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yapunov 지수와 신경망을 이용한 전력수요 단기예측 모델 설계에 관한 연구

        박재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839

        The prediction of the supply of electric power is rel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ion and the consumption of electric power occurring simultaneously. It requires accurate management for electric power to be supplied continuously and stably. We proposed the short-term prediction model for electric power demand to enhance the prediction accuracy using the sensitivity, all phenomena in a chaotic system depend on the intial state of given system. We analyzed,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he electric power demand of residential district, Gyungsangnamdo Jinju City, which has a chaotic characteristic. Lyapunov exponent is a useful tool to analyze the chaotic attractor quantitatively and is also suitable for measuring the sensitivity of a chaotic trajectory to the initial state. It indicates logarithmically the growth or shrinkage rate of small perturbations in various directions in a phase space. The largest Lyapunov exponent is produced from a time series of a nonlinear system after the attractor has been reconstructed by various embedding dimensions and time delays. We proposed the prediction algorithm of a times series with reconstructing the attractor, calculating an unknown point in a phase space, recovering the prediction point to the time domain and obtaining the predicted value. We also proposed the intelligent algorithm using the back-propagation algorithm of Neural Network to obtain suitable parameters such as embedding dimension, time delay and the largest Lyapunov exponent quickly and accurately. A time series of electric power demand applied in this paper is based on information gathered from a residential district of Gyungsangnamdo Jinju City. It was obtained hourly from January to December on 2004 and 2008.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s, Lyapunov exponent and Lyapunov exponent-Neural Network, for short-term prediction, we performed a forecast simulation for electric power demand with the previous prediction algorithm, the Fuzzy compensative algorithm. As a result of the proposed algorithms being simulated for a restricted area, we verify it gives an excellent performance compared to the previous Fuzzy compensative algorithm. And we can ge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proposed algorithm is suitable for short-term prediction of time series like electric power demand but makes more errors as time goes by because of the sensitivity to the initial state. Second, various parameters, embedding dimension, time delay and the largest Lyapunov exponent, for the proposed algorithms are different to obtain the smallest prediction error depending on their prediction process. Last, the proposed algorithms are greatly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the variance of season and temperature, economic environment, industrial activities and so on.

