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SERVQUAL 모형을 이용한 도서관 서비스 질 평가에 관한 연구 : 대진대학교 중앙도서관을 중심으로
이영화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현대에 와서 그 중요성이 강조된 서비스는 이제 그것을 평가하는 것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서비스 마케팅은 증대된 서비스에 대한 관심과 활발한 연구를 반영한 새로운 학문영역으로 그것을 이용한 연구는 사기업 뿐만 아니라 도서관 등과 같은 공공분야에서도 적용되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서비스 질을 측정하는 대표적인 모형인 SERVQUAL을 이용하여 대진대학교 중앙도서관의 서비스 질을 측정하였다. 서비스 질은 이용자가 기대하고 있는 서비스 질과 실제 제공받은 서비스 질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설문을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평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SERVQUAL 모형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기대치를 측정한 결과 대진대학교 중앙도서관 이용자는 공감성을 가장 높게 기대하고 있으며, 신뢰성, 반응성, 보증성, 유형성 순으로 그 기대치를 정렬할 수 있다. 2. SERVQUAL 모형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인식치를 측정한 결과 각 요인별 큰 편차 없이 대체적으로 Likert 5점 척도 기준, 1.94 ∼2.28 정도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이중 신뢰성이 2.2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신뢰성 다음으로 유형성, 반응성, 보증성, 공감성 순으로 정렬할 수 있다. 3. 기대된 서비스와 전달된 서비스의 갭은 공감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보증성, 반응성, 신뢰성, 유형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용자가 공감성 요인을 가장 불만족스럽게 생각하고 있으며 유형성에 대해서는 다른 요인보다 비교적 만족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는 차이를 보이는데 국외의 선행연구에서는 대체적으로 신뢰성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들었으며 공감성이나 유형성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한 것과는 차이가 있다. 본 연구는 SERVQUAL 모형을 이용하여 이용자 관점에서 서비스 질을 평가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그 결과 서비스 질은 해당 도서관의 특성을 반영하여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서비스 개선이 필요한 요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질을 향상하는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importance of services has already been emphasized, and now it is focused on being evaluated itself. The marketing service, which is reflected by its high interest and active investigation, is a new area of study. It has been applied and achieved many results by not only a private company but also a public institution, for example a library. With SERVQUAL the representative model of measuring quality of services, we surveyed the central library of Daejin University. We analyzed our surveys with using a method, which divides the quality of services between what users can expect and what they are served actually. This is the summary of our research. Firstly, with SERVQUAL model, as a result of what we measured from research, we arrayed what most of the respondents expect. It shows they expect mostly empathy with other users and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tangibility.? Secondly, as for the perception of the actual service of the SERVQUAL model, the users of library rated the library's overall service quality as 1.94∼2 .28 on a scale of 5.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SERVQUAL dimension of reliability, and in order tangibles,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Thirdly, we also discovered empathy, assurance, responsiveness, reliability and tangible in the gap between expected service and actual service. The results show that the users are satisfied with majority considerably, however unsatisfied with empathy.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mpared with proceeding studies, this study differented from proceeding studies, that is, proceeding studies rated reli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while this study rated empathy as the most important. The main objective of our study is meaningful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services in the users’ viewpoint. In addition, based on this research, it will help to analyze what i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services and serve as a momentum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s for users.?
