연구는 미용사(헤어, 피부, 네일, 메이크업)와 이용사 과정평가형 자격의 기본 정보, 필수능력단위 등 과정평가형·자격일학습병행제(http://c.q-net.or.kr) 자료실 기준으로 고찰하였으며, 과정평가형 자격증과 검정형 자격증의 실기 과제 공개 문제의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미용사(헤어, 피부, 네일, 메이크업)〮와 이용사 과정평가형 자격의 운영 편성기준은 교육·훈련 기준시간은 총 600시간이상으로 동일하다. 직업기초능력은 의사소통능력 교과목 외 9과목으로 30∼60시간 동일하였다. 필수능력단위는 미용사(피부)가 12개 능력단위, 480시간 이상으로 기준시간에서 필수능력단위 훈련시간이 높게 구성되어 있다. 선택능력단위는 이용사가 12개 능력단위, 240시간 이상으로 기준시간에서 선택능력단위 훈련시간이 높게 구성되어 있다. 과정평가형 과 검정형 실기과제 공개문제를 비교분석한 결과 미용사(헤어)의 과정평가형 과제 유형은 두피·모발관리 및 샴푸, 헤어 드라이, 헤어 커트, 헤어 컬러, 헤어 퍼머넌트 웨이브로 시험 시간은 3시간 55분 정도이고, 검정형은 두피 스케일링 & 백 샴푸, 헤어 커트, 블로우 드라이 & 롤 세팅, 헤어 퍼머넌트웨이브, 헤어 컬러링으로 시험시간은 2시간 25분이다. 과정평가형은 두피진단과 진단카드를 작성이 포함되어 있으며, 헤어 커트 세부과제는 동일하며, 헤어 드라이 과정평가형 세부과제는 인 컬, 아웃 컬, 스트레이트, S 컬(포워드), S 컬(리워드)이며, 검정형은 인 컬, 아웃 컬, 롤 컬이며 시험 당일 헤어커트 과제에 따라 정해진다. 퍼머넌트 웨이브 과제는 과정형평가는 1제를 바르고 와인딩 작업을 한다. 과정평가형은 마네킹에 탈색과 염색 작업을 하며, 검정형은 피스에 산성컬러로 염색한다. 미용사(피부) 과정평가형 과제 유형은 얼굴관리, 팔·다리관리, 림프관리 이며 시험 시간은 2시간 20분이다. 검정형 과제 유형은 동일하며 시험 시간은 2시간 15분이다. 얼굴관리, 림프관리 과제는 과정평가형 과 검정형이 동일하며, 팔, 다리관리 과제에서 과정평가형은 다리 팩이 추가 되었으며, 제모부위도 겨드랑이는 필수이다. 미용사(네일) 과정평가형 과제 유형은 네일 폴리시 아트, 인조 네일, 인조 네일 제거로 시험시간은 2시간 35분이고, 검정형은 매니큐어 및 페디큐어, 젤 매니큐어, 인조네일, 인조네일 제거로 시험시간은 2시간 30분이다. 과정평가형 과 검정형을 비교한 결과 과정평가형에서는 페디큐어 과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네일 폴리시 아트 과제에서는 통 젤, 젤, 일반 네일 폴리시를 사용하여 오른손 1∼5지에 체크, 선마블, 꽃 네일아트를 완성한다. 인조 네일 과제에서는 검정형은 3, 4지 손톱에 한 가지 인조네일을 완성하지만 과정평가형은 3지, 4지에 각각 다르게 인조네일을 완성한다. 미용사(메이크업) 과정평가형은 과제 유형은 뷰티 메이크업, 캐릭터 메이크업, 트랜드 메이크업, 속눈썹 및 수염 연장으로 시험시간은 2시간 35분이고, 검정형은 뷰티 메이크업, 시대 메이크업, 캐릭터 메이크업, 속눈썹 익스텐션 및 수염으로 시험시간은 2시간 35분이다. 과정평가형 뷰티 메이크업 세부과제가 웨딩, 가을, 파티, 동안으로 다양하였고, 캐릭터 메이크업은 발레와 노역은 동일하며, 과정평가형에서는 캣츠와 할로윈, 검정형에서는 레오파트와 한국무용으로 세부과제가 다르다. 과정평가형의 그레타가르보와 마릴린먼로는 도면이 유사하고 펑크는 도면이 다르며 클레오파트라가 있다. 검정형 시대 메이크업은 트위기가 있다. 속눈썹과 수염은 동일하다. 이용사는 과정평가형은 과제 유형은 샴푸·트리트먼트, 헤어커트, 헤어드라이, 아이론 펌, 헤어컬러링으로 시험시간은 3시간 30분이며, 검정형은 이용기구소독, 헤어커트, 면도, 정발, 염색·탈색 및 샴푸·트리트먼트, 아이론 펌으로 2시간∼2시간 10분이다. 과정평가형은 샴푸·트리트먼트는 모델에게 작업하며 헤어커트는 검정형은 보통머리, 상고형, 둥근 스포츠가 있지만 과정평가형 상고형 도면이 제시되었다. 드라이는 검정형은 커트 형태에 따라 다르고, 과정평가형은 상고형 커트에 좌측 3:7 가르마로 표현하며 쉐이빙은 검정형과 동일하다. 아이론 폄은 과정평가형이 6, 12 mm 아이론을 이용하여 33개 이상을 와인딩하고, 검정형은 커트 형태에 따라 아이론 크기가 달라지고 19개 이상을 와인딩한다. 헤어컬러는 과정평가형은 두상을 정준선으로 나누어 염색과 탈색 작업을 하며, 검정형은 커트 스타일에 따라서 보통머리는 탈색, 상고머리는 멋내기 염색, 둥근 스포츠는 새치 염색을 한다.