      • 대순진리회의 신앙의 대상에 대한 연구 : 종교철학적 방법론을 중심으로

        박재현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The Object of belief of specific religion is the basis of that religion's doctrine. In this sense, how to define the Object of belief of specific religion is substantially important and also difficult task. This manuscript was written to understand Kang Jeongsan(姜甑山)(1871~1909) who believed to be incarnated as Kucheon Sangje(the Supreme God who is in the ninth (highest) heaven : 九天上帝), do Cheonjigongsa(Creation of new order of Heaven and Earth : 天地公事), pay off everything’s eternal grudges by making the rule of the Heaven and the Earth and by creating and harmonizing the work of Spirits and salvage all the human being and lives in the world by creating Sunkung(a fairyland : 仙境) of Hoocheon(later world or later heaven : 後天) with Do (religious truth in Daesoon : 道) of Sangsaeng(mutual life-giving : 相生). In order to do these, this study used the methodology of philosophy of religion using ontological, epidemical, relational, characteristical, and axiological perspective. The ontological understanding of Kucheon Sangje is as follows. Daesoon Theism is comprised of Polytheism, Pantheism, Pan-en-theism, and Monotheism. The unique nature of Daesoon Theism is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spiritual world. Kucheon Sangje(the Supreme God) is in the ninth (highest) heaven and rule every spirits and whole universe and Kang Jeongsan is human who was incarnated as Kucheon Sangje. Kucheon Sangje is also understood by the concept of 'Maitreya(彌勒)' and 'Henelnim' in Donghak(東學), and 'God(天主)‘ in Christianity, and 'Kucheone-Engwon-Noyeseung-Bowha-Cheunzon-Kangseung-Sangje(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姜聖上帝)’ in Daesoon Thought. Kucheon Sangje's characteristics of transcendence and immanence can be understood using the concept of Taegeuk (the Great Ultimate : 太極) and Mugeuk (Non-Ultimate : 無極). The epidemical understanding of Kucheon Sangje is as follows. Daesoon Theism is unique in that human can experience the existence of Kucheon Sangje historically because Jeongsan was lived in Chosun and leaved his words and deeds. Jeongsan was recognized by his followers as God-man(神人), God, and Sangje(上帝). Kucheon Sangje was also recognized by Choe Suwoon and Cho Jeong-San as revelation of holy spirit. The relational and characteristical understanding of Kucheon Sangje is as follows. While the God of christianity can be understood of creator of this world from 'absolute of nothingness', Kucheon Sangje in Daesoon Thought can be understood as the re-creator from the world ruled by the principle of mutual incomatibility (相剋) to the world of mutual life-giving (相生). Kucheon Sangje have the nature of personality and impersonality at the same time. The relationships between Kucheon Sangje and Human being are indirect because many spirits intermediate these relationships. Kucheon Sangje's determination of future and free will of Human being can be compatible because Kucheon Sangje set up the new system and order of universe(天地度數) and whether to follow it or not is dependent on the Human being. The axiological understanding of Kucheon Sangje is as follows. Kucheon Sangje suggested the unificative cosmology of this world including holistic theism and desirable human character who is called 'Dotong Gunja(道通君子)' He suggested the way to reach the desirable human character that can be realized by cultivating oneself morally and religiously. Daesoon Thought suggests complementary