중국 길림성 대학생 리더의 역할 스트레스와 역할수행 만족도 관계 연구 : 심리적 자본과 조직 정체성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대학생 리더의 역할 스트레스와 역할수행 만족의 관계를 분석하 고, 심리적 자본과 조직 정체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이들 네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대학생 리더의 역할 스트레스를 줄이고 역할수행 만족을 향 상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국 대학생 리더의 역할수행 만족도와 학습자의 역할 스트레스, 심리 적 자본과 조직 정체성의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중국 길림성 대학생 리더의 역할수행 만족도와 역할 스트레스, 심리적 자본 및 조직 정체성은 인구학적 변수(성별, 학년, 조직구성, 직책, 재직 연한, 대학의 소재지)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중국 길림성 대학생 리더의 역할수행 만족도와 학습자의 역할 스트레 스, 심리적 자본 및 조직 정체성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주로 길림성 대학생 리더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길림성 소재 10개 대학의 학생 간부 3,350명을 대상으로 2024년 3월 5일부터 3월 31일까지 모바일 앱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339개의 유효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가 높은 역할 스트레스 설문(Peterson, 1995), 심리적 자 본 설문(Luthans, 2007), 조직 정체성 설문(Miller, 2000), 역할수행 만족도 설문 (Macdonald, 1997)을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및 Smart PLS 4.0, AMOS 27.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리더의 역할 스트레스의 평균은 5점 만점에 2.05점, 심리적 자 본의 평균은 4.14점, 조직 정체성은 4.37점, 역할수행 만족도는 4.27점으로 대체 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수에서는 ①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심리적 자본과 역할수행 만족도가 높았지만 역할 스트레스와 조직 정체성에서는 성별 차이가 없었다. ②학년별로는 대학교 5학년의 역할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대학원생 역할 스트레스가 가장 낮았으며, 역할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순서부터 낮은 순 서로는 대학교 5학년, 대학교 4학년, 대학교 2학년, 대학교 3학년, 대학교 1학 년, 대학원생 순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자본, 조직 정체성, 역할수행 만족도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③조직구성(소속)의 경우 학생협회가 가장 역할 스 트레스가 높고, 학급위원회의 역할 스트레스가 가장 낮았으며, 역할 스트레스는 학생협회, 중국공산당 및 중국공산주의 청년단 조직, 학생회(대학원 학생회), 학 급위원회의 순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자본이 가장 높은 곳은 학생회(대학원 학 생회)이며, 학생협회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자본은 학생회(대학원 학 생회), 학급위원회, 중국공산당 및 중국공산주의 청년단 조직, 학생협회 순으로 나타났다. 조직 정체성 및 역할수행 만족도는 소속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④직 책의 경우, 부서별의 조직 정체성 수준이 가장 높았고, 동창회 지부(학급위원 회) 회원의 조직 정체성 수준이 가장 낮았다. 조직 정체성 수준이 가장 낮은 직 급은 부서별, 부서본직, 부서부직, 동창회 지부(학급위원회) 회원 순으로 나타났 다. ⑤재직 연한 기준을 보면 1~2년의 역할 스트레스가 가장 높고, 2~3년의 역 할 스트레스가 가장 낮으며, 1~2년, 1년 이하, 3년 이상, 2~3년의 순으로 역할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2년, 1년 이하, 3년 이상, 2~3년. 심리적 자본, 조직 정체성, 역할수행 만족도는 재직 연한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⑥대 학의 소재지의 경우 바이청시의 역할 스트레스가 가장 높고 연길시의 역할 스 트레스가 가장 낮으며, 역할 스트레스는 바이청시, 쓰핑시, 지린시, 창춘시, 통 화시, 옌지시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심리적 자본, 조직 정체성, 역할수행 만족 도는 대학의 소재지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셋째,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는 역할 스트레스가 심리적 자본과 조직 정체성 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심리적 자본은 조직 정체성 및 역할수행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조직 정체성은 역할수행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심리적 자본은 역할 스트레스와 조직 정체성 사이에 정(+)적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조직 정체성은 심리적 자본과 역할 수행 만족도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하였다. 심리적 자본과 조직 정체성 은 역할 스트레스와 역할수행 만족도 사이에서 이중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심리적 자본은 역할 스트레스와 역할수행 만족도 사이를, 조직 정 체성은 역할 스트레스와 역할수행 만족도 사이를 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중국 길림성 소재 대학에서 대학생 리더 선발, 교육, 관리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첫째, 대학생 리더 선발에 대한 다양한 선발기준을 마련하고 관리 제도를 개 선하여야 하며 학생 리더의 역할 스트레스 수준에 관심을 두도록 해야 한다. 둘째, 학생 리더의 심리적 자본 수준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 시행해야 한다. 셋째, 대학은 조직 정체성 강화를 위해 협력적 조직 문화환경을 제공해야 하며, 학생 리더의 조직 정체성 수준을 높일 수 있 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넷째, 학생 리더들의 역할수행 만족도를 높이기 위 한 인센티브제를 구축하고 다양한 장학금 제도를 활용하여 긍정적인 보상체계 를 마련해야 한다.