      • 현대중국어 '只'류 범위부사 어법특성연구

        김혜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本文主要分析了&#29616;代&#27721;&#35821;“只”&#31867;范&#22260;副&#35789;的&#35821;法特点。“只”&#31867;范&#22260;副&#35789;主要是指限制被修&#39280;成分的&#25968;量或范&#22260;、由&#21333;音&#33410;&#32452;成的副&#35789;“才、&#21333;、光、&#20165;、就、只”。 本文主要&#23545;老舍和王朔的51篇作品中出&#29616;的“只”&#31867;范&#22260;副&#35789;&#36827;行了比&#36739;分析。因老舍&#19982;王朔都使用北京&#35805;,作品&#21019;作&#26102;期也有差&#24322;,因此他&#20204;的作品是非常适合&#35821;言&#30740;究的。&#21478;外本文&#36824;根据需要&#23545;北京大&#23398;&#35821;料&#24211;和&#22269;家&#35821;委&#35821;料&#24211;的相&#20851;例句&#36827;行了比&#36739;分析。&#36825;些&#35821;料分析方法&#26082;客&#35266;,又具有反映&#23454;&#38469;&#35821;言使用情&#20917;的&#20248;点。本文&#23545;先前&#30740;究中&#20174;未放在一起&#30740;究&#36807;的副&#35789;“才、&#21333;、光、&#20165;、就、只”&#36827;行了分析,&#24182;&#23545;“只”&#31867;范&#22260;副&#35789;之&#38388;的差&#24322;&#36827;行了&#30740;究。 “只”&#31867;范&#22260;副&#35789;可以修&#39280;主&#35821;、&#35859;&#35821;和&#29366;&#35821;。首先&#26469;看修&#39280;主&#35821;的情&#20917;,因&#20026;“才”表&#36798;了&#35828;&#35805;者的主&#35266;意&#35265;,因此不能修&#39280;客&#35266;&#23545;象,所以能&#22815;修&#39280;主&#35821;的“只”&#31867;范&#22260;副&#35789;就只有“&#21333;、光、&#20165;、就、只”。“只”&#31867;范&#22260;副&#35789;修&#39280;主&#35821;&#26102;,主&#35821;&#31867;型分&#20026;&#20165;由“&#25968;&#35789;+量&#35789;”&#32452;成的主&#35821;,包括&#25968;量&#35789;的主&#35821;,不包含&#25968;量&#35789;的主&#35821;等三&#31867;。“只”&#31867;范&#22260;副&#35789;中只有“就”可以修&#39280;&#20165;由“&#25968;&#35789;+量&#35789;”&#32452;成的主&#35821;,此&#26102;“就”限制主&#35821;的&#25968;量。&#21478;外“&#21333;、光、&#20165;、就、只”都可以修&#39280;包含&#25968;量&#35789;的主&#35821;。其&#23454;“&#21333;、光”&#19982;&#25968;量&#35789;的&#32467;合&#24182;不&#32039;密,因此&#21363;使修&#39280;包含&#25968;量&#35789;的主&#35821;,“&#21333;、光”也只是限制范&#22260;,而剩下的“&#20165;、就、只”主要是根据&#35828;&#35805;者的意&#22270;,表示&#25968;量或者表示范&#22260;。