and holistic reasoning, harmonization of spiritualism and materialism, science and religion that can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modern society. This study approached the understanding of the Object of belief of Daesoonjinrihoe, Kucheon Sangje, using the methodology of philosophy of religion. Doing this showed the way to understand Kucheon Sangje in detail, but the need of the new way to understand him was revealed. The understanding of Kucheon Sangje can be more clarified at the point that these two different approaches merge to each other. 어떤 특정 종교에 있어 그 종교의 신앙의 대상은 그 종교적 교리의 근거이자 신앙을 하는 사람에게 있어 신앙심을 불러일으키는 대상으로 인식된다. 그러한 점에서 어떤 종교를 막론하고 그 종교의 신앙의 대상을 규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며 동시에 매우 어려운 일이기도 하다. 본 논고에서는 구한말 조선에서 태어나 1901년에서 1909년까지의 9년 동안의 천지공사(天地公事)를 통하여 상극(相剋)에 지배되어 진멸할 지경에 이른 선천(先天) 세상을 끝내고 후천(後天)의 무궁한 선경(仙境) 세상을 개벽(開闢)하여 여셨다고 신앙되고 있는 강증산(姜甑山)(1871~1909)에 종교철학적 방법론을 이용해 그 이해에 접근해보았다. 이에 종교철학에서 다루는 주된 주제에 맞추어 구천상제를 존재론적으로(구천상제는 ‘어떻게’, 또는 ‘어떠한 방식으로’ 존재하는가), 인식론적으로(인간이 그러한 구천상제를 어떻게 인식할 수 있는가), 관계론적으로(구천상제께서 인간 및 우주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속성론적으로(구천상제는 어떠한 능력, 인격성 및 이법성, 선과 악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 가치론적으로(구천상제께서 추구하는 가치가 있다면 어떤 것인가, 구천상제께서는 인간에게 어떤 가치를 원하고 있는가, 그 가치는 정신적, 물질적으로 인간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 어떻게 이해해야 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대순사상의 다신론과 범신론 또는 만유내재신론은 물론 유일신론까지의 다양한 형태를 두루 취하고 있다. 대순사상의 신관의 가장 독특한 특성은 중층성(中層性)으로 볼 수 있는데, 구천상제와 같은 유일무이(唯一無二)한 최고신으로부터 중급신, 하급신 등 그 위격에 따라 존재하며, 상제라고 하는 최고신의 권능과 주재에 의해 체계적인 통일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 또한 구천상제는 부조리한 이전 세계를 끝내고 새로운 이상 세계를 이 땅에 여는 미륵(彌勒)또는 메시아, 동학에서의 ‘님’, 기독교에서의 ‘천주(天主)’, 그리고 구한말 민중으로부터 우리 민족의 하느님으로 신앙되었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그리고 인류의 최초 성씨인 강(姜)씨 성으로 오신 근원적 존재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동양사상에서의 형이상학적 원리로 볼 수 있는 무극(無極)과 태극(太極)의 이치로써 이해될 수 있는 부분도 있다. 한편, 구천상제는 직접 강증산이란 인간의 모습으로 인세에 오셔서 천지공사를 행하셨다는 점에서 대순사상의 독특성을 볼 수 있다. 구천상제에 대한 인식론적 접근은 인간의 이성을 통한 접근과 인간의 체험을 통한 접근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대순사상의 경우 인간으로 오신 강증산께서 남기신 말씀과 행적을 간접적으로 체험함으로써 그 이해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이 독특하다. 증산은 그를 따르는 종도들에게 있어 한 인간으로써, 이적을 행하는 신인(神人)으로, 하느님, 상제로 인식되기도 했다. 한편, 수운 최제우와 도주 조정산께서 경험하신 구천상제에 대한 계시체험 또한 구천상제에 대한 인식론적 이해에 다가갈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구천상제에 대한 관계론-속성론적 접근에 대해 살펴보면, 기독교 하느님이 ‘절대무(絶代無)에서 유(有)를 창조하시는 하느님’이라면 구천상제께서는 ‘상극(相剋)에 점철된 우주를 상생(相生)의 우주로 다시 창조하시는 하느님’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구천상제는 인격성과 이법성의 모습을 조화롭게 모두 갖고 계시며, 이법성을 포함하면서도 초월하는 인격성을 가지시고, 도덕적인 가치기준에 맞게 일을 해나가시는 존재로서 그려진다. 구천상제의 인간 및 만물에 대한 개입 방식은 기독교 사상에 비해 중층적이며, 하부에 있는 다양한 신을 쓴다는 면에서 보다 간접적이며, 도수(度數)를 정하시고 인간은 이에 대해 따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자유의지를 가진 존재인 면에서 이중적이다. 따라서 “큰 틀(도수)은 구천상제께서 결정하시고 개별적인 인간사는 최종적으로 인간에게 달려있다”라는 결론을 가능하게 해준다. 구천상제에 대한 가치론적 접근에 대해서 살펴보면, 구천상제께서는 통일적 우주관을 제시하고, 천지공사를 통해 도통군자(道通君子)와 후천선경(後天仙境)이라는 이상적인 인간상과 세계상을 실현하며, 인간에게 수도(修道)를 통해 이상적인 인간상과 세계상을 실현할 수 있는 실천적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대순사상은 근현대 철학의 주요 쟁점이었던 상보론적이며 전체론적 사유방식, 정신과 물질, 종교와 과학, 신성(神性)과 인성(人性)의 조화, 상극(相剋)을 극복하고 상생(相生)으로 나아감으로써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 인류를 구원할 수 있는 가치를 담지하고 있다. 본 논고는 서구 종교학에서 오랜 시간동안 정립되어온 종교철학적 사유방식을 이용해 구천상제 또는 증산이라는 대순진리회의 신앙의 대상에 대해 어떻게 그 이해에 접근할 수 있는지를 고찰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통해 기존 서구의 종교철학적 사유방식으로 증산의 이해를 더 자세히