중국 의과대학원생의 학습동기가 연구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연구자기효능감과 연구자정체성의 매개효과
자오뤄한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혁신은 발전을 주도하는 첫 번째 원동력이며 국가의 종합적인 국력과 핵심 경쟁력의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의대생 교육에서는 연구창의 과정과 연구 결과가 가져오는 사회적 효과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학습동기를 배양하며 연구창의성의 발전을 촉진하여 중국 의료 산업과 사고의 발전에 힘써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의대생의 학습동기와 연구창의성의 관점에서 연구 모델을 구축하고, 그 과정에서 연구자기효능감 및 연구자 정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중국 의과대학원생의 학습동기 연구창의성 연구자기효능감과 연구자 정체성의 경향은 어떠하며, 이러한 경향은 성별과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중국 의과대학원생의 학습동기, 연구창의성, 연구자기효능감과 연구자 정체성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비확률적 임의표집 방법을 통해 표집된 중국 10개 의과대학원생 1,088명이다. 설문 조사는 2023년 12월 1일부터 2024년 3월 31일까지 모바일 웹 미니 프로그램을 통해 수행되었다. 측정도구와 신뢰도는 '学习动机量表(Working Preference)' α=.917, '科研创造力量表(Identify as a Scientist)' 는 α=.901, '科研角色认同感量表(Creativity of Postgraduates)' 는 α=.858, '科研自我效能感量表(Research self-efficacy)' 는 α=.881이다. 수집 된 데이터는 SPSS 21.0 및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각 변인의 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t- 검증 및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Bootstrap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와 총효과를 구하였고, 모든 통계적 의의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첫째, 주요 변인의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학습동기 3.659점, 연구창의성 3.600점, 연구자기효능감 3.603점, 연구자 정체성 3.650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별 차이는 성별에 따라 남학생의 학습동기, 연구창의성, 연구자기효능감, 연구자 정체성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전공에 따라 연구자기효능감은 의학전공 학생이 기타 전공 학생에 비해, 연구정체성은 기타전공학생이 의학전공 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연구자기효능감은 학습동기와 연구창의성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넷째, 연구자기효능감은 학습동기와 연구자 정체성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다섯째, 연구정체성은 학습동기와 연구창의성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여섯째, 연구자 정체성은 연구창의성과 연구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일곱째, 연구자기효능감과 연구자 정체성은 학습동기와 연구창의성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다중매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중국 의과대학원생의 연구자 정체성을 제고하여 학생들이 환경에 더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연구 방향을 선택할 때 의과대학원생의 자율성을 높이고 관심 있는 연구 방향을 선택하거나 관심 있는 문제를 자신의 연구에 통합하여 내적 학습동기를 자극해야 한다. 셋째, 창의적 성과 자체에 대한 외부 포상은 창의를 촉진할 수 있으며, 대학은 다양한 연구 성과 전시 및 연구 대회를 적극적으로 개최하고 성과 가 뛰어난 사람에게 특정 물질적 포상을 주어 혁신 행동을 장려할 수 있다. 동시에 연구 결과의 전시 및 보급은 연구자가 사회적 인정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학생들이 연구 혁신을 수행하도록 영감을 주고 시연할 수 있다.
중국 대학생의 마음챙김, 자기통제, 취침시간지연 및 수면의 질의 구조적 관계
장허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중국 대학생의 마음챙김, 자기통제, 취침시간지연 및 수면의 질의 구조적 관계 대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장허 수면의 질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측정하는 기본 지표 중 하 나로 대학생의 생활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대학생의 수면 상태 이상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수면 문제 또한 사화 척 관심대상이 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중국 대학생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제시한다. 연구문제 1. 중국 대학생의 마음챙김, 자기통제, 취침시간지연 및 수면 의 질에 대한 경향이 어떠하며, 이러한 경향은 성별, 학년, 전공 간에 차 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중국 대학생의 마음챙김, 자기통제, 취침시간지연 및 수면 의 질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중국 해남성(海南省)의 6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458명 을 비확률 편의표집방식을 통해 선정하였고,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와 신뢰도는‘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cale (MAAS)’는 α=.89,‘Brief Self-Control Scale(BSCS)’는 α=.83, ‘Bedtime Procrastination Scale(BPS)’는 α=.92, ‘睡眠狀況自我評價 量表(Self-Rating Scale of Sleep, SRSS)’는 α=.89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과 AMO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 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연구도구의 신뢰성을 검증하였으며, 연구대 상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각 변인의 경향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t-검증 및 F-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 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Bootstrap법을 사용하여 간접효과와 총효과를 구하였고, 모든 통계적 의의 수준은 .05 로 설정하였다. 