&#23545;于不包含&#25968;量&#35789;的主&#35821;,五&#20010;副&#35789;都可以&#23545;其&#36827;行修&#39280;,此&#26102;“只”&#31867;范&#22260;副&#35789;只具有限制范&#22260;的功能。“只”&#31867;范&#22260;副&#35789;中“&#21333;、光、&#20165;、只”修&#39280;主&#35821;&#26102;,&#36824;可以&#19982;“就”一同使用,此&#26102;主&#35821;主要作&#20026;&#35777;明&#35859;&#35821;的&#23545;象。 “只”&#31867;范&#22260;副&#35789;修&#39280;&#35859;&#35821;&#26102;,&#35859;&#35821;可以大分&#20026;名&#35789;性&#35859;&#35821;&#19982;&#21160;&#35789;性&#35859;&#35821;。修&#39280;名&#35789;性&#35859;&#35821;句&#26102;,&#35859;&#35821;又可以分&#20026;&#20165;由“&#25968;&#35789;+量&#35789;”&#32452;成的&#35859;&#35821;和包含&#25968;量&#35789;的&#35859;&#35821;等&#20004;&#31181;。“才、&#20165;、就、只”可以限制所有的&#20165;由“&#25968;&#35789;+量&#35789;”&#32452;成的&#35859;&#35821;,但其中“才”是表&#36798;主&#35266;想法的范&#22260;副&#35789;,而剩下的“&#20165;、就、只”主要是修&#39280;客&#35266;的&#25968;量,因此不能自由替&#25442;使用。“只”&#31867;范&#22260;副&#35789;修&#39280;包含&#25968;量&#35789;的&#35859;&#35821;&#26102;,除了“&#21333;、光”以外的其他范&#22260;副&#35789;都可以使用,而其特点&#19982;修&#39280;&#20165;由“&#25968;&#35789;+量&#35789;”&#32452;成的&#35859;&#35821;&#26102;相同。“只”&#31867;范&#22260;副&#35789;修&#39280;&#21160;&#35789;&#35859;&#35821;句&#26102;,六&#20010;“只”&#31867;副&#35789;都可以修&#39280;包含&#25968;量&#35789;的&#35859;&#35821;,其中“才”只表示&#25968;量,“&#21333;、光”只表示范&#22260;,而“&#20165;、就、只”在修&#39280;包含&#25968;量&#35789;的&#35859;&#35821;&#26102;,根据&#35821;言&#29615;境、&#35828;&#35805;者的意&#22270;等可以表示&#25968;量或者范&#22260;。“只”&#31867;范&#22260;副&#35789;中“&#21333;、光、&#20165;、只”可以修&#39280;包含助&#21160;&#35789;的&#35859;&#35821;,其中&#19982;“只”&#32467;合的助&#21160;&#35789;的&#31181;&#31867;最多,出&#29616;的&#39057;率也最高,而&#19982;“&#21333;、光、&#20165;”&#32467;合的助&#21160;&#35789;&#21017;比&#36739;受限。“只”&#31867;范&#22260;副&#35789;修&#39280;&#35859;&#35821;&#26102;,常使用“范&#22260;副&#35789;+A不B”形式,此&#26102;A&#19982;B&#20026;&#24182;列&#32467;&#26500;,意&#20041;相反。 “只”&#31867;范&#22260;副&#35789;修&#39280;&#29366;&#35821;&#26102;,&#29366;&#35821;分&#20026;由介&#23486;&#32467;&#26500;&#32452;成的&#29366;&#35821;&#19982;附加副&#35789;&#35789;&#32512;“地”的&#29366;&#35821;。