      •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 척도 개발 및 적용

        박재현 대구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he scale of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degree of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with the object of the psycho-social support for spinal cord injur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blem of psychological adaptation o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through advanced researches. Then, the scale of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was developed. Lastly, the validity was tested and the factors that affect o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were explored. The subjects for inquir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component contents of the scale of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composed? Second, are the sub-factors of the scale of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valid? Third, How are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related with the other factors?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o develop the scale of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regarding the scale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scale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the related concepts were conducted, and the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were interviewed in depth.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 the sub-factors for the scale of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were identified. The 62 preliminary questions were selected by testing content validity. The primary survey was conducted to carry ou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62 preliminary questions, and 384 spinal injury patients were participated. Then, the secondary survey were conducted using the scales related with psychological adaptation(the scales of social participation, leisure, spinal cord independence measure,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targeting 182 spinal cord injury.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19 questions that are divided into 3 factors were conducted. Concurrent validity with the related scales was tested as well. Lastl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physical and social factors that might be affect on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and the effect of psychological adaptation on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cale of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consisted of 19 questions that were composed of the acceptance of disability(12 questions), the adaptation to reality(5 questions), self-esteem(2 questions). Second,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fit indexes of 3 factors showed the almost same figure as optimal model. It was verified that the construct of the scale of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is academically and empirically appropriate by testing concurrent validity. Third, the results revealed that ‘evaluative support’, ‘sex(male)’, ‘educational background(a high school graduate)’, ‘indoor movement’, and ‘degree of damage(completely destroyed)’ affected on the acceptance of disability which is one of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Evaluative support’ and ‘indoor movement’ affected on the adaptation to reality. ‘Evaluative support’, ‘self-regulation’, and ‘married status before the damage’ affected on self-esteem. Furthermore,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life satisfaction, self-esteem, and depression) and the social characteristics(social participation and leisure). It is significant that the this study developed the scale of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domestically for the first time. It was suggested that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spinal cord injury is empirically important o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As the scale that has developed on this study is an academically useful instrument,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activates the following related studies that has a purpose on the psycho-social support for spinal cord injury. 본 연구는 척수장애인의 심리사회적 재활을 돕기 위해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 수준에 초점을 맞추었다.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척수장애인 재활과정의 심리적응에 어려움을 살펴보고,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에 관련변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 척도의 구성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 척도의 구성요인은 타당한가? 셋째,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은 관련변인과의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았다.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심리적응 척도 및 관련척도와 관련 개념들의 구성에 대한 영역별 문헌연구를 실시하고, 척수장애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와 심층면접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척수장애인 심리적응 척도 하위 영역의 개념을 규정하고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문항을 전문가집단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여 예비문항 62문항을 선정하였다. 62개의 예비문항의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척수장애인을 대상으로 1차 자료조사를 통해 384명의 자료를 수집하다. 다음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마친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 척도와 관련 척도(사회참여, 여가활동, 척수독립성 지수, 자아존중감, 생활만족, 우울, 사회적 지지 척도)를 이용하여 182명의 척수장애인을 대상으로 2차 자료조사를 실시하였고, 추출된 3개 요인의 19문항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과 관련 척도와의 동시타당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과 신체적, 사회적 변인들을 탐색하고, 심리적응이 심리적 특성과 사회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 척도는 장애수용(12문항), 현실적응(5문항), 자신감(2문항)의 3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19개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 요인의 부합지수들은 무난하게 최적모형의 적합수준에 가까운 수치를 보였고, 동시타당도 검증을 통해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 척도의 구성개념들이 이론적, 경험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의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 척도는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에 관련변인으로 심리적응에 하위요인인 장애수용에 ‘평가적 지지’, ‘성별’(남), ‘학력’(고졸), ‘실내이동’, ‘손상정도’(완전손상)이 영향을 미쳤고, 현실적응에 ‘평가적 지지’, ‘실내이동’이 영향을 미쳤고, 자신감에 ‘평가적 지지’, ‘자기관리’, ‘손상전 결혼’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은 생활만족과 자아존중감, 우울으로 구성된 ‘심리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사회참여와 여가활동으로 구성된 ‘사회적 특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 척도를 처음 개발하였다는 것과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이 재활과정에서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는 것, 그리고 개발된 척수장애인의 심리적응 척도가 학술적 유용성을 갖춘 도구로써 척수장애인의 심리사회적 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관련연구들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정밀 탐지를 위한 근거리 연속파 레이더 시스템 연구