주요 연 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평균 점수는 5점 기준으로, 마음챙김 3.47점, 자기통제 3.50점, 취침시간지연 3.55점, 수면의 질 3.48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학적 특성별로, 취침시간지연은 성별에 따라, 자기통제, 취침 시간지연 및 수면의 질은 학년에 따라, 마음챙김, 자기통제 및 수면의 질 은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중국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수면의 질의 관계에서 자기통제는 유 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중국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수면의 질의 관계에서 취침시간지연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다섯째, 중국 대학생의 마음챙김과 수면의 질의 관계에서 자기통제와 취침시간지연은 다중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마음챙김에 관한 과학적 지식을 널리 알려 대학생들이 마음챙김 의 개념을 이해하고, 마음챙김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자아인식능력을 높 여 자기통제 수준을 효과적으로 높여야 한다. 이를 통해 취침시간의 지연 을 예방하고 수면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 둘째, 학교는 대학생의 마음챙김 수준에 보다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 고,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 감소 훈련과 마음챙김 인식에 관한 강연을 자주 개최해 대학생의 심리적 신체적 소양을 향상시키고, 수면의 질을 효 과적으로 개선하여 대학생의 균형적인 발달을 촉진하여야 한다. 셋째, 수면에 관한 지식을 주제로 한 강연이나 활동을 적극적으로 개최 함으로써 수면과 관련된 지식을 널리 알려 대학생들이 수면에 대해 올바 르게 이해하고, 잘못된 수면 인식을 교정하며, 수면 문제를 올바르게 바 라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외국인 유학생의 노동실태 연구 : 대진대학교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다오쑤언프엉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한국에서 유학을 하고 있는 외국인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더구나 대학 재정이 열악한 지방대학의 경우 외국인 유학생 유치는 매우 중요한 경영전략의 하나로 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에서 유학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학업 이외의 노동문제는 매우 중요한 차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유학생들의 사회생활과 노동과정에서 겪는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대진대학교에 재학 중인 베트남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한국에 거주하는 베트남 학생들의 이주과정, 노동활동, 생활경험 등을 질적 연구방법으로 수집하였다. 베트남 유학생의 특징 중 하나는 학업과 노동을 겸하는 경우가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편이고 이로 인하여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동이 유학생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그 실태는 어떠한지를 대진대학교 베트남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인터뷰 결과에 따르면 경제적 문제는 초창기는 부모님의 도움으로 해결하고 있으나 나중에는 본인 스스로 벌어서 생활하고 있으며, 특별히 건강 문제는 없으나 심리적 문제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실태를 보면 베트남 학생들은 대부분 저숙련 및 반숙련 노동에 종사하고 있으며, 노동과정에서 임금체불, 저임금, 산업재해, 질병, 장시간 노동 등 다양한 문제를 겪고 있다. 특히 특히 경험해보지 못한 취업 절차 및 작업 환경과 관련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유학생들은 한국의 법체계를 이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으며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크게 겪고 있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의 소외를 극복하고 안정적인 학업생활을 위해 유학생, 특히 한국인과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려고 하지만 기회가 거의 없거나 아예 없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외국인 유학생들의 노동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학생 업종을 조정하거나, 노동안내 시스템의 도입, 유학생의 사회통합 활성 노력 등이 요구된다. 그리고 생활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학생 네트워크에 대한 지원, 한국어 교육 강화, 그리고 취업 지원 서비스 제도화 등을 본격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봉영훈 대진대학교 법무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It is established as a study model that how to improve the workflow system to deal with the difficulty of maintenance and repair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ystem with analysing the effect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focusing on the administration of a university in this thesis. How to apply the system to the administration of a university is as follows; First, the