修&#39280;由介&#23486;&#32467;&#26500;&#32452;成的&#29366;&#35821;&#26102;,“只”&#31867;范&#22260;副&#35789;的意&#20041;&#36319;&#38543;介&#35789;的意&#20041;,其&#35821;&#20041;指向主要&#20026;介&#23486;&#32467;&#26500;中的&#23486;&#35821;。修&#39280;附加“地”的&#29366;&#35821;&#26102;, &#21333;音&#33410;副&#35789;或形容&#35789;无法受到副&#35789;&#35789;&#32512;的修&#39280;,多音&#33410;&#35789;才能作&#20026;副&#35789;&#35789;&#32512;&#26469;使用。“只”&#31867;范&#22260;副&#35789;修&#39280;&#29366;&#35821;&#26102;,&#38543;着&#29366;&#35821;的&#31181;&#31867;,意&#20041;也有不同。修&#39280;由介&#23486;&#32467;&#26500;&#32452;成的&#29366;&#35821;&#26102;,主要限制范&#22260;,而修&#39280;附加副&#35789;&#35789;&#32512;的&#29366;&#35821;&#26102;,&#19982;修&#39280;主&#35821;、&#35859;&#35821;不同,&#29366;&#35821;所修&#39280;的&#35859;&#35821;的程度或&#29366;&#24577;有所&#20943;弱。 如上所述,“只”&#31867;范&#22260;副&#35789;表面上看像是相同的范&#22260;副&#35789;,但根据其分布、&#19982;其&#32467;合的被修&#39280;成分的不同,以及每&#20010;副&#35789;所具有的特点等,“只”&#31867;范&#22260;副&#35789;之&#38388;存在差&#24322;。因此不能&#38543;便替&#25442;使用,&#21363;使替&#25442;,也要考&#34385;范&#22260;副&#35789;的特点、&#35821;言&#29615;境、&#35828;&#35805;者的意&#22270;等因素。 본고는 현대중국어 ‘只’류 범위부사의 어법특성에 관한 분석이다. ‘只’류 범위부사란 한국어 ‘단지’로 해석되며 피수식어의 수량이나 범위를 제한하는 단음절 범위부사 ‘才,&#21333;,光,&#20165;,就,只’를 말한다. 본고는 老舍와 王朔의 작품 51편을 통해 ‘只’류 범위부사가 출현하는 문장을 모두 발췌하여 비교분석하였다. 老舍와 王朔은 모두 북경어를 사용하여 작품 활동을 하였으며 활동시기도 차이가 있어 언어를 연구하는데 적합한 대상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북경대학교에서 구축한 북경대학말뭉치(北京大&#23398;&#35821;料&#24211;)와 중국국가현대중국어코퍼스(&#22269;家&#35821;委&#35821;料&#24211;)를 통해 함께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자료의 분석방법은 객관적이면서도 실제적인 언어사용을 반영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고는 기존연구에 전무한 ‘才,&#21333;,光,&#20165;,就,只’를 함께 분석하여 ‘只’류 범위부사의 차이에 대해 연구하였다. ‘只’류 범위부사는 주어, 술어, 부사어를 수식할 수 있다. 먼저 주어를 수식하는 ‘只’류 범위부사를 살펴보면 ‘只’류 범위부사 중 ‘才’는 화자의 주관적 의견이 포함된 범위부사로써 객관적인 대상을 나타내는 주어를 수식할 수 없다. 그래서 주어를 수식하는 ‘只’류 범위부사는 나머지 ‘&#21333;,光,&#20165;,就,只’가 된다. ‘只’류 범위부사가 주어를 수식할 때 ‘수사+양사’만으로 이루어진 주어와 수량사가 포함된 주어 그리고 수량사가 포함되지 않은 주어로 나뉜다. ‘只’류 범위부사 중 오직 ‘就’만이 ‘수사+양사’로 이루어진 주어를 수식할 수 있으며 이때 ‘就’는 주어의 수량을 제한하게 된다. 