        박재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paper thoroughly explores continuous-wave (CW) Doppler radar system for precision detection at short distance. A CW Doppler radar system operating at 915-MHz for vital-signs detection is presented. The proposed radar comprises a front-end module including an implemented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low-noise amplifier (LNA) and fractal-slot patch antennas, whose area was reduced by 15.2%. Path-loss simulation based on the human layer model indicates that the reflected power of the 915-MHz radar could be higher than that of the 2.45-GHz radar. In a measurement with six subjects, the respiration and heart rate obtained at 0.8 m using the proposed radar exhibited mean accuracies of 99.4% and 97.6% respectively. A multi-phase continuous-wave (MPCW) Doppler radar with a multi-arc circle fitting (MACF) algorithm is proposed for improving the accuracy of small periodic displacement measurements. In the proposed radar architecture, local oscillator (LO) signals with different phases are incident to multiple I/Q mixers, to simultaneously generate multi-arcs for small periodic motions. The multi-arcs obtained from the synchronized data are used in the circle fitting method to provide DC offset compensation, for accurate phase demodulation. The proposed MACF algorithm, based on the Levenberg-Marquardt method, can more precisely compensate for the DC offset by combining multi-arcs generated from the proposed radar. A 5.8-GHz MPCW Doppler radar module with four-phased LO signals is implemented as a demonstra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CW Doppler radar using a single arc, measurement results using the proposed radar show that the root-mean-square error (RMSE) can be effectively decreased in the periodic motion from 1 to 2 mm, at distances from 30 to 60 cm. The RMSE is reduced by more than 33% for a peak-to-peak displacement of 1 mm at 60 cm. A CW Doppler radar using two-tone frequencies is presented for the measurement of short-range distance. The envelope detection method is proposed to discriminate each frequency signal in the output waveform of the two-tone CW Doppler radar sensor. The phase difference in each frequency is obtained from the non-linearly demodulated I/Q baseband signals, following calibration of the I/Q imbalance and dc offset voltages. The absolute distance is derived from the phase differences at the two-tone frequencies with a 100-MHz spacing. The measurement results in the two-tone radar system show a maximum error of 2.5 cm in the 20 cm to 50 cm distance range.

      • Dosimetric benefits and optimal pressure of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in intensity modulated radiotherapy for locally advanced lung cancer : 국소진행성폐암의 세기변조방사선치료에서 양압기의 선량적 이점 및 최적압력

        박재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39

        목적: 방사선치료에서 양압기 적용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왼쪽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어, 국소 진행성 폐암에서 그 효용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또한 압력에 따른 선량 인자의 변화 양상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다. 따라서 압력에 따른 선량인자와 폐 용적의 변화를 분석하여 그 효용성을 구명하고, 이를 통해 폐암의 방사선치료에서 양압기의 최적 압력을 구하는 것이 이번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2019년 7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국소 진행성 폐암 환자 중 모의 전산화단층촬영 (computer tomography, CT)시 양압기를 적용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양압기는 4,7,10,14,17 cmH2O 순의 다섯 단계로 환자가 견딜 수 있는 압력까지 순차적으로 적용하였다. 평상 기압 및 각 압력 단계에서 2.5mm 슬라이스 두께로 CT 촬영을 하였다. 총 29명의 환자가 선택되었고, 총 158개의 CT 데이터세트를 획득하였다. 각 CT 세트에 표적용적 및 정상장기를 컨투어링하고 방사선치료 계획을 생성하였다. T-검정 및 Wilcoxon-signed rank 테스트를 이용하여 압력 및 압력간 용적 및 선량 인자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폐 용적은 평상 기압에서 4,7,10,14,17 cmH2O 순으로 각각 3318.0±742.4 cm3, 3575.4±762.1 cm3, 3840.1±764.5 cm3, 4148.9±820.5 cm3, 44529.5±905.9 cm3, 4883.42±799.4 cm3 였다. 모든 압력에서 폐 부피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P<0.01). 폐의 평균선량은 평상 기압부터 4,7,10,14,17 cmH2O 순으로 1573.5±314.0 cGy, 1545.9±327.7 cGy, 1495.3±330.8 cGy, 1455.9±334.6 cGy, 1392.8±304.4 cGy, 1392.8±304.4 cGy 였고, 7 cmH2O 부터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P<0.01). 폐의 V5, V10, V15 및 V20도 7 cmH2O 부터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압력 증가에 따른 감소량은 각각 3.2-12.6%, 4.8-12.7%, 6.3-13.8% 및 5.6-11.9%였다. 심장의 평균선량과 V5는 14 cmH2O 부터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감소량은 각각 5.4-11.1% 및 7.4-9.2% 였다. V50은 어떤 압력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폐 용적의 증가, 선량인자의 감소, 압력에 따른 견딜 수 있는 환자의 비율 및 압력 간 폐 용적의 변화를 고려하여 국소 진행성 폐암의 환자에서 양압기를 적용할 경우 최소 7 cmH2O의 압력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할 수 있겠다. 결론적으로는 심장보존 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14cmH2O가 방사선치료시 사용할 수 있는 최적압력으로 제시할 수 있겠다.