plan in which the systematic improvement is considered to support the function such as planning, maintenance, management, assesment, inspection, and control of the information system for the university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complying connective standards between the workflow system and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to work together with the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of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Third, the repetitive education and the settlement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using the system are needed to adapt to the standard process of computerization. Fourth, the somewhat compulsory enforcement of the deciding officer is needed to introduce the electronic settlement system. In conclusion, the thesis will help to establish the electronic settlement system of the university administration and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with analysing the case of the other universities, 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not to make a direct investigation on the present state of the information-oriented university. 본 연구는 대학교행정을 중심으로 전자결재시스템 도입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 해결 과정과 도입 후의 효과를 분석하여, 이후 개발 시스템의 복잡성으로 인한 유지보수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전자결재시스템의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연구의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전자결재시스템을 대학교행정에 맞게 성공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별로 맞는 정보화 추진체계상 기획, 유지 관리, 운영, 평가, 감사 및 통제 등의 기능을 뒷받침하기 위한 체계적인 정비 및 보강을 고려한 계획을 수립한다. 둘째, 대학행정의 종합정보시스템과의 원활한 연동을 위하여 전자결재시스템과 행정정보시스템 간 연계표준을 준수하여 시스템을 구축한다. 셋째, 사용자들의 전산화를 통한 표준화된 업무 프로세스의 적응을 위한 반복적인 교육과 실제 사용 경험을 통한 해결법이 필요하다. 넷째, 최고결재권자의 전자결재에 대한 강력한 의지 및 도입을 위하여서는 어느 정도의 강제적 성격을 띠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한계는 대학교 정보화 현상에 대한 직접조사를 수행하지 못한 점이지만, 타 대학의 사례 등을 분석하여 대학교행정의 전자결재시스템의 효율적인 도입과 정보화 시스템 확대 도입을 위한 수립에 도움을 줄 것이다.
중국 대학교 교사 조직 혁신 분위기가 혁신 행위에 미치는 영향: 심리자본과 지식 공유의 이중매개효과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교사들의 조직 혁신 분위기가 혁신 행위, 심리 자본과 지식 공유에 미친 영향, 심리자본과 지식 공유가 혁신 행위에 미 치는 영향, 그리고 조직 혁신 분위기와 혁신 행위의 관계에서 심리자본과 지식 공유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는 대학교 교원 들이 교수 과학연구 혁신과정에서 지속적인 내부 구동력과 혁신 행위 표 현을 획득하고 나아가 직업 성공을 얻도록 추진하는데 중요한 실질적 의 의가 있으며 대학교지도와 교육관리 부문에서 교원 혁신 행위를 불러일으 키고 대학교 전체의 혁신 수준을 제고하며 혁신형과 복합형 인재를 양성 하는데 이론적 배경과 현실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첫째, 조직 혁신 분위기는 혁신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둘째, 조직 혁신 분위기는 심리자본과 지식 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셋 째, 심리자본과 지식 공유는 혁신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넷째, 조직 혁신 분위기와 혁신 행위의 관계에서 심리자본과 지식 공유가 매개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한다. 위의 연구 문제와 그에 따른 가설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국 32개 대학 교사 6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혁신 분위기가 혁신 행위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 혁신 분위기는 심리자본, 지식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자본, 지식 공유는 혁 신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 혁신 분위기와 혁 신 행위의 관계에서 심리자본과 지식 공유 모두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혁신 분위기가 높을수록 대학교 교사들의 혁신 행위가 많아 진다.연구에 따르면 적극적인 대학교조직 혁신 분위기는 교사의 적극적인 혁신 행위에 대해 현저한 예측 작용을 한다. 둘째, 조직 혁신 분위기가 높 을수록 대학교 교사들의 심리적 자본과 지식 공유 수준이 높다. 연구에 따르면 적극적인 대학교조직 혁신 분위기는 교사의 심리자본과 지식 공유 수준에 대해 현저한 예측 작용을 한다. 셋째, 대학교 교사의 심리적 자본 과 지식 공유 수준이 높을수록 혁신 행위 수준이 높다. 연구 결과에 따르 면 대학교 교사의 심리자본과 지식 공유 수준은 그의 혁신 행위 수준에 대해 현저한 예측 작용을 한다. 넷째, 조직 혁신 분위기와 혁신 행위의 관 계에서 심리자본과 지식 공유는 이중 매개 효과를 발생시킨다.연구 결과 에 따르면 심리자본과 지식 공유의 이중 매개체 역할에서 대학교의 조직 혁신 분위기가 교사의 혁신 행위에 대한 영향이 더욱 현저하다. 결론적으로 전 세계가 혁신형 경제 시대에 접어든 배경에서 대학교가 과학기술 혁신 분야에서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려면 적극적인 조직 혁신 분위기를 조성하고 교사의 적극적인 심리자본에 대한 개발과 육성을 강화 하며 교사 간의 지식 공유를 추진하여 교사의 혁신 행위와 대학교의 발전 활력을 더욱 잘 불러일으켜야 한다.