주어가 수량사를 포함할 경우에는 ‘&#21333;,光,&#20165;,就,只’가 모두 주어를 수식할 수 있다. 사실, ‘&#21333;,光’은 수량사와의 결합이 긴밀하지 못하지만 만일 주어에 수량사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21333;,光’은 오로지 범위만을 제한한다. 나머지 ‘&#20165;,就,只’은 화자의 의도에 따라 수량을 나타내기도 하고 범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주어가 수량사를 포함하지 않는 명사구를 수식할 때는 다섯 개의 부사가 모두 수식가능하며 이때 ‘只’류 범위부사는 오직 범위만을 제한한다. ‘只’류 범위부사 중 ‘&#21333;,光,&#20165;,只’가 주어를 수식할 때 부사 ‘就’와 공기하는데 이때 주어는 술어를 대표적으로 예증하는 대상이 된다. ‘只’류 범위부사가 술어를 수식하는 경우 술어는 크게 명사술어문과 동사술어문으로 나뉜다. ‘只’류 범위부사 명사술어문을 수식할 경우 ‘수사+양사’만으로 이루어진 술어와 수량사가 포함된 술어로 양분된다. ‘才,&#20165;,就,只’는 모두 ‘수량+양사’만으로 이루어진 술어를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才’는 화자의 주관적인 생각을 서술하고 나머지 ‘&#20165;,就,只’은 객관적인 수량에 대해 서술하기 때문에 자유자재로 바꾸어 쓸 수 없다. ‘只’류 범위부사는 수량사가 포함된 술어를 수식할 때도 ‘&#21333;,光’을 제외한 나머지 범위부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징은 ‘수사+양사’만으로 이루어진 술어를 수식할 때와 동일하다. ‘只’류 범위부사가 동사술어문을 수식할 때에는 여섯 개의 ‘只’류 범위부사가 모두 수량사가 포함하는 술어를 수식할 수 있다. 그러나 ‘才’는 오직 수량만을 나타내고 ‘&#21333;,光’은 오직 범위만을 나타내며 ‘&#20165;,就,只’는 수량사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언어적 환경, 화자의 의도 등에 따라 수량을 나타내기도 하며 범위를 나타내기도 한다. ‘只’류 범위부사가 중 ‘&#21333;,光,&#20165;, 只’는 조동사를 포함한 술어를 수식할 수 있다. 그 중 ‘只’와 결함하는 조동사의 종류가 가장 많으며 출현횟수도 가장 높다. 나머지 ‘&#21333;,光,&#20165;’과 결합하는 조동사는 비교적 한정적이다. ‘只’류 범위부사는 술어를 수식할 때 ‘범위부사+A不B’형식으로 자주 사용되며 이때 A와 B는 병렬구조를 가지게 되고 A와 B의 의미는 상반된다. ‘只’류 범위부사가 부사어를 수식할 때 부사어는 개사목적어로 이루어진 부사어와 부사접미사 ‘的’ 또는 ‘地’가 부가된 부사어로 나뉜다. 개사목적어로 이루어진 부사어를 수식할 경우에 의미는 개사의 의미를 따라가게 되고 ‘只’류 범위부사의 의미지향은 개사의 목적어가 된다. ‘的’ 또는 ‘地’가 부가된 부사어를 수식할 때에는 단음절 부사나 형용사는 부사접미사의 수식을 받을 수 없고 다음절 어휘만 부사접미사가 부가 되어 사용될 수 있다. ‘只’류 범위부사가 부사어를 수식할 때 부사어에 따라 나타나는 의미에도 차이가 있다. 개사목적어로 이루어진 부사어를 수식할 때에는 범위를 제한하는 반면 부사접미사가 부가된 부사어를 수식할 때에는 주어, 술어를 수식할 때와는 다르게 부사어가 수식하는 술어의 정도나 상태가 미약함을 나타낸다. 이렇게 ‘只’류 범위부사는 표면적으로는 동일한 범위부사처럼 보이지만 ‘只’류 범위부사의 분포 혹은 결합하는 피수식어 그리고 부사마다 지니는 고유 특성에 따라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함부로 대체할 수 없으며 대체할 경우 범위부사의 특성, 언어적 환경, 화자의 의도를 잘 파악해야한다.