      • 韓國 傳統 木造建築의 栱包 部材에 關한 硏究 : 小累를 중심으로

        박재현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전통 건축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꾸준히 증가하여 공간배치, 공포 및 건축형식, 비례체계 등의 분야에 많은 연구성과를 이룩하였다. 이 중 공포부재에 관한 연구는 공포형식이나 공포의 기능과 규모에 따른 건축물 비례치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공포를 이루는 각 부재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전통건축물 중 다포계 건축물의 공포를 이루는 부재인 소로에 대해 결구 및 배치관계와 비례체계를 규명하여 나아가서는 건축사 연구의 기초적인 자료가 되고자 함에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대상은 실측된 韓國木造建築物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문화재로 지정된 고려말의 봉정사 대웅전과 조선 시대의 다포계 사찰 건축물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실측조사가 된 궁궐건축물도 연구대상에 포함시켰다. 연구의 방법은 다포계 건축물을 소로의 배치 및 결구와 비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각 부분의 세부항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확한 용어의 설정에 의한 소로의 개념에 대하여 정의를 하고 소로의 형태에 따른 소로 명칭을 본 논문에서 정립하였다. 둘째, 제공에 따른 소로의 배치 및 결구 관계를 알아보고 분석하는 장으로서 출목수에 따라 분류하여 배치관계와 결구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입면, 평면, 재폭, 단재고, 족재고를 살펴 소로 부재 크기에 대한 비례치를 분석하였다. The increasing the interests and studies about traditional architecture have had good results in many realms such as Gong-po, arrangement of space, architecture forms, proportional system. Although, a lot of research focused on the formality of Gong-po or function and the scale, the research of blonging of Gong-po is lacked nowadays. Therefore, The study would clarify the SO-RO(소로), which is the part of GONG-FO that one of the DAFO-GAE the Korean traditional buildings. It also have great impact on the foundation information of architecture history. The subject of the research is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the first one is the BONGJUNG-SA Daeungjeon which is desinated one of the culture asset. The other subject is the temple building in DAFO-GAE. Also this study also contained that the palaces conducted in actual enumer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analyzed the location of SO-RO, the proportional relationship. Here is the specific lists. First of all, It defined the concept of SO-RO and make clear of the name of the parts according to their own comformation. Secondly, It analyzed the location of SO-RO and their structure and classify their relationship by the number of protrude from their body. Lastly, It made a analysis the proportion about the size parts of SO-RO by observing three-dimensional or plane, the length of the part, the height of parts protruding from their body and the height the part on their body.

      • 하부장관수술과 상부장관수술에서 수술부위 감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비교

        박재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목적: 수술부위 감염은 수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발생하는 제일 흔한 병원 내 감염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부장관수술의 높은 수술부위 감염률에 대하여 최근 증가하고 있는 복강경 수술방법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이외에 여러 요인들이 수술부위 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수술부위 감염의 고위험 군을 선별하고 관리하여 향상된 수술 및 치료 결과를 얻는데 도움이 얻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10년 11월부터 2011년 11월까지 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에서 시행된 204례의 복부수술에 대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66세 이상, 고혈압을 포함한 혈관질환을 가진, 높은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score, 개복수술, 수술 후 1일째 혈당 180 (mg/dl) 이상인 환자에서 수술부위 감염이 잘 발생하였다. 상부와 하부로 나눈 수술부위에 따른 감염률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상부장관 수술에서는 수술방법에 따른 수술부위 감염의 차이가 없었고 하부장관에서는 복강경 수술에서 수술부위 감염에 적었다. 개복수술에서 Body mass index (BMI)가 30 (kg/m2) 이상인 환자에서 수술부위 감염이 잘 발생하였다. 결론: 복부수술환자에서 66세 이상의 고령, 고혈압 및 혈관질환이 있는, ASA 지수가 높은, 개복수술, 수술 후 1일째 혈당 180 (mg/dl) 이상인 환자와 개복수술 환자에서 BMI 30 (kg/m2) 이상인 환자는 수술부위 감염의 고위험 군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환자에 대하여는 더욱 세심한 수술부위 관리가 필요하겠다. 복부수술에서 엄격한 혈당관리와 하부장관수술 및 비만환자에서 복강경 수술은 수술부위 감염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