중국대학 비전공학생 교양음악 강좌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챠오웨이룽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중국대학 비전공학생 교양음악 강좌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대학원 예술융합학과 예술융합전공 챠오웨이룽 2019년부터 중국 교육부는 교양음악 강좌의 중국대학 발전을 중시하기 시작했다. 2019년 교육부가 발표한 「새로운 시대의 고등학교 예술교육 사업의 실질적인 강화에 관한 의견」(关于切实加强新时代高等学校艺术教 育工作的意见)과 중국공산당 중앙판공청, 국무원 판공청이 발표한 「신시 대 학교 예술교육 업무 전면 강화 및 개선에 관한 의견」(关于全面加强和 改进新时代学校艺术教育工作的意见)을 발표했다. 두 문서를 통해 중국 대 학의 교양음악 강좌의 개혁이 매우 중요한 시기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 다. 그러나 현재의 낙후된 예술 교육 체제는 교육부의 기본 요구와 일정 한 모순을 존재하고 있다. 예술적 표현으로서 음악교육은 대학에서 중요 한 역할을 한다. 교양음악 강좌의 운영은 실천에서 일련의 도전에 직면해 있으며 깊은 연구와 개선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중국대학 교양음악 강좌의 운영방안을 논의하여 수업효과를 높이고 학생들의 종합적인 발전과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설문조사 및 문헌 검토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대학의 교양음악 강좌를 조사하고 분석한다. 비교 연구를 통해 다 양한 운영방안의 장단점을 요약하고 실행 가능한 개선 제안을 제시한다. 연구에 따르면 현재 중국 대학의 교양음악 강좌 운영에는 교수 부족, 교 재의 선택이 적절하지 않은 등 몇 가지 공통적인 문제가 있다. 성공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교수 양성, 과정 설계, 교수 방법 및 기타 제안을 포함하 여 보다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운영방안을 제안했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 대학의 교양음악 강좌 운영에 대해 더 깊이 이해 하고 관련 분야의 교육 실천에 유익한 참고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몇 가 지 제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제안이 대학교육에서 교양음악 강좌의 더 나은 발전을 촉진하고 학생들의 전반적인 발전을 위한 더 풍부한 문화적 소양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OPAC 이용활성화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대진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1980년대 이후 OPAC(온라인열람목록)은 급속도로 발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없어서는 안 될 도서관의 기능으로 자리 잡고 있다. OPAC이란 이용자가 소장 자료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 도서관의 서지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여 필요한 정보를 이용자 스스로 자료를 검색하는 검색시스템이다. OPAC은 다양한 접근점을 통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거리에서도 접근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OPAC은 그 기능이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OPAC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대진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OPAC이 얼마나 활용되는가와 이용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OPAC 자체에 대한 만족도에 비해 OPAC의 이용빈도는 매우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 또한 검색 유형이 매우 제한적으로 검색결과에 대한 만족도나 자신의 이용능력에 대한 만족도는 그리 높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OPAC의 이용 활성화 저해 요인은 대표적으로 원하는 자료가 없거나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모두 OPAC의 이해도를 바탕으로 한 검색 기법에 관련된 문제로서 OPAC에 대한 이해 부족과 문제해결능력 부족, 시스템의 전반적인 문제점 등이 그 원인이 되고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이용자는 키워드나 주제명으로 검색을 하고 있는데 현재 OPAC은 이에 따른 문제점들을 많이 뒷받침해주지 못하고 있어 많은 이용자들은 검색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셋째, 대부분의 학생들은 OPAC에 대한 이용자교육을 원하고 있으며 인쇄 자료를 통한 교육, 오리엔테이션을 통한 교육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수업을 통한 교육과 도움말에 대한 교육, 에러 메시지에 대한 교육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처럼 OPAC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은 이용자들의 OPAC에 대한 불만족과 OPAC에 대한 인식 및 이해부족, 그리고 OPAC의 시스템적인 기반이 부족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도서관 이용에 비례하여 OPAC의 이용 빈도 역시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러한 저해 요인의 근본적인 해결이 필요하겠다.