      • 독서 클럽 활동이 독서 습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독서기록장 쓰기'를 중심으로

        김혜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독서기록장 쓰기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독서 습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도서 선정하기-선정한 책 읽기-토의하기-독서기록장 쓰기-정리 및 내면화’의 5단계로 나누어 독서클럽 활동을 운영하였다. 어떻게 하면 학생들로 하여금 독서에 흥미를 갖게 하고, 더 나아가 평소에 독서가 습관화될 수 있을까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독서클럽 활동을 통하여 어떻게 도서를 선정하고, 어떻게 읽기 및 토의 활동을 전개하며,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독서기록장 쓰기 활동을 할 것인지에 주된 관심을 가지고 실제 수업에 독서 클럽 활동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첫째,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구체적인 지도 방법은 무엇인가? 둘째, 다양한 독서기록장 쓰기의 구체적인 지도 방법은 무엇인가? 셋째,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독서기록장 쓰기가 독서 습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등이다. Ⅱ장에서는 독서 클럽 활동의 바탕에 된 언어와 발달에 관한 비고츠키(Vygotsky)의 개념, 의미의 사회적 구성에 관한 바흐친(Bakhtin)의 개념, 독자 반응에 관한 로젠블랫(Rosenblatt)과 이저(Iser)의 개념을 통해 이론적 배경이 되는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학습자 중심과 과정 중심 교수&#61598;학습의 원리를 구체화하여 독서 클럽 활동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독서, 쓰기, 토의, 교수 등 독서 클럽 활동의 구성 요소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독서 클럽 활동 대상과 연구 기간 그리고 연구 설계 및 연구 절차를 제시하였다. 또한 독서 클럽 활동을 매주 1시간씩 23차시에 걸쳐 정규 수업 시간을 이용하여 중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한 과정을 약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의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먼저 연구의 가장 중심이 되는 ‘향나루터’라는 독서기록장의 제작에 대해 살펴보았다. 독서기록장의 구성은 ①외적 형식, ②독서 및 감상 방법, ③글의 이해와 관련된 내용, ④글을 읽고 난 후의 감상과 활동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은 독서 클럽의 조직으로 모둠의 구성 방법과 독서 클럽의 운영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리고 독서 클럽 활동에 필요한 교수&#61598;학습 과정안과 차시별 지도 계획을 소개하였다. 차시별 지도 계획에 따라 도서 선정하기, 읽기 전/중/후 활동, 토의 모형을 적용한 독서 토의 과정, 독서기록장 쓰기 활동, 정리 및 내면화 과정 등을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독서기록장 쓰기의 효율성 및 기대 효과를 분석하였다. 도서의 선정은 독서 클럽별로 토의를 통하여 스스로 선정하도록 하였고, 선정에 어려움을 겪거나 토의에 부적합할 경우 교사가 적절히 개입하여 책 선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선정한 책을 읽을 때에는 다양한 읽기 전/중/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읽기 활동지를 제공하여 텍스트의 내용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텍스트에 대한 반응을 형성하였다. 모둠별로 선정한 책에 알맞은 독서 토의 모형을 제시하고 토의함으로써 학생들의 내적 반응을 확장하고 심화시켰다. 토의 한 내용을 바탕으로 독후 활동인 독서기록장 쓰기를 하여 확산적 사고 및 창조적 사고를 신장하도록 하였다. 전체 활동이 끝나면 그동안의 독서 클럽 활동 결과를 모아 각 모둠별로 우수작을 선정하고 작품 전시회를 개최하여 독서가 내면화될 수 있도록 하였다. Ⅴ장에서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독서기록장 쓰기 프로그램을 학생들에게 적용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생들은 이러한 독서 활동을 매우 흥미 있게 생각하였으며, 이 활동을 통하여 독서에 대한 동기, 태도, 습관을 보다 더 긍정적인 방향으로 향상시킬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독서 활동은 각각의 학습자들이 지닌 개성을 존중하여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흥미와 능력에 맞게 독서 자료와 독서 활동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셋째, 독서 클럽 활동이나 독서기록장 쓰기 활동은 사고의 폭을 심화&#61598;확장시키고 창의적 사고를 신장시킬 수 있었다. 넷째, 다양한 독후 활동으로 구성된 독서기록장을 직접 제작하였고, 이를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지도 과정과 예시를 제시하였다. 아직까지 학교 현장에서 독서 클럽 활동이나 독서기록장 쓰기를 통한 독서 지도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 결과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독서기록장 쓰기가 학교에서 교과 활동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교사가 적절한 지도 프로그램을 투입한다면 학생들은 스스로 독서 활동에 즐겁게 참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독서 클럽 활동을 통한 독서기록장 쓰기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 방안이 더